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403B1 -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Google Patents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403B1
KR101603403B1 KR1020140029503A KR20140029503A KR101603403B1 KR 101603403 B1 KR101603403 B1 KR 101603403B1 KR 1020140029503 A KR1020140029503 A KR 1020140029503A KR 20140029503 A KR20140029503 A KR 20140029503A KR 101603403 B1 KR101603403 B1 KR 10160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bar
truss member
lower suppor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7107A (en
Inventor
김경섭
Original Assignee
김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섭 filed Critical 김경섭
Priority to KR102014002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403B1/en
Publication of KR2015010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1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 인방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는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하부 지지바;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바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를 연결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벽돌 또는 블록이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획하는 트러스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선, 철근 또는 철판 등의 강재를 이용하고 상향 굴곡된 수평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후의 처짐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시공 시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고 하중의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 등의 기타 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support bar having at least two curved portion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upper support bar having a curvatu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ar; And a truss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partition the brick or block so as to be received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despite the sagging after the construction by using a steel member such as a steel wire, a reinforcing steel or an iron plate and using an upwardly curved horizontal member, The dispers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and no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other members such as wiring.

Description

창호용 강재 인방보 및 이의 제조 방법{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material for a window,

본 발명은 창호용 강재 인방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재를 이용하여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강재를 이용한 창호용 인방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girder beam for a wind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girder beam using a steel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structure by using a steel material.

인방보는 벽체의 창 또는 문 위에 설치되는 벽돌 등의 조적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조적물을 지지하고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좌우의 벽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문틀이나 창호상부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조적조 등에서는 아치벽돌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상부 직압력이 큰 부분은 철근 콘크리트 인방을 설치하며 끝 단부에는 하부 벽돌이나 블록에 20cm 이상 물리게 설치하며 현장에서 직접 제작되거나 기성제품이 사용되기도 한다.It is a member installed on the door frame or the upper part of the window frame to support the mate- rial such as the bricks or the like installed on the window or door of the wall, and to distribute the loa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eft and right walls. Arch bricks are used in masonry buildings, but reinforced concrete grooves are installed in areas where the upper straight pressures are large. Sections of 20 cm or more are installed on the lower bricks or blocks at end parts.

한편, 종래의 인방은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여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거나 시멘트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되어 중량이 무겁고 충격에 약해 운반 중 파손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장제작 압출성형 제품의 경우 배합원료와 양생과정에서 강도 등 품질의 변수가 많으므로, 2.0m 이상 제품의 경우 앙카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 파손되거나 처짐에 의한 균열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lavas ar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using cement as the main raw material or manufactured by cement extrusion molding method, so that they are heavy in weight and are vulnerable to shock,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e during transportation. In addition, since the extrusion molded product of the factory has many variables such as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 and the strength in the curing process, the product of 2.0 m or mo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cracking due to breakage or deflection occurs when the anchor is fixed.

또한 인방 단부에는 전기 스위치 파이프라인과 같은 전기 배선이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인방은 이와 같은 전기 배선이 관통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기 배선이 지나가는 지점 일부를 절단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인방 일부가 절단되는 경우 인방의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해질 뿐만 아니라, 인방 일부를 절단하는 공정이 추가됨으로써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electric wiring such as an electric switch pipeline is often passed to the end of the tongue. Since the conventional tongu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electric wiring can not penetrate, a part of the electric wiring should be cut off. In this way, when the lid portion is partially cut, not only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id is weakened but also the working time is increased by adding a process of cutting the lid portion.

또한 종래에 강재를 이용하여 인방을 제조한 경우라도 수평으로 설치하여 상부하중에 의한 처짐이 쉽게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even when a steel strip is manufactured using a steel material in the past, it is horizontally installed, and deflection easily occurs due to an upper load, thereby causing structural stability to deteriorate.

본 발명은 강재를 이용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작은 중량으로도 상부 하중에 대한 향상된 지지 강도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member hollow beam for a window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stability by using a steel material and achieving an improved support strength against an upper load even with a small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시공 후의 처짐을 고려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l member hollow beam for a window which can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in consideration of deflection after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는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하부 지지바;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바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를 연결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벽돌 또는 블록이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획하는 트러스 부재;를 포함한다.A lower support bar having at least two or more curved projections upwardly protruding upwardly from the steel frame for a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upper support bar having a curvatu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ar; And a truss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partition the brick or block so as to be received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 상기 하부 지지바들 중 양측면의 최 외곽 지지바와 상기 상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uss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lower supporting bars; And a second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outermost support bar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support bars and the upper support bar.

또한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양측면의 상기 제2 연결바들은 일체형 또는 상기 제2 연결바의 상단부가 이격된 형상의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bars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s on both sides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 triangl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bars are spaced apart.

또한 상기 상부 지지바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트러스 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uss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ing bars when the upper supporting bars are two or more.

또한 상기 제1 연결바, 상기 양측면의 상기 제2 연결바들 및 상기 제3 연결바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connection bar, the second connection bars on both sides, and the third connection bar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가 수용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a groove or hole-shaped ba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의 바 수용부는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와 용접될 수 있다.The bar receiving portion of the truss member may be welded to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또한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부재는 상기 바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를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Further,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truss member can fix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inserted in the bar accommodating portion by using a nut.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urther, the truss member may be any one of a triangle, a square, and a polygon.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중앙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with an incision portion at least a part of which is cut at the center.

또한 상기 상부 지지바는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에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바의 길이는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최외곽 트러스 부재의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Further, the upper support bar is formed only in a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support ba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pport bar can be further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most truss member .

또한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하부 지지바에는 상기 하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하부 지지바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바에 고정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ar of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not provided is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lower support bars, and the lower connection bar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 bar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bar .

또한 상기 하부 지지바, 상기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트러스 부재는 철근 또는 강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
Further, the lower support bar,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truss member may be made of a reinforcing bar or a steel wi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 제조방법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부 지지바를 적어도 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의 홈 또는 홀에 끼우고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부 지지바를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의 홈 또는 홀에 끼우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구부리는 단계; 및 상기 중앙부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thin beam for a window, comprising: providing at least two lower support bar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Welding and fixing the lower support bars to the grooves or holes of the plate-shaped truss member; Fitting an upper support bar into a groove or a hole of the plate type truss member; Bending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lower support bars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part; And welding and fixing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plate-type truss member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선 또는 철근 등의 강재를 이용하고 상향 굴곡된 수평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시공 후의 처짐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teel member such as a steel wire or a reinforcing steel and using an upwardly curved horizontal member,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increased despite the sagging after the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시 충격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고 하중의 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 등의 기타 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little fear of breakage due to impact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load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and a separate process is not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other members such as wi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를 제조 및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벽체 구조물을 잘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형 트러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인방보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hollowed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hollowed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S. 3 to 11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hollow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ll structure of FIG.
1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ar type truss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late-type truss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FIGS. 15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hollowed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is manufactured using a plate-type truss member. FIG.
18 is a schematic view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ollow beam using the plate-type truss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and Fig. 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eel member rib for a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steel member in-shap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steel member in-shap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10, 이하 인방보)는 하부 지지바(11), 상부 지지바(13) 및 트러스 부재(15)를 포함한다.The lower steel support member 10 includes a lower support bar 11, an upper support bar 13, and a truss member 15.

하부 지지바(11)는 상향 돌출된 빔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지지바(11)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이 때 하부 지지바(11)는 서로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pport bar 11 is formed as an upwardly projecting beam or bar shape. The lower support bar 11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bar-like members, and is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pport bars 11 are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상부 지지바(13)는 상향 돌출된 빔 도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지지바(1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 구비된다.The upper support bar 13 is formed into a bar shape with an upwardly protruding beam. The upper support bar 1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ar-shaped member.

트러스 부재(15)는 하부 지지바(11) 간을 연결하고, 하부 지지바(11)들과 상부 지지바(13)를 각각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트러스 부재(15)는 제1 연결바(151)와 제2 연결바(153)를 포함한다. 제1 연결바(151)는 하부 지지바(11) 간을 연결하는 구성부이고, 제2 연결바(153)는 하부 지지바(11)와 상부 지지바(13) 간을 연결한다. 하부 지지바(11)와 상부 지지바(13)가 다수개 구비되는 경우 제2 연결바(153)는 최 외곽의 상부 지지바(13)와 하부 지지바(11) 간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uss member 15 connects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s 11 and connects the lower support bars 11 with the upper support bar 13,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truss member 15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ar 151 and a second connecting bar 153. The first connection bar 151 connects the lower support bars 11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53 connects the lower support bar 11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When the lower supporting bar 11 and the upper supporting bar 13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e second connecting bar 153 preferably connects the upper supporting bar 13 and the lower supporting bar 11 .

최 외곽 하부 지지바(11)의 간격은 하부 지지바(11)가 지지하는 벽돌, 블록 또는 석재 등의 폭에 따라 약 50mm 내지 500mm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바(11)로부터 상부 지지바(13)에 이르는 높이는 벽돌, 블록 또는 석재 등의 높이 및 쌓는 단수에 따라 약 50mm 내지 50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ing of the outermost lower support bars 11 may b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50 mm to 500 mm depending on the width of bricks, blocks or stone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bars 11. Also, the height from the lower support bar 11 to the upper support bar 13 is preferably about 50 mm to 500 mm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bricks, blocks, or stones, and the number of stacks.

또한 트러스 부재(15)간의 간격은 트러스 부재(15) 간에 수용되는 벽돌, 블록 등 조적재의 길이에 따라 약 50mm 내지 500mm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truss members 15 may be about 50 mm to about 500 mm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rough materials such as bricks and blocks received between the truss members 15.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연결바(151)와 제2 연결바(153)는 일예로 삼각형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bar 151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53 in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one triangle, for example.

트러스 부재(15)와 하부 지지바(11) 간 그리고 트러스 부재(15)와 상부 지지바(13) 간은 각각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truss member 15 and the lower support bar 11 and the truss member 15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하부 지지바(11)는 제1 연결바(151)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 지지바(13)는 제2 연결바(153)의 상부에 고정되고 있으나 고정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즉, 하부 지지바(11)는 제1 연결바(15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 지지바(13)는 제2 연결바(153)의 사이 또는 하부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ower support bar 11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151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15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That is, the lower support bar 1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bar 151,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bar 153.

다른 한편, 상부 지지바(13)가 형성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에는 제1 연결바(151) 대신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 연결바(157)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연결바(157)의 경우 조적재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지지바(11)의 높이에 비하여 같거나 낮은 위치에 용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부 지지바(1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연결바(157)는 하부 지지바(11)의 양 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인방보(10a)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lower connection bar 157 may be provided in the remaining portion where the upper support bar 13 is not formed, instead of the first connection bar 151. In order to prevent the lower connection bar 157 from being lifted, the lower connection bar 157 may be welded at a position lower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bar 11, hav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connecting bar 157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upporting bar 11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inward beam 10a.

한편, 상부 지지바(13)는 하부 지지바(11)에 비하여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지지바(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곽 트러스 부재(15)로부터 일정 길이 만큼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인방보(10)의 양측으로 전기 배선등을 위한 전기 파이프가 인방보(10)를 관통하는 경우에도 파손의 우려가 없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pport bar 13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ower support bar 11. For example, the upper support bar 13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most truss member 15 as shown in FIGS. With this structure, even if an electric pipe for electric wiring or the like penetrates through the inward beam 10 to both sides of the inward beam 10, there is no fear of breakage.

하부 지지바(11), 상부 지지바(13) 및 트러스 부재(15)는 각각 철근 또는 강선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bar 11, the upper support bar 13 and the truss member 15 may be made of reinforcing steel or steel wire, respectively.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인방보(10)는 고른 하중 분배를 포함하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rib 10 formed in this way is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about the center for structural stability including uniform load distribution.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부재(15)는 하부 지지바(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지지바(13)는 트러스 부재(15)가 구비되는 구간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지지바(13)는 트러스 부재(15)가 구비되는 구간의 길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최외곽의 트러스 부재(15)로부터 외곽으로 약 20mm 내지 100mm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지지바(13)가 최외곽 트러스 부재(15)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부착력이 더 증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truss member 15 may be formed in only a part of the length of the lower support bar 11. The upper support bar 13 in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only in a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15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upper support bar 1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15 is provided, so that it projects from the outermost truss member 15 to the outer periphery by about 20 mm to 100 mm. The upper supporting bar 13 protrudes from the outermost truss member 15,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adhering force.

또한 트러스 부재(15)가 형성되지 않은 구간에는 단순히 하부 연결바(157)만을 구비하여 하부 지지바(11) 간을 연결할 수 있다.
Further, only the lower connection bar 157 is provided in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15 is not formed, so that the lower support bars 11 can be connected.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를 제조하고 시공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를 제조 및 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벽체 구조물을 잘라본 단면도이다.3 to 12,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hollow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S. 3 to 11 are views showing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of a hollow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wall structure of FIG.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의 제조방법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부 지지바를 적어도 둘 이상 제공하는 단계, 하부 지지바들 상에 트러스 부재를 연결하는 단계, 하부 지지바들을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구부리는 단계,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된 상부 지지바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트러스 부재 상에 상기 곡률이 형성된 상부 지지바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at least two lower support bar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nnecting the truss members on the lower support bars, bending the lower support bar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Providing an upper support bar having a curvature to protrude upwardly and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bar with the curvature on the truss member.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의 하부 지지바(11)들을 평행하게 배열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트러스 부재(15)를 연결한다. 이 때 트러스 부재(15)는 용접을 통하여 하부 지지바(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트러스 부재(15)는 제조 시 용접의 횟수를 줄이고, 상부 지지바(13a)와의 용접이 용이하도록 상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straight lower support bar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truss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truss member 15 can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bar 11 through weld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uss member 15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end portion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reduce the number of times of welding in manufacturing and to facilitate welding with the upper support bar 13a.

다시 말하면, 상기 트러스 부재(15)는 일자형 철근 등을 굴곡시켜 형성하거나 복수개의 철근을 용접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 때 트러스 부재(15)는 상부 지지바(13a)와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부분이므로 트러스 부재(15)의 제조 단계에서 상단부의 용접을 생략함으로써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는 등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truss member 15 is formed by bending a straight reinforcing bar or weld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 this case, since the truss member 15 is a portion to be fixed by welding with the upper support bar 13a, it is possible to omit the welding at the upper en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russ member 15, .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바(11)를 상향 돌출되도록 구부린다. 이 때 트러스 부재(15)의 상단은 각각 벌어진 상태가 된다. 하부 지지바(11)의 중앙부가 굴곡되어 상승한 높이는 하부 지지바(11)에 의하여 지지될 조적재나 벽 상부 구조물의 구성에 따라 달라지나 본 실시예에서는 약 3mm 내지 100mm의 높이로 굴곡되도록 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5, the lower support bar 11 is bent so as to protrude upward.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truss member 15 is in an open state. The height at which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ar 11 is bent and raised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material or the wall upper structure to be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bar 11 but may be bent at a height of about 3 mm to 100 mm in this embodiment have.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중앙부가 상향 굴곡된 상부 지지바(13)를 트러스 부재(15) 상에 위치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바(13)를 트러스 부재(15)에 고정시킨다. 이 때 마찬가지로 상부 지지바(13)와 트러스 부재(15)는 용접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6, the upper support bar 13, which has already been bent upwards, is placed on the truss member 15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is fastened to the truss member 15 as shown in Fig. . At this time, similarly, the upper support bar 13 and the truss member 15 can be attached by welding.

다음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바(11) 상 및 트러스 부재(15) 사이의 간격에 벽돌, 블록 등의 조적재(20)를 삽입한다. 조적재(20)는 하나의 단 또는 다단으로 쌓은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부재(15)가 일부에만 형성된 경우에도 조적재(20)는 하부 지지바(11)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연결바(157; 도 2 참조)를 조적재(20)의 하부, 즉 하부 지지바(11)와 동일한 위치 또는 더 낮은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적재(20)의 들뜸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8 (a), a rough material 20 such as a block or a block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11 and the truss member 15. The substrate stack 20 can be inserted in a single stage or multi-stage stacked state. 8 (b), the trunk 20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upport bar 1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b), when the truss member 15 is partially formed, By fixing the bar 157 (see FIG. 2) to 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20, that is, the lower position or the lower position of the lower support bar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lifting of the substrate 20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

조적재(20)가 하부 지지바(11) 상에 위치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재(20)의 하중에 의하여 하향(D1) 힘을 받아 하부 지지바(11)의 중앙부 높이(L1)가 가라앉은 상태가 되면서 상부 지지바(13)는 압축재로서 기능하고 하부 지지바(11)는 인장재로서 기능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에 이르게 된다.9, the lower support bar 11 receives the downward force D1 due to the load of the base material 20, The upper support bar 13 functions as a compression member while the lower support bar 11 functions as a tension member and reaches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의 개구부(SP1)의 상부에 제조된 인방보를 위치시킨 후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인방보의 상부에 벽체의 상부 구조체(33)를 시공한다.Then, as shown in FIG. 11, mortar is poured after locating the inner beam manufactur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SP1 of the wall, and the upper structure 33 of the wal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beam.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 부재는 내측이 관통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조적재(20) 사이에는 모르타르가 수용 및 경화되면, 굳어진 모르타르가 조적재들을 일체화 시키게 된다. 이 때 내측이 관통된 형상의 트러스 부재(15)는 조적재(20) 사이에 연결된 면적을 증가시켜 모르타르가 굳어지면서 인접하는 조적재(20)들은 상기 모르타르를 매개로 하여 일체화되게 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2, the tru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shape of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When the mortar is received and cur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arse materials 20 by placing the mortar, the hardened mortar integrates the coarse materials. At this time, the truss member 15 having an inner side penetrated increases the area connected between the rough materials 20 to harden the mortar so that the adjacent rough materials 20 are integrated through the mortar.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부재를 설명한다. 도 13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형 트러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3 and 14, a truss mem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FIG. 1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ar type truss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late type truss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트러스 부재는 바형 또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or a plate shape.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의 트러스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13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바(151) 및 제2 연결바(153) 이외에도 제3 연결바(155)를 더 구비하여 사각형이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트러스 부재는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bar shaped truss member as shown in Fig. 13 (a) and 13 (b). As shown in FIGS. 13 (c) and 13 (d), the first connection bar 151 and the second connection bar 151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third connecting bar 155 in addition to the first connecting rod 153 and to have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polygonal shapes.

또한 트러스 부재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재(20)의 하나의 단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의 조적재(2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13 (a), 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obbin material 20, or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bobbin material 20 as shown in FIG. 13 (b) As shown in FIG.

한편, 트러스 부재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15o)는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uss member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 The plate-like truss members 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and 15o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 polygonal shape.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15o)는 하부 지지바와 상부 지지바가 수용될 수 있는 바 수용부(155)가 형성된다. 바 수용부(155)는 각각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15o)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지지바와 하부 지지바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부 지지바 및 하부 지지바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용가능하도록 홈 또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type truss members 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and 15o are formed with a bar receiving portion 155 in which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can be received. The bar accommodating portion 155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ate truss members 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a hole so as to accommodate part or all of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lower support bar.

또한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 15g, 15h, 15i, 15j, 15k, 15l, 15m, 15n, 15o)의 중앙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절개부(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m, 156n, 156o)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m, 156n, 156o)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조적재 간에 모르타르를 통하여 일체화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며, 전체 인방보의 하중을 줄여주는 기능도 한다. 절개부(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m, 156n, 156o)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The cutouts 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l, 156m, 156n, 156o may be formed. The cutters 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m, 156n, and 156o function to form a space between the adjacent coarse materials through the mortar as described above, It also reduces the load on the inner beam. The shapes of the cutouts 156f, 156g, 156h, 156i, 156j, 156k, 156l, 156m, 156n, 156o are not limited.

한편, 도 14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수용부(155b)는 앞서 설명한 구멍의 형상이 아닌 일부가 절개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바 또는 하부 지지바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h), the bar receiving portion 155b is formed in the shape of a notched groove rather than the shape of the hol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upper support bar or a part of the lower support bar is fitted It is also possible.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인방보를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방보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5 to 1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hollow rib manufactured by using a plate-type truss member. FIGS. 15 to 1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hollowed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is manufactured using a plate-type truss member. FIG.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는 앞서 설명한 바형 트러스 부재와 마찬가지로 연결지점(1551)에 용접을 통하여 하부 지지바(11) 및 상부 지지바(13)에 고정될 수 있다.The plate-like truss member 15f can be fixed to the lower support bar 11 and the upper support bar 13 through welding at a connection point 1551 like the above-described bar type truss member.

이외에도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바(11a) 및 상부 지지바(13a)를 수용한 상태에서 연결지점에 너트(1553) 등을 조임으로써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the plate-shaped truss member 15f is formed by fastening the nut 1553 and the like to the connection point in a state of receiving the lower support bar 11a and the upper support bar 13a having male threa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It is also possible to fix it.

다른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하부 지지바(11a) 및 상부 지지바(13a)를 수용한 상태에서 양 단부측 연결 지점에 너트(1553)를 조여 고정시키고 나머지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들은 도 15의 경우와 같이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7, the plate-like truss member 15f includes a lower support bar 11a on which an external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nut 1553 on both end side connection points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pport bar 13a is accommodated. And the other plate-like truss members 15f can be fixed through welding as in the case of Fig.

도 18을 참조하여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하여 인방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은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인방보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llow beam using a plate-type truss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is a schematic view for sequentially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ollow beam using the plate-type truss member.

본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강재 인방보 제조방법은 먼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부 지지바(11)를 적어도 둘 이상 제공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thin beam for a window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rst provides at least two lower support bars 11 spa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8 (a).

이어서,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바(11)들을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의 홈 또는 홀에 끼우고 용접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1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바(13)를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의 홈 또는 홀에 끼운다. 다음으로 도 1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바(13)들 및 하부 지지바(11)들을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구부린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앙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지지바(13)들과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15f)를 용접하여 고정함으로써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창호용 강재 인방보의 제조가 완료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8 (b), the lower support bars 11 are fitted into the grooves or holes of the plate-like truss member 15f, welded and fixed. Next, as shown in Fig. 18 (c), the upper support bar 13 is fitted into the groove or the hole of the plate-like truss member 15f. 18 (d), the upper support bars 13 and the lower support bars 11 are bent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portion. Finally, the upper support bars 13 and the plate-shaped truss member 15f are welded and fixed so as to maintain the protruded state of the center portion, thereby completing the manufacture of the steel plate hollow beam for a window using the plate-type truss member.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have.

10: 인방보
11: 하부 지지바
13: 상부 지지바
15: 트러스 부재
151: 제1 연결바
153: 제2 연결바
10: Inner beam
11: Lower support bar
13: Upper support bar
15: truss member
151: first connection bar
153: Second connection bar

Claims (14)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는 하부 지지바;
상향 돌출되도록 곡률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바의 상부에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를 연결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벽돌 또는 블록이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획하는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바는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에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바의 길이는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최외곽 트러스 부재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A lower support bar having at least two curvatures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upper support bar having a curvature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bar; And
And a truss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divide the brick or block so as to be received between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Wherein the upper support bar is formed only in a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support ba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pport bar is further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most truss member I'm sor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바;
상기 하부 지지바들 중 양측면의 최 외곽 지지바와 상기 상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uss member
A first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lower supporting bars;
And a second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outermost support bars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support bars and the upper support b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양측면의 상기 제2 연결바들은 일체형 또는 상기 제2 연결바의 상단부가 이격된 형상의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ars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s on both sides are integrally formed or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바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트러스 부재는 상기 상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제3 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uss member further comprises a third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upper supporting bars when the upper supporting bars are two or mo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바, 상기 양측면의 상기 제2 연결바들 및 상기 제3 연결바는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bar, the second connection bars on both sides, and the third connection bar are integ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가 수용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바 수용부가 형성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uss memb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groove or a hole-like bar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lower supporting bar and the upper supporting bar is form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의 바 수용부는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와 용접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bar receiving portion of the truss member is welded to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부재 중 양 단부측의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 수용부에 삽입된 상기 하부 지지바 및 상기 상부 지지바에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male screw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At least a part of the truss member including truss members on both end sides is fixed to the lower support bar and the upper support bar inserted in the bar accommodating portion by using a nu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uss member is one of a triangle, a quadrangle, and a polyg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는 중앙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russ member is provided with a cut-away portion at least a part of the center there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구간의 상기 하부 지지바에는 상기 하부 지지바 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바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하부 지지바의 높이 이하의 위치에서 상기 하부 지지바에 고정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 bar of the section where the truss member is not provided is provided with a lower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lower support bars, Steel forged st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바, 상기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트러스 부재는 철근 또는 강선으로 제조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pport bar,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truss member are made of reinforcing steel or steel wire.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부 지지바를 적어도 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의 홈 또는 홀에 끼우고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부 지지바를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의 홈 또는 홀에 끼우는 단계;
상기 상부 지지바 및 상기 하부 지지바들을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구부리는 단계; 및
상기 중앙부가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지지바와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바는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에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바의 길이는 상기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가 구비된 구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최외곽 플레이트형 트러스 부재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창호용 강재 인방보 제조방법.
Providing at least two lower support bars spaced horizontally;
Welding and fixing the lower support bars to the grooves or holes of the plate-shaped truss member;
Fitting an upper support bar into a groove or a hole of the plate type truss member;
Bending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lower support bars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part; And
And welding and fixing the upper support bar and the plate-type truss member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maintained in a protruded state,
The upper support bar is formed only in a section where the plate truss member is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upper support ba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where the plate truss member is provided, Wherein said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40029503A 2014-03-13 2014-03-13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603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03A KR101603403B1 (en) 2014-03-13 2014-03-13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03A KR101603403B1 (en) 2014-03-13 2014-03-13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07A KR20150107107A (en) 2015-09-23
KR101603403B1 true KR101603403B1 (en) 2016-03-14

Family

ID=5424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503A KR101603403B1 (en) 2014-03-13 2014-03-13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4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44A (en) 2020-04-07 2021-10-15 (주)바로건설기술 Steel Lintel For Window And Do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83B1 (en) * 2016-10-25 2017-02-01 장우석 A Lintel for Housing
KR102113819B1 (en) 2018-05-03 2020-05-21 (주)티케이이엔지 Lintel Beam For Window Frames For Maintenance of Concrete Coating Thicknes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271A1 (en) * 2001-12-06 2003-06-12 Steel Block, Inc. Lintel block and method
KR100726687B1 (en) * 2007-02-06 2007-06-11 (주)바로건설기술 Lintel of window and do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0938B1 (en) * 1999-10-18 2003-05-13 John Powers, Jr. Box lint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271A1 (en) * 2001-12-06 2003-06-12 Steel Block, Inc. Lintel block and method
KR100726687B1 (en) * 2007-02-06 2007-06-11 (주)바로건설기술 Lintel of window and 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44A (en) 2020-04-07 2021-10-15 (주)바로건설기술 Steel Lintel For Window And Door
KR102364128B1 (en) * 2020-04-07 2022-02-18 (주)바로건설기술 Steel Lintel For Window And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07A (en)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5707A1 (en) Floor structure
KR100903398B1 (en) Precast multi tee fiber and wiremesh slab
US10287773B2 (en) Formwork
PT102332A (en) LOST MOLD ELEMENT FOR BUILDING FUNGIFORM LAJES
US11326345B2 (en) Hollow composite beam using dual-we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03403B1 (en) Lintel using stee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100071306A1 (en) Reinforcing bracket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s
US8028492B2 (en) Upright support member for an insulating sheet of a wall having an internal cavity
JP6108595B2 (en) Ribbed precast concrete plate and method of placing concrete floor slab and beam using it
US20170191268A1 (en) Pre-Stressed Concrete Body
KR100991046B1 (en) H beam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H beam
KR100726687B1 (en) Lintel of window and door
KR101875043B1 (en) Pre-tensioned hollow concrete slab using square pipes
WO2006040624A1 (en) Improved floor structure
US20090044479A1 (en) Wall panel apparatuses and methods
KR20210068270A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KR101701416B1 (en) Precast Concrete Deck for Long-Span Slab and the Slab using it
KR101734127B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lab structure
KR20100090553A (en) Multi-slab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oposed
KR102140407B1 (en) Mamanufacturing method of PSC girder using end form steel plate
KR20220167592A (en) Linking assembly for lintel at building work
KR100947410B1 (en) Tie of variable length
KR101701683B1 (en) A Lintel for Housing
KR101186825B1 (en) Reinforcement apparatus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a hole
KR200394923Y1 (en) device of fixing tow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