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531B1 - 유체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531B1
KR101605531B1 KR1020150137036A KR20150137036A KR101605531B1 KR 101605531 B1 KR101605531 B1 KR 101605531B1 KR 1020150137036 A KR1020150137036 A KR 1020150137036A KR 20150137036 A KR20150137036 A KR 20150137036A KR 101605531 B1 KR101605531 B1 KR 10160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torage tank
level
unit
measure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균
윤준헌
신창현
윤이
마병철
유병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3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H valu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유체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유체 감지 시스템은,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유체 저장 탱크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감지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유체 처리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된 유체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 및 상기 레벨 측정부 및 상기 pH 측정부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FLUID}
본 발명은 유체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감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유해 화학 물질이 저장된 저장 탱크들이 방류벽 내에 설치되어 관리되고 있다. 상기 방류벽 내에는 상기 저장 탱크들을 둘러싸는 유로가 배치되어 상기 저장 탱크들에서 유출되는 유해 화학 물질이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유로에는 폐수 처리장으로 이어지는 폐수 처리로가 연결되어 있지만 배수로도 연결되어 있어 유출된 유해 화학 물질이 배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상기 방류벽 내에 복수 개의 저장 탱크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유해 화학 물질이 유출되는 경우 유출 여부를 감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해 화학 물질이 유출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더라도 어느 저장 탱크에서 유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해 화학 물질 유출 후 더 큰 사고로 이어지거나 더 큰 피해로 확대될 수 있다.
또, 유출된 유해 화학 물질은 폐수 처리로를 통해 폐수 처리장으로 배출되나 상기 유해 화학 물질이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한 후에는 방대한 양의 여러 가지 폐수와 혼합되기 때문에 처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유체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체 감지 시스템은,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유체 저장 탱크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감지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유체 처리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된 유체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 및 상기 레벨 측정부 및 상기 pH 측정부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측정부에서 측정된 레벨 측정 신호와 상기 pH 측정부에서 측정된 pH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레벨 측정 신호 및 상기 pH 측정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체의 유출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에 의해 상기 유체의 레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상기 pH 측정 신호에 의해 측정된 pH가 중성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 경우, 상기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기 유체에 관한 유체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pH 측정 신호와 상기 유체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유체의 유출 장소를 포함하는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pH 측정부는 상기 유로에서 상기 유체 처리로로 진입하는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 탱크는 상기 제1 유체를 저장하는 제1 유체 저장 탱크와 상기 제2 유체를 저장하는 제2 저장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유체 저장 탱크 내 상기 제1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1 레벨 측정부와 상기 제2 유체 저장 탱크 내 상기 제2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2 레벨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감지 시스템은 상기 유체 저장 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유출된 유체는 배수로로 배출되지 않고 유체 처리로를 통하여 폐수 처리장으로 이동함으로써 환경 오염과 인체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유출된 유체가 폐수 처리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중화처리됨으로써 폐수 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체 유출과 유체 유출 정보를 관리 기관에 즉각 알림으로써 유출된 유체 처리뿐만 아니라 유체가 어디에서 유출되었는지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유출에 의한 사고 발생과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로 개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류벽(10) 내에 유체 저장 탱크(20)가 배치된다. 방류벽(10)은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유출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20)는 복수 개의 유체 저장 탱크, 예를 들어, 제1 유체 저장 탱크(21), 제2 유체 저장 탱크, 및 제3 유체 저장 탱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체 저장 탱크(21)는 제1 유체(2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유체 저장 탱크(22)는 제2 유체(2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유체 저장 탱크(30)는 제3 유체(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유체(21a,22a,23a)는 유출되는 경우 환경을 오염시키고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제1 내지 제3 유체(21a,22a,23a)는 같은 유체일수도 있고, 서로 다른 유체일 수도 있다.
방류벽(10) 내에 유체 저장 탱크(20)를 둘러싸도록 유로(30)가 배치된다. 즉, 유체 저장 탱크(20)는 유로(30)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다. 유로(30)는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 유로(30)는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100)은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감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레벨 측정부(120), 가스 감지부(130), pH 측정부(140),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pH 조절부(160), 및 유체 처리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통신부(111), 데이터 저장부(112), 및 분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1)는 레벨 측정부(120)에서 측정된 레벨 측정 신호, 가스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가스 감지 신호, 및 pH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pH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부(130)에 제공하고,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및 pH 조절부(16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12)는 유체 저장 탱크(20)에 저장된 유체(21a,22a,23a)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유체의 종류 및 pH, 유체가 저장된 탱크 등의 유체 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113)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 상기 가스 감지 신호, 및 상기 pH 측정신호를 분석하고,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유체 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의 유체 유출 여부를 감지하고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분석부(113)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와 상기 pH 측정 신호로부터 유체가 유출된 탱크, 유출된 유체의 종류, 유출량 및 유출시간 등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출 정보를 이용하여 유체 유출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분석부(113)에 의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체(21a,22a,23a)가 유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및 pH 조절부(160)에 제어 신호를 보내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및 pH 조절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제어부(110)는 관리 기관(200)에 유체 유출 경보 신호를 보내서 유체 유출을 알리고 유출된 유체를 처리하게 할 수 있다. 관리 기관(200)은 유체 유출 사고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사업장, 소방서, 지방자치단체, 화학물질안전원, 환경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벨 측정부(120)는 유체 저장 탱크(20) 내 저장된 유체(21a,22a,23a)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레벨 측정부(120)는 제1 레벨 측정부(121), 제2 레벨 측정부(122), 및 제3 레벨 측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벨 측정부(121)는 제1 유체 저장 탱크(21) 내에 배치되어 제1 유체(21a)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고, 제2 레벨 측정부(122)는 제2 유체 저장 탱크(22) 내에 배치되어 제2 유체(22a)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제3 레벨 측정부(123)는 제3 유체 저장 탱크(23) 내에 배치되어 제3 유체(23a)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제1 레벨 측정부(121), 제2 레벨 측정부(122), 및 제3 레벨 측정부(123)는 제어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제1 레벨 측정부(121)에 의해 측정된 제1 유체 저장 탱크(21) 내 제1 유체(21a)의 레벨 측정 신호, 제2 레벨 측정부(122)에 의해 측정된 제2 유체 저장 탱크(22) 내 제2 유체(22a)의 레벨 측정 신호, 및 제3 레벨 측정부(123)에 의해 측정된 제3 유체 저장 탱크(23) 내 제3 유체(23a)의 레벨 측정 신호는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가스 감지부(130)는 유체 저장 탱크(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체(21a,22a,23a)가 유출되면서 기화 또는 증발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가스 감지부(130)는 유체 저장 탱크(20)의 개수와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가스 감지부(130)는 제어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가스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가스 감지 신호는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pH 측정부(140)는 유로(30)에 연결되는 유체 처리로(170)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pH 측정부(140)는 유로(30)에서 유체 처리로(170)로 흘러들어오는 유체의 pH를 측정할 수 있다. pH 측정부(140)는 유체 처리로(170) 내 유체 처리로(170)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유체 처리로(170) 내 고여 있을 수 있는 물 등에 의한 오측정을 방지할 수 있다. pH 측정부(140)는 제어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pH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pH 측정 신호는 상기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유체 처리로(170)와 배수로(180)가 만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유체 처리로(17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유로(30)에 연결된 유체 처리로(170)와 배수로(180)가 서로 통하도록 할 수 있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제어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그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차단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155)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내부 공간을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도록 세 개의 판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판 각각의 일단부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중앙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세 개의 판 각각의 타단부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의 벽면과 접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체(21a,22a,23a)가 유출되지도 않고, 비가 오지 않아 유로(30) 내 물도 없는 경우, 유체 처리로(170)와 배수로(180)는 모두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에 의해 폐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체(21a,22a,23a)가 유출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내 차단부재(155)가 회전하여 유체 처리로(170)가 개방되어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전후의 유체 처리로(170)가 서로 통하게 된다. 또, 배수로(180)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에 의해 폐쇄되어 유체 처리로(170)와 통하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출된 유체는 유로(30)를 통해 유체 처리로(170)로 진입한 후 흘러서 폐수 처리장(40)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체(21a,22a,23a)가 유출되지 않았으나 비가 와서 유로(30)를 통해 빗물이 흐르는 경우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 내 차단부재(15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유로(30)에 연결된 유체 처리로(170)와 배수로(180)가 연결되어 서로 통하게 된다. 유로(30)를 흐르는 빗물은 유체 처리로(170)에 진입한 후 흘러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에서 방향을 바꾸어 배수로(180)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는 도 4 내지 도 6에 그 예가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체의 흐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pH 조절부(160)가 유체 처리로(170)에 연결될 수 있다. pH 조절부(160)는 제어부(110)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유출된 유체를 중화시키기 위해 pH 조절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유체 처리로(170)에 pH 조절물질을 투입할 수 있다. pH 조절물질의 투입량은 유체 저장 탱크(20)로부터 유출된 유체의 양과 pH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물질에 의해 상기 유출 유체는 중화처리될 수 있다.
유체 처리로(170)가 유로(30)와 폐수 처리장(40)을 연결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유출된 유체는 유로(30)를 통해 흐르다가 유체 처리로(170)로 진입하면서 pH 측정부(140)에 의해 그 pH가 측정되고,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를 통과한 후 pH 조절부(160)에 의에 pH가 조절되어 중화처리된 후 폐수 처리장(40)으로 이동한다.
유체 임시 저장부(175)가 유체 처리로(17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유체 저장 탱크(20)에서 유출된 유체가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 pH 조절부(160)에 의해 투입되는 pH 조절물질에 의해 중화처리되기 전에 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 임시 저장부(175)는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와 pH 조절부(160) 사이의 유체 처리로(170) 아래에 배치되어, 유체 처리로 개폐부(150)를 통과한 유체가 유체 임시 저장부(175)에 일정 시간 체류한 후 폐수 처리장(4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레벨 측정부(120)와 pH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유출 유체의 양과 pH에 따른 pH 조절물질의 투입양을 계산하여 투입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유출 유체는 효과적으로 중리처리된 후 폐수 처리장(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유출 경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 유출 경보 방법은 신호 수신 단계(S10), 유체 유출 감지 단계(S20), 유체 유출 정보 획득 단계(S30), 및 유체 유출 경보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통신부(111)는 레벨 측정부(120)로부터 레벨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pH 측정부(140)로부터 pH 측정 신호를 수신한다(S10).
제1 레벨 측정부(121)는 제1 유체 저장 탱크(21) 내 저장된 제1 유체(21a)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1 레벨 측정 신호를 제어부(110)로 보내고, 제2 레벨 측정부(122)는 제2 유체 저장 탱크(22) 내 저장된 제2 유체(22a)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2 레벨 측정 신호를 제어부(110)로 보내며, 제3 레벨 측정부(123)는 제3 유체 저장 탱크(23) 내 저장된 제3 유체(23a)의 레벨을 측정하여 제3 레벨 측정 신호를 제어부(110)로 보낸다. 또, pH 측정부(140)는 유체 처리로(170)로 진입하는 유체의 pH를 측정하여 pH 측정 신호를 제어부(110)로 보낸다.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부(110)의 통신부(111)는 가스 감지부(130)로부터 가스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가스 감지 신호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와 상기 pH 측정 신호를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부(110)의 분석부(113)는 수신된 레벨 측정 신호와 pH 측정 신호를 분석하여 유체 유출 여부를 감지한다(S20).
분석부(113)는 유체 저장 탱크(20) 내 유체(21a,22a,23a)의 레벨이 감소하지 않으면 유체가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분석부(113)는 유체 저장 탱크(20) 내 유체의 레벨이 감소하였지만 pH가 중성에서 변하지 않는 경우 유체(21a,22a,23a)는 통상적인 사용에 의해 감소된 것으로 판단한다.
분석부(113)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 상기 pH 측정 신호, 및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유체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한다(S30).
제1 유체 저장 탱크(21)에 저장된 제1 유체(21a)는 A의 pH 값을 갖고, 제2 유체 저장 탱크(22)에 저장된 제2 유체(22a)는 B의 pH 값을 가지며, 제3 유체 저장 탱크(23)에 저장된 제3 유체(23a)는 C의 pH 값을 갖는 경우, 이러한 유체 정보 데이터는 사전에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다. 분석부(113)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 상기 pH 측정 신호, 및 상기 유체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벨 측정 신호에 의해 제1 유체(21a)와 제2 유체(22a)의 레벨이 감속한 것으로 나타나고, 상기 pH 측정 신호에 의해 측정된 pH 값이 B로 나타난 경우, 분석부(113)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 상기 pH 측정 신호, 및 상기 유체 정보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유출된 유체가 제2 유체(22a)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유출된 유체가 저장된 탱크, 유출된 유체의 유출량 및 유출시간 등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관리 기관(200)에 유체 유출 경보 신호를 보낸다(S40).
관리 기관(200)은 유체 유출 사고를 관리하는 기관으로, 사업장, 소방서, 지방자치단체, 화학물질안전원, 환경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출 경보 신호는 유체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기관(200)은 상기 유체 유출 경보 신호에 의해 유체 유출을 인지할 수 있고, 언제, 어디에서, 어느 정도의 유체가 유출되었는지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 기관(200)은 유체 유출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유체 유출에 기인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 유출에 의한 피해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류벽 20 : 유체 저장 탱크
30 : 유로 40 : 폐수처리장
100 : 유체 감지 및 처리 시스템 110 : 제어부
111 : 신호 송신수부 112 : 데이터 저장부
113 : 분석부 120 : 레벨 측정부
130 : 가스 감지부 140 : pH 측정부
150 : 유체 처리로 개폐부 160 : pH 조절부
170 : 유체 처리로 175 : 유체 임시 저장부
180 : 배수로

Claims (8)

  1. 유로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배치된 유체 저장 탱크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감지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유로와 폐수 처리장을 연결하는 유체 처리로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된 유체의 pH를 측정하는 pH 측정부; 및
    상기 레벨 측정부 및 상기 pH 측정부와 유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 측정부에서 측정된 레벨 측정 신호와 상기 pH 측정부에서 측정된 pH 측정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레벨 측정 신호 및 상기 pH 측정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유체의 유출 여부를 판단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체 감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레벨 측정 신호에 의해 상기 유체의 레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상기 pH 측정 신호에 의해 측정된 pH가 중성이 아닌 것으로 나타난 경우,
    상기 유체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가 유출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기 유체에 관한 유체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pH 측정 신호와 상기 유체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유체의 유출 장소를 포함하는 유체 유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H 측정부는 상기 유로에서 상기 유체 처리로로 진입하는 입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저장 탱크는 상기 제1 유체를 저장하는 제1 유체 저장 탱크와 상기 제2 유체를 저장하는 제2 저장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유체 저장 탱크 내 상기 제1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1 레벨 측정부와 상기 제2 유체 저장 탱크 내 상기 제2 유체의 레벨을 측정하는 제2 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 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유체 감지 시스템.

KR1020150137036A 2015-09-25 2015-09-25 유체 감지 시스템 KR10160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36A KR101605531B1 (ko) 2015-09-25 2015-09-25 유체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036A KR101605531B1 (ko) 2015-09-25 2015-09-25 유체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531B1 true KR101605531B1 (ko) 2016-03-23

Family

ID=5564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036A KR101605531B1 (ko) 2015-09-25 2015-09-25 유체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6476A1 (en) * 2018-06-22 2019-12-26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174A (ja) * 2004-02-16 2005-08-25 Sanyo Electric Co Ltd タンク監視システム
KR100982683B1 (ko) 2010-03-11 2010-09-16 양재구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압력탱크의 수위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8174A (ja) * 2004-02-16 2005-08-25 Sanyo Electric Co Ltd タンク監視システム
KR100982683B1 (ko) 2010-03-11 2010-09-16 양재구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여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압력탱크의 수위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6476A1 (en) * 2018-06-22 2019-12-26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US11490774B2 (en) 2018-06-22 2022-11-08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US11812906B2 (en) 2018-06-22 2023-11-14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533B1 (ko) 유체 유출 경보 방법
JP2014519034A (ja) 液体パイプ構造に於ける漏洩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US20070221673A1 (en) Storage container for water-endangering liquids
US6513542B1 (en) Liquid supply or drain pipe equipped with a leakage detector
KR101615361B1 (ko) 토양의 유류 누출 감지 장치
KR101605531B1 (ko) 유체 감지 시스템
KR20150056168A (ko) 배관 모니터링 단말기
KR20180123853A (ko) 유체 누출 감지 장치
KR101184693B1 (ko) 유류저장시설 유출차단시스템
KR20160080354A (ko) 맨홀 내부 무선 통신 장치
KR101605532B1 (ko) 유체 처리 시스템
CN108168786A (zh) 一种智能家居漏水监控系统
JP2014529057A (ja) ガスパイプ構造物に於ける漏洩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KR102344583B1 (ko) 유해물질 이송 지하공동구간 누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2999B1 (ko) 지하수를 인공적으로 감시하는 지하수 조사관리장치
KR102382535B1 (ko) 가스감지용 포집장치
KR20160012276A (ko) 평형수의 유입 및 유출에 대한 종합테스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4491B1 (ko) 음용수 오염감지 기능이 구비된 관로세척장치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1837398B1 (ko) 지하수오염 특성 조사장치
KR101449989B1 (ko)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KR102159058B1 (ko) 유해 화학 물질 처리 시스템
CN106195427B (zh) 液体管路阀门内漏监测装置及其使用方法和应用
KR102379344B1 (ko)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1460759B1 (ko) 누수감지 및 에너지 절감 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어 통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