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221B1 -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221B1
KR101603221B1 KR1020090091313A KR20090091313A KR101603221B1 KR 101603221 B1 KR101603221 B1 KR 101603221B1 KR 1020090091313 A KR1020090091313 A KR 1020090091313A KR 20090091313 A KR20090091313 A KR 20090091313A KR 101603221 B1 KR101603221 B1 KR 101603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extraction
moving
pressure chamb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722A (ko
Inventor
이응삼
노진환
박권일
강지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2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전기적 신호에 의하지 않고 일정량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상기한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는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량 조절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조절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재 몸체,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경사턱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조절부재 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91313
정수기, 유체 추출, 기계식, 정량추출

Description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FLUID EXTRACTING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AMOUNT OF EXTRATING}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구비되어 냉,온수를 추출하기 위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화된 음용수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정수기의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자연수(이하, 정수되기 전 상태의 물을 '원수'라 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 원수를 여과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음용수를 제공한다.
한편, 정수기에는 정수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가 구비되며, 추출부에는 정수가 추출되는 추출코크를 구비한다. 또한, 추출코크를 통해 일정량의 정수만이 토출되도록 하는 유체 추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체 추출장치는 전자식으로 다이어프램식 밸브를 통해 전기신호를 받아서 일정량의 정수를 추출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유체 추출장치는 전기적 장치를 통해 시간을 제어해야 하므로, 복잡하고 불편한 부분이 잠재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 추출장치는 전기적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에 의하지 않고 일정량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는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량 조절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조절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재 몸체,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경사턱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조절부재 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는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강제 복귀시키는 유체 추출 차단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추출 차단유닛은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토록 구성된 양분된 압력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부를 구비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통부재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는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방지토록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압력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실을 양분하는 벽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는 압력조절부재가 사이에 장착되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2 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을 완전 연통시켜서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2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 내측면에 접촉하여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는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과,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강제 복귀시키는 유체 추출 차단유닛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방지토록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추출 차단유닛은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토록 구성된 양분된 압력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부를 구비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통부재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시 신축되는 탄성부재와 이동시 공기 유동량을 조절토록 구성된 벽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벽체부재에 의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의 추출량을 조절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압력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실을 양분하는 벽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는 압력조절부재가 사이에 장착되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2 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을 완전 연통시켜서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2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 내측면에 접촉하여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압력실과, 상기 압력실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추출코크와 상기 유로를 연결하는 연통홀과 상기 추출코크를 구비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지지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한 후 회동되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리브에 고정되는 걸림돌기일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동부가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를 통해 유체의 추출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호에 의하지 않고 일정량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량 조절유닛을 통해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추출 차단유닛을 통해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 중 유체 추출을 빠르게 차단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미량의 유체만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를 통해 추출코크를 통한 계속적인 유체 추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많은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100, 이하 '유체 추출장치'라 함)는 일예로서 몸체부(120)와, 이동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몸체부(120)는 이동부(140)에 의해 양분되는 압력실(121)을 구비할 수 있다.
압력실(121)은 이동부(14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이동부(140)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압력실(121)의 양분된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 기가 일시에 유출되고, 이동부(140)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압력실(121)의 양분된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어 이동부(140)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12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몸체부(120)는 제1 몸체(122), 제2 몸체(123), 및 제3 몸체(1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몸체(122)는 압력실(121)과 압력실(1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12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몸체(122)의 일측은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미도시)에 연결되며, 배관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제1 몸체(122)의 유로(122a)를 통해 흐르게 된다.
제2 몸체(123)는 제1 몸체(122)에 체결되며, 유체가 토출되는 추출코크(123a)와, 유로(122a)와 추출코크(123a)를 연결하는 연통홀(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몸체(123)는 제1 몸체(122)의 타측에 체결되며, 제1 몸체(122)의 유로(122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연통홀(123b)을 통과하여 추출코크(123a)로 흐르게 된다.
한편, 제2 몸체(123)는 연통홀(123b)로 유입된 유체가 제3 몸체(12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23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23c)는 관통하여 배치되는 이동부(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3 몸체(124)는 제2 몸체(123)에 체결되며, 이동부(14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1 몸체(122), 제2 몸체(123), 제3 몸체(124)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이동부(140)는 제1,2,3 몸체(122,123,124)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동부(140)는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몸체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된다.
한편, 이동부(140)는 압력실(121) 내부에 배치되어 압력실(121)을 양분하는 벽체부재(14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동부(14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벽체부재(141)도 압력실(121) 내부에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양분된 압력실(121) 양쪽의 부피가 변화된다.
다시 말해, 벽체부재(141)가 도 1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실(121) 중 우측에 배치되는 공간이 감소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공간이 증가된다. 또한, 벽체부재(141)가 도 1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실(121) 중 좌측에 배치되는 공간이 감소되고 우측에 배치되는 공간이 증가된다.
그리고, 벽체부재(141)는 압력조절부재(141a)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재(141a)는 벽체부재(141)가 일방향으로 이동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출되도록 양분된 압력실(121)을 완전 연통시키고,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된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도록 압력실(121) 내측면에 접촉한다. 이를 위해, 압력조절부재(141a)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벽체부재(141)가 도 1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조절부재(141a)는 유동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벽체부재(14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인 좌측으로 눕혀져서 양분된 압력실(121)을 완전 연통시킨다.
반면, 벽체부재(141)가 도 1의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압력조절부재(141a)는 벽체부재(141)에 지지되어 압력실(121)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다만, 이때 압력조절부재(141a)가 양분된 압력실(121)을 완전히 밀폐하지는 못하며,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압력실(121)의 내측면과 접촉,이격을 반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실(121)의 좌측에 배치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가 압력실(121)의 우측에 배치되는 공간으로 서서히 유입된다.
다시 말해, 벽체부재(141)는 압력조절부재(141a)가 사이에 장착되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2 지지턱(141b,141c, 도 2 참조)을 구비한다. 제1 지지턱(141b)은 제2 지지턱(141c)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압력조절부재(141a)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벽체부재(141)의 일방향으로 이동시 압력조절부재(141a)는 제1 지지턱(141b)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압력실(121)을 완전 연통시키고, 벽체부재(141)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압력조절부재(141a)는 제2 지지턱(141c)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압력실(121) 내측면에 접촉한다.
또한, 이동부(140)는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어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연통홀(123b)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이동부(140)가 도 1의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재(142)도 이동되어 연통홀(123b)을 개방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122)의 유로(122a)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연통홀(123b)로 유입되고, 결국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토출된다.
이후 이동부(140)가 도 1의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개폐부재(142)도 도 1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연통홀(123b)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제1 몸체(122)의 유로(122a)로부터 연통홀(123b)로의 유체 유입이 차단되고, 결국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토출이 중단된다.
한편, 개폐부재(142)는 연통홀(123b)을 긴밀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고리 형상의 실링체(14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40)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몸체부(120)로부터 이동부(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143)을 구비할 수 있다. 이탈방지판(143)은 실링부재(123c)에 지지되어 이동부(140)가 몸체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동부(140)는 몸체부(120)의 끝단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144)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재(144)는 몸체부(120)의 제3 몸체(124)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며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은 제3 몸체(124)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이동부(1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부재(144)에는 걸림부(144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슬라이딩부재(144)의 걸림부(144a)가 이동이 제한될까지 이동된다.
또한, 이동부(140)는 벽체부재(141)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5)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45)는 일측이 몸체부(120)에 지지되고 타측이 이동부(140)에 지지된다.
다시 말해, 탄성부재(145)는 이동부(140)가 도 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 이동부(14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부재(145)는 일측이 몸체부(120)의 제2 몸체(123)에 지지되고, 타측이 슬라이딩부재(144)에 지지된다.
즉, 사용자가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경우, 즉 이동부(140)가 도 1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 탄성부재(145)는 수축되고, 이후 사용자가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면을 가압하지 않는 경우 이동부(140)가 도 1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부재(145)는 복원력에 의해 신장된다.
또한, 이동부(140)는 관통홀(146, 도 5a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장치(100)는 몸체부(120)에 설치되며, 이동부(140)와 연계하여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량 조절유닛(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부(1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162)와, 스토퍼(162)에 장착되어 스토퍼(162)를 고정시키는 조절부재(164)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6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20)의 제3 몸체(124)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16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스토퍼(162)가 제3 몸체(124)에 장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의 슬라이딩부재(144)는 걸림부(144a)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부(140)는 걸림부(144a)가 스토퍼(162)에 접촉할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62)의 위치에 따라 이동부(140)의 이동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이동부(140)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의 걸림부(144a)와 스토퍼(162)의 거리차에 따라 이동부(14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결국, 이동부(140)의 이동 거리가 차이가 나면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량이 변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토퍼(162)를 이동시킨 후 이동부(1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추출코크(123a)로부터 유출되는 유체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162)는 조절부재(164)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홀(162a)을 구비할 수 있다.
조절부재(164)는 스토퍼(16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토퍼(162)를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조절부재(164)는 조절부재 몸체(164a), 손잡이부(164b), 결합부(164c), 및 복원부재(164d)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재 몸체(164a)는 스토퍼(16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조절부재 몸체(164a)는 스토퍼(162)의 설치홀(162a)에 장착되어 승강된다.
한편, 손잡이부(164b)는 조절부재 몸체(164a)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64b)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단차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64c)는 조절부재(164a)의 타측에 구비되어 복원부재(164d)에 의해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경사턱(124a)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몸체부(120)의 제3 몸체부(124)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경사턱(124a)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64c)는 다수개의 경사턱(124a)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홈(124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경사턱(124a)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된다.
또한, 복원부재(124d)는 일단이 결합부(164c)에 지지되고 타단이 스토퍼(162)에 지지되어 조절부재 몸체(164a)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손잡이부(164b)를 파지하여 조절부재 몸체(164a)를 상승시켜 결합부(164c)를 경사홈(124b)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스토퍼(162)를 이동시킨다. 이때 복원부재(164d)는 수축된 상태에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64b)를 놓으면 조절부재 몸체(164a)는 복원부재(164d)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고, 이에 따라 결합부(164c)는 다수개의 경사홈(124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결합부(164c)가 경사홈(124b)에 결합되어 경사턱(124a)에 지지되면 조절부재 몸체(164a)와 스토퍼(162)는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절부재(164) 상승시켜 스토퍼(162)를 이동시 킬 수 있으며, 스토퍼(162)의 이동을 통해 이동부(140)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추출량 조절유닛(160)을 통해 추출코크(123a)로부터 토출되는 유체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절부재(164)의 결합부(164c)를 걸림부(144a)와 가장 가까이 배치되는 경사홈(124b)에 결합시켜 스토퍼(162)를 위치시킨 후, 이동부(140)를 가압하면 추출코크(123a)부터 200cc의 유체가 추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300cc의 유체를 추출코크(123a)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재(164)의 결합부(164c)를 다른 경사홈(124b)에 결합시켜 스토퍼(162)를 위치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이동부(140)를 가압하면 이동부(140)는 상기한 경우보다 더 이동되고, 결국 추출코크(123a)로부터 보다 많은 양의 유체가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장치(100)는 이동부(140)에 구비되며,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이동부(140)를 강제 복귀시키는 유체 추출 차단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 추출 차단유닛(1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재(182)와 스프링(184)을 구비할 수 있다.
연통부재(182)는 이동부(14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몸체부(120)에 구비되어 이동부(14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양분된 압력실(121)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공기유로부(18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연통부재(182)는 이동하여 이동부(14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양분된 압력실(121) 양측을 연통시키기 위한 공기 유로부(182a)를 구비한다.
한편, 이동부(140)에는 연통부재(182)의 설치를 위해 상기에서 간략하게 설명한 관통홀(146, 도 5a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연통부재(182)는 이동부(140)의 관통홀(146)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공기 유로부(182a)를 통해 양분된 압력실(121) 양측을 연통시키기 위해 이동부(14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147)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연통부재(182)가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공기 유로부(182a)의 일측이 이동부(140)의 연결홀(147)과 연통되도록 위치되고, 공기 유로부(182a)의 타측은 이동부(140)로부터 돌출되어 도 1에 도시된 우측에 배치되는 압력실(121)과 연통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양분된 압력실(121)은 연통되어 양분된 압력실(121) 중 어느 한쪽의 압력실(121)로부터 다른 한쪽의 압력실(121)로 공기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좌측에 위치하는 압력실(121)로부터 도 1의 우측에 위치하는 압력실(121)로 공기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40)가 빠르게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연통부재(182)는 일단에 이동부(140)로부터 연통부재(18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82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연통부재(182)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연통부재(182)를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부(182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140)의 슬라이딩부재(14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재(182)의 누름부(182c)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홈(144b)이 구비된다. 즉, 사용자가 연통부재(182)의 누름부(182c)를 가압하면 누름부(182c)는 슬라이딩홈(144b)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스프링(184)은 연통부재(182)에 장착되어 연통부재(182)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184)은 일단이 슬라이딩홈(144b)에 지지되고, 타단이 누름부(182c)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통부재(182)를 가압하면 스프링(184)는 수축되고, 사용자가 연통부재(182)의 가압을 멈추면 스프링(184)은 복원력에 의해 신장된다. 따라서, 연통부재(182)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유체 유출 장치(100)는 이동부(140)의 이동을 방지토록 이동부(140)에 구비되어, 추출코크(123a)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90)는 도 5(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의 슬라이딩부재(144)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일 수 있으며, 제3 몸체(124)의 내부면에는 고정부재(190)를 고정시키는 리브(124c)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부(140)를 회동시키면 고정부재(190)는 제3 몸체(124)의 리브(124c)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40)는 원위치로 복귀되지 못한다. 결국,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가 연통홀(123b)을 폐쇄하지 못하고 연통홀(123b)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추출코크(123a)로 유체가 계속적으로 토출된다.
이후, 사용자가 이동부(140)를 회동시켜 고정부재(190)가 리브(124c)로부터 이탈되면 이동부(140)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이동부(140)의 개폐부 재(142)가 연통홀(123b)을 폐쇄한다.
한편, 이동부(140)의 슬라이딩 이동시 고정부재는 제3 몸체(124)에 구비되는 안내홈(124d, 도 5 참조)을 따라 이동되고, 리브(124c)는 안내홈(124d)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140)를 통해 유체의 추출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호에 의하지 않고 일정량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량 조절유닛(160)을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추출 차단유닛(180)을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항 유체 추출 중 유체 추출을 빠르게 차단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미량의 유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190)를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한 계속적인 유체 추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많은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장치에 의해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장치에 의해 유체가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 차단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6과 같이 이동부(140)가 원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는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연통홀(123b)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몸체부(120)의 제1 몸체(122)에 구비되는 유로(122a)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연통홀(123b)로 유입되지 못하고, 결국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토출되지 못한다.
한편, 사용자가 이동부(14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144)의 일측면을 가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는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압력조절부재(14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재(141)의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눕혀져서 양분된 압력실(121)을 완전 연통시킨다.
이에 따라, 양분된 압력실(121)의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입된다.
한편, 이동부(140)에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144)의 걸림부(144a)가 추출량 조절유닛(160)의 스토퍼(162)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부(140)는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123b)을 개방하고, 이에 따라 유체는 추출코크(123a)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이동부(140)는 탄성부재(145)의 복원력에 의해 도 7의 좌측을 향해 이동된다. 이때 압력조절부재(14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의 이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눕혀지는데, 이 경우 압력조절부재(141a)는 압력실(121)과 접촉과 이격을 반복한다. 즉, 공기에 의한 압력과 탄성부재(145)의 복원력에 의해 압력조절부재(141a)는 압력실(121)과 접촉, 이격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양분된 압력실(121)의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된다.
결국, 이동부(140)가 서서히 도 7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부(140)는 탄성부재(145)가 원형상으로 복원될 때까지 이동된다.
한편, 이동부(14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는 연통홀(123b)을 폐쇄하고, 이에 따라 유체는 더 이상 추출코크(123a)를 통해 토출되지 못한다.
사용자가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추출량 조절유닛(16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후방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조절부재(164)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스토퍼(162)를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조절부재(164)를 놓게 되면 스토퍼(162)가 정지된다. 이후, 이동부(140)의 걸림부(144a)가 스토퍼(162)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부(140)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부(140)의 이동거리가 증가되고, 결국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가 연통홀(123b)을 폐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추출코크(123a)를 통해 유체가 보다 많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추출코크(123a)로부터의 유체 추출 중, 유체 추출을 빠르게 차단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추출 차단유닛(180)의 연통부재(182)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 경우, 연통부재(182)에 구비되는 공기 유로부(182a)를 통해 양분된 압력실(121)이 연통되어 양분된 압력실(121) 중 좌측에 배치되는 압력실(121)의 공기가 우측에 배치되는 압력실(121)로 빠르게 유동되어 이동부(140)가 원위치로 빠르게 복귀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연통부재(182)의 가압을 중단하면, 연통부재(182)는 스프링(184, 도 1 참조)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사용자가 추출코크(123a)으로부터 계속해서 유체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를 가압한 상태에서 회동시키면, 이동부(14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90)가 몸체부(120)의 리브(124c)에 지지되어 이동부(140)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이동부(140)의 개폐부재(142)는 연통홀(123b)을 폐쇄하지 못하고, 추출코크(123a)를 통해 계속해서 유체가 추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몸체부(120)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부(140)를 통해 유체의 추출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신호에 의하지 않고 일정량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량 조절유닛(160)을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추출 차단유닛(180)을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항 유체 추출 중 유체 추출을 빠르게 차단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미량의 유체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190)를 통해 추출코크(123a)를 통한 계속적인 유체 추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예를 들어 많은 양의 유체를 계속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 차단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에 의해 유체가 토출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에 의해 유체가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출량 조절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 추출 차단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120 : 몸체부
140 : 이동부
160 : 추출량 조절유닛
180 : 유체 추출 차단유닛
190 : 고정부재

Claims (16)

  1.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량 조절유닛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를 고정시키는 조절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부재 몸체,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조절부재 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경사턱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는 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결합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상기 조절부재 몸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2.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강제 복귀시키는 유체 추출 차단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추출 차단유닛은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토록 구성된 양분된 압력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부를 구비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통부재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3.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방지토록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압력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실을 양분하는 벽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는 압력조절부재가 사이에 장착되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2 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을 완전 연통시켜서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2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 내측면에 접촉하여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4.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기의 유동량에 따라 이동속도가 조절되는 이동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와 연계하여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량을 조절하는 추출량 조절유닛;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이동부를 강제 복귀시키는 유체 추출 차단유닛;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방지토록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연속적으로 유체가 추출되도록 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추출 차단유닛은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조절토록 구성된 양분된 압력실을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 유로부를 구비하는 연통부재와, 상기 연통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연통부재의 이동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5. 추출코크가 구비되는 몸체부; 및
    상기 추출코크를 통해 유체가 추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동시 신축되는 탄성부재와 이동시 공기 유동량을 조절토록 구성된 벽체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벽체부재에 의해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의 추출량을 조절하는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압력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압력실을 양분하는 벽체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는 압력조절부재가 사이에 장착되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2 지지턱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1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을 완전 연통시켜서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공기가 일시에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압력조절부재는 상기 제2 지지턱에 지지되어 변형됨에 따라 상기 압력실 내측면에 접촉하여 양분된 상기 압력실의 타측에서부터 일측으로 공기가 서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압력실과, 상기 압력실의 외측에 배치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유로를 구비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추출코크와 상기 유로를 연결하는 연통홀과, 상기 추출코크를 구비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에 체결되며 상기 이동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몸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추출코크를 통한 유체 추출을 조절하기 위해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11.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벽체부재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이동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한 후 회동되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구비되는 리브에 고정되는 걸림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동부가 내부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고정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안내홈으로부터 절곡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KR1020090091313A 2009-09-25 2009-09-25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KR101603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13A KR101603221B1 (ko) 2009-09-25 2009-09-25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313A KR101603221B1 (ko) 2009-09-25 2009-09-25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22A KR20110033722A (ko) 2011-03-31
KR101603221B1 true KR101603221B1 (ko) 2016-03-14

Family

ID=4393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313A KR101603221B1 (ko) 2009-09-25 2009-09-25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2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05A (ja) * 2006-06-12 2006-11-09 Musashi Eng Co Ltd 液体定量吐出バル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399A (ko) * 2002-10-05 2004-04-13 이재언 정량토출 및 연속토출형 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05A (ja) * 2006-06-12 2006-11-09 Musashi Eng Co Ltd 液体定量吐出バル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722A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9880B (zh) 手持式喷头保持装置
CN110199145B (zh) 卫生阀和相应的产品系列
RU2007125990A (ru) Штыревой клапанный моэр-соединитель с регулированием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работы клапанов
US11060630B2 (en) Rigid piston valve incorporating a solenoid
WO2007010284A3 (en) Automatic fluid flow control device
CA2548013A1 (en) Thermostatic mixing valve
JP6713054B2 (ja) 安全バルブ
MXPA05000624A (es) Valvula de presion de proteccion.
KR101603221B1 (ko) 추출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용 유체 추출장치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US4245813A (en) Flush valve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EP1195547A3 (en) Remote shut-off valve
CN108431717B (zh) 混合阀
WO2006087606A3 (en) Pressure-actuated normally open fluid valve
KR200353418Y1 (ko) 정수기용 온수코크
KR20090062972A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CN114001179B (zh) 分水阀和淋浴装置
CN214999480U (zh) 压力阀
KR101673608B1 (ko) 필터카트리지 결합 장치
CA2513078A1 (en) Valve
JP7318448B2 (ja) 自動水栓装置
CN210077403U (zh) 一种用于饮水机的压杆的导向结构
CN212975527U (zh) 一种花洒结构
CN108096896B (zh) 一种用于过滤器的双止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