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066B1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066B1
KR101604066B1 KR1020140188656A KR20140188656A KR101604066B1 KR 101604066 B1 KR101604066 B1 KR 101604066B1 KR 1020140188656 A KR1020140188656 A KR 1020140188656A KR 20140188656 A KR20140188656 A KR 20140188656A KR 101604066 B1 KR101604066 B1 KR 101604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ed light
electrode layer
region
polariz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범
박상현
이범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스
Priority to KR102014018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apparatus for stereoscopic display and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좌안에서 좌안용 이미지만을 인식하도록 하고 시청자의 우안에서 우안용 이미지만을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3D 디스플레이 장치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이미지 디스플레이와 배리어층(배리어 패널)을 합착하여, 시청자가 고글을 이용하지 않고 나안(裸眼)으로도 입체이미지를 느끼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배리어층에서 많은 양의 광이 차단되기에,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가 낮게 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애초부터 고휘도의 광을 이용해야 하기에 소비전력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며,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또는 (i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경우, 제1영역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제2영역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고, (i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경우, 제1영역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2영역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과 S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 각각은 반사형선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 각각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편광의 광과 제2편광의 광 중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통과시키는 어느 한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영역에 대응하는 투광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는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은,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투광필름과,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과,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과,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며,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반사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극층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영역에 대응하는 투광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는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은,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극층은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되고, 상기 제2전극층은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있어서 일체(一體)일 수 있다.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입사하도록 광을 방출하며 반사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상술한 것과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며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한편,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 배리어층(300) 및 디스플레이(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은 경우에 따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로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배리어층(300)은 백라이트유닛(200)에서 공급되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배리어층(300)은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을 갖는데, 투광영역(310)은 언제나 광을 통과시키고, 가변영역(320)은 설정에 따라 제1상태에서는 광을 차단하고 제2상태에서는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리어층(300)은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액정의 배열상태가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 모두에서 기본적으로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전극을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1상태에서는 가변영역(320)의 액정 배열상태가 바뀌어 광을 차단하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배리어층(300)의 구성은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은 도 1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일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40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400)는 상호 대향된 두 기판들(410, 420) 사이에 액정(430)이 주입되어 있으며, 하부기판(410)의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의 면 상에는 제1편광판(441)이 배치되고, 상부기판(420)의 전방(前方)으로의 면 상에는 제2편광판(442)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1에서는 편의상 이 외의 배향막이나 전극 등의 구성요소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배리어층(300)이 제1상태일 경우 투광영역(310)은 광을 통과시키지만 가변영역(320)은 광을 차단하여 패럴랙스 배리어 역할을 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하는 좌안용 이미지는 시청자의 좌안에서만 인식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400)가 디스플레이하는 우안용 이미지는 시청자의 우안에서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배리어층(300)이 제2상태일 경우에는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은 모두 광을 통과시키기에,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는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영상을 인식할 경우에는 배리어층(300)이 제2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배리어층(300)이 제1상태일 경우 가변영역(320)은 광을 차단하는바, 이 경우 종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라면 백라이트유닛(200)에서 방출하는 광 중 상당량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게 된다. 배리어층(300)이 패럴랙스 배리어 역할을 하는 경우 배리어층(300)을 통과하는 광은 배리어층(300)의 전체 면적에 대한 배리어층(300)에서 빛이 통과되는 투광영역(310)의 면적의 비만큼 줄어든다. 예컨대 배리어층(300)이 투광영역(310)의 면적비가 1/10인 10-뷰 패럴랙스 배리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통과되는 빛의 양이 배리어층(300)에 입사하는 광의 약 1/10에 그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인식하는 광의 휘도가 저하되거나, 아니면 그러한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백라이트유닛(200)에서 더 높은 휘도의 광을 방출해야 하기에, 소비전력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통해 그러한 휘도 저하 문제나 소비전력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언제나 광(L1)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제1상태에서는 광(L2)이 배리어층(300)으로 방출되지 않고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으로 향하도록 광(L2)을 반사시키고, 제2상태에서는 광이 배리어층(300)을 향하도록 광을 통과시킨다.
따라서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게 되는 제1상태의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광(L2)이 배리어층(300)으로 방출되지 않고 백라이트유닛(200) 방향(-y 방향)으로 향하도록 내부에서 반사된 후, 다시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서 반사되어 (+y 방향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로 진입하는 광(L3)이 된다. 그 결과 광(L3)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진입할 경우,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을 통해 디스플레이(400)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를 높이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백라이트유닛(200)에서 방출되는 광은 직진광 외에도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을 포함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반사된 광(L2)이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서 반사된 후, 반드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는 부분만으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x 방향이나 -x 방향으로 그 위치가 바뀌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도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편의상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백라이트유닛(200) 등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제1전극층(121), 제2전극층(122), 액정(123) 및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구비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과 S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이고 제2편광의 광은 S편광의 광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각각은 반사형선편광자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형선평광자의 예로는 미국의 3M사가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를 들 수 있다.
제1전극층(121)은 제1반사편광필름(110)의 제2반사편광필름(130) 방향(+y 방향)의 면 상에 위치하는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터닝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층(12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면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될 수 있다. 제2전극층(122)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y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다. 이 제2전극층(122)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터닝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은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는 액정(123)이 개재된다. 물론 제1전극층(121)과 액정(123) 사이, 그리고 제1반사편광필름(110)의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지 않는 면과 액정(123) 사이에는 제1배향막이 개재될 수 있다. 제2전극층(122)과 액정(123) 사이에도 제2배향막이 개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1배향막이나 제2배향막 등을 생략하였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은 모두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은 ITO, IZO, 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에 의해 정의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는다. 도 2의 경우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제1영역이고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는 부분이 제2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전극층(121)이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2전극층(122)은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있어서 일체(一體)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들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제1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제2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4에서 편의상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은 도시하지 않았으며,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액정(123)의 일부분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서 실선으로 된 화살표는 P편광의 광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된 화살표는 S편광의 광을 의미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이 P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S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P편광의 광만 액정(123)에 입사하게 된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제1상태인 것은, 예컨대 제1전극층(121)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액정(123)의 제1전극층(121)에 대응하는 부분(123b)의 상태가 액정(123)의 제1전극층(121)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123a)의 상태와 상이하게 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123a)에서는 P편광의 광을 S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제2영역(123b)에서는 P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는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항상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은 제1전극층(121)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는 제1상태의 경우에는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1전극층(121)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제2상태의 경우에는 제1영역(123a)과 마찬가지로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극층(121), 제2전극층(122) 및 액정(123)은 예컨대 TN LCD를 이용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상태에서 제2전극층(122)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도달하게 되는데,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S편광의 광은 통과시키되 P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지만,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다.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한다면, 결과적으로 제1상태인 경우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진입해 배리어층(300)을 통과하게 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으로 진입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되어 (-y 방향에 위치한) 백라이트유닛(2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P편광의 광이기에,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한 후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해 액정(123)으로 진입하게 되어, 배리어층(300)을 향하는 광으로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를 높이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의 원리상 하부기판(410)의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의 면 상에는 제1편광판(441)이 배치되고, 상부기판(420)의 전방(前方)으로의 면 상에는 제2편광판(442)이 배치될 수밖에 없다. 제1편광판(441)은 특정 편광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제1편광판(441)이 제2편광의 광, 즉 S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제1편광판(441)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과시키는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이 백라이트유닛(200)으로부터의 광 중 P편광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것이 백라이트유닛(200)이 방출하는 광 중 대략 50%의 광만을 이용하는 것이기에 이용 효율이 낮은 것으로 오해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라면 액정디스플레이의 원리상 결과적으로 제1편광의 광과 제2편광의 광 중 어느 한 편광의 광만을 이용해야 하기에, 이는 이용 효율이 낮아지는 것이 아님이 명백하다.
한편, 디스플레이(400)가 입체영상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뿐만 아니라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액정(123)은 예컨대 제1전극층(121)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제2상태가 되어,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 P편광의 광을 S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며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한 광은 모두 액정(123)을 통과하게 되며, 또한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모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여 배리어층(3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배리어층(300) 역시 제2상태의 경우 투광영역(310)은 물론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가 되기에, 모든 광이 디스플레이(400)로 진입하게 되어 휘도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이미지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상태의 경우, 액정(123)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 광을 통과시켜, 결과적으로 배리어층(300)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방향의 전면(全面)에 광이 입사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제2상태의 경우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뿐만 아니라 가변영역(320)도 모두 광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00)가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상태의 경우, 제2반사편광필름(130)의 액정(123)의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부분을 통해서만 광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으로 입사하게 된다.
이는 결국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배리어층(300)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액정(123)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설계할 시,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배리어층(300)은 별도로 갖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그리고 디스플레이(400)를 갖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는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에 제2전극층(122)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2전극층(122)은 제2반사평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의 면과 컨택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는 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버퍼층 등이 개재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통상적인 기판 등이 개재되지 않는다. 즉, 제2전극층(122)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제2반사편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제2반사편광필름(13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층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만일 비교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전극층(122)이 기판(S) 상에 형성되어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기판(S)이 개재된다면, 기판(S)의 두께에 의해 광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제1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바, 이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의 대부분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으로 진입하도록 해야 광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비교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는 제1상태에서 낮은 광효율을 갖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유닛(200)에서 방출되는 광은 직진광 외에도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을 포함하기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 역시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대략 수직인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L1') 외에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L2')도 포함한다. 이때, 액정(123)의 두께는 대략 5㎛인 반면 기판(S)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0㎛ 내지 500㎛에 이른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123)의 제1영역을 통과한 광으로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대략 수직인 방향(+y 방향)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L2')의 경우,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위치한 두꺼운 기판(S)을 통과하고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후, 배리어(300)의 투광영역(310)이 아닌 가변영역(320)에 진입하게 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가변영역(320)은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바, 이에 따라 해당 광(L2')은 제1상태에서 디스플레이(400, 도 1 참조)로 진입하지 못하게 되어 광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즉, 기판(S)이 두껍기 때문에 광(L2')이 제2전극층(122)을 통과한 후 두꺼운 기판(S)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리어(300)의 투광영역(310)이 아닌 가변영역(320) 방향을 향하게 되기에, 이러한 낮은 광효율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경우,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두꺼운 기판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높은 광효율을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액정(123)의 제1영역을 통과한 광으로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대략 수직인 방향(+y 방향)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L2')이라 하더라도,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두꺼운 기판(S)이 존재하지 않기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후 배리어(300)의 가변영역(320)이 아닌 투광영역(320)에 바로 진입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광(L2')은 광(L1')과 함께 디스플레이(400, 도 1 참조)로 진입하게 되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경우 두꺼운 기판(S)을 없애 제2전극층(122)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상호 컨택하도록 함으로써,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물론 제2전극층(122)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사이에 버퍼층 등이 개재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버퍼층은 두께가 수 ㎛ 내지 수십 ㎛에 그치기 때문에, 100㎛ 내지 500㎛에 이르는 두께의 기판(S)에 비하면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크지 않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판(S)이 존재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에 직접 또는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제2전극층(122)을 직접 형성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도 단순화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전극층(121) 역시 별도의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에 또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전극층(121)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저하율이 미미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전체적인 강도 유지 등을 위해 필요하다면 제1전극층(121)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각각은 반사형선편광자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형선평광자의 예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미국의 3M사가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DBEF를 들 수 있다. 이러한 DBEF의 경우 통상적인 기판보다 두께가 얇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기에, DBEF 상에 직접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스퍼터링이나 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DBEF 상에 버퍼층 등을 형성한 후 이 버퍼층 등 상에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만일 제1반사편광필름(110)나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지 않는다면, 단단한 캐리어 상에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형성하거나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그리고 배향막 등을 형성한 후, 캐리어로부터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탈착하여 이들을 합착하고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액정(123)을 주입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이론적으로는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2반사편광필름(130)도 이론적으로는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제2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제2반사편광필름(130)도 제1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다. 만일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제1상태에서 이와 같은 일부 통과가 발생하게 되면,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배리어층(300) 없이 고품질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되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14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태에서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제1편광의 광의 일부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편광판(140)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400)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의 원리상 하부기판(410)의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의 면 상에는 제1편광판(441)이 배치되고, 상부기판(420)의 전방(前方)으로의 면 상에는 제2편광판(442)이 배치될 수밖에 없다. 제1편광판(441)은 특정 편광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제1편광판(441)이 제2편광의 광, 즉 S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제1편광판(441)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과시키는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디스플레이(400)의 제1편광판이 도 7의 편광판(140)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 없이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 간주하는 것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제1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는바, 배리어층(300)은 제1상태에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일부 제1편광의 광을 가변영역(320)에서 차단함으로써, 시청자가 고품질의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선편광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각각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형원편광자의 예로는 CLC(cholesteric liquid crystal)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제1편광의 광은 좌원편광의 광인 것으로, 제2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우원피치(right-handed pitch)의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좌원편광의 광은 통과시키고 우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실선으로 된 화살표가 좌원편광의 광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된 화살표가 우원편광의 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이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우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좌원편광의 광만 액정(123)에 입사하게 된다. 제2반사편광필름(130) 역시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좌원피치(left-handed pitch)의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우원편광의 광은 통과시키고 좌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액정(123)은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액정(123)이 제1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액정(123)이 제2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액정(123)은 제1상태인 경우, 제1영역(123a)에서는 좌원편광의 광을 우원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제2영역(123b)에서는 좌원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는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항상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도달하게 되는데,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우원편광의 광은 통과시키되 좌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지만,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다.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의 도 1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한다면, 결과적으로 제1상태인 경우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진입해 배리어층(300)을 통과하게 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으로 진입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되어 (-y 방향에 위치한) 백라이트유닛(2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좌원편광의 광이기에,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한 후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해 액정(123)로 진입하게 되어, 배리어층(300)을 향하는 광으로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를 높이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의 원리상 하부기판(410)의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의 면 상에는 제1편광판(441)이 배치되고, 상부기판(420)의 전방(前方)으로의 면 상에는 제2편광판(442)이 배치될 수밖에 없다. 제1편광판(441)은 특정 편광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제1편광판(441)이 제2편광의 광, 즉 우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제1편광판(441)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과시키는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우원편광의 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위상지연판이 디스플레이(400)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400)에는 원편광의 광이 아닌 선편광의 광이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그러한 위상지연판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가 입체영상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뿐만 아니라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액정(123)은 제2상태가 되어,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 좌원편광의 광을 우원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며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한 광은 모두 액정(123)을 통과하게 되며, 또한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모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여 배리어층(3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배리어층(300) 역시 제2상태의 경우 투광영역(310)은 물론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가 되기에, 모든 광이 디스플레이(400)로 진입하게 되어 휘도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선편광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액정(123)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설계할 시,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배리어층(300)은 별도로 갖지 않고,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디스플레이(400)를 갖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이론적으로는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2반사편광필름(130)도 이론적으로는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킨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제2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제2반사편광필름(130)도 제1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다. 만일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제1상태에서 이와 같은 일부 통과가 발생하게 되면,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배리어층(300) 없이 고품질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되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14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태에서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제1편광의 광의 일부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편광판(140)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400)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 없이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 간주하는 것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제1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는바, 배리어층(300)은 제1상태에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일부 제1편광의 광을 가변영역(320)에서 차단함으로써, 시청자가 고품질의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400)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서 방출되는 제2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액정(123)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의 작용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하며, 중복되거나 유사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전술한 것과 같이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달리,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과 S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이고 제2편광의 광은 S편광의 광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9와 도 10에서는 실선으로 된 화살표가 P편광의 광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된 화살표가 S편광의 광을 의미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이 P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S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P편광의 광만 액정(123)에 입사하게 된다.
액정(123)은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액정(123)이 제1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액정(123)이 제2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액정(123)은 제1상태인 경우, 제1영역(123a)에서는 P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2영역(123b)에서는 P편광의 광을 S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킨다. 이는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은 제1상태나 제2상태 모두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에는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도달하게 되는데,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P편광의 광은 통과시키되 S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지만,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다.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의 도 1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한다면, 결과적으로 제1상태인 경우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진입해 배리어층(300)을 통과하게 된다. 한편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으로 진입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되어 (-y 방향에 위치한) 다시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하게 되는데, 액정(123)은 여전히 제1상태이기 때문에 제2영역(123b)을 다시 통과하면서 위상이 λ/2만큼 지연된다. 즉,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 S편광의 광은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다시 통과하면서 P편광의 광이 된다. 다시 P 편광이 된 이 광은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한 후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해 액정(123)로 진입하게 되어, 배리어층(300)을 향하는 광으로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를 높이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1편광판(441)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과시키는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가 입체영상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뿐만 아니라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액정(123)은 제2상태가 되어,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 P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한 광은 모두 액정(123)을 통과하게 되며, 또한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모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여 배리어층(3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배리어층(300) 역시 제2상태의 경우 투광영역(310)은 물론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가 되기에, 모든 광이 디스플레이(400)로 진입하게 되어 휘도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경우에도,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미도시) 사이에 두꺼운 기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으로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대략 수직인 방향(+y 방향)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라 하더라도,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 사이에 두꺼운 기판이 존재하지 않기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후 배리어(300, 도 1 참조)의 가변영역(320, 도 1 참조)이 아닌 투광영역(320, 도 1 참조)에 바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광이 디스플레이(400, 도 1 참조)로 진입하게 되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경우에도 두꺼운 기판을 없애 제2전극층(미도시)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상호 컨택하도록 함으로써,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물론 제2전극층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사이에 버퍼층 등이 개재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버퍼층은 두께가 수 ㎛ 내지 수십 ㎛에 그치기 때문에, 100㎛ 내지 500㎛에 이르는 두께의 기판에 비하면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크지 않다.
또한, 기판이 존재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에 직접 또는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제2전극층을 직접 형성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도 단순화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전극층 역시 별도의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에 또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저하율이 미미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전체적인 강도 유지 등을 위해 필요하다면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상적인 기판보다 두께가 얇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면,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에 직접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스퍼터링이나 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에 버퍼층 등을 형성한 후 이 버퍼층 등 상에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만일 제1반사편광필름(110)나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지 않는다면, 단단한 캐리어 상에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형성하거나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그리고 배향막 등을 형성한 후, 캐리어로부터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탈착하여 이들을 합착하고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액정(123)을 주입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물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전술한 것과 같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배리어층(300)은 별도로 갖지 않고,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디스플레이(400)를 갖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도,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제2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기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되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더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상태에서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제2편광의 광의 일부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편광판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400)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디스플레이(400)의 제1편광판이 상술한 편광판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배리어층(300) 없이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배리어층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 간주하는 것 물론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지금까지는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선편광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 각각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편의상 제1편광의 광은 좌원편광의 광인 것으로, 제2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우원피치의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좌원편광의 광은 통과시키고 우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실선으로 된 화살표가 좌원편광의 광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된 화살표가 우원편광의 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이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우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좌원편광의 광만 액정(123)에 입사하게 된다. 제2반사편광필름(130) 역시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마찬가지로 우원피치의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123)은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액정(123)이 제1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액정(123)이 제2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액정(123)은 제1상태인 경우, 제1영역(123a)에서는 좌원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2영역(123b)에서는 좌원편광의 광을 우원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킨다. 이는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은 언제나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에는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도달하게 되는데, 제2반사편광필름(130)은 좌원편광의 광은 통과시키되 우원편광의 광은 반사시키기에,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지만,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다.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이 도 1의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대응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의 도 1의 배리어층(300)의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한다면, 결과적으로 제1상태인 경우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에 진입해 배리어층(300)을 통과하게 되고,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 광은 배리어층(300)으로 진입하지 않고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되어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다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2영역(123b)은 여전히 제1상태이기 때문에 제2영역(123b)을 다시 통과하면서 위상이 λ/2만큼 지연된다. 즉, 제2반사편광필름(130)에 의해 반사된 우원편광의 광은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다시 통과하면서 좌원편광의 광이 된다. 다시 좌원편광이 된 이 광은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한 후 백라이트유닛(200)의 반사판(210)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해 액정(123)로 진입하게 되어, 배리어층(300)을 향하는 광으로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의 휘도를 높이고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400)가 액정디스플레이인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의 원리상 하부기판(410)의 백라이트유닛(200) 방향의 면 상에는 제1편광판(441)이 배치되고, 상부기판(420)의 전방(前方)으로의 면 상에는 제2편광판(442)이 배치될 수밖에 없다. 제1편광판(441)은 특정 편광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제1편광판(441)이 제1편광의 광, 즉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제1편광판(441)은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통과시키는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좌원편광의 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위상지연판이 디스플레이(400)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사이에 개재되어, 디스플레이(400)에는 원편광의 광이 아닌 선편광의 광이 입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그러한 위상지연판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400)가 입체영상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뿐만 아니라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킨다. 이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액정(123)은 제2상태가 되어,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 좌원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한 광은 모두 액정(123)을 통과하게 되며, 또한 액정(123)을 통과한 광은 모두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하여 배리어층(300)을 향하게 된다. 물론 배리어층(300) 역시 제2상태의 경우 투광영역(310)은 물론 가변영역(320)도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가 되기에, 모든 광이 디스플레이(400)로 진입하게 되어 휘도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선편광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2반사편광필름(130)과 제2전극층(미도시) 사이에 두꺼운 기판이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제1전극층 역시 별도의 두꺼운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에 또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저하율이 미미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전체적인 강도 유지 등을 위해 필요하다면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선편광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배리어층(300)의 역할까지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의 경우에도,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제2편광의 광을 완벽하게 반사하지 못하고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되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더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 없이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배리어층(300)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서 더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반사편광필름(130)이 제2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는바, 배리어층(300)은 제1상태에서 제2반사편광필름(130)을 통과한 일부 제2편광의 광을 가변영역(320)에서 차단함으로써, 시청자가 고품질의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400)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서 방출되는 제1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고 제2전극층(122)은 제2반사편광필름(130) 전면(全面)에 있어서 일체(一體)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반사편광필름(130) 상의 제2전극층(122)이 패터닝되고, 제1전극층(121)이 제1반사편광필름(110) 전면(全面)에 있어서 일체(一體)일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도 패터닝된 제2전극층(122)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제1영역(123a)이고 패터닝된 제2전극층(122)이 존재하는 부분이 제2영역(123b)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2전극층(122)이 제2영역(123b)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며,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제1영역(123a)이고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는 부분이 제2영역(123b)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 역시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에 모두 제1전극이 존재하고 다만 도 2나 도 3 등과 같은 단면도에서 볼 시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의 경계에서 제1전극층(121)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적절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상이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에는 제1상태가 되고,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에는 제2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투광필름(130'), 제1전극층(121), 제2전극층(122) 및 액정(123)을 구비한다.
제1반사편광필름(110)은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편광은 좌원편광이고 제2편광은 우원편광일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편의상 그러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투광필름(130')은 폴리이미드 등의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필름(130')의 두께는 종래의 기판의 두께보다 얇도록 할 수 있다.
액정(123)은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는데, 전술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갖는다. 이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은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액정(123)의 제1전극층(121)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영역(123b)이고, 제1전극층(121)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영역(123a)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123)은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영역(123a)에서는 제1상태와 제2상태의 경우 모두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영역(123b)에서는 제1상태의 경우에는 좌원편광의 광을 반사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에는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1상태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13은 제2상태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와 도 13 등에서는 편의상 제1전극층(121), 제2전극층(122) 및 투광필름(130')을 생략하였다. 제1상태의 경우 액정(123)의 제2영역(123b)에서 반사된 좌원편광의 광은 백라이트유닛(200)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여 좌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110)을 통과하여 반사판(210)에서 반사된 후 다시 액정(123) 방향으로 진행하기에, 디스플레이(400)로 향하는 광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123)은 CLC와 같은 반사형원편광자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상태의 경우 반사형원편광자가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 모두에서 광을 통과시키는 포칼코닉(focal conic)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1상태의 경우 반사형원편광자가 제1영역(123a)에서는 광을 통과시키는 포칼코닉 상태가 되도록 하되 제2영역(123b)에서는 좌원피치(left-handed pitch) 상태가 되어 좌원편광의 광을 반사시키는 플래너(planar)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경우에도, 제2전극층(122)이 두꺼운 기판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얇은 투광필름(130') 상이나 이 투광필름(130') 상의 버퍼층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전극층(122)은 투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투광필름(130')의 제1반사편광필름(11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제1반사편광필름(130')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할 수 있다. 이때 버퍼층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로, 액정(123)의 제1영역(123a)을 통과한 광으로서 투광필름(130')에 대략 수직인 방향(+y 방향)이 아닌 다양한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라 하더라도, 두꺼운 기판이 존재하지 않기에, 제2전극층(122)을 통과한 후 배리어(300, 도 1 참조)의 가변영역(320, 도 1 참조)이 아닌 투광영역(320, 도 1 참조)에 바로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광이 디스플레이(400, 도 1 참조)로 진입하게 되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용 디스플레이 광학장치(100)의 광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투광필름(130')은 폴리이미드 등의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필름(130')의 두께는 종래의 기판의 두께보다 얇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투광필름(130')은 수 ㎛ 내지 수십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2전극층(122)과 투광필름(130') 사이에 버퍼층 등이 개재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버퍼층은 두께가 수 ㎛ 내지 수십 ㎛에 그치기 때문에, 100㎛ 내지 500㎛에 이르는 두께의 기판에 비하면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크지 않다.
한편, 제1전극층(121) 역시 별도의 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에 또는 제1반사편광필름(110) 상의 버퍼층 등 상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물론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광효율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거나 그 저하율이 미미하기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전체적인 강도 유지 등을 위해 필요하다면 제1전극층과 제1반사편광필름(110) 사이에는 두꺼운 기판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투광필름(130')이 통상적인 기판보다 두께가 얇지만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면,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투광필름(130') 상에 직접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스퍼터링이나 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투광필름(130') 상에 버퍼층 등을 형성한 후 이 버퍼층 등 상에 제1전극층(121)이나 제2전극층(122)을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만일 제1반사편광필름(110)나 투광필름(130')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지 않는다면, 단단한 캐리어 상에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투광필름(130')을 형성하거나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그리고 배향막 등을 형성한 후, 캐리어로부터 제1반사편광필름(110)과 투광필름(130')을 탈착하여 이들을 합착하고 제1전극층(121)과 제2전극층(122) 사이에 액정(123)을 주입함으로써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 역시 최종적으로 제1상태에서는 액정(123)의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만 광을 방출하고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광을 방출하지 않기에, 이는 결국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배리어층(300)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액정(123)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을 설계할 시, 배리어층(300)의 투광영역(310)과 가변영역(320)에 대응하도록 설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배리어층(300)은 별도로 갖지 않고,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디스플레이(400)를 갖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상태에서의 액정(123)의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좌원편광의 광을 반사시키나, 이론적으로는 좌원편광의 광을 모두 반사시키지만 실제로는 좌원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다. 만일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제1상태에서 이와 같은 일부 통과가 발생하게 되면, 시청자가 느끼는 입체영상의 입체감이 낮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배리어층(300) 없이 고품질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정(123)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되 우원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14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가 더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상태에서 일부 좌원편광의 광이 액정(123)의 제2영역(123b)을 통과한다 하더라도, 편광판(140')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400) 방향(+y 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 없이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이용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지만,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리어층(300)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로 간주하는 것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것과 같이 액정(123)이 좌원편광의 광을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일부 통과시킬 수도 있는바, 배리어층(300)은 제1상태에서 액정(123)을 통과한 일부 좌원편광의 광을 가변영역(320)에서 차단함으로써, 시청자가 고품질의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물론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400)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에서 방출되는 제2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가 입체영상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고 제2전극층(122)은 투광필름(130) 전면(全面)에 있어서 일체(一體)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투광필름(130') 상의 제2전극층(122)이 패터닝되고, 제1전극층(121)이 제1반사편광필름(110) 전면(全面)에 있어서 일체(一體)일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나 그 변형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우에도 패터닝된 제2전극층(122)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제1영역(123a)이고 패터닝된 제2전극층(122)이 존재하는 부분이 제2영역(123b)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2전극층(122)이 제2영역(123b)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도 11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며,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제1영역(123a)이고 패터닝된 제1전극층(121)이 존재하는 부분이 제2영역(123b)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 역시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전극층(121)이 패터닝되되,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에 모두 제1전극이 존재하고 다만 도 11이나 도 12 등과 같은 단면도에서 볼 시 제1영역(123a)과 제2영역(123b)의 경계에서 제1전극층(121)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는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적절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상이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에는 제1상태가 되고, 제1영역(123a)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과 제2영역(123b)에 대응하는 제1전극층(121)의 부분에 동일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시에는 제2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반사판(210)을 포함한 백라이트유닛(200)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와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예컨대 제1반사편광필름(110)에 입사하도록 광을 방출하며 반사판(210)을 갖는 백라이트유닛(200)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100)의 일 구성요소인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10: 제1반사편광필름
123: 액정 123a: 제1영역
123b: 제2영역 130: 제2반사편광필름
130': 투광필름 140: 편광판
200: 백라이트유닛 210: 반사판
300: 배리어층 310: 투광영역
320: 가변영역 400: 디스플레이
410: 하부기판 420: 상부기판
430: 액정 441: 제1편광판
442: 제2편광판

Claims (21)

  1.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반사편광필름;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 및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투광영역과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며,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투광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가변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을 갖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액정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층은,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고,
    (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또는
    (i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경우, 제1영역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제2영역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고, (i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킬 경우, 제1영역은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고, 제2영역은 제1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켜 통과시키고 제2상태의 경우 통과하는 광의 위상 변화 없이 통과시키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편광의 광은 P편광의 광과 S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 각각은 반사형선편광자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 각각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편광의 광과 제2편광의 광 중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이 통과시키는 어느 한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더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8.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반사편광필름;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 및
    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며,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액정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영역에 대응하는 투광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는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을 더 구비하고,
    (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2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1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고, 또는
    (ii) 상기 제2반사편광필름은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제2편광의 광으로 전환시키면서 통과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그대로 통과시키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9. 삭제
  10.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투광필름;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 및
    상기 제2전극층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투광영역과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
    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층은,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거나,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는 버퍼층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에 직접 컨택하며,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고,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투광영역에 대응하는 제1영역과 상기 가변영역에 대응하는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액정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고,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반사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편광의 광은 우원편광의 광과 좌원편광의 광 중 어느 하나이고, 제2편광의 광은 다른 하나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은 반사형원편광자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층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편광판을 더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4.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편광의 광은 반사시키는 제1반사편광필름;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투광필름;
    상기 투광필름의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 방향의 면 상에 형성된 제2전극층;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위치한 제1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액정;
    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중 어느 하나는 패터닝되며, 해당 패터닝에 의해 정의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갖고,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액정은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상태의 경우 제1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제2영역에서는 제1편광의 광을 반사시키며, 제2상태의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 모두에서 제1편광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전극층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고, 제1영역에 대응하는 투광영역과 제2영역에 대응하는 가변영역을 가지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가변영역은 광을 통과시키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가 될 수 있는, 배리어층을 더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5. 삭제
  16. 제1항, 제2항,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층은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되고, 상기 제2전극층은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있어서 일체(一體)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7. 제1항, 제2항,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편광필름에 입사하도록 광을 방출하며 반사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더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18.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며,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도록 배치되며,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편광의 광을 이용해 좌안용 이미지와 우안용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액정디스플레이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88656A 2014-12-24 2014-12-24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4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56A KR101604066B1 (ko) 2014-12-24 2014-12-24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656A KR101604066B1 (ko) 2014-12-24 2014-12-24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066B1 true KR101604066B1 (ko) 2016-03-16

Family

ID=5564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656A KR101604066B1 (ko) 2014-12-24 2014-12-24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0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199A (ko) * 2021-10-29 2023-05-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199A (ko) * 2021-10-29 2023-05-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KR102628809B1 (ko) * 2021-10-29 2024-0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윈도우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 또는 건물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589B2 (en) Display device
JP4024769B2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60216540A1 (en)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the display device
US20140146271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551627B2 (en) 3D display device
US9664918B2 (en) Depth-fused three dimensional display device
EP2703875B1 (en) A device for displaying 3D-images which employs a parallax-barrier based on a switchable, cholesteric liquid crystal cell
KR20140089769A (ko) 표시 장치
KR20130045734A (ko) 투명 표시 장치
KR20160039103A (ko) 편광제어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2d/3d 영상 표시장치
US2015032380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8866979B2 (en) Display device with parallax barrier
JP2008281605A (ja) 液晶表示パネル、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液晶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604066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174123A1 (zh) 相位延迟器及其制备方法、偏振相位延迟器、显示装置
KR20120108729A (ko) 표시 장치
JP2018180056A (ja) 表示装置
US20120120330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134541B2 (en) Stereoscopic display system with active switchable retarder
KR101578436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63919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용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7572B1 (ko) 편광판 일체형 프라이버시 필름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CN109991694B (zh) 光学膜以及使用其的背光单元和显示装置
EP2887108A1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8175875A (ja) 2画面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