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274B1 -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274B1
KR101606274B1 KR1020140107024A KR20140107024A KR101606274B1 KR 101606274 B1 KR101606274 B1 KR 101606274B1 KR 1020140107024 A KR1020140107024 A KR 1020140107024A KR 20140107024 A KR20140107024 A KR 20140107024A KR 101606274 B1 KR101606274 B1 KR 101606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telephone number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580A (ko
Inventor
이기상
Original Assignee
이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상 filed Critical 이기상
Priority to KR1020140107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은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인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모바일 단말인 제1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공받고자 하는 요청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업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업체 클라이언트로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상기 요청서비스에 대한 회신제공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회신제공정보 및 상기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한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회신정보 전송부; 호연결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캐치하여 전송하는 앱이 탑재된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전호 정보를 전송받는 매칭정보수신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요청서비스 정보 및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이력정보를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이력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SYSTEM FOR INFORMATION MATCHING SERVICE WITH PROVIDING SELECTIVE HISTORY INFORMATION AND METHOD FOR SHARING CALLER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요청자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에 최적화된 매칭 정보가 제공되는 플랫폼을 구현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 측의 휴대 단말로 서비스 요청자의 호 연결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발신자 전화번호 추출 및 전송 등의 프로세싱으로 플랫폼을 통하여 매칭되었던 양자 간의 이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측의 휴대단말로 제공하여 발신자 정보를 통화 전 효과적으로 확인 내지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화 전 발신자(Caller)의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는 기능이 휴대 단말에 보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은 대부분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에 저장된 정보 중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정보와 대응되는 정보를 휴대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자신이 휴대 단말에 저장한 정보만 제한적으로 제공된다는 한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발신자가 미리 이통사 서버 등에 정보를 입력해 두면 입력한 정보가 통화 상대방의 휴대 단말로 출력되도록 하는 방법도 근래 개시되고 있다.
또 다른 형태로, 스팸 성격을 가지는 전화번호 정보가 이통사 서버를 통하여 공유되도록 하여 특정 전화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주의 내지 안내 정보가 수신자 휴대 단말에 출력되는 방법과 한국특허공개공보 2008-0035231호 등에 개시된 패킷 채널을 이용하여 발신자 확인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도 개시되고 있다.
한편, 포털 사이트 또는 중개 사이트를 통하여 소정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자 하는 자(이하 “서비스요청자”라 지칭한다)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자(이하 “서비스 제공자”라 지칭한다) 들을 상호 연결해 주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시스템이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시스템은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과 같이 단순히 일대일로 양자 간 매칭 프로세싱을 수행하거나 또는 중고 물품 판매 사이트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요청자들이 업로드한 정보를 상대방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호 연결을 위한 간접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서비스 요청자가 중개 사이트 등을 통하여 확인한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 정보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화를 걸더라도 서비스 제공자는 발신인이 누구인지 전혀 알 수 없음은 물론, 어떠한 용무로 자신에게 전화를 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없으므로 통화 응대를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신자 정보를 수신자 단말에 표시해주는 종래 여러 서비스 방법은 제한적이고 독립적인 영역에서만 구현될 뿐이므로 이와 같은 매칭 서비스 시스템에 유기적으로 접목되어 매칭 시스템의 구현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요청자가 업로드한 요청서비스정보를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업체로 전송하고, 업체로부터 회신 전송된 상기 요청서비스정보에 대한 회신제공정보를 서비스 요청자에게 다시 피드백 전송하여 서비스 요청자가 자신에게 최적화된 해당 업체 서비스를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최적화된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서비스 요청자가 해당 업체에 연계된 휴대 단말로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 추출, 전송 및 해당 정보 추출을 통하여 서비스요청자가 업로드한 요청서비스정보 및 해당 업체가 회신한 회신제공정보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를 수신측 휴대 단말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화 목적, 발신자 정보 등을 통화 수행 전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은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인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모바일 단말인 제1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공받고자 하는 요청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업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업체 클라이언트로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상기 요청서비스에 대한 회신제공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회신제공정보 및 상기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한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회신정보 전송부; 호연결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캐치하여 전송하는 앱이 탑재된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전호 정보를 전송받는 매칭정보수신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요청서비스 정보 및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이력정보를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이력정보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요청자의 정보를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추가요청정보 또는 상기 추가요청정보에 대한 업체의 추가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진행정보를 저장하는 진행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이력정보에 상기 추가진행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매칭정보수신부는 통화 종료 후 발신자에 대한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메모 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앱이 탑재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메모 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를 더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메모 정보를 더 추출하여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은 서비스요청자의 요청서비스정보와 상기 요청서비스정보에 대한 서비스제공업체의 회신제공정보를 상기 서비스요청자 또는 서비스제공업체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준으로 상호 연계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요청서비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정보출력단계; 상기 수신된 요청서비스정보에 대한 답변 정보인 회신제공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회신제공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회신정보전송단계; 호연결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캐치하여 상기 캐치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전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전화번호전송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이력정보수신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는 공유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통화 종료 후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모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메모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이력정보수신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자신이 입력한 메모정보를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공유정보출력단계는 상기 수신된 이력정보 및 메모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및 방법은 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선별하여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소통 및 공유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서비스요청자 및 서비스제공자 모두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요청자 및 서비스제공자 사이에 주고받은 정보 이력을 휴대 단말의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에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이력 정보를 휴대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통화 수행 전, 발신자와 자신이 주고받은 정보 이력을 정확히 확인하고 인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통화 응대가 가능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력정보 제공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신자 정보 공유 방법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서비스요청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의 이력정보를 전화번호 정보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통화 전후 서비스제공자에 연계된 휴대 단말에 표시되는 이력정보 및 메모 입력 환경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입력된 메모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이력정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이하 ‘서비스 시스템’이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5)을 통하여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300, 310)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200, 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하여 온라인 접속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응하는 관점에서 서비스 요청자 측의 단말과 서비스제공자 측의 단말을 각각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와 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 및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200, 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버(100)로 유무선 인터넷 통신환경을 통하여 접속되므로 유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면 피씨 형태의 단말은 물론, 스마트 폰, 탭 등의 휴대 단말(210, 310)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비스요청자(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300)가 업로드한 서비스요청정보를 특정 서비스제공자(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200)에 제공하고, 다시 특정 서비스제공자가 이에 대한 답변으로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서비스요청정보를 업로드한 서비스요청자에게 전달하여 상호 간의 정보를 매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비스요청자(300)가 서비스제공자(200)의 휴대 단말로 음성통신망(7)을 통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서비스제공자(200)의 휴대 단말에 미리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앱)(APP)의 구동에 의하여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 및 자신의 전화번호 정보가 전송되면, 이들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요청정보와 회신제공정보로 구성되는 이력정보를 서비스제공자(200)의 휴대 단말(210)로 전송하여 발신자와 주고받은 정보를 통화 전 미리 확인 및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는 상기 음성통신망(7)과 유무선 인터넷 통신망(5)이 상호 구분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형태에서는 이들 통신망은 논리적인 구분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 및 프로세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1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DB부(110), 입력부(120), 정보제공부(130), 회신정보전송부(140), 매칭정보수신부(150), 진행정보저장부(160), 추출부(170) 및 이력정보제공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에 대한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서비스요청자는 서비스요청자의 클라이언트(300)(피씨, 휴대 단말 등)를 이용하여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인 요청서비스 정보를 자신의 휴대 단말 전화번호 정보 등과 함께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업로드한다(도 3의 S300). 이하 설명에서 서비스요청자의 클라이언트를 제1클라이언트로 지칭하며, 서비스요청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1모바일 단말로 지칭한다.
이러한 제1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및 요청서비스정보가 서비스 시스템(100)의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제1모바일 단말 전화번호 및 요청서비스 정보는 후술되는 다른 정보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된다(S305).
이 요청서비스 정보는 다양한 형태, 주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송 등과 업무를 수임할 변호사를 찾거나, 아르바이트 희망자를 찾는 등의 구인 관련 서비스 정보도 가능하며, 차량 수리 등을 의뢰하는 서비스 정보, 체질 개선 및 상담을 맡아줄 한의원을 찾는 요청 정보, 중고 카메라를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 구매에 대한 서비스 정보 등이 이러한 요청 서비스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100)의 정보제공부(130)는 이와 같은 요청서비스 정보가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300)로부터 입력되면, 입력된 요청서비스 정보를 파싱하고 파상된 결과 데이터와 업체 정보가 저장된 DB부(110)의 정보를 대상으로 매칭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이 요청서비스 정보에 해당되는 하나 이상의 업체를 선별하고(S310), 선별된 업체 클라이언트(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를 전송한다(S320).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 요청서비스는 미리 등록된 해당 업체의 모바일 단말(휴대 단말)로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B부(110)에 저장되는 복수 개 업체에 대한 정보는 업체명칭,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업체의 위치 정보, 경력 사항에 대한 정보, 기본 광고 정보, 업체 대표 전화 번호 정보 등이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업종별 카테고리, 분류 등에 따른 정보도 함께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은 요청서비스 정보가 입력(업로드)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분석(파싱)하여 지리적 위치 근접성, 업체 신뢰도, 서비스 연관성, 서비스 제공 회수 제한 등의 여러 기준을 적용하여 이 요청서비스에 해당하는 업체를 선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청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제공자(업체)(업체 클라이언트)(200)는 이 요청서비스 정보에 대하여 자신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정보, 광고 정보, 안내 정보, 멀티미디어 정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보인 회신제공정보를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330).
본 발명의 회신정보 전송부(140)는 이와 같이 업체 클라이언트(200)로부터 회신제공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요청서비스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고(S340), 해당 요청서비스 정보를 입력한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인 제1클라이언트(300)로 상기 회신제공정보 및 상기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한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S350).
도 5 내지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클라이언트(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평촌역 부근, 소나타, 범퍼 파손, 수리 요청"(요청서비스정보 A)과 같은 서비스요청정보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정보제공부(130)는 평촌역 지역에 위치하거나, 평촌역 지역에서 차량 수리가 가능하다고 등록한 업체를 DB부에 저장된 업체 정보 중에서 선별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체 선별은 거리, 추천 순위, 서비스 제공 반복 제한 조건 등 비롯한 다양한 기준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소정의 기준에 의하여,“가” 서비스센터, “나” 서비스센터, “다” 서비스센터가 선별되었다면, 본 발명의 정보제공(130)부는 이들 서비스센터 클라이언트(200)로 상기 요청서비스정보 A를 전송하고, 이들 업체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요청서비스정보 A에 대한 회신제공정보(회신제공정보a, 회신제공정보f, 회신제공정보g)가 전송되면, 각 회신제공정보와 요청서비스 정보를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다.
회신제공정보는 수리 가격, 자신 업체에 대한 광고 내용, 수리 시간, 할인 프로모션, 경력 내용, 업체 사진 정보 등 자신이 수행하는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안내 회신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회신정보 전송부(140)는 제1클라이언트(300)로 이들 회신제공정보 a, f, g 및 각 업체에 연계되어 저장된 모바일 단말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010-1111-1111, 010-2222-2222, 010-9999-9999)를 제1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다.
제1클라이언트(300)로 전송되는 이들 정보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하여 제1클라이언트(300)의 사용자인 서비스요청자가 쉽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회신제공정보 또는 해당 업체 정보를 선택하거나 또는 추가 선택 창을 통하여 서비스요청자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업체의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링크를 통하여 용이하게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모바일 단말(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210)에는, 호 연결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 내지 캐치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App)이 탑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서비스요청자가 자신에게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업체의 제2모바일 단말(210)로 전화를 거는 경우(S360), 제2모바일 단말(210)은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이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S365)하고 추출된(캐치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해당 제2모바일 단말(210)의 전화번호 정보를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370).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100)의 매칭정보수신부(150)가 이와 같이 제2모바일 단말(210)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서비스요청자 전화번호) 및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받으면, 본 발명의 추출부(170)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요청서비스 정보 및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를 추출한다(S380).
앞서 든 예에서, 서비스요청자가 자신에게 전송된 a, f, g의 내용을 확인하고 a에 해당하는 업체인 “가”서비스 센터에 연계된 제2모바일 단말(210)로 전화를 거는 경우, 제2모바일 단말(210)은 발신자 전화번호(010-3333-3333)를 추출하여 자신의 전화번호(010-1111-1111) 정보와 함께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010-3333-3333(서비스요청자전화번호) 및 010-1111-1111(업체연계 전화번호)이 수신되면, 본 발명의 추출부(170)는 도 5에 예시된 정보 들 중 이들 전화번호 모두에 해당하는 요청서비스 정보 및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A, a)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요청자 전화번호 및 업체 연계 전화번호 모두에 해당하는 이력 정보가 추출되면, 본 발명의 이력정보제공부(180)는 해당 제2모바일 단말(210)로 추출된 이력정보를 전송한다(S385).
전송된 이력정보는 소정의 알고리즘 구동에 의하여 제2모바일 단말의 화면표시수단에 출력되며, 이러한 프로세싱에 의하여 업체 담당자는 통화 전 서비스요청자의 요청서비스정보는 물론, 자신이 제공한 회신제공정보 모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 및 인지한 후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좌측 도면은 제2모바일 단말(210)에서, 통화 전 이력정보가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환경에 대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보 출력 인터페이스는 A, B, C, D로 구분되어 있는데, A 영역은 발신자 전화번호, 발신자 이름(명칭)에 대한 내용이 출력되는 영역이며, B 영역은 통화 여부 결정을 위한 인터페이스 환경에 해당한다.
인터페이스 C는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을 통하여 정보가 송수신된 이력 정보의 개수가 출력되는 영역이며, 인터페이스 D는 서비스요청정보 및 이에 대한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인터페이스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요청자가 입력한 요청서비스정보, 입력 시간 등(d1)과 회신제공정보, 입력시간(d2)이 제2모바일 단말(210)에 출력되도록 구성되므로 제2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업체 담당자)는 누구로부터 전화가 온 것인지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발신자가 어떠한 용건으로 전화를 하였는지, 자신이 어떠한 답변을 하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통화 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시스템(100)의 입력부(120)는 서비스요청자로부터 요청서비스정보를 입력받을 때, 서비스요청자의 모바일 단말인 제1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상기 이력정보제공부(180)는 발신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요청자의 이름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제2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요청정보 및 이에 해당하는 회신제공정보가 1회씩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들 정보는 1회 이상 복수 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진행정보저장부(160)는 상기 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추가요청정보 또는 상기 추가요청정보에 대한 업체의 추가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진행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이력정보제공부(180)는 상기 이력정보에 상기 추가진행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통화를 수행한 업체 담당자가 통화 종료 후 통화 내용 또는 기타 특이 사항 등에 대한 메모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입력된 메모 내용도 앞서 설명된 이력 정보 등과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향후 서비스요청자로부터 호 연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업체 담당자 자신이 입력한 내용도 이력정보와 함께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앞서 설명된 제2모바일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통화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발신자에 대한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도 6 우측 도면의 E영역)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메모 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매칭정보수신부(150)는 발신자 전화번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업체 담당자가 입력한 메모 정보를 전송받아 상호 연계하여 저장한다.
그 후,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가 제2모바일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면 본 발명의 이력정보제공부(180)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메모 정보를 더 추출하여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2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요청정보(d1), 회신제공정보(d2)는 물론, 자신이 입력한 메모 정보(도 7의 E) 모두를 통화 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된 제2모바일 단말(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210)에서 발신자 전화번호 추출 등을 통하여 발신자에 대한 정보 및 이력 정보를 공유 내지 확인할 수 있는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등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업체에 연계된 제2모바일 단말(21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서 서비스요청자의 요청서비스정보와 상기 요청서비스정보에 대한 서비스제공업체의 회신제공정보를 상기 서비스요청자 또는 서비스제공업체의 전화번호정보를 기준으로 상호 연계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발신자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해당한다.
이 방법은 앞서 상술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이므로 상호 대응되는 일부 내용이나 프로세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선행되어 기술된 내용으로 대체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술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100)을 서비스 서버로 지칭하며,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을 사용자 단말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 방법(이하 정보공유방법이라 지칭한다)에 대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서비스요청자의 요청서비스정보가 수신되면(S400), 이를 사용자 단말(210)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한다(S405).
사용자(업체 담당자)가 화면표시수단에 출력된 내용을 확인한 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내용의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하면, 본 발명의 정보공유방법은 이 회신제공정보를 서비스 서버로(100)로 전송한다(S410).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프로세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에는 서비스요청자의 서비스요청정보 및 서비스제공자의 회신제공정보가 서비스요청자 및 서비스제공자(업체)에 연계된 전화번호 각각을 기준으로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다.
그 후, 사용자 단말(210)에 호 연결신호가 수신되면(S420), 호 연결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캐치하고(S430) 상기 캐치된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S440).
이와 같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210)의 전화번호 정보가 전송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는 이들 정보 모두에 해당되는 서비스요청정보, 회신제공정보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력정보를 사용자 단말(2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이력정보가 수신되면(S450) 수신된 이력정보를 사용자 단말(210)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출력하며(S460) 사용자(업체 담당자)는 이 출력된 정보를 통하여 통화 전 인지 및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통화 버튼의 클릭 등을 통하여 사용자(수신자)가 발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고(S470) 그 후 통화 종료가 이루어져 통화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본 발명의 정보공유방법은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S480)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모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모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S49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한 메모 정보가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이 메모 정보 또한 다른 정보와 함께 연계되어 저장된다. 그러므로 차후 다시 서비스요청자에 의한 호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상술된 프로세싱에 의하여 이력정보 및 메모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표시수단으로 이력정보 및 메모 정보도 함께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자기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를 포함하며, 유무선 인터넷 전송을 위한 서버도 포함한다.
100 :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서버)
110 : DB부 120 : 입력부
130 : 정보제공부 140 : 회신정보전송부
150 : 매칭정보수신부 160 : 진행정보저장부
170 : 추출부 180 : 이력정보제공부
200 : 업체(서비스제공자) 클라이언트
210 : 업체 연계 모바일 단말
300 :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
310 : 서비스요청자 모바일 단말

Claims (8)

  1.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 개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DB부;
    서비스요청자 클라이언트인 제1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모바일 단말인 제1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및 제공받고자 하는 요청서비스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입력부;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를 파싱하고 파싱된 결과 데이터와 상기 업체 정보가 저장된 DB부의 정보를 대상으로 매칭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에 해당하는 업체를 선별하되, 지리적 위치 근접성을 포함하는 기준 정보에 의하여 업체를 선별하고, 선별된 업체 클라이언트로 상기 요청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상기 요청서비스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정보인 회신제공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회신제공정보 및 상기 회신제공정보를 입력한 업체에 연계된 모바일 단말인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회신정보 전송부;
    호연결 신호에 포함된 발신자 전화번호를 캐치하여 전송하는 앱이 탑재된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상기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전호 정보를 전송받는 매칭정보수신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요청서비스 정보 및 회신제공정보인 이력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이력정보를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이력정보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정보수신부는,
    통화 종료 후 발신자에 대한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메모 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앱이 탑재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메모 정보,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를 더 전송받고,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및 제2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 정보 모두에 해당하는 메모 정보를 더 추출하여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요청자의 정보를 상기 이력정보와 함께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상기 서비스요청자의 추가요청정보 또는 상기 추가요청정보에 대한 업체의 추가회신제공정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진행정보를 저장하는 진행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력정보제공부는,
    상기 이력정보에 상기 추가진행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한 상기 제2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매칭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07024A 2014-08-18 2014-08-18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KR101606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24A KR101606274B1 (ko) 2014-08-18 2014-08-18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024A KR101606274B1 (ko) 2014-08-18 2014-08-18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80A KR20160021580A (ko) 2016-02-26
KR101606274B1 true KR101606274B1 (ko) 2016-03-24

Family

ID=5544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024A KR101606274B1 (ko) 2014-08-18 2014-08-18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2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55B1 (ko) * 2012-07-09 2012-10-10 활로 커뮤니케이션즈(주) 연관 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114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755B1 (ko) * 2012-07-09 2012-10-10 활로 커뮤니케이션즈(주) 연관 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114 전화번호 안내 시스템 및 그 안내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580A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6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social networking-based user input information
US10389880B1 (en) Short message service (SM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application
US92474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aware call processing
US20200163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messages and initiating communication sessions
US10218666B1 (en) Integrating offsite activities with online data records
RU2495535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клиент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 группе
US2016030717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US10178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warning of synthetic identity behavior that reduces user privacy
US11049073B2 (en) Session collaborator
WO2016209937A1 (en) Traffic routing optimizer
US20150156322A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number information having added search function, and method for same
KR20120027775A (ko) 통화 연결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6274B1 (ko) 선별적 이력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매칭서비스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공유방법
US11012382B2 (en) State displa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hatbot
KR101606275B1 (ko) 사용자 지향적 정보매칭 서비스 시스템
US10142277B2 (en) Posting and consultation of messages by users of social networks
US20100180323A1 (en) Stateful server based social networking using mobile devices
US201200790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voice mobile applications
KR20160009718A (ko) 실시간 텍스트 입력에 기반한 수신인 자동 추천 인스턴트 메시징 시스템 및 그 방법
US8306206B2 (en) Callback system, transmitting terminal, telephone relay server, callback method and callback program
KR20100073308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60492A (ja) 番号案内システム
KR100688877B1 (ko) 이동 전화 번호 제공 방법, 서버 및 그 시스템
KR101681653B1 (ko) 전화 번호의 사업자에게 고객의 문의 내용을 제공하는 전화 번호 안내 장치, 전화 번호 안내 시스템 및 전화 번호 안내 방법
KR102101097B1 (ko) 실시간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