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811B1 - 광파워 스플리터 - Google Patents

광파워 스플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811B1
KR101602811B1 KR1020147004189A KR20147004189A KR101602811B1 KR 101602811 B1 KR101602811 B1 KR 101602811B1 KR 1020147004189 A KR1020147004189 A KR 1020147004189A KR 20147004189 A KR20147004189 A KR 20147004189A KR 101602811 B1 KR101602811 B1 KR 10160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splitter
light
optic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326A (ko
Inventor
웨인 브이. 소린
마이클 르네 타이 탄
세이지 바기스 마타이
폴 케슬러 로젠버그
죠지오스 패노토파울로스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4003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17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reflective element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73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characterized by manufacturing or alignment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1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dichro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4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 G02B27/149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lection only using crossed beamsplitting surfaces, e.g. cross-dichroic cubes or X-c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1차원 및 2차원 광도파관 어레이에 대한 광 파워 분할의 소형이면서 저렴한 구현을 제공하는 도파관 어레이 광파워 스플리터를 개시한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모드 의존적 손실(mode dependent loss)을 도입하지 않고, 편광(polarization)을 보존하여, 광파워 스플리터가 다중 모드 및 단일 모드 광원과 함께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일특징에서, 광파워 스플리터는 광의 복수의 입사빔을 수신하기 위한 빔스플리터를 포함한다. 빔스플리터는 광의 각각의 입사빔을 광의 복수의 출력빔으로 분할하며, 각각의 출력빔이 빔스플리터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출력된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각각의 렌즈가 광의 입사빔의 하나의 입사빔을 근사적으로 시준하는 제1 세트의 렌즈와, 각각의 렌즈가 광의 출력빔을 집속하는 제2 세트의 렌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파워 스플리터{OPTICAL POWER SPLITTERS}
본 발명은 광파워 스플리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에서 전자 부품을 광학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전자 부품은 구축하는데 많은 작업이 소요될 수 있고, 종래의 배선 및 핀을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보내는 것은 대량의 전력을 소모한다. 이에 부가하여, 전자 상호접속부의 대역폭을 스케일링하는 것이 점점 곤란하게 되고 있으며, 전자 상호접속부 패브릭(electronic interconnect fabric)을 통해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대적인 양의 시간이 너무 길어서, 더욱 작고 더욱 고속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고속 성능의 장점을 완전히 이용하지 못한다. 한편, 광학 부품은 전자 부품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광섬유는 커다란 대역폭을 가지며, 광학 부품은 전반적으로 낮은 전송 손실을 제공하고, 데이터를 상당히 낮은 전력 소모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며, 크로스 토크(cross talk)에 대해 면역성을 갖고, 부식되지 않거나 또는 외부 라디에이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다.
광통신이 전자 통신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이고 있지만, 다수의 기존의 광학 부품은 모든 유형의 광통신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블레이드 시스템(blade system)에서의 서버 블레이드들 간의 완전 메쉬 광학 점대점 접속성(fully-meshed optical point-to-point connectivity)이 전자 상호접속 패브릭(electronic interconnect fabric)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종래의 광학 부품을 이용하는 것은 각각의 블레이드가 고비용의 광학 부품과 조합하여 복수의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를 갖도록 요구하며, 이것은 완전 메쉬 광학 점대점 접속성을 실현 가능하지 않게 한다. 근래에, 광파워 분할(optical power slitting)을 갖는 다중 모드 광섬유의 사용이 광학 점대점 접속성에 대한 잠재적으로 더 낮은 비용의 대안으로서 출현하였다. 다중 모드 광섬유 및 광파워 스플리터는 통상적으로 근거리 통신망 및 데이터-센터 상호접속을 포함한 단거리 시스템에서 이용된다. 그러나, 전형적인 광파워 스플리터는 다중 모드 광섬유에 의해 운반된 광신호에 모드 필터링을 도입한다. 예컨대, 다중 모드 광섬유 융착 커플러(multimode fiber fused coupler)는 단일 입력 광섬유에 의해 운반된 광 파워를 복수의 출력 광섬유로 균등하게 분할하지만, 가로 광섬유 모드(transverse fiber mode)는 각각의 출력 광섬유에 균등하게 커플링되지 않아, 모든 의존적 손실성 또는 차분성 모드 필터링(mode dependent loss or differential mode filtering)을 발생한다. 그 결과,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의 제조업체, 설계자 및 사용자는 광통신을 위한 저렴한 모드 보전성 광학 부품(mode preserving optical components for optical communication)을 찾는 것을 지속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의 복수의 입사빔을 수신하고, 빔스플리터 내부에서 서로 각도를 이루고 배향되어 있는 둘 이상의 빔 분할 계면(beam splitting interface)을 이용하여 각각의 입사빔을 광의 복수의 출력빔으로 분할함으로써, 각각의 출력빔을 빔스플리터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출력되게 하는, 빔스플리터와, 각각의 렌즈가 광의 입사빔의 하나의 입사빔을 근사적으로(approximately) 시준하여 상기 빔스플리터에 입력되도록 하는 제1 세트의 렌즈와, 각각의 렌즈가 광의 출력빔의 하나의 출력빔을 집속하여 상기 빔스플리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세트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워 스플리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의 측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례의 2차원 도파관 어레이 및 일례의 1차원 도파관 어레이의 횡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일례의 빔스플리터의 분해도 및 등각 투영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광섬유에 의해 운반된 가로 모드의 광에 대한 3개의 별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광파워 스플리터의 2개의 대향 렌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의 측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광파워 스플리터에 광을 입력하고 광파워 스플리터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기 위한 용도의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도파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광파워 스플리터에 입력된 광의 반사 경로 및 투과 경로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광을 도파관 어레이 내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빔스플리터를 갖는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를 도시하며, 각각의 도파관 어레이가 상이한 광파워를 갖는 광을 수신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광을 광의 파장에 기초하여 도파관 어레이 내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빔스플리터를 갖는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8개의 노드로 구성된 일례의 랙 마운트 컴퓨터 시스템의 등각 투영도이다.
도 12b는 별모양의 광학 버스를 형성하는 4개의 광파워 스플리터의 개략 표현도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도시된 별모양의 광학 버스의 광파워 스플리터에 접속된 4개의 도파관 어레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2개의 전자 스위치를 4개의 노드에 접속하는 광파워 스플리터의 일례의 개략 표현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차원 및 2차원 광도파관 어레이에 대한 광 파워 분할의 소형이면서 저렴한 구현을 제공하는 도파관 어레이 광파워 스플리터를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광파워 스플리터는 모드 의존적 손실(mode dependent loss)을 나타내지 않고, 편광(polarization)을 실질적으로 보존하여, 광파워 스플리터가 다중 모드 광원 및 단일 모드 광원과 함께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광"이라는 표현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자외선 부분, 가시 부분, 적외선 부분을 포함한 넓은 파장 범위에 걸친 전자기 라디에이션을 지칭한다.
도 1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100)의 측면도이다. 스플리터(100)는 빔스플리터(102) 및 복수의 렌즈(104)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각각의 렌즈(104)는 투명한 액체 접착제 또는 투명한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도파관의 단부(end)에 부착된 평면형 표면을 갖는 평면-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이다. 도파관은 도파관 어레이(106∼109)에 임베드된다. 예컨대, 렌즈(104)는 도파관 어레이 107 및 108에 임베드된 도파관(110)의 단부에 부착된다. 이와 달리, 렌즈(104)는 각각의 렌즈가 투명한 액체 접착제 또는 투명한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도파관의 단부에 부착되는 양볼록 렌즈(biconvex lens)(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된다. 도파관 어레이 106과 108은 각각 반대쪽의 평행 표면 112와 114를 바라보고 있으며, 도파관 어레이 107과 109는 각각 반대쪽의 평행 표면 116과 118을 바라보고 있다.
도파관 어레이(106∼109)는 2차원 또는 1차원 도파관 어레이이어도 되며, 도파관은 단일 모드 또는 다중 모드 광섬유, 통합 평면 도파관(integrated planar waveguide), 또는 공동의 금속 도파관(hollow metal waveguide)이어도 된다. 도 2a는 64개의 광섬유(110)의 2차원 정방형 단위 셀 배열로 구성된 도파관 어레이(106)를 도 1에 도시된 라인 Ⅰ-Ⅰ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파관 어레이(106)는 8×8 광섬유 어레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b는 8개의 광섬유의 1차원 배열로 구성된 도파관 어레이(106)를 라인 Ⅰ-Ⅰ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의 도파관 어레이(106)는 8×1 광섬유 어레이로 지칭된다. 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 각각의 광섬유(110)는 플라스틱 재킷(206) 내에 임베드되는 굴절률이 더 높은 클래드층(cladding layer)(204)으로 둘러싸인 코어(202)를 포함한다. 광섬유(110)는 접착제 또는 재킷으로 함께 묶여질 수 있다. 도파관 어레이(106∼109)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광섬유의 정방형 배열 또는 선형 배열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도파관 어레이는 M×N 도파관으로 될 수도 있고, 여기서 M과 N은 양의 정수이며, 2차원 도파관 어레이는 삼각형, 마름모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위 셀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빔스플리터(102)의 분해도와 등각 투영도이다. 빔스플리터(102)는 4개의 별개의 삼각 프리즘(301∼304)을 포함한다. 프리즘(301∼304)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프리즘은 2개의 대향 단면(two opposing end faces), 2개의 내부 직사각 표면, 및 하나의 외측 직사각 표면을 갖는 이등변 삼각 프리즘이다. 예컨대, 프리즘 301은 2개의 대향 단면 306 및 307과, 내부 직사각 표면 308 및 309와, 외측 직사각 표면 310을 갖는다. 단면 306 및 307은 길이 L'의 에지를 내부 직사각 표면 308 및 309와 공유하고, 길이 L의 에지를 외측 직사각 표면 310과 공유하는 이등변 삼각형이다. 프리즘(301∼304)은, 프리즘(301∼304)의 내부 직사각 표면이 동일한 에지 길이 L'을 갖고, 외측 직사각 표면이 동일한 에지 길이 L을 가지며, 각각의 프리즘의 내부 직사각 표면들 간의 각도가 대략 90°인 직각 프리즘이어도 된다. 그 결과, 빔스플리터(102)는 프리즘(301∼304)의 직사각 표면에 의해 형성된 정사각 대향 변(square opposing side)을 갖는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스플리터(102)는 프리즘(301∼304)의 내부 직사각 표면들 사이에 위치된 부분 반사 막(311∼314)을 포함한다. 각각의 막은 막 재료의 조성 및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갖는 임의의 2개의 프리즘의 인접한 내부 표면들 사이의 저손실 빔 분할 계면을 형성한다. 빔 분할 계면은 도 1 및 도 3b와 그 후속 도면에서 IA, IB, IC 및 ID에 의해 식별되어 있다. 예컨대, 막(311∼314)은 상이한 타입의 유리로 구성된 얇은 저손실성 유전체층이어도 되며, 각각의 층이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각각의 막은 실질적으로 비편광(non-polarizing)이며, 반사광 및 투과된 광에 모드 의존적 손실을 제공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316)의 입사 빔은 프리즘(301)을 통과하고, 계면 IC에서 막(311)과 상호작용하며, 그 빔이 투과 빔(318)과 반사 빔(320)으로 분할된다. 입사 빔(316)이 부분적으로 편광되면, 투과 빔(318) 및 반사 빔(320)은 입사 빔(31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을 갖는다. 투과 빔(318) 및 반사 빔(320)은 또한 빔(316)과 동일한 가로 모드를 갖는다. 즉, 계면 IC에서의 막(311)은 모드 의존적 손실을 제공하지 않는다.
간결성을 위해, 광 빔스플리터를 구현하는 다양한 실시예가 스플리터(10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지만, 광 빔스플리터는 빔스플리터(102)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c와 도 3d는 각각 빔스플리터(350)의 분해도와 등각 투영도를 도시한다. 빔스플리터(350)는 4개의 별도의 직사각 빔스플리터 프리즘(351∼354)을 포함한다. 각각의 빔스플리터 프리즘은 프리즘의 빗면(hypotenuse face)들 사이에 위치된 부분 반사 막을 갖는 2개의 직각 삼각 프리즘을 포함한다. 예컨대, 빔스플리터 프리즘(351)은 프리즘의 빗면들 사이에 위치된 계면 IB에 부분 반사 막을 갖는 직각 삼각 프리즘(356, 358)을 포함한다. 각각의 빔스플리터 프리즘의 삼각 프리즘은 유리,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막은 막 재료의 조성 및 두께에 의해 결정되는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갖는 인접한 빗면들 사이의 저손실성 빔 분할 계면을 형성한다. 빔 분할 계면은 또한 IA, IB, IC 및 ID에 의해 식별되어 있으며, 스플리터(10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빔 분할 계면과 동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도 3e는 빔스플리터(380)의 등각 투영도를 도시한다. 빔스플리터(380)는 서로 대략 90°로 위치된 4개의 별도의 직사각 플레이트(381∼384)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81∼384)는 유리, 유전체층, 반도체, 플라스틱,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재료의 조성 및 두께에 의해 결정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갖는 저손실성 빔 분할 계면이다. 빔 분할 계면은 또한 IA, IB, IC 및 ID에 의해 식별되어 있으며, 스플리터(102)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빔 분할 계면과 동일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플레이트(381∼384)는 플레이트의 한정된 두께로 인한 공간적인 빔 워크-오프(즉, 포인팅 벡터 워크-오프(poynting vector walk-off))를 보상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레이트(381∼384) 대신에 펠리클 빔스플리터(pellicle beamsplitt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경우 빔 워크-오프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빔스플리터(102)에 의해 보존된 가로 모드는 TEMm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m은 도파관 및 빔스플리터(102)에 투과된 광의 빔을 가로지르는 가로 마디선(transverse nodal line)의 개수를 표현하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광섬유(400)에 의해 운반된 광의 가로 모드의 3가지의 별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광섬유(400)는 코어(402) 및 외곽 클래드층(404)을 포함한다. 도 4a에서, 가장 낮은 차수의 가로 모드 TEM0은 마디선을 갖지 않으며, 이 모드에서의 광의 대부분이 코어(402)의 중심 부근에 집중되는 대칭 가우시안 분포(406)를 특징으로 한다. 도 4b에서, 가로 모드 TEM1은 광이 광섬유(400)를 통과할 때 광이 코어(402)의 2개의 별도의 영역(410, 412)에 집중되는 하나의 마디선(408)을 갖는다. 영역(410, 412)에 걸친 광의 분포는 x-방향에서 분포 414를 특징으로 한다. 도 4c에서, 가로 모드 TEM2는 광이 광섬유(400)를 통과할 때에 광이 코어(402)의 3개의 별도의 영역에 집중되는 2개의 마디선(418, 420)을 갖는다. 3개의 영역에 걸친 광의 분포는 x-방향에서 분포 422를 특징으로 한다.
빔스플리터(102)의 대향 표면(opposing surface)을 바라보는 렌즈들 간의 최대 간격은 광회절에 좌우된다. 도 5는 광파워 스플리터의 2개의 대향 렌즈(502, 504)를 도시하고 있다. 렌즈(502, 504)는 광파워 스플리터의 빔스플리터(도시하지 않음)의 대향하는 평행한 외측 표면을 바라보고 있다. 대향 렌즈(502, 504)를 이격시키는 최대 거리는 다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4015959839-pct00001
여기서, nref는 빔스플리터 프리즘의 굴절률이고,
dL은 렌즈(502, 504)의 직경 또는 렌즈(502, 504)에서의 빔의 광 직경(optical diameter)이고,
λ는 광의 파장이고,
m'=m+1이다.
즉, 대향 렌즈(502, 504)의 분리 거리는 다중 모드 도파관에 의해 운반되는 모드의 개수 및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도파관 간격에 의해 제한된다. 표 1은 nref=1.5, λ=850nm, 및 dL=181㎛인 경우에 모드 m'을 함수로 하여 거리 D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4015959839-pct00002
광파워 스플리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도파관의 단부에 부착되는 렌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렌즈는 빔스플리터의 외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6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스플리터(600)는 빔스플리터(602) 및 복수의 렌즈(604)를 포함한다. 도 6의 예에서, 렌즈(604)는 각각의 렌즈의 볼록 표면이 빔스플리터(602)로부터 연장하는 평면-볼록 렌즈이다. 렌즈(604)는 렌즈를 프리즘의 외측 직사각 표면 내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렌즈(604)는 투명한 액체 접착제 또는 투명한 접착제 필름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파관 어레이(606∼609)의 도파관은 렌즈(604)와 정렬된다. 예컨대, 렌즈(604)는 도파관 어레이(607, 608)의 도파관(610)과 정렬된다. 도파관을 렌즈와 패시브 방식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수형 및 암형(male and female) 정렬 특징부(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될 수 있다.
스플리터(100, 600)는 각각의 도파관 어레이 내의 도파관의 일부분이 빔스플리터(102, 606)에 광을 입력하는 것을 전담하도록 하고, 각각의 도파관 어레이 내의 도파관의 나머지 부분이 빔스플리터(102, 606)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는 것을 전담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된다. 도 7a는 광을 스플리터(100)에 입력하고 스플리터(100)로부터의 광을 수신하는 것을 전담하도록 한 도파관 어레이(106∼109)에서의 도파관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방향 화살표는 도파관 어레이(106∼109)의 도파관에서 광이 이동하는 입력 및 출력 방향을 나타낸다. 예컨대, 방향 화살표 702는 도파관 어레이 106의 광섬유 704에서 스플리터(100) 내로 투과되는 광을 나타내고, 방향 화살표 706은 도파관 어레이 106의 광섬유 708에서 스플리터(100) 밖으로 투과되는 광을 나타낸다. 도 7b는 도 2a에 도시된 일례의 8×8 2차원 도파관 어레이(106)의 엔드-온 뷰(end-on view)를 도시하고 있다. 인클로저 710에 의해 둘러싸인 광섬유의 4개의 행은 광을 스플리터(100)에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며, 인클로저 712에 의해 둘러싸인 광섬유의 4개의 행은 스플리터(100)로부터 출력된 광의 빔을 수신한다. 스플리터(100)는 4개의 입력 포트 및 4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며, 4×4 광파워 스플리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스플리터(100)에 입력되는 광의 반사 경로 및 투과 경로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간략화를 위해, 각각의 빔이 빔 스플리터(102)를 통해 진행하는 경로는 벡터 또는 광선으로 나타내었다. 계면 IA, IB, IC 및 ID는 입사 빔을 다음에 의해 제공되는 광파워를 갖는 투과 빔 및 반사 빔으로 분할하는 층 및 막 재료를 포함한다:
Figure 112014015959839-pct00003
여기서, Pincident는 계면 필름을 때리는 광의 빔의 광 파워를 나타내고,
PR은 반사 빔의 광파워를 나타내며,
PT는 투과 빔의 광파워를 나타내며,
Ploss는 필름 및 프리즘으로 인해 손실된 광파워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은 도파관으로부터 출력되며, 관련 렌즈에 의해, 빔스플리터(102)에 진입하는 빔(802)으로 실질적으로 시준된다. 빔(802)은 계면 IC에서 반사 빔(803)과 투과 빔(804)으로 분할된다. 반사 빔(803)은 계면 IB에서 제1 반사 빔(805) 및 제1 투과 빔(806)으로 분할되며, 투과 빔(804)은 계면 ID에서 제2 투과 빔(807) 및 제2 반사 빔(808)으로 분할된다. 빔(805∼808)은 빔 스플리터(102)의 외측 직사각 표면을 출사하고, 각각 렌즈에 의해 도파관 어레이(106∼109)의 하나의 도파관 내로 집속된다.
도 8의 예에서, 빔스플리터(102)는 50:50 빔스플리터이어도 되며, 그 경우, 각각의 계면이 입사 빔을 대략 동일한 광파워(즉,
Figure 112014015959839-pct00004
)를 갖는 반사 빔과 투과 빔으로 분할한다. 그 결과, 빔(805∼808)의 각각은 Pincident의 대략 25%로 방출된다. 이와 달리, 계면의 반사율 및 투과율은 광을 요구된 광파워로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 내로 출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도파관 어레이 109의 도파관에 입력되는 광이 제2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것보다 도파관 어레이 108의 도파관에 입력되는 광이 제1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더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파관 어레이(108, 109)의 도파관에 진입하는 광의 광파워가 동일하다면, 제1 목적지에 도달하는 광은 제2 목적지에 도달하는 광보다 더 많이 감쇄된다. 그 결과, 도파관 어레이 108의 도파관에 입력되는 광이 도파관 어레이 109의 도파관에 입력되는 광보다 더 많은 광파워를 갖도록 빔스플리터(102)의 계면들을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더 많거나 더 적은 광파워로 특정한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에 광을 입력하기 위해 빔스플리터(102)의 계면들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는 광을 광섬유 어레이(106∼109) 내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빔스플리터(902)를 갖는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900)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광섬유가 상이한 광파워를 갖는 광을 수광한다. 각각의 계면은 계면의 상이한 반사율 및 투과율을 표현하는 상이한 라인 패턴에 의해 식별된다. 도 9는 각각의 계면에 대한 일례의 반사율 "R" 및 투과율 "T"를 표현하는 막대 그래프(904)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의 음영 부분, 예컨대 도면부호 906 부분은 각각의 계면에 연관된 광학 손실의 백분율을 표현한다. 도 9의 예에서, 계면은 각각 대략 8%의 광학 손실을 갖는다. 막대 그래프(906)는 계면 IA, IB, IC 및 ID의 각각이 각각의 막대의 R 및 T 세그먼트에서의 상이한 길이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이한 반사율 및 투과율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계면 IA는 대략 46%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갖는 50:50 빔스플리터로서 동작하는 한편, 계면 IB는 대략 38%의 반사율과 대략 54%의 투과율을 갖는 60:40 빔스플리터로서 동작한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또한 스플리터에 입력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광을 분할(또는 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a는 광을 광의 파장에 기초하여 도파관 어레이(106∼109) 내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1000)를 도시한다. 도 10a는 광의 파장에 기초하여 계면의 일례의 반사율 및 투과율을 표현하는 플로트(1004)를 포함한다. 플로트(1004)에서, 계면 IA, IB, IC 및 ID에 연관된 임계 파장이 파장축(1006)을 따라 플로트되고, 각각 λA, λB, λC 및 λD에 의해 식별된다. 도 10의 예에서, 각각의 계면은 연관된 임계 파장보다 큰 파장을 갖는 광을 투과하고, 연관된 임계 파장보다 작은 파장을 갖는 광을 반사한다. 예컨대, 플로트(1004)는 λB보다 큰 파장(1008)을 투과하고 λB보다 작은 파장(1010)을 반사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b는 작동 시의 스플리터(100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4개의 별개의 파장 λ1, λ2, λ3 및 λ4으로 구성된 광이 도파관 어레이(106)의 도파관으로부터 출력되고, 연관된 렌즈에 의해, 빔스플리터(1002)에 진입하는 빔(1010)으로 실질적으로 시준된다. 일례의 파장 λ1, λ2, λ3 및 λ4는 플로트(1004)의 파장축(1006) 상에 플로트된다. 빔(1010)은 계면 IC에서 파장 λ3 및 λ4의 반사 빔(1011)과 파장 λ1 및 λ2의 투과 빔(1012)으로 분할된다. 반사 빔(1011)은 계면 IB에서 파장 λ3의 투과 빔(1013)과 파장 λ4의 반사 빔(1014)으로 분할되고, 투과 빔(1012)은 계면 ID에서 파장 λ1의 투과 빔(1015)과 파장 λ2의 반사 빔(1016)으로 분할된다. 빔(1013∼1016)은 빔스플리터(102)의 외측 직사각 표면을 출사하고, 각각 도파관 어레이(106∼109)의 하나의 도파관 내로 렌즈에 의해 각각 집속된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프리즘의 빔스플리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일례의 광파워 스플리터(1100)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스플리터(1100)는 빔스플리터 1102로 교체된 빔스플리터를 갖는 스플리터 100과 유사하다. 빔스플리터(1102)는 상이한 유형의 유리의 저손실성 유전체층의 얇은 막으로 구성된 단일 계면(1108)을 갖는 2개의 프리즘(1104, 1106)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은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계면은 비편광(non-polarizing)의 것이며, 반사광 및 투과광에 모드 의존적 손실을 제공하지 않는다. 전술한 스플리터와는 달리,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전체 세트의 도파관은 스플리터(1100)에 광을 입력하거나 스플리터(1100)로부터 광을 출력하는 중의 어느 하나로 이용된다. 스플리터(1100)는 2개의 입력 포트(즉, 도파관 어레이 106 및 109) 및 2개의 출력 포트(즉, 도파관 어레이 107 및 108)를 가지며, 2×2 광파워 스플리터로서 지칭될 수 있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광학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blade) 또는 라인 카드(line card)와 같은 다수의 노드(node)로 구성된 랙 마운트 컴퓨팅 시스템을 고려하여 설명한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노드를 유지하고, 전력, 냉각, 네트워킹, 다양한 상호접속부 및 노드 관리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시(chassis)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통합된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기타 입력/출력 포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드는 로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 광섬유 채널, 또는 iSCSI 스트로지-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스토리지 풀(storage pool)에 접속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의 특정한 노드는 광파워 스플리터 및 도파관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각의 노드가 광신호로 인코딩된 대량의 데이터를 시스템 내의 다른 노드에 보낼 수 있게 된다. 광신호는 정보를 전자기 라디에이션의 채널의 위상 변화 또는 높은 진폭 상태와 낮은 진폭 상태로 인코딩한다. "채널"은 단일 파장의 전자기 라디에이션 또는 특정 파장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대역의 전자기 라디에이션이어도 된다. 예컨대, 광신호의 각각의 높은 진폭 부분은 논리 비트값 "1"을 표현할 수 있고, 동일한 광신호의 각각의 낮은 진폭 부분은 논리 비트값 "0"를 표현할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신호는 도파관과 같은 도파관을 통해 또는 자유 공간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도 12a는 인클로저 또는 새시(1202)에 마운트된 8개의 노드로 구성된 일례의 랙 마운트 시스템(1200)의 등각 투영도이다. 각각의 노드는 노드들 간의 광학 입력/출력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광파워 스플리터를 포함하는 백플레인(backplane)(1204)에 접속된다. 도 12b는 노드들을 광학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별모양의 광학 버스를 형성하는 4개의 4×4 광파워 스플리터(1206∼1209)의 개략 표현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노드는 "Rx"로 표시된 수신기 및 "Tx"로 표시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신기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노드에서의 처리를 위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검출기 및 증폭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는 노드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도록 직접적으로 변조될 수 있는 에지 발광 레이저(edge-emitting laser) 또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발광 레이저(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와 같은 다수의 광방출기(light emitter)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각각의 송신기는 광방출기에 의해 방출된 광을 변조하는 외부의 변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b의 예에서, 각각의 스플리터는 4개의 도파관 어레이에 의해 4개의 노드에 접속된다. 송신기 Tx를 스플리터에 연결하는 라인은 광신호를 스플리터 내로 전송하는데 전용으로 이용되는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을 나타내며, 수신기 Rx를 스플리터에 연결하는 라인은 스플리터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데 전용으로 이용되는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을 나타낸다. 예컨대, 라인 1210은 노드 0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스플리터 1206에 전송하기 위한 전용의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을 나타내고, 라인 1212는 스플리터 1206으로부터의 광신호를 노드 0에 보내기 위한 전용의 동일한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을 나타낸다. 도 12c는 스플리터(1206)에 접속된 4개의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이 광신호를 스플리터(1206)를 통해 노드 0, 노드 1, 노드 2 및 노드 3에 보내거나 수신하는데 전용으로 이용되게 하는 방법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다시 도 12b를 참조하면, 각각의 수신기 Rx(또는 송신기 Tx)는 노드에 보내지는(또는 노드에 의해 전송되기를 대기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연관 버퍼를 가질 수 있다. 노드들의 공동의 버퍼(collective buffer)는 하나 이상의 수신 노드(또는 송신 노드)의 버퍼가 가득 찼을 때 가상의 버퍼 스토리지를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시스템(1200)은 광신호를 시스템의 다른 노드에 보내기 위해 어느 노드가 백플레인(1204)을 이용하도록 허용할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노드는 광신호를 보내기 위해 어느 노드가 광학 버스를 사용할 수 있을지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대역내 신호방식(in-band signaling)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 1의 버퍼가 가득 찼지만, 노드 2가 백플레인(1204)을 통해 광신호를 보낼 차례이고, 특정한 광신호가 노드 1을 수신자(recipient)로서 식별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컨트롤러는 노드 2로 하여금 노드 1을 대상으로 하는 광신호를 노드 3에 보내도록 지시하고, 노드 3으로 하여금 노드 3이 백플레인(1204)을 이용할 차례가 될 때까지 노드 1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지시한다. 노드 1을 대상으로 하는 광신호가 스플리터(1206)에 보내지고, 이 스플리터가 그 다음으로 이 광신호를 노드 0 내지 3에 포워딩한다. 노드 0, 노드 1 및 노드 2는 광신호 패킷의 헤더에 노드 3이 대상 수신자로서 식별되어 있기 때문에 광신호를 폐기한다. 노드 3이 광신호를 다른 노드에 보내기 위해 백플레인(1204)을 사용할 차례인 때에는, 노드 3은 노드 3의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있지만 노드 2가 노드 1에 보내도록 의도된 정보를 인코딩하는 광신호를 보낸다.
광파워 스플리터는 컴퓨터 시스템의 백플레인에서 전자 스위치와 통합될 수 있다. 도 13a는 2개의 전자 스위치 SWa 및 SWb를 4개의 노드에 접속하는 4×4 광파워 스플리터(1300)의 일례의 개략 표현을 도시한다. 스위치 SWa는 액티브 스위치인 반면에, 스위치 SWb는 액티브 스위치 SWa가 장애가 발생할 때에 사용될 백업 또는 용장 스위치이다. 스위치 SWa는 스플리터(1300)의 제1 입력 포트(1302)에 접속되며, 스위치 SWb는 스플리터(1300)의 제2 입력 포트(1304)에 접속된다. 2개의 나머지 입력 포트(1306, 1308)는 이용되지 않는다. 도 13b 및 도 13c는 스위치 SWa 및 SWb와 4개의 노드에 접속된 스플리터(1300)를 도시한다. 도 13b의 예에서, 도파관 어레이(1310)의 도파관(1309)은 방향 화살표로 표현된 광신호를 스위치 SWa로부터 스플리터(1300)로 운반한다. 광신호는 스플리터(1300)로부터 4개의 노드로 출력된다. 도 13c의 예에서, 스위치 SWa는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도파관 어레이 1312의 도파관 1311은 광신호가 도 13b에 도시된 스위치 SWa로부터 보내진 광신호와 동일한 도파관 내로 출력되면 동일한 광신호를 스위치 SWb로부터 스플리터(1300)로 운반하도록 이용된다.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명칭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세부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체적인 예에 대한 전술한 기술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을 빠뜨림 없이 설명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개시된 정밀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교시의 관점에서 다수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러한 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질적인 응용예를 최상으로 설명함으로써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 및 다양한 예를, 고려되는 특정한 사용에 적합하게 되도록 다양하게 수정하여 최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시되고 설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등가의 구성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Claims (15)

  1. 광파워 스플리터에 있어서,
    광의 복수의 입사빔을 수신하고, 빔스플리터 내부에서 서로 각도를 이루고 배향되어 있는 둘 이상의 빔 분할 계면(beam splitting interface)을 이용하여 각각의 입사빔을 광의 복수의 출력빔으로 분할함으로써, 각각의 출력빔을 빔스플리터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출력되게 하고, 각각의 빔 분할 계면은 상기 빔스플리터에 포함된 복수의 프리즘들 사이의 계면이며,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과 연관된 모든 도파관 어레이로 출력빔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을 통해 상기 계면 상에 입사하는 광빔이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 사이의 모든 계면에서 90도로 분할되는, 빔스플리터;
    각각의 렌즈가 광의 입사빔의 하나의 입사빔을 근사적으로(approximately) 시준하여 상기 빔스플리터에 입력되도록 하는 제1 세트의 렌즈; 및
    각각의 렌즈가 광의 출력빔의 하나의 출력빔을 집속하여 상기 빔스플리터로부터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세트의 렌즈
    를 포함하는, 광파워 스플리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상기 빔 분할 계면을 각각 형성하는 부분 반사 막(partially reflective film)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이 광의 입사빔을 광의 제1 빔과 광의 제2 빔으로 분할하는, 광파워 스플리터.
  3. 제2항에 있어서,
    광의 입사빔을 광의 제1 빔과 광의 제2 빔으로 분할하는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제1 출력빔 및 제2 출력빔이 입사빔과 동일한 가로 모드(transverse mode)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을 갖도록 광의 입사 빔을 분할하기 위한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는, 광파워 스플리터.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파장 의존적 빔 분할 계면(wavelength dependant beam splitting interface)을 포함하며, 제1 출력빔 파장이 제2 출력빔 파장과 상이하게 되는, 광파워 스플리터.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제1 출력빔과 제2 출력빔이 근사적으로 동일한 광파워를 갖도록 광의 입사빔을 분할하기 위한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는, 광파워 스플리터.
  6.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제1 출력빔과 제2 출력빔이 상이한 광파워를 갖도록 광의 입사빔을 분할하기 위한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는, 광파워 스플리터.
  7. 제1항에 있어서,
    집속 렌즈의 세트가 도파관의 단부(end)에 부착되는, 광파워 스플리터.
  8.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서로 각도를 이루고 배향되어 있는 둘 이상의 빔 분할 계면을 갖는 광파워 스플리터로서, 각각의 빔 분할 계면은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에 포함된 복수의 프리즘들 사이의 계면인, 광파워 스플리터; 및
    각각의 도파관 어레이의 제1 단부가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에 광학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부가 노드에 광학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가 상기 도파관 어레이의 도파관을 통해 상기 노드로부터의 입사 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가 각각의 입사 광신호를 복수의 광신호로 분할하며, 각각의 광신호가 각각의 상기 도파관 어레이의 하나의 도파관에 입력되는, 도파관 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과 연관된 모든 상기 도파관 어레이로 출력빔이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을 통해 상기 계면 상에 입사하는 광빔이 상기 복수의 프리즘들 사이의 모든 계면에서 90도로 분할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는,
    입사 광신호를 수신하고, 각각의 입사 광신호를 복수의 광신호로 분할하여, 각각의 광신호를 빔스플리터로부터 상이한 방향으로 출력되게 하는, 빔스플리터;
    각각의 렌즈가 입사 광신호의 하나의 입사 광신호를 근사적으로 시준하여 상기 빔스플리터에 입력되게 하는 제1 세트의 렌즈; 및
    각각의 렌즈가 광신호의 하나의 광신호를 집속하여 상기 빔스플리터로부터 출력되게 하는 제2 세트의 렌즈
    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스플리터는 상기 빔 분할 계면을 각각 형성하는 부분 반사 막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이 광신호를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로 분할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광신호를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로 분할하는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가 광신호와 동일한 가로 모드 및 편광을 갖도록 광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각각의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파장 의존적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며, 제1 광신호 파장이 제2 광신호 파장과 상이하게 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빔 분할 계면은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가 상이한 광파워를 갖도록 광의 입사빔을 분할하기 위한 빔 분할 계면을 포함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어느 노드가 상기 광파워 스플리터를 통해 정보를 광신호로 보내기 위한 승인(permission)을 갖는지를 중재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 어레이는 하나 이상의 다중 모드 도파관을 포함하는, 멀티 노드 컴퓨터 시스템.
KR1020147004189A 2011-07-29 2011-07-29 광파워 스플리터 KR101602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45866 WO2013019176A1 (en) 2011-07-29 2011-07-29 Optical power split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26A KR20140036326A (ko) 2014-03-25
KR101602811B1 true KR101602811B1 (ko) 2016-03-11

Family

ID=4762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189A KR101602811B1 (ko) 2011-07-29 2011-07-29 광파워 스플리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219608A1 (ko)
EP (1) EP2737359A4 (ko)
KR (1) KR101602811B1 (ko)
CN (1) CN103765295A (ko)
WO (1) WO2013019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2715B (zh) * 2020-03-02 2021-09-07 哈尔滨工业大学 基于一体式二次分光组件的外差激光干涉仪
EP4042213A4 (en) 2020-05-14 2022-10-12 Univerzita Palackého v Olomouci POLARIZING OPTICAL SEPARATOR FOR STELLAR INTENSITY INTERFEROMET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8162A1 (en) 2007-11-09 2009-06-11 University Of Houston Methods for non-wavelength-converting multi-lane optical switching
US20090226137A1 (en) 2007-03-16 2009-09-10 Honeywell Federal Manufacturing & Technologies, Ll Miniature mechanical transfer optical coupler
JP2010185916A (ja) 2009-02-10 2010-08-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ビームスプリット膜及びそれを用いたビームスプリッ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345A (en) * 1977-02-25 1978-12-19 The Boeing Company Optical coupling apparatus
US4176908A (en) * 1977-12-14 1979-12-04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Devices for monitoring, switching, attenuating or distributing light
DE2910291A1 (de) * 1979-03-15 1980-10-09 Siemens Ag Bauelement mit optischen lichtwellenleitern
JPS57198425A (en) * 1981-06-01 1982-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Optical branching and coupling circuit
JPS60237433A (ja) * 1984-05-11 1985-11-2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多チヤンネル光スイツチ
US6422761B1 (en) * 2000-03-06 2002-07-2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Angled optical connector
US6597825B1 (en) * 2001-10-30 2003-07-22 Calient Networks, Inc. Optical tap for an optical switch
US6775068B2 (en) * 2002-11-06 2004-08-10 Bigbandwidth Inc. Integrated optical channel
JP4418345B2 (ja) * 2004-11-01 2010-02-17 富士通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装置,光モニタ装置および光スイッチ装置
US7187481B1 (en) * 2004-12-23 2007-03-06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ain and thresholding to a holographic data parallel recording and replication system incorporating independent angular address assignment
US7925168B2 (en) * 2007-10-16 2011-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interconnect system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 system components
KR101409307B1 (ko) * 2008-01-31 2014-06-1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Mems 기반 펠리클 빔스플리터
WO2009136896A1 (en) * 2008-05-08 2009-11-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polymorphic computer systems
US8437592B2 (en) * 2010-10-19 2013-05-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channel tap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6137A1 (en) 2007-03-16 2009-09-10 Honeywell Federal Manufacturing & Technologies, Ll Miniature mechanical transfer optical coupler
US20090148162A1 (en) 2007-11-09 2009-06-11 University Of Houston Methods for non-wavelength-converting multi-lane optical switching
JP2010185916A (ja) 2009-02-10 2010-08-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ビームスプリット膜及びそれを用いたビームスプリッ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26A (ko) 2014-03-25
WO2013019176A1 (en) 2013-02-07
CN103765295A (zh) 2014-04-30
EP2737359A4 (en) 2015-05-06
EP2737359A1 (en) 2014-06-04
US20140219608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6423B2 (en) Partitioned optical switch
US9011020B2 (en) Optical interconnect
Berger et al. High-density optical interconnects within large-scale systems
US8909007B2 (en) Circuit switchable optical device
US9354412B2 (en) Optical interconnect fabrics and optical switches
JPH0818512A (ja) 平面光学メッシュ接続型トリー相互接続ネットワーク
US20160238790A1 (en) Multiplexer
US11199665B2 (en) Optical device for redirecting optical signals
KR101602811B1 (ko) 광파워 스플리터
US6259831B1 (en) All-optical interconnect utilizing polarization gates
EP3278476B1 (en) An integrated circuit optical interconnect
Ueda et al. Large-scale optical-switch prototypes utilizing cyclic arrayed-waveguide gratings for datacenters
KR101630354B1 (ko) 양방향 광 송수신 모듈
US9910222B1 (en) Multimode fiber optical power splitter
US20240106539A1 (en) Optical router for distributing optical signals
CN112444915B (zh) 一种光开关以及通过光开关的光传输方法
US20030118276A1 (en) Optical switch having a retro-reflector associated therewith and a method of use thereof
Kostuk et al. Free-space modules and fiber array data links for optical interconnect systems
Ayliffe et al. Design of misalignment-tolerant free-space optical interconnects
Araki et al. Massive optical interconnections (MOI): interconnections for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systems
Lee et al. Three-dimensional planar-integrated optics: a comparative view with free-space optics
CN111123432A (zh) 偏振分集光接口组件、光连接器和耦合方法
Roldan A feasibility study of the LARPBS optical bus model
JPH0475013A (ja) 光スイッチ
Butzer et al. Highly efficient interconnection for use with a multistage optical switching network with orthogonally polarized data and address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