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93B1 -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93B1
KR101605793B1 KR1020150110253A KR20150110253A KR101605793B1 KR 101605793 B1 KR101605793 B1 KR 101605793B1 KR 1020150110253 A KR1020150110253 A KR 1020150110253A KR 20150110253 A KR20150110253 A KR 20150110253A KR 101605793 B1 KR101605793 B1 KR 10160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laser beam
dba
electrical steel
electric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3143A (ko
Inventor
심호경
최병섭
권오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1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 C21D10/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methods other than heat treatment or deformation by laser shock proc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9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localized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강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자구미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조사선과 압연방향이 이루는 각(β)이 84~88° 또는 92~96°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REFINING MAGNETIC DOMAINS THEREIN}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자구미세화하는 방법 및 자구미세화된 방향성 전기강판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의 철심 소재로 사용하는 전기강판은 자기장의 이동 경로로 이용되며, 이때 전기강판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철손이라 부른다. 종래의 기술은 대부분 철손을 줄이기 위한 전기강판 제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변압기 소음에 대해 국제 규격 강화 및 저소음 경쟁 심화로 인해 저소음 변압기용 철심 소재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전기강판에 자기장이 흐르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일련의 떨림이 발생하며 이를 자기변형(자왜)이라 하는데, 이 떨림으로 인해 변압기에서 진동과 소음이 야기된다.
만약, 권선(구리도선)을 통해 전류를 인가하면 전기강판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측정 대상인 전기강판에 도 4에서와 같은 자기장이 흐르면, 도 5에서와 같이 구조적인 수축과 팽창의 일련의 자기변형(혹은 자왜)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종래의 자기변형 측정은 진폭(vibration amplitude)을 측정하였으며, 주요 지표는 Zero-peak(λop)이라는 값을 관찰하였다. Zero-peak(λop)은 강판에 자기장이 없는 자유상태를 zero점으로 정의하고,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했을 때 강판이 최대 수축한 길이 혹은 최대 팽창된 길이를 나타낸다. 수축과 팽창된 길이가 동일한 경우가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대부분 동일하지 않다. 그리하여 zero-peak 은 전체 진폭을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peak-peak(λpp) 값을 관찰하기도 한다. Peak-peak(λpp) 은 강판의 전체 진폭을 나타내기 때문에 떨림의 크기를 이해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peak-peak(λpp) 은 진동 크기을 나타내는 척도로는 충분하나 소음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소음은 시간 영역(time domain)의 응답(response)을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해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의 응답 데이터인 스펙트럼(spectrum)으로 변환하고 이를 가청 대역의 응답성(A-가중 데시벨, A-weighted decibels)을 반영하여 가청 대역의 음압(sound pressure)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방향성 전기강판에 열로 발생하는 손실인 철손을 줄이기 위해, 강판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일시적으로 자구를 미세화하거나 자구미세화 롤을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영구 자구미세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에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압연 수직 방향으로 자구를 미세화하였다. 이 경우, 자구(magnetic domain)가 미세화(refinement)되어 단판 떨림이 감소하는 효과도 일부 나타난다. 자구미세화 기술은 전기강판 제품의 대표 규격인 철손을 줄일 목적으로 제조 공정 기술을 구성하기 때문에, 자기변형에 대한 연구 및 소재 개발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구미세화 조건이 자기변형을 감소시키는 조건과 상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일시 자구미세화 전기강판의 경우 철손은 우수하나 떨림이 심해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을 압연방향과 수직 방향 전후로 조사함으로써 전기강판의 자구를 미세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전기강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자구미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조사선과 압연방향이 이루는 각(β)이 84~88° 또는 92~96°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사선의 간격은 5.0 ~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이저 빔의 주파수는 100Hz~8.5kHz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강판의 압연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벗어나도록 조사선을 형성함으로써 자기변형 및 철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방향성 전기방향의 자구미세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구미세화를 위해 레이저빔이 조사된 전기강판의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이저빔이 조사된 전기강판의 모습니다.
도 4는 방향성 전기강판을 자화시키는 자기장 정현파 파형이다.
도 5는 정현파의 자기장으로 자화시켰을 때 전기강판의 자기변형 파형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의 주파수에 따른 자기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그래프를 로그(log) 스케일로 변환 후 A-가중 데시벨(A-weighted decibels)을 적용한 주파수 응답 데이터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방향성 전기강판에 임의의 각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강판의 자구를 미세화하는 기술로, 도 1은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장치의 개략도인데, 레이저 미러(10)를 향해 입사하는 레이저 빔(15)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 가능 하도록 상기 레이저 미러(10) 하단에 정밀 모터(미도시)를 장착하고 이를 전산 패널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장치를 구성한다. 이때, 전기강판(50)의 하부에는 서포트롤(20)이 상기 전기강판(50)과 접촉된 채로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레이저 조사선(30)이 전기강판(5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자구를 미세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강판의 레이저 조사각은 압연방향으로부터 84~88° 또는 92~96° 내에서 조절한다. 이때, 자기변형을 최소화 하는 각도는 86°, 94°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성 전기강판의 철손을 줄이기 위한 종래의 자구미세화 기술을 변압기 소음 저감 관점으로 접근하여 자기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구미세화 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종래의 자구미세화를 위해 레이저빔이 조사된 전기강판의 모습인데,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압연방향과 조사선(30)이 이루는 각(α)이 약 90°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압연방향과 레이저 조사선(30)이 이루는 각(β)을 84~88° 또는 92~96°가 되도록 비스듬히 조사선(30)을 형성하여, 자기변형으로 인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수치 범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압연방향과 레이저 조사선(30)이 이루는 각(β)의 크기는 84~96°의 범위에서 수직에 가까운 88~92°를 제외한 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88~92°의 각은 종래의 기술과 유사한 것으로 레이저 조사선(30)이 비스듬히 형성되지 않아 소음을 줄이는 데 큰 효과가 없기 때문에 이를 제외한 것이다. 반면, 상기 β의 크기가 84°보다 작거나, 96°보다 큰 경우에는 자구미세화의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연방향과 레이저 조사선(30)이 이루는 각을 상기 범위로 한정한다.
도 4는 방향성 전기강판을 자화시키는 자기장 정현파 파형을 나타낸 것인데, 방향성 전기강판 시편에 도 4와 같은 1 사이클(cycle)의 정현파 자기장을 생성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자기변형은 2 사이클로 진동하는 패턴의 변형이 생긴다. 현재까지 관측했던 자기변형량은 도 5의 진폭(λ0p , λpp )이다. 그러나, 소음은 가청 대역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기준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시간 영역의 진동량으로는 절대 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5의 시간영역의 자기변형량을 푸리에 변환을 통해 도 6에서와 같이 주파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로그(log) 스케일로 변환 후 가청 대역의 응답성(A-가중 데시벨, A-weighted decibels)을 반영하여 나타낸 것이 도 7의 그래프이다. 도 7의 주파수 응답을 합산하면 자기변형(dBA)으로 나타낼 수 있다.
자기변형 dBA가 단판 떨림에 의해 발생한 소음 dBA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향성 전기강판 상단 20cm 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때, 자기변형 dBA(λdBA) 는 소음 dBA 에 1.5 배 곱한 수치로 나타났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레이저 미러를 통해 나온 레이저 빔을 0.27mm 두께의 방향성 전기강판의 표면에 조사하여 자구미세화를 실시하고, 동일한 방향성 전기강판 원판에 종래의 압연 직각 방향으로 레이저 조사선을 형성하고, 이후 원판에 대해서는 88°, 86°, 84°, 82° 방향으로 조사선을 형성하였다. 이때 조사선 간격은 5.0 ~ 6.0mm 이며 레이저 빔의 인입에너지는 80~90 mJ/mm2 범위 내에서 조절하였다. 그 결과, β각이 90°인 경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우에 자기변형 및 철손 모두 개선율이 높았으며, 특히 84°의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의 발진 주파수(fL)가 100Hz 미만이거나 8.5kHz 초과인 경우는 동일한 레이저 출력, 조사거리, 라인속도에서 그루브 깊이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고속의 라인속도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레이저 빔의 발진 주파수는 100Hz~8.5kHz로 한정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빔에 의한 열영향부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조사선의 간격은 5.0 ~ 6.0mm로 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재료 제조
조건
실험 결과 (측정 조건 : 1.7T, 50Hz) 실험 결과 비고
λPP [nm] λdBA [dBA] W17/50 [W/kg] B8 [T]
A 원판 1010 57.9 0.947 1.92 원판 특성
자구미세화 90도 345 56.33 0.874 1.918 비교예(종래)
88도 376 56.2 0.862 1.917 발명예
86도 310 55.6 0.854 1.918 발명예
84도 356 56.12 0.863 1.918 발명예
82도 399 56.3 0.88 1.91 비교예
B 원판 987 56.87 0.94 1.919 원판 특성
자구미세화 90도 335 55.32 0.893 1.915 비교예(종래)
88도 341 54.56 0.883 1.916 발명예
86도 306 54.4 0.878 1.918 발명예
84도 318 54.7 0.875 1.917 발명예
82도 367 54.6 0.889 1.915 비교예
상기와 같이 방향성 전기강판에서 발생하는 자기변형이 소음에 기인한 영향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지표(측정값)인 zero-peak이나 peak-peak을 참고는 하되 주요 지표는 자기변형 dBA(λdBA)를 활용하였다. 진동량을 도 5와 같이 시간 데이터로 취득하고, 푸리에 변환을 통해 도 6에서와 같이 주파수 응답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A-가중 데시벨을 적용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자기변형 dBA(λdBA)로 변환하여 전체 범위에 대한 [dBA]을 산출하였고, 표 1에서와 같이 레이저 빔의 조사 전(원판)과 조사 후(88°,86°,84°)의 자기변형 dBA(λdBA) 값의 차이가 1.7 ~ 2.47 범위로 낮아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전기강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자구미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인입에너지를 80~90 mJ/mm2 으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조사선과 압연방향이 이루는 각(β)이 84~86°이 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자구미세화하되,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전과 조사 후, 상기 전기강판의 자기변형 dBA(λdBA) 값의 차이가 1.7 ~ 2.47 범위로 낮아지고,
    상기 레이저 빔의 주파수는 100Hz~8.5kHz 이고,
    상기 전기강판의 두께는 0.2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 미세화 방법.
  2. 전기강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자구미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강판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인입에너지를 80~90 mJ/mm2 으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조사선과 압연방향이 이루는 각(β)이 94~96° 이 되도록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자구미세화하되,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전과 조사 후, 상기 전기강판의 자기변형 dBA(λdBA) 값의 차이가 1.7 ~ 2.47 범위로 낮아지고,
    상기 레이저 빔의 주파수는 100Hz~8.5kHz 이고,
    상기 전기강판의 두께는 0.2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 미세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선의 간격은 5.0 ~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
  4. 전기강판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강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의 인입에너지를 80~90 mJ/mm2 으로 조사하고,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한 조사선과 압연방향이 이루는 각(β)이 84~86° 또는 94~96° 으로 조사선이 형성되도록 자구미세화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전과 조사 후, 상기 전기강판의 자기변형 dBA(λdBA) 값의 차이가 1.7 ~ 2.47 범위로 낮아지고, 상기 레이저 빔의 주파수는 100Hz~8.5kHz 이고,
    상기 전기강판의 두께는 0.2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선의 간격은 5.0 ~ 6.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성 전기강판.
KR1020150110253A 2015-08-04 2015-08-04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KR101605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3A KR101605793B1 (ko) 2015-08-04 2015-08-04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53A KR101605793B1 (ko) 2015-08-04 2015-08-04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710A Division KR20140133974A (ko) 2013-05-09 2013-05-09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143A KR20150093143A (ko) 2015-08-17
KR101605793B1 true KR101605793B1 (ko) 2016-03-23

Family

ID=5405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53A KR101605793B1 (ko) 2015-08-04 2015-08-04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57B1 (ko) 2020-06-16 2021-09-07 주식회사 포스코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소음이 우수한 변압기용 적철심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383B1 (ko) * 2016-01-22 2020-08-26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7332A (ja) * 2010-10-15 2012-05-10 Nippon Steel Corp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7332A (ja) * 2010-10-15 2012-05-10 Nippon Steel Corp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557B1 (ko) 2020-06-16 2021-09-07 주식회사 포스코 무부하 손실 및 무부하 소음이 우수한 변압기용 적철심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143A (ko) 201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972B2 (ja) 鉄損特性の優れた一方向性電磁鋼板
JP4593678B2 (ja)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8016951B2 (en) Low core loss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U2238340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магнитных свойств листов текстурирован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кремнистой стали посредством лазерной обработки
KR101998934B1 (ko) 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제조 장치 및 방향성 전자기 강판의 제조 방법
JP2017128765A (ja) 方向性電磁鋼板、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変圧器またはリアクトル用の鉄心、および、騒音評価方法
KR101605793B1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CN104011246A (zh) 取向性电磁钢板
KR102608758B1 (ko) 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Qiang et al. Study of transformer core vibration and noise generation mechanism induced by magnetostriction of grain‐oriented silicon steel sheet
KR20140133974A (ko)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JP4719319B2 (ja) 一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305682A (zh) 一种提高取向硅钢磁导率的装置及方法
JP5241095B2 (ja) 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
JP3500103B2 (ja) トランス用一方向性電磁鋼板
Qiu et al. Defect classification by pulsed eddy-current technique based on power spectral density analysis combined with wavelet transform
Yabumoto et al. Recent development i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with low magnetostriction
JP4598321B2 (ja) 磁気特性の優れた方向性電磁鋼板
US6387522B2 (e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for low-noise transformer
JP6090503B2 (ja) 変圧器の騒音予測方法
CN111748731A (zh) 低磁致伸缩取向硅钢及其制造方法
RU2776383C1 (ru) Лист анизотропно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стали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Garstka Barkhausen Noise in the Presence of Low-Frequency Ultrasonic Vibrations
ZHANG et al.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Method of Main Noise Sources of±800kV Converter Station Based on Timbre Parameters
Kim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n vibration damping using curvilinear acoustic black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