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085B1 -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085B1
KR101603085B1 KR1020150109687A KR20150109687A KR101603085B1 KR 101603085 B1 KR101603085 B1 KR 101603085B1 KR 1020150109687 A KR1020150109687 A KR 1020150109687A KR 20150109687 A KR20150109687 A KR 20150109687A KR 101603085 B1 KR101603085 B1 KR 10160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rtical wall
water
water stora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박철홍
(주)이젠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홍, (주)이젠리버텍 filed Critical 박철홍
Priority to KR102015010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블럭(30,30')은 블럭몸체(31)의 내부에 통과공간(32)과 저수공간(33)이 구비된다. 상기 통과공간(32)에는 식생토가 채워져서 상부의 식생포트(20)로부터 전달된 물과 뻗어나온 뿌리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저수공간(33)에는 물이 모여 있다가 상부의 식생토가 마르게 되면 연결관(40) 내에 설치된 물전달포(42)를 통해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식생포트(20)의 식생토로 전달된다. 상기 통과공간(32)의 바닥을 형성하는 통과판(32')에는 메쉬통공(32")이 형성되어 물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바닥판(24)에도 메쉬통공(24')이 형성되어 물과 뿌리가 통과하여 하부에 있는 연결블럭(30,30')으로 갈 수 있다. 상부의 식생포트(20)의 하면과 하부의 식생포트(20)의 상면사이에 연결블럭(30,30')이 안착되어 식생포트(20) 들 사이에서 물과 뿌리가 지나갈 수 있도록 됨에 의해 식생포트(20)에 식재된 식물이 보다 잘 자랄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Connecting block for vertical planting and apparatus for vertical plan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설치되는 식생포트 사이에서 물과 뿌리가 통과하도록 하여 식물이 보다 잘 성장되도록 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에 수직벽면을 녹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도시의 각종 수직벽면뿐 아니라 각종 인위적인 수직벽면에 식물이 자라도록 하여 수직벽면을 녹화하거나 여러 가지 꽃과 나무들로 장식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수직벽면에서 식물이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식생토를 담아 유지하는 식생포트가 필요한데, 그 식생포트 내의 식생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식생토가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 외부로 노출되는 식생토 부분을 최소화하다보면, 식물의 일부를 교체하는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하나의 식생포트에 있는 다수의 식물중에서 일부가 죽는 경우에, 죽은 일부의 식물만을 제거하고 새로 식물을 심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벽면은 주로 실외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겨울에 기온이 낮아지면 식물이 동사하는 경우들이 많이 발생한다. 이는 식생포트의 많은 부분이 대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식물의 뿌리로 찬 기운이 쉽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직벽면에 장착되는 식생포트는 중력의 영향으로 낙하될 가능성이 크므로 그 크기를 일정 이상으로 크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내부에 채워지는 식생토의 양이 제한될 수 밖에 없어 식물의 뿌리가 자라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목본을 식생포트에 심는 경우에는 뿌리가 충분히 뻗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식생포트의 크기가 제한되므로 목본의 경우 뿌리가 제대로 뻗어나지 못하여 제대로 자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119에서는 각각의 식생포트에 있는 식물의 뿌리가 식생포트 외부로까지 자랄 수 있도록 생육기반부(30)를 두고 있다. 하지만, 상기 생육기반부(30)는 식생포트에 해당되는 식재기반부(40)와는 별개로 장치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연결되게 생육기반부(30)가 만들어져 있어, 수직벽에 별도로 생육기반부(30)를 만들고 이와 연결되게 식재기반부(40)를 구성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9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4094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벽면에의 식생포트와 연결블럭의 장착과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식물의 교체가 용이한 수직벽 녹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부에 설치되는 식생포트 사이를 물과 뿌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뿌리가 여러개의 식생포트로 충분히 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블럭 내에 물을 저장하였다가 가뭄 시에 식생포트로 물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포트에서 외부공기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월동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결블럭은 수직벽에 설치된 상하의 식생포트 사이에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도록 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에 있어서,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지고 바닥을 형성하는 통과판에 메쉬통공이 형성된 통과공간과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통과공간과 저수공간을 차폐하고 메쉬통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간은 상기 저수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간은 상기 저수공간의 양단에 해당되는 블럭몸체의 양단부에 있고 상기 양단부의 통과공간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부의 식생포트로 보내기 위한 연결관이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블럭몸체의 배면 상단에는 상기 수직벽에의 장착을 위한 걸이편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에는 안내핀이 메쉬통공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의 표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직벽을 식물로 녹화하는 수직벽 녹화장치에 있어서, 수직벽에 다수의 층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고 내부공간에 식생토가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포트와,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와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식생포트 내부의 식생토 사이에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도록 하는 상기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의 저수공간과 상기 식생포트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고 내부에 일단부가 상기 저수공간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식생포트의 식생토 내에 위치되는 물전달포가 설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한다.
상기 식생포트는 메쉬통공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배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단과 상기 배면판의 양단에 동시에 연결되는 측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선단 및 상기 측면판과 연결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은 상기 식생포트의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전면판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중앙부가 가장 돌출되게 아치형으로 된다.
상기 전면판의 상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식물안내경사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식물안내경사부는 상기 전면판이 상기 바닥판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벽에는 제1걸이슬롯을 구비하는 제1장착가이드와 제2걸이슬롯을 구비하는 제2장착가이드가 쌍을 이뤄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 상하에 형성된 걸이편이 상기 제1 및 제2 걸이슬롯에 걸어지고 상기 연결블럭의 걸이편이 상기 제2걸이슬롯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포트의 식생토 상에 안착된다.
상기 연결블럭은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식생포트에 걸쳐서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포트와 연결블럭이 수직벽면에 장착된 장착가이드에 걸어져 설치되므로 전체 수직벽중 일부의 식생포트와 연결블럭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같은 행에 있는 식생포트와 연결블럭의 일부만을 제거해도 되므로 식생포트와 연결블럭의 교체가 용이하게 되고 식생포트의 입구가 넓게 형성되어 식물의 교체도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블럭이 상하부에 설치되는 식생포트의 식생토를 서로 연결하게 되어, 물이 연결블럭을 통해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에서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로 전달될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연결블럭을 통해 식생포트들을 따라 뻗어 갈 수 있어 식물의 생육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연결블럭의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은 가뭄시에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식생토로 공급된다. 또한 연결블럭을 통해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에서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로 물이 전달될 수 있어 식물들로의 물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연결블럭은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표면중에서 식물이 없는 부분과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연결블럭이 식생포트와 접촉되는 부분들은 외부공기가 접근할 수 없게 되어 월동시에 식물이 동해를 입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물과 뿌리의 연결을 위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식생포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연결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블럭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연결블럭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결블럭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결블럭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연결블럭을 사용하여 물과 뿌리의 통과를 위한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연결블럭에 안내핀이 형성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직벽 녹화장치는 수직벽(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수직벽(10)의 표면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장착가이드(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장착가이드(12)는 본 실시례에서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1 장착가이드(12)와 수직벽(10)의 표면 사이에는 제1 걸이슬롯(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장착가이드(12)의 제1 걸이슬롯(14)은 중력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1 장착가이드(12)와 쌍을 이뤄서 제2 장착가이드(16)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2 장착가이드(16)와 수직벽(10)의 표면 사이에는 제2 걸이슬롯(18)이 중력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걸이슬롯(14,18)은 상기 제1 장착가이드(12)나 제2 장착가이드(16) 자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 장착가이드(12,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식생포트(20)와 연결블럭(30)을 수직벽(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장착가이드(12,16) 대신에 다른 구성으로 식생포트(20)와 연결블럭(30)을 장착할 수도 있다.
식생포트(20)는 식생토가 채워진 상태로 식물이 식재되는 부분이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2)은 상기 식생포트(20)의 상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내부공간(22)의 바닥, 즉 상기 식생포트(20)의 바닥을 바닥판(24)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24)은 메쉬형상으로 다수개의 메쉬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쉬통공(24')을 통해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4)에는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관(42)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관통공(26)은 2개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갯수와 형상은 연결관(42)의 갯수와 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식생포트(20)의 양측을 측면판(27)이 형성한다. 상기 측면판(27)과 바닥판(24)에 연결되어서는 배면판(28)이 있다. 상기 배면판(28)은 상기 식생포트(20)의 배면을 형성하는데, 평판형상이다. 상기 배면판(28)은 상기 수직벽(10)의 표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배면판(28)의 상단과 하단에는 걸이편(28')이 있다. 상기 걸이편(28')은 상기 배면판(28)의 상단과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장착가이드(12,16)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1 및 제2 걸이슬롯(14,18)에 삽입된다.
상기 식생포트(20)의 전면을 전면판(29)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29)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공간(12)의 입구가 바닥쪽에 비해서 횡단면적이 더 넓어지게 한다. 즉, 상기 전면판(29)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29)에는 다수개의 식물안내경사부(29')가 형성된다. 상기 식물안내경사부(29')는 상기 전면판(29)이 상기 바닥판(24)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식물안내경사부(29')는 횡단면이 호형상을 이루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식물안내경사부(29')는 경사지게 자라는 식물을 지지하여 식생포트(20)의 전방 상부를 향해 식물이 잘 자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29)은 중앙부가 양단부에 비해 더 돌출되게 아치형 곡면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식생포트(20)의 전방에서 식생포트(20)의 전면판(29) 어디를 보더라도 식물이 무성하게 보여 녹시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식생포트(20)는 수직벽(10)에 행과 열을 이루도록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식생포트(20)가 설치된 행과 행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는데, 상기 간격에는 연결블럭(30)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블럭(30)은 상하로 인접하여 설치된 식생포트(20) 사이에서 물이 전달되도록 하고 식물의 뿌리가 연결되어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블럭(30)은 그 상면이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20)에 밀착되고, 하면이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20)의 식생토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연결블럭(30)은 본 실시례에서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즉, 직육면체형상의 블럭몸체(31)가 연결블럭(3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31)의 내부에는 격벽(31')이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있어서 내부를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즉, 중앙에는 통과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간(32)의 바닥을 통과판(32')이 형성한다. 상기 통과판(32')은 메쉬형상으로 다수개의 메쉬통공(32")이 있다. 상기 메쉬통공(32")을 통해서는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한다. 상기 통과공간(32)의 내부에는 식생토가 채워져서 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31')에 의해 구획된 나머지 공간은 저수공간(33)이다. 상기 저수공간(33)은 상부의 식생포트(20) 등에서 전달된 물이 모여진다. 상기 저수공간(33)에 모여진 물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관(40)의 물전달포(42)를 통해서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식생토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공간(33)의 바닥을 바닥판(33')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33')은 물이 통과할 수 없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블럭(30)의 내부에 형성된 통과공간(32)과 저수공간(33)을 덮도록 커버(35)가 있다. 상기 커버(35)는 상기 블럭몸체(31)와 별개로 만들어진 것으로 대략 4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커버(35)는 상기 블럭몸체(31)의 내부공간(통과공간(32)과 저수공간(33))의 입구에 안착되어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35)는 전체가 메쉬형상으로 되어 메쉬통공(35')이 있다. 상기 메쉬통공(35')을 통해서 물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메쉬통공(35')중에서 저수공간(33)과 대응되는 곳을 통과한 물은 저수공간(33)에 모아지고 통과공간(32)과 대응되는 곳을 통과한 물은 해당 연결블럭(30)의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20)로 전달된다.
상기 커버(35)에서 상기 저수공간(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관통공(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관(40)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36)은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커버(35)에 저수공간(33)과 대응되게 2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블럭몸체(31)의 배면 상단에는 걸이편(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38)은 횡단면이 'ㄱ'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이편(38)은 상기 제2장착가이드(16)의 제2걸이슬롯(18)에 걸어져 수직벽(10)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블럭몸체(31)는 하부의 식생포트(20)의 식생토 표면에도 지지된다.
상기 식생포트(20) 내부의 식생토로 전달된 물중에서 일부는 하부의 연결블럭(30)으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블럭(30)으로 전달되는 물중에서 상기 통과공간(32)으로 전달된 것은 더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20)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공간(33) 쪽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저수공간(33)에 모아진다. 상기 저수공간(33)에 모여진 물을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20)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관(40)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관(40)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의 관이다. 하지만 횡단면이 사각형 등 다각형으로 되는 관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40)은 상부의 식생포트(20)에서 시작해서 하부의 연결블럭(30)의 상기 저수공간(33) 내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연결관(40)의 내부에는 물전달포(42)가 있다. 상기 물전달포(42)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직포가 있다. 상기 물전달포(42)는 상기 연결관(4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저수공간(33)의 바닥까지 연장되고 타단부는 식생포트(20)의 식생토 내에 있다. 이와 같이 물전달포(42)를 연결관(30) 내부에 두게 되면 저수공간(33)의 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식생포트(20)의 식생토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을 살펴보면, 본 실시례의 연결블럭(30)을 사용하여 인접한 식생포트(20)들 사이에서 물과 뿌리를 연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식생포트(20)에서 인접하는 2개에 걸쳐서 하나의 연결블럭(30)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중앙에 있는 통과공간(32)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된 식생포트(20)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이에 더해 하나의 식생포트(20)는 그 양단에서 연결블럭(30)에 의해서 인접한 식생포트(20)들과 물과 뿌리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면 하나의 식생포트(20)가 그를 둘러싸는 8개의 식생포트(20)들과 물과 뿌리가 연결되고, 실질적으로 수직벽(10)에 있는 모든 식생포트(20)들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 11에는 연결블럭(3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에서 설명된 연결블럭(30)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례의 연결블럭(30')에서는 저수공간(33)이 연결블럭(30')의 중앙에서 일부 폭에 걸쳐 있고 통과공간(32)은 전체에 걸쳐 있다. 즉, 연결블럭(30')의 중앙에 있는 상기 저수공간(33)이 연결블럭(30')의 폭의 일부에 만 있어 연결블럭(30')의 양단에 있는 통과공간(32)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저수공간(33)의 바닥판(33')과 통과공간(32)의 통과판(32')의 구성은 위의 실시례에서와 같다.
커버(35)의 구성도 관통공(36)의 위치가 저수공간(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바뀐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통과공간(32)의 내부에는 식생토가 채워져서 뿌리가 자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블럭(30')은 상부와 하부의 상기 식생포트(20) 사이에 설치됨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블럭(30')이 인접한 2개의 식생포트(20)에 걸쳐서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30')에서는 통과공간(32)이 연결블럭(30')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변의 8개의 식생포트(20)들에서 물과 뿌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는 도 9에 도시된 연결블럭(30')의 커버(35)에 안내핀(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핀(37)은 물과 뿌리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안내핀(37)이 상부에 설치된 식생포트(20)의 바닥판(24)의 메쉬통공(24')을 통해 내부공간(22)으로 들어가서 내부공간(22)의 물과 뿌리가 하부의 연결블럭(30')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핀(37)은 상기 메쉬통공(24') 사이의 십자부분 중앙에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35)의 표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과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수직벽(10)에 수직벽 녹화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수직벽(10)의 표면에 제1 및 제2 장착가이드(12,16)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들 제1 및 제2 장착가이드(12,16) 쌍은 상기 식생포트(30)의 층 수만큼 설치된다.
상기 장착가이드(12,16)를 활용하여 가장 낮은 위치에서부터 상기 식생포트(20)를 설치한다. 가장 낮은 위치에 일렬로 다수개의 식생포트(2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연결블럭(30,30')을 상기 식생포트(2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그 상단의 제1장착가이드(12)에 걸이편(38)이 걸어지도록 한다. 이때, 일측 단부의 식생포트(20)의 절반에는 연결블럭(30,30')이 설치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 부분에는 상기 연결블럭(30.30')의 절반 크기의 것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식생포트(20)의 상면중 배면판(28)에 인접한 식생토 표면에는 상기 연결블럭(30,30')이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블럭(30,30') 상에는 식생포트(20)들이 배치된다. 상기 식생포트(20)는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식생포트(20)와 같은 위치에 있게 된다. 하지만, 상하부에 있는 식생포트(20)가 반드시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식생포트(20)의 상부에는 다시 연결블럭(30,30')들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30,30')의 저수공간(33)과 식생포트(20)의 내부 사이에는 연결관(40)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40)의 내부에는 물전달포(42)가 설치된다. 상기 물전달포(42)는 그 양단부가 상기 연결관(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저수공간(33)의 바닥에 일단부가 있고, 타단부는 상기 식생포트(20) 내부의 식생토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식생포트(20)에 상기 연결관(40)을 설치하여 상기 관통공(26)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블럭(30,30')의 커버(35)에 형성된 관통공(36)을 통해 저수공간(33) 내부로 연결관(40)이 들어가게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식생포트(20)와 연결블럭(30,30')을 차례로 적층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수직벽 녹화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식생포트(20)에 식재된 식물이 자라게 되면 수직벽 녹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포트(20)에 있는 식물은 상기 연결블럭(30,30')을 통해 뿌리를 인접한 식생포트(20)들로 뻗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블럭(30,30')의 상면에서는 커버(35)의 메쉬통공(35')을 통해 물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고, 하면에서는 통과판(32')의 메쉬통공(32")을 통해 물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식생포트(20)에서는 그 바닥판(24)에 메쉬통공(24')이 형성되어 있어서 식물의 뿌리와 물이 식생포트(20)의 하부로 갈 수 있고,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공간(22)에 채워진 식생토의 표면에 상기 연결블럭(30,30')의 하면이 안착되어 있어서 물과 뿌리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블럭(30,30')에 의해서 하나의 식생포트(20)를 기준으로 그 주변의 8개의 식생포트(20)가 물과 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되므로, 수직벽(10) 전체의 식생포트(20)가 실질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식물은 실질적으로 그보다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20) 전체에 걸쳐서 뿌리를 뻗을 수 있다. 물론 최하단의 식생포트(20)에 있는 식물은 식생포트(20)가 안착되어 있는 지반으로 뿌리를 뻗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공간(33)의 물은 상기 연결관(40) 내부에 있는 물전달포(42)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20)의 식생토로 전달된다. 상기 식생토가 말라 물이 필요하게 되면 상기 물전달포(42)를 통해 상기 저수공간(33)의 물이 모세관현상을 통해 올라간다. 이때, 상기 연결관(30)이 있음으로 해서 최대한 식생포트(20)의 식생토중에서 연결관(30)이 연장되어 있는 부분까지 직접 물이 전달될 수 있어, 물의 전달효율을 연결관(30)이 높여주게 된다.
참고로, 상기 식생포트(20)에 식생토를 채울 때에는 내면에 부직포를 깔아주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바닥판(24)의 메쉬통공(24')을 통해 식생토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온의 효과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식생포트(20)의 내부공간(22)에 채워진 식생토의 표면까지 상기 부직포가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연결블럭(30,30')이 있는 부분에는 부직포가 없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30,30')에도 내면에 부직포를 깔아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식생포트(20)의 예에서와 같이, 식생토의 유실방지와 보온을 위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직벽 12: 제1장착가이드
14: 제1걸이슬롯 16: 제2장착가이드
18: 제2걸이슬롯 20: 식생포트
22: 내부공간 24: 바닥판
24': 메쉬통공 26: 관통공
27: 측면판 28: 배면판
28': 걸이편 29: 전면판
30, 30': 연결블럭 31: 포트몸체
31': 격벽 32: 통과공간
32': 통과판 32": 메쉬통공
33: 저수공간 33': 바닥판
35: 커버 35': 메쉬통공
36: 관통공 37: 안내핀
40: 연결관 42: 물전달포

Claims (11)

  1. 수직벽에 설치된 상하의 식생포트 사이에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도록 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에 있어서,
    내부에 식생토가 채워지고 바닥을 형성하는 통과판에 메쉬통공이 형성된 통과공간과 내부에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는 블럭몸체와,
    상기 통과공간과 저수공간을 차폐하고 메쉬통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간은 상기 저수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간은 상기 저수공간의 양단에 해당되는 블럭몸체의 양단부에 있고 상기 양단부의 통과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상부의 식생포트로 보내기 위한 연결관이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배면 상단에는 상기 수직벽에의 장착을 위한 걸이편이 구비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안내핀이 메쉬통공의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의 표면과 내면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7. 수직벽을 식물로 녹화하는 수직벽 녹화장치에 있어서,
    수직벽에 다수의 층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고 내부공간에 식생토가 채워지고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포트와,
    상부에 있는 식생포트와 하부에 있는 식생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식생포트 내부의 식생토 사이에서 물과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도록 하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6항중 어느 한 항의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블럭의 저수공간과 상기 식생포트의 내부공간을 연결하고 내부에 일단부가 상기 저수공간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식생포트의 식생토 내에 위치되는 물전달포가 설치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수직벽 녹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는 메쉬통공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배면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단과 상기 배면판의 양단에 동시에 연결되는 측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선단 및 상기 측면판과 연결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전면은 상기 식생포트의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전면판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의 중앙부가 가장 돌출되게 아치형으로 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상단을 따라서는 다수개의 식물안내경사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식물안내경사부는 상기 전면판이 상기 바닥판에 대해 이루는 각도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에는 제1걸이슬롯을 구비하는 제1장착가이드와 제2걸이슬롯을 구비하는 제2장착가이드가 쌍을 이뤄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식생포트의 배면판 상하에 형성된 걸이편이 상기 제1 및 제2 걸이슬롯에 걸어지고 상기 연결블럭의 걸이편이 상기 제2걸이슬롯에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식생포트의 식생토 상에 안착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은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식생포트에 걸쳐서 배치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KR1020150109687A 2015-08-03 2015-08-03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KR10160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87A KR101603085B1 (ko) 2015-08-03 2015-08-03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687A KR101603085B1 (ko) 2015-08-03 2015-08-03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085B1 true KR101603085B1 (ko) 2016-03-15

Family

ID=5554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687A KR101603085B1 (ko) 2015-08-03 2015-08-03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5B1 (ko) 2020-09-28 2021-06-11 (주)수프로 수직벽 녹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46A (ko) 2012-09-27 2014-04-04 심석규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KR101419119B1 (ko) 2012-08-07 2014-07-11 벽화수주식회사 수직형 녹화구조물
KR20150073968A (ko) * 2012-09-12 2015-07-01 타카미 이토 벽면 화단 구조체, 및 벽면 화단 형성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119B1 (ko) 2012-08-07 2014-07-11 벽화수주식회사 수직형 녹화구조물
KR20150073968A (ko) * 2012-09-12 2015-07-01 타카미 이토 벽면 화단 구조체, 및 벽면 화단 형성법
KR20140040946A (ko) 2012-09-27 2014-04-04 심석규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635B1 (ko) 2020-09-28 2021-06-11 (주)수프로 수직벽 녹화장치
WO2022065659A1 (ko) * 2020-09-28 2022-03-31 (주)수프로 수직벽 녹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4808B2 (en) Vertical planter tray system
JP6748895B2 (ja) 水耕栽培装置
US20120017506A1 (en) Integrated vertical planting module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US10653078B2 (en) Animal-incursion-resistant raised bed gardening system
CN107257622B (zh) 水耕栽培器
CA2858946C (en) Modular reservoir wick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JP2009254347A (ja) 緑化棚ユニット
KR101603085B1 (ko) 수직벽 녹화용 연결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KR20140019983A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101698669B1 (ko) 육묘용 포트 플레이트
JP2006129846A (ja) 壁面緑化設備の植栽ブロック受け皿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JP4590408B2 (ja) 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装置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JP2012016291A (ja) 壁面緑化ユニットと、その壁面緑化ユニットを用いた壁面緑化設備
KR102263635B1 (ko) 수직벽 녹화장치
KR20160052274A (ko) 수직녹화용 식생 바스켓
KR20170039860A (ko) 수직벽 녹화용 식생블럭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CN212279017U (zh) 一种立体挂板式植物种植花盆
TWM479011U (zh) 具多孔式栽培杯的穴盤
JP2006129845A (ja) 壁面緑化設備
JP2021094004A (ja) 寄せ植えハンギング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