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552B1 -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552B1
KR101604552B1 KR1020140145737A KR20140145737A KR101604552B1 KR 101604552 B1 KR101604552 B1 KR 101604552B1 KR 1020140145737 A KR1020140145737 A KR 1020140145737A KR 20140145737 A KR20140145737 A KR 20140145737A KR 101604552 B1 KR101604552 B1 KR 10160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input
taps
templates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혁
허성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14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는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한 반면 터치의 단순함과 변경 키(modifier key)의 부재로 인하여 전통적인 마우스 기반 인터페이스에 비하여 입력에 제한을 갖는다. 또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는 키보드가 없어 작업 효율을 위한 단축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에서의 대부분의 동작(또는 제어)은 터치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와 릴리즈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터치(touch)에서 시작하여 릴리즈(release)에서 끝이 난다.
예를 들어, 탭(tap) 조작은 터치 디스플레이를 터치한 후에 바로 릴리즈가 되는 제어 조작이다. 드래그(Drag)는 터치(touch)한 후에 이동이 발생하고 릴리즈(release)로 종료가 되는 조작이다.
전자 장치의 추가적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터치 제스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기능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를 디자인 및 암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실시예들은 키보드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원하는 기능의 이름에 해당하는 키(또는 탭)을 입력하여 제스처를 생성하거나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들과 상기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탭에 대한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의 제1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포인트에 대한 상기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인트들의 제2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2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사도 지표는 상기 계산된 거리들의 평균 거리일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제스처 템플릿을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의 이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탭들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탭에 대한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의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여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을 상기 복수의 탭들에 해당하는 기능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의 이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탭들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능 목록을 자동으로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이름을 구성하는 각 문자에 기초하여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과 상기 복수의 탭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과,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으로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하는 기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탭에 대한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의 제1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고,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포인트에 대한 상기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인트들의 제2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2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계산된 거리들의 평균 거리를 상기 유사도 지표로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제어 모듈은 상기 평균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제스처 템플릿 매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동작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계산 모듈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매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10)는 디스플레이(display; 100), 제어 모듈(control module; 200), 및 메모리(memory; 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또는 e-북(e-book)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전자 장치(10)의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0)는 전자 장치(10)의 사용자의 복수의 탭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00)는 전자 장치(10)의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AMOLED(Active Matrix OLED)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수의 탭들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전자 장치(10)의 사용자가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 영역(gesture input region; 430)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400)를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입력 영역(430)은 UI Control Dialog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스처 입력 영역(430)은 투명하게 처리되어 다른 영역과 구분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 영역(430)에 복수의 탭들(T-1~T-4)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복수의 탭들이 4회 입력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탭들은 2회 이상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탭들이 4회 입력된 것을 가정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이용하여 제스처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탭(T-1)에 대한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T-2~T-4)의 상대 좌표들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의 입력 위치(x0, y0)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이후 n 번째 탭 입력(xn, yn)은 (xn-x0, yn-y0)으로 계산하여 원점에 대한 상대 위치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의 어느 곳에서 입력을 하더라도 제스처를 제대로 입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의 입력 순서에 따른 제스처(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 또는 입력 제스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는 전자 장치(10) 및/또는 전자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탭들(T-1~T-4)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다양한 문자의 키보드 레이아웃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기능 목록(또는 메뉴 항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 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기능 목록은 전자 장치(10)의 OS 및/또는 전자 장치(1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기능 목록을 자동으로 획득하고, 기능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이름을 구성하는 각 문자에 기초하여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이름의 첫 번째 문자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문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이름에서 첫 번째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의 상태 좌표들을 계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생성된 제스처 템플릿을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매칭하여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탬들(T-1~T-4)을 수신하고, 복수의 탭들(T-1~T-4) 의 입력 순서에 따른 제스처, 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탭(T-1)에 대한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T-2~T-4)의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여 복수의 탭들(T-1~T-4) 의 입력 순서에 따른 제스처, 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탭들(T-1~T-4)은 기능(또는 기능 메뉴)의 이름에 기초하여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입력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기능의 이름의 첫 문자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이후 문자들의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여 문자들의 입력 순서에 따른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스처 템플릿을 기능에 대한 제스처로서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기능의 이름은 여러 문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기능의 이름이 한글인 경우, 쌍자음 또는 쌍모음은 단자음 또는 단모음으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생성된 제스처 템플릿을 복수의 탭들(T-1~T-4)에 해당하는 기능과 매칭하여 메모리(30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제스처 템플릿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모리(300)가 제어 모듈(200)의 외부에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 모듈(200)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00)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 또는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Spin-Transfer Torque(STT)-MRAM), Conductive bridging RAM(CBRAM), FeRAM(Ferroelectric RAM), PRAM(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RRAM), 나노튜브 RRAM(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원하는 기능의 이름에 해당하는 키(또는 탭)을 입력하여 제스처(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제스처 템플릿 매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동작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의 입력 순서에 따라 형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기능을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입력 제스처(INPUT)와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또는 매칭하는) 기능을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기능을 디스플레이(1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완전한 입력 제스처(INPUT)가 생성되지 않아도, 입력된 탭만에 의해 생성된 제스처와 비교를 수행하여 인식하고, 결과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긴 이름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도 몇 번의 탭의 입력만으로도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200)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입력 제스처(INPUT)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또는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10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완전한 입력 제스처(INPUT)가 생성되지 않아도, 입력된 탭만에 의해 생성된 제스처와 비교를 수행하여 인식하고, 결과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긴 이름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입력할 때에도 몇 번의 탭의 입력만으로도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원하는 기능의 이름에 해당하는 키(또는 탭)을 입력하여 제스처(예를 들어, 제스처 템플릿)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스처를 암기할 필요 없이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모듈(200)은 입력 제스처(INPUT)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또는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버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의도한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기다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취소 버튼을 통해 취소하고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동작 방법에 한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계산 모듈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계산 모듈(calculation module; 210), 및 기능 제어 모듈(function control module; 220)을 포함할 수 있다.
계산 모듈(210)은 복수의 탭들(T-1~T-4)과 복수의 탭들(T-1~T-4)에 대응하는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 모듈(210)은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탭(T-1)에 대한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T-2~T-4)의 제1 상대 좌표들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모듈(210)은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포인트에 대한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인트들의 제2 상대 좌표들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모듈(210)은 제1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2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탭들(T-1~T-4)을 '+' 기호로 표시되고, 제스처 템플릿의 포인트들을 원으로 표시할 때, 계산 모듈(210)은 원점을 제외한 나머지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d1, d2 및 d3)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 모듈(210)은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의 평균 거리를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로서 계산할 수 있다.
계산 모듈(210)은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의 평균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4102488158-pat00001
H는 복수의 탭들(T-1~T-4)의 배열을 의미하고, Ti는 i 번째 제스처 탬플릿의 좌표 배열을 의미하고, N은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T-1~T-4)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220)은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에 기초한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입력 제스처(INPUT)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220)은 결정된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어 모듈(220)은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의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제스처 템플릿을 입력 제스처(INPUT)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제어 모듈(220)은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에 기초한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입력 제스처(INPUT)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할 수 있다. 기능 제어 모듈(220)은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으로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어 모듈(220)은 계산된 거리들(d1, d2 및 d3)의 평균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입력 제스처(INPUT)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기능 목록을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910).
제어 모듈(200)은 기능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이름을 구성하는 각 문자에 기초하여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해당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930).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생성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T-1~T-4)을 수신할 수 있다(1010).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탭(T-1)에 대한 복수의 탭들(T-1~T-4) 중에서 첫 번째 탭(T-1)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T-1~T-4)의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여 복수의 탭들(T-1~T-4)의 입력 순서에 따라 제스처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1030).
제어 모듈(200)은 제스처 템플릿을 복수의 탭들(T-1~T-4)에 해당하는 기능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1050).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스처 템플릿 매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00)은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T-1~T-4)을 수신할 수 있다(1110).
제어 모듈(200)은 복수의 탭들(T-1~T-4)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INPUT)와 메모리(300)에 저장된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입력 제스처(INPUT)에 연관된 기능을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113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사용자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한 상기 복수의 탭들에 대한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에 대한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탭에 대한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의 제1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포인트에 대한 상기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인트들의 제2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2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지표는 상기 계산된 거리들의 평균 거리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평균 거리가 가장 짧은 제스처 템플릿을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제스처 템플릿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의 이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탭들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입력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디스플레이;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입력되는 복수의 탭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탭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 목록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한 상기 복수의 탭들에 대한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에 대한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계산 모듈; 및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기능에 대응하는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는 기능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모듈은,
    상기 계산된 거리들에 기초한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의 유사도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중에서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결정하고, 상기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으로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은,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첫 번째 탭을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탭에 대한 상기 복수의 탭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탭을 제외한 나머지 탭들의 제1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고,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 각각의 포인트들 중에서 첫 번째 포인트를 원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첫 번째 포인트에 대한 상기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첫 번째 포인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인트들의 제2 상대 좌표들을 계산하고,
    상기 제1 상대 좌표들과 상기 제2 상대 좌표들 간의 거리들을 계산하는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지표는 상기 계산된 거리들의 평균 거리인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제어 모듈은,
    상기 평균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상기 입력 제스처에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을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른 상기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 템플릿에 해당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와 상기 제스처 템플릿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탭마다 생성되는 입력 제스처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하는 상기 기능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탭들을 입력하기 위한 제스처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45737A 2014-10-27 2014-10-27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0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37A KR101604552B1 (ko) 2014-10-27 2014-10-27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37A KR101604552B1 (ko) 2014-10-27 2014-10-27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552B1 true KR101604552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737A KR101604552B1 (ko) 2014-10-27 2014-10-27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354A (ko) * 2020-04-10 2021-10-2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적응형 dtw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기 및 인식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7578A (ja) 2013-02-18 2014-08-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7578A (ja) 2013-02-18 2014-08-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354A (ko) * 2020-04-10 2021-10-2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적응형 dtw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기 및 인식 방법
KR102316556B1 (ko) 2020-04-10 2021-10-22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적응형 dtw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기 및 인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2554B2 (en) Context-aware field value suggestions
US8560974B1 (en)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JP6602372B2 (ja) コンテキスト情報に基づくタッチ表面の非アクティブ領域
US20190354580A1 (en) Multi-word autocorrection
US9665246B2 (en) Consistent text suggestion output
JP6185348B2 (ja) タッチ可能な複雑なデータ入力
US11150739B2 (en) Chinese character entry via a Pinyin input method
US9304595B2 (en) Gesture-keyboard decoding using gesture path deviation
KR1011325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20026077A1 (en) Mapping trackpad operations to touchscreen events
US9626086B1 (en) Adjusting eraser size in drawing applications
JP2022519981A (ja) 可変速度音素発音機械
US10509563B2 (en) Dynamic modification of displayed elements of obstructed region
US20200275089A1 (en) Input method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CN107943381A (zh) 热区调整方法和装置、客户端
KR101604552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70322910A1 (en) Extension of Text on a Path
KR10166390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359456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드레그에 기반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52022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952763B1 (en) Alternative gesture mapping for a graphical keyboard
KR101909806B1 (ko) 터치 패드,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63211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031276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