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771B1 -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771B1
KR101602771B1 KR1020140078459A KR20140078459A KR101602771B1 KR 101602771 B1 KR101602771 B1 KR 101602771B1 KR 1020140078459 A KR1020140078459 A KR 1020140078459A KR 20140078459 A KR20140078459 A KR 20140078459A KR 101602771 B1 KR101602771 B1 KR 10160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door lock
outside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787A (ko
Inventor
박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마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마다스
Priority to KR1020140078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7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1/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other non-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35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plastics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 결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외기,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내기, 및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사이에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와 각각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부, 및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전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 전송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WIRELESS DIGITAL DOORLOCK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도어락 내기와 외기에 차단되도록 차단막이 형성되고 별도의 신호 선로를 사용하지 않는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에서 내부 통신, 즉 내기와 외기 간의 통신을 위하여 전선(예컨대, 내부 커넥터)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신호 선로를 사용하는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커넥터를 결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결선 시 핀이 휘어질 수 있어 고장 및 AS(After Service) 발생 가능성이 있다.
한편, 내기와 외기 간에서 신호 선로가 연결되는 통로를 통해 도어 외부의 찬 공기와 도어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서 결로가 발생하여, 디지털 도어락의 치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15081호, 2007.12.05, (주)아이알큐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신호 선로를 이용하지 않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 결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외기,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내기, 및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사이에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와 각각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부, 및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전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 전송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신호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는 상기 외기 또는 상기 내기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무 패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무 패킹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기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를 상기 전력 전달부와 연결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는 태엽 형태로 감길 수 있다.
상기 내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락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수신부,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는 도어락 등록, 도어락 일시 정지, 비밀번호 설정, 이중잠금 설정 및 해제, 및 재택모드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아크릴,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상기 내기 및 상기 외기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선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외기;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내기; 및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사이에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와 각각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전력과 함께 전원선 신호를 전달하는 전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선이나 신호 전송 통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내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락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전원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는 상기 전력과 함께 전달되는 상기 전원선 신호를 상기 전력으로부터 분리하여 수신하는 제2 전력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기와 외기 사이의 신호 및 전력 전달을 위해 잠금 장치만을 결합하면 되고, 별도의 선로(예컨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문설치 기사의 도움 없이 자가 설치가 용이해지고, 선로 설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케이블 압착, 핀접촉 불량 등) 및 신호 선로에 발생하는 고장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 장치를 통해 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고 별도의 선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내기와 외기 간의 통로를 작게 만들 수 있고, 내기와 외기 간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플렉시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태엽 형태로 감음으로써, 손잡이부의 회전시 플렉시블 케이블의 움직임 폭을 줄여, 도어락 장치의 오작동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내기 및 잠금 장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일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잠금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극의 일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일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내기 및 잠금 장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일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400)와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1)는 내기(100), 외기(200) 및 잠금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100)는 도어(400)의 내측에서 도어(400)와 결합되는 장치이다. 내기(100)는 내기 본체부(110), 손잡이부(12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기 본체부(110)는 도어락 입력부(112), 제어회로(114) 및 내부 잠금 장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IN)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어락 입력부(112)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신호(IN)는 도어락 등록, 도어락 일시 정지, 비밀번호 설정, 이중잠금 설정 및 해제, 및 재택모드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신호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락에 카드, 휴대폰 등을 등록하는 경우, 도어락을 일시 정지시켜 도어락을 기설정된 시간 또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시간 동안 열림 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락에 이중잠금을 설정/해제하는 경우, 또는 재택모드를 설정/해제하는 경우 도어락 입력부(112)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신호(IN)가 생성될 수 있다.
이중잠금이란 핸드폰/카드/비밀번호 중 2개 이상에 의해 인증되어야 도어락이 열리도록 하거나, 상기 인증 및 내부 잠금 장치(116)에 의하여 도어가 이중으로 잠기도록 하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재택모드란 실내에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을 경우로서, 내부에서 도어를 열어주지 않으면 외부에서 문을 열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회로부(114)는 도어락 입력부(112)로부터 입력 신호(IN)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IN) 또는 입력 신호(IN)와 연관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로부(114)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되거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icro Controller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
내부 잠금 장치(11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락 설정 여부와 무관하게 도어의 잠금을 수행할 수 있다.
내기 본체부(110)와 결합되는 손잡이부(120)는 전원 공급 장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22)는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또는 고무 패킹부라고 칭함, 130)는 내기 본체부(110)를 도어(400)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실시예에 따라 고무 패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기(200) 및 내기(100) 중 적어도 하나는 잠금 장치(300) 내의 광 전송 통로(314)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32 또는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32 또는 232)는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물질(예컨대 아크릴,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내기(100)가 차단부(132)를 포함하는 경우, 고무 패킹부(130)에 차단부(1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차단부(132)를 관통하도록 제1 결합 막대(134)가 위치할 수 있다.
고무 패킹부(130)는 도어(400)의 내측 및 도어(400)를 관통하는 관통 홀(410)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고무 패킹부(130)의 내측 공간(140)에는 적외선 송신부(142), 지지대(144) 및 케이블 태엽부(146)가 위치할 수 있다.
외기(200)는 도어(400)의 외측에서 도어(400)와 결합되는 장치이다. 외기(200)는 외기 본체부(210), 손잡이부(220) 및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 본체부(210)와 결합되는 손잡이부(220)는 제1 광 전송로(222), 제2 광 전송로(224), 적외선 수신부(226) 및 회로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또는 고무 패킹부라고 칭함, 230)는 외기 본체부(210)를 도어(400)에 결합하기 위한 장치로서, 실시예에 따라 고무 패킹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무 패킹부(230)에는 차단부(2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차단부(232)를 관통하도록 제2 결합 막대(234)가 위치할 수 있다. 고무 패킹부(230)는 도어(400)의 외측 및 도어(400)를 관통하는 관통 홀(410)에 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잠금 장치(300)는 내기(100) 및 외기(200) 사이에서 내기(100) 및 외기(200)와 각각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라, 잠금 장치(300)는 실린더 타입, 래치 타입 또는 모티스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잠금 장치(300)는 전력 전달부(312) 및 적어도 하나의 광 전송 통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부(312)는 내기(100)에서 외기(200)로 전력을 전달하고, 광 전송 통로(314)는 내기(100)에서 외기(200)로 광 신호(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전달부(312)는 전극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잠금 장치(300)는 캠(cam, 310)을 포함할 수 있고, 전극(312) 및 광 전송 통로(314)는 캠(3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지털 도어락 장치(1)의 내기(100)에서 외기(200)로의 신호 및 전력 전달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락 입력부(112)를 조작하면, 도어락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IN)를 생성하여 회로부(114)로 전송할 수 있다. 회로부(114)는 입력 신호(IN), 또는 입력 신호(IN)와 연관된 신호를 적외선 송신부(142)로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송신부(142)는 입력 신호(IN)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적외선 신호는 차단부(132), 광 전송 통로(314), 차단부(232), 제1 광 전송로(222) 및 제2 광 전송로(224)를 통해 적외선 수신부(226)로 전달될 수 있다.
적외선 수신부(226)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ES)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수신부(226)의 소모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대기상태에서는 적외선 수신부(226)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시작버튼(240)을 누르면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외부에 있는 사용자는 먼저 시작버튼(240)을 눌러 적외선 수신부(226)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비밀 번호 등을 눌러 잠금 해제를 할 수 있다. 단, 상기 인증 및 내부 잠금 장치(116) 및 재택모드 설정 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인증 및 내부 잠금 장치(116) 및 재택모드 설정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회로부(228)는 적외선 수신부(226)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ES)를 처리할 수 있다. 회로부(228)의 신호 처리에 따라 잠금 장치(300)가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회로부(228)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에 구현되거나,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니트(Micro Controller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내기(100)의 전원 공급 장치(122)는 제1 플렉시블 케이블(118)을 통해 회로부(114)와 연결되어 회로부(114)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을 통해 외기(2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회로부(114)는 적외선 송신부(142)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플렉시블 케이블(118)은 고무 패킹부(130)의 내측 공간(140)에 위치하는 지지대(144)와 차단부(132) 사이에 태엽 형태로 감긴 후 회로부(1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은 제1 결합 막대(134)에 결합되어 잠금 장치(300)의 전극(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은 잠금 장치(300)의 전극(312) 및 회로부(228) 사이에 연결되고,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의 일부는 제2 결합 막대(23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은 제2 결합 막대(234)에 결합되어 잠금 장치(300)의 전극(312)에 연결될 수 있다. 전극(312)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따라서 전원 공급 장치(122)가 공급하는 전력은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 전극(312) 및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을 통해 외기(200)의 회로부(228)로 공급될 수 있다. 회로부(228)는 적외선 수신부(226)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300) 내의 전극(312)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력을 전달하며, 잠금 장치(300) 내의 광 전송 통로(314)를 통해 광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내기(100)와 외기(200) 사이의 신호 및 전력 전달을 위해 잠금 장치(300)만을 결합하면 되고, 별도의 선로(예컨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문설치 기사의 도움 없이 자가 설치가 용이해지고, 선로 설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케이블 압착 등) 및 신호 선로에 발생하는 고장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 장치(300)를 통해 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고 별도의 선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내기(100)와 외기(200) 간의 통로를 작게 만들 수 있고, 차단부(132, 232)를 이용하여 내기(100)와 외기(200) 간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 및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은 지그재그 형태로 결합막대(134, 234) 측면에 여유를 두어 결합막대(134, 234)의 수직운동 시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 및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플렉시블 케이블(118)의 적어도 일부가 차단부(132) 내측의 태엽 감김부(146)에서 태엽 형태로 감기므로, 손잡이부(120)의 회전시 제1 플렉시블 케이블(118)의 움직임 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20)의 회전운동 시 제1 플렉시블 케이블(118)이 꼬이지 않도록 하여 도어락 장치(1)의 오작동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2의 잠금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6(a)를 참조하면, 잠금 장치(300a)는 캠(310) 및 래치 볼트 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볼트 본체(320)가 잠금 장치(300a) 바깥쪽으로 이동한 경우 래치 볼트 본체(320)에 의해 도어(400)가 잠금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b)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20 또는 220)의 회전에 따라 캠(310)이 회전할 수 있다. 캠(310)의 회전에 따라 래치 볼트 본체(320)가 잠금 장치(300a)의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잠금 장치(300b)의 래치 볼트 본체(320)가 잠금 장치(300a) 안쪽으로 이동한 경우 도어(40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캠(310)은 전극(312) 및 적어도 하나의 광 전송 통로(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312) 및 광 전송 통로(314)는 캠(3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전극(312)의 일 실시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312)은 제2 플레서블 케이블(136)에 결합되는 제1 전극부(312c), 제3 플렉서블 케이블(236)에 결합되는 제2 전극부(312a) 및 제3 전극부(31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전극부(312b)의 상부에는 돌기 모양의 양극(anode, 312-1)과 음극(cathode, 312-3)이 마련되고,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3 전극부(312b)의 하부에도 마찬가지로, 양극과 음극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극부(312c)의 상부에는 양극(312-2)과 양극(312-2)을 둘러싸는 모양의 음극(312-4)가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2 전극부(312a)의 하부에도 제1 전극부(312c)의 상부에 마련된 양극(312-2)과 동일한 모양의 양극과 음극이 대칭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극부(312c)의 양극(312-2)과 음극(312-4)은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제2 전극부(312a)의 양극과 음극은 제3 플렉시블 케이블(236)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1)가 도어(400)에 설치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312)에서 제1 전극부(312c)와 제3 전극부(312b)의 같은 극끼리 연결되고, 제2 전극부(312a)와 제3 전극부(312b)의 같은 극끼리 연결되어, 별도의 선로(예컨대 커넥터) 없이도, 전원이 자동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312)은 또한, 손잡이부(120 또는 220)의 회전에 의하여 캠(310)이 회전하더라도, 전극(312) 내에서 동일 극끼리의 연결은 유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어락 장치(1)가 설치되는 도어(400)는 좌수문, 우수문, 안쪽으로 열리는 문, 또는 바깥쪽으로 열리는 문 등 다양한 타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는 설치되는 도어(400)의 타입에 따라 초기 설치 시 레버를 중립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1)가 설치되는 도어(400)의 타입에 상관없이, 디지털 도어락 장치(1)가 설치 되면전원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일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 5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와 유사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 위주로 기술한다.
내기(100a)는 도어락 입력부(112), 회로부(114a) 및 전원 공급 장치(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입력부(112)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IN)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어락 입력부(112)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부(114)는 도어락 입력부(112)로부터 입력 신호(IN)를 수신하고, 입력 신호(IN) 또는 입력 신호(IN)와 연관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회로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원 공급 장치(122a)로 제공된다. 전원 공급 장치(122a)는 전력원으로서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공급 장치(122a)는 또한,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회로(123)을 포함한다.
전력선 통신 회로(123)는 별도의 신호선 없이 전원선으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로서, 회로부(11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전원선을 통해 전력(PW)과 함께 전송하기에 적절한 신호(이하, '전원선 신호'라 칭함)로 변환한다. 전력선 통신 회로(123)는 전원선 신호(SIG)를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을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전원선 신호(SIG)는 전력(PW)과 함께 제2 플렉시블 케이블(136), 전극(312) 및 제3 플렉서블 케이블(236)을 통해 외기(200a)에 전달된다.
외기(200a)는 회로부(228a)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228a)는 내기(100a)의 회로부(114a)와 유사하게 전력선 통신(PLC) 회로(229)을 포함한다. 전력선 통신 회로(229)는 전력(PW)와 함께 전송되는 전원선 신호(SIG)를 전력(PW)으로부터 분리하여 수신함으로써 원 신호(IN)을 복원할 수 있다.
잠금 장치(300a)는 전력 전달부(312) 외의 별도의 신호 통로나 커넥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잠금 장치(300a)는 별도의 신호선이나 광 전송통로 없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전달부(312)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부(312)는 내기(100)에서 외기(200)로 전력(PW)뿐 아니라 전원선 신호(SIG)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장치(300a) 내의 전극(312)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력 및 전원선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내기(100)와 외기(200) 사이의 신호 및 전력 전달을 위해 잠금 장치(300a)만을 결합하면 되고, 별도의 선로(예컨대 커넥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전문설치 기사의 도움 없이 자가 설치가 용이해지고, 선로 설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케이블 압착 등) 및 신호 선로에 발생하는 고장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금 장치(300a)를 통해 신호 및 전력을 전달하고 별도의 선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내기(100a)와 외기(200a) 간의 통로를 작게 만들 수 있고, 내기(100a)와 외기(200a) 간의 공기 유입이 차단됨으로써, 결로 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어와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 장치(1), 내기(100, 100a),
외기(200, 200a), 잠금 장치(300, 300a),
도어(400), 내기 본체부(110),
손잡이부(120), 결합부(130),
외기 본체부(210), 손잡이부(220),
결합부(230), 캠(310),
전극(312), 광 전송 통로(314)

Claims (11)

  1. 도어에 결합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외기;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내기; 및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 사이에서 상기 외기 및 상기 내기와 각각 결합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외기의 손잡이부 또는 상기 내기의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캠;
    상기 캠을 관통하여,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부; 및
    상기 내기에서 상기 외기로 광 신호를 전달하는 광 전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는
    상기 외기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광 전송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1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기는
    상기 내기를 상기 도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광 전송 통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제2 차단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는
    적외선 신호인 디지털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달부는
    음극과 양극을 가지며, 상기 내기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 전극부;
    음극과 양극을 가지며, 상기 외기의 회로부에 상기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 전극부; 및
    음극과 양극을 가지는 제3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락 장치가 상기 도어에 설치되면,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의 같은 극끼리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부와 상기 제3 전극부의 같은 극끼리 연결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상기 제1 전극부와 연결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는
    태엽 형태로 감기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도어락 입력부;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는
    상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적외선 수신부;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도어락 등록, 도어락 일시 정지, 비밀번호 설정, 이중잠금 설정 및 해제, 및 재택모드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신호인 디지털 도어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 각각은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부 각각은
    아크릴,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78459A 2014-06-25 2014-06-25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101602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59A KR101602771B1 (ko) 2014-06-25 2014-06-25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459A KR101602771B1 (ko) 2014-06-25 2014-06-25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61A Division KR102057291B1 (ko) 2015-09-25 2015-09-25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87A KR20160000787A (ko) 2016-01-05
KR101602771B1 true KR101602771B1 (ko) 2016-03-11

Family

ID=5516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459A KR101602771B1 (ko) 2014-06-25 2014-06-25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0B1 (ko) 2016-04-29 2016-11-04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도어록 장치용 레버의 구멍 펀칭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708B (zh) * 2019-01-30 2024-03-22 陈坤 电控锁具的走线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558Y1 (ko) * 2004-03-30 2004-06-18 주식회사 더존아이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0370949Y1 (ko) * 2004-10-01 2004-12-17 남정호 디지털 도어록
KR200384286Y1 (ko) * 2005-03-03 2005-05-12 주식회사 아이레보 케이블이 없는 전자식 도어록
JP2012515860A (ja) 2009-01-20 2012-07-12 ロック・セカンド・エル・エル・シー 自己発電型電子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5081A (ko) 2006-05-30 2007-12-05 (주)아이알큐브 실내/실외 구조 디지털 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558Y1 (ko) * 2004-03-30 2004-06-18 주식회사 더존아이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200370949Y1 (ko) * 2004-10-01 2004-12-17 남정호 디지털 도어록
KR200384286Y1 (ko) * 2005-03-03 2005-05-12 주식회사 아이레보 케이블이 없는 전자식 도어록
JP2012515860A (ja) 2009-01-20 2012-07-12 ロック・セカンド・エル・エル・シー 自己発電型電子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80B1 (ko) 2016-04-29 2016-11-04 주식회사 유경하이테크 도어록 장치용 레버의 구멍 펀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87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75622U (zh) 一种多功能智能锁
CA3009982C (en) One-piece connector for lock assembly and method of same
CN104008589A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智能锁、智能锁系统、开关锁方法
CN205845134U (zh) 一种智能锁
KR101602771B1 (ko)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CN203882365U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智能锁、智能锁系统
EP2928113B1 (en) Power line ethernet adaptor and power line ethernet communication kit
CN203966214U (zh) 多功能隐形智能遥控门锁
CN105898218A (zh) 安全监控面板
KR20160000878A (ko) 와이어리스 디지털 도어락 장치
CN108427309A (zh) 智能家居控制系统
CN206498492U (zh) 一种无线可视门铃
CN206532413U (zh) 一种闸机无线通信控制系统
CN105064809A (zh) 一种智能锁具
CN104992492A (zh) 一种锁具
CN205594778U (zh) 用于智能快递柜的清柜装置
CN105580243A (zh) 电力控制装置
WO2015165267A1 (zh) 锁具输入单元及转换装置
CN204920462U (zh) 一种集成门锁的门把手
CN203947870U (zh) 一种门锁把手开门监控结构
CN104599476B (zh) 一种遥控器
CN205375632U (zh) 智能门锁
JP5526871B2 (ja) 受信装置
CN111911007A (zh) 一种具有可视功能的智能门锁
KR100761453B1 (ko)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