KR101607382B1 - 도마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도마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382B1
KR101607382B1 KR1020140053391A KR20140053391A KR101607382B1 KR 101607382 B1 KR101607382 B1 KR 101607382B1 KR 1020140053391 A KR1020140053391 A KR 1020140053391A KR 20140053391 A KR20140053391 A KR 20140053391A KR 101607382 B1 KR101607382 B1 KR 10160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lock
board
coupled
slide bar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156A (ko
Inventor
이근영
Original Assignee
이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영 filed Critical 이근영
Priority to KR102014005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38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05Cutt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3Food related applications

Abstract

도마 절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는, 판상으로 형성된 도마; 도마의 일측변에 평행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봉; 상기 슬라이드봉에 결합되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블록; 상기 힌지블록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어 도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로 회전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마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칼이 힌지블록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절단 작업이 가능하며, 손을 다칠 위험이 감소될 수 있어 안전성과 작업 능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칼날을 비스듬히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물에 대한 비스듬한 절단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칼의 위치 설정작업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대형의 대상물에서부터 소형의 대상물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마 절단장치{a chopping board with cutter}
본 발명은 도마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마에 장착된 힌지블록을 이용하여 칼의 방향 설정 및 이동이 자유롭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식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도마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마는 식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평판 형태의 도마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칼을 이용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절단 작업은 숙련자와 비숙련자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예컨대 숙련자의 경우 빠른 손놀림으로 음식물을 절단하여도 그 크기가 고른 반면에 비 숙련자의 경우에는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육류나 기타 딱딱한 재질의 재료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힘을 덜 들이면서 쉽게 자를 수 있도록 중량이 있는 큰 칼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육체적인 피로가 수반되므로 대량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힘을 덜 들이면서 대량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마와 칼을 연결시켜 지렛대 원리로 자를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03280호에는 「칼이 구비된 도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칼날의 일단부 모서리에 통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칼과; 일단부 상측으로 상기 칼날의 통공에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을 기준으로 칼날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칼의 회동에 따라 썰고자 하는 식재료가 통과되어 절단되는 절단공간이 형성된 보호구와; 상기 보호구의 가이드홈에 칼날이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공과 칼날의 통공을 관통하면서 고정되어 이를 회동축으로 하여 칼의 손잡이를 잡고 상하로 이동시 칼날이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게 하는 힌지와; 상기 보호구의 하단에 구비된 도마를 포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작두와 같은 형태이므로 절단 작업은 용이하지만 칼의 방향 전환이나 회전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비스듬히 절단하거나 경사지게 절단하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칼과 도마가 연결되어 있어 항상 절단 작업이 준비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칼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손을 다칠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어슷썰기와 같이 비스듬한 절단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칼의 위치 설정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대형의 대상물에서부터 소형의 대상물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한 도마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도마 절단장치는 판상으로 형성된 도마; 상기 도마의 일측변에 평행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봉; 상기 슬라이드봉에 결합되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블록; 상기 힌지블록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어 도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마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봉은 힌지블록에 끼움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칼부재는 연결봉에 결합되는 칼 지지대와, 상기 칼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된 칼날과, 상기 칼날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힌지블록은 상기 슬라이드봉이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과 직교되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이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슬라이드봉의 외주에 접촉 지지되는 축경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개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확개부에 결합된 슬라이드봉을 기준으로 힌지블록이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칼이 힌지블록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절단 작업이 가능하며, 손을 다칠 위험이 감소될 수 있어 안전성과 작업 능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칼날을 비스듬히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대상물에 대한 비스듬한 절단작업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칼의 위치 설정작업도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대형의 대상물에서부터 소형의 대상물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칼과 도마가 연결되어 있어 항상 절단 작업이 준비된 상태가 될 수 있어 칼을 찾기 위한 불필요한 동작이 배제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힌지블록'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슬라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절단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힌지블록'의 선회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칼부재'의 회전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칼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힌지블록'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슬라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절단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힌지블록'의 선회작동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의 작동도로서 '칼부재'의 회전작동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마 절단장치는, 판상으로 형성된 도마(100); 상기 도마(100)의 일측변에 평행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봉(200); 상기 슬라이드봉(200)에 결합되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블록(300); 상기 힌지블록(300)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봉(200)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어 도마(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로 회전되는 연결봉(400); 상기 연결봉(40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마(100)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칼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마(100)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도마(100)의 일측 양단부에는 각각 브라켓(120)이 결합되고, 양측의 브라켓(120)을 연결하도록 슬라이드봉(200)이 결합된다.
슬라이드봉(200)은 처짐이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솔리드타입의 경질 금속봉체로 이루어진다.
물론 슬라이드봉(200)의 중간부위에 별도의 지지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받침브라켓(미도시)을 더 형성시킬 수 있으나 이는 힌지블록(300)의 이동 간격을 제한하게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마(100)의 간격이 과도하게 길어질 경우에만 받침브라켓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블록(300)은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대략 육면체 형상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 수지(PE)재질로 성형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봉(200)이 결합되며 타원 형상으로 된 제1결합공(310)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310)과 직교되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400)이 결합되는 제2결합공(3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공(310)은 중앙에는 슬라이드봉(200)의 외경과 동일한 축경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312)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개부(314)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힌지블록(300)이 슬라이드봉(200)을 기준으로 제한된 반경 내에서 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확개부(314)는 대략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드봉(200)을 기준으로 약 +45도 내지 -45도의 선회 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선회 반경 내에서 연결봉(400)이 선회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봉(400)은 힌지블록(300)에 끼움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어 칼부재(500)의 절단 위치를 설정할 수 있고, 아울러 설정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칼날(540)의 길이는 도마(10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관계로 대상물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칼날(540)의 위치 선정의 필요성 및 칼날(540)의 부분적인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칼날(540)의 절단 위치를 변경해주기 위한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내구성의 향상과 수명 연장을 위해 필수적이므로 칼부재(500)를 잡고 밀거나 당겨서 적당한 절단 위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봉(400)의 일단은 칼부재(500)와 결합하고, 연결봉(400)의 타단에는 연결봉(400)이 힌지블록(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10)가 부착된다. 여기서의 스토퍼(410)는 다양한 형태로 채택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스냅링이 부착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스토퍼(410)로 인하여 칼부재(500)의 이동이 제한된 범위내로 한정되어 불의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고 작업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힌지블록(300)의 상부에는 연결봉(400)이 결합하고 하부에는 슬라이드봉(200)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바뀔수도 있다.
한편 상기 칼부재(500)는 상기 연결봉(400)에 결합되는 칼 지지대(520)와, 상기 칼 지지대(520)의 하부에 장착된 칼날(540)과, 상기 칼날(54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560)로 구성된다.
칼 지지대(520)는 일단부가 연결봉(400)의 하부에 용접되며 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는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절곡단부(52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단부(521)에 칼날(540)이 형성된다.
칼날(540)은 칼 지지대(520)와 일체가 되도록 용접되거나 또는 절곡단부(521)에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544)로 체결된다.
칼날(540)은 형상을 제한하지 않고 대상물에 적합한 형태의 칼날(540)을 취사 선택하여 장착시킬 수 있으며, 마모된 칼날(540)은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절곡단부(521) 및 칼날(540)의 상부를 관통하여 볼트(544)가 체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칼날(540)의 교체 시기에 도달하면 볼트(544)를 풀어 새것으로 교체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의 칼날(540)과 칼 지지대(520)의 결합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들이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참고로, 칼 지지대(520)는 연결봉(400)과 접하는 부분을 2mm 이하의 얇은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했을 때 외부 압력에 의한 휨이나 꺽임에 취약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ㄱ'자 형태로 절곡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의 단점은 연결봉(400)과의 용접이 까다롭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고자 칼 지지대(520)의 두께를 3mm이상으로 하면 절곡하지 않아도 외부압력에 버티는 힘이 충분하며 전체무게가 가볍고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디자인면에서도 우수할 수 있어서 절곡하지 않은 형태로 볼트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칼 지지대(520)는 절곡된 'ㄱ'자 형태 또는 절곡이 되지 않은 'ㅣ'자 형태든 연결봉(400)과 칼을 손쉽고도 내구성있게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또한, 도 7은 칼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상기에서는 칼 지지대(520)는 일단부가 연결봉(400)의 하부에 용접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도 7과 같이 상기 칼 지지대(520)의 일측에는 연결봉(400)이 관통 결합되는 결합링(57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570)에 나사 결합된 조임나사(5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칼 지지대(520), 연결봉(400), 칼날(540)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일부만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블록(300)이 슬라이드봉(200)을 타고 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격 설정이 자유롭게 실시될 수 있다.
즉, 칼부재(500)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밀어 이동시키면 힌지블록(300)이 슬라이드봉(200)을 타고 이동된다.
이후 칼부재(500)를 상하로 회전시키면서 대상물을 절단작업을 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부재(500)의 손잡이(560)를 쥐고 선회시키면 힌지블록(300)의 제1결합공(310)의 확개부(314)가 허용하는 각도(θ) 내에서 좌우로 선회 작동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대상물에 대해 종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부재(500)의 손잡이(560)를 잡고 비틀면 칼날(540)이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에 대해 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절단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대상물에 대한 종방향의 비스듬한 각도 설정과 또한 횡방향에 대한 비스듬한 각도 설정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구현될 수 없는 3차원적인 절단 각도를 구현할 수 있어 보다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도마 200 : 슬라이드봉
300 : 힌지블록 310 : 제1결합공
312 : 축경부 314 : 확개부
320 : 제2결합공 400 : 연결봉
410 ; 스토퍼 500 : 칼부재
520 : 칼 지지대 540 : 칼날
560 : 손잡이 570 : 결합링

Claims (5)

  1. 판상으로 형성된 도마;
    상기 도마의 일측변에 평행되게 형성된 슬라이드봉;
    상기 슬라이드봉에 결합되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힌지블록;
    상기 힌지블록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결합되어 도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마의 상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칼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칼부재는 연결봉에 결합되는 칼 지지대와, 상기 칼 지지대의 하부에 장착된 칼날과, 상기 칼날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블록은 상기 슬라이드봉이 결합되는 제1결합공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과 직교되며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이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힌지블록에 끼움결합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절단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은
    상기 슬라이드봉의 외주에 접촉 지지되는 축경부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축경부의 양측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개부가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확개부에 결합된 슬라이드봉을 기준으로 힌지블록이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마 절단장치.
KR1020140053391A 2014-05-02 2014-05-02 도마 절단장치 KR10160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91A KR101607382B1 (ko) 2014-05-02 2014-05-02 도마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3391A KR101607382B1 (ko) 2014-05-02 2014-05-02 도마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56A KR20150126156A (ko) 2015-11-11
KR101607382B1 true KR101607382B1 (ko) 2016-03-29

Family

ID=5460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3391A KR101607382B1 (ko) 2014-05-02 2014-05-02 도마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3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626A (ja) * 2001-03-30 2002-10-08 Ryokichi Tsuchiya 調理自助具
KR100717255B1 (ko) * 2006-07-11 2007-05-15 이길수 도마의 절단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626A (ja) * 2001-03-30 2002-10-08 Ryokichi Tsuchiya 調理自助具
KR100717255B1 (ko) * 2006-07-11 2007-05-15 이길수 도마의 절단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156A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3067A1 (en) Cutting tool
CA2923618A1 (en) Razor assembly
USD821160S1 (en) Knife
JP2007092376A (ja) 長柄用具
KR200484399Y1 (ko)
TWI490066B (zh) 鋸切機的角度調整裝置
KR101607382B1 (ko) 도마 절단장치
US10471624B2 (en) Miter angle stop
KR101666142B1 (ko) 원호 절단용 컴퍼스
US96368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irally slicing meat
US20140259693A1 (en) Safety Cutter
US10532479B2 (en) Cutting apparatus
US20130098502A1 (en) Edge-band chamfering device
CN204585266U (zh) 一种易定位剪刀
CN113613609B (zh) 切割重型基板的工具附件
JP2014521378A5 (ko)
JP2010279412A (ja) まな板及びまな板補助器具
KR20130008198A (ko) 너비조절 식칼
JP2007090784A5 (ko)
US20180056541A1 (en) Cutting machine
CN102284960A (zh) 菜刀
JP3186484U (ja) 鉋及び鉋装置
USD904850S1 (en) Utility knife blade with grip
USD903458S1 (en) Utility knife blade with grip
KR20180067054A (ko) 가위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