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55B1 -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555B1
KR101602555B1 KR1020140033403A KR20140033403A KR101602555B1 KR 101602555 B1 KR101602555 B1 KR 101602555B1 KR 1020140033403 A KR1020140033403 A KR 1020140033403A KR 20140033403 A KR20140033403 A KR 20140033403A KR 101602555 B1 KR101602555 B1 KR 10160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esophageal
conductance
value
manome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417A (ko
Inventor
주세경
정기욱
명승재
정훈용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55B1/ko
Priority to US15/310,793 priority patent/US10750965B2/en
Priority to PCT/KR2015/002761 priority patent/WO2015142120A1/ko
Publication of KR2015011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55B1/ko
Priority to US16/931,456 priority patent/US2020034525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6Impedance imaging, e.g. by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8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invasively, e.g. using a catheter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에 구비된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들의 임피던스의 역수 값을 이용하여 컨덕턴스의 시공간적 3차원 분포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도 질환의 판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detecting esophagus disease using high resolution impedance manometry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을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도 질환은 삼킴 곤란, 유연, 구토 등의 증상을 나타내므로 식도 검사에 의하여 감별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식도 운동 질환의 경우 일반적으로 널리 시행하는 상부 위 식도 내시경 검사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어, 식도 내압 검사 즉, 마노메트리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마노메트리 검사는 과거 70-80년대에는 5 cm 간격으로 띄엄띄엄하게 배열된 센서를 통하여 그 결과 값을 분석하는 수준이었으나, 최근 10여년 사이에 고해상도 마노메트리(high-resolution manometry)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보다 조밀하게 1 cm 간격으로 배열된 센서를 통하여 시그널을 받아 들여서 보다 풍부한 임상 정보를 통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게 되었다.
과거 위식도 역류증 검사에 제한적으로 쓰이던 임피던스 검사법은 식도 내에 삼킨 식괴의 양을 간접적인 저항값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해상도 마노메트리 카테터에서 같이 부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high resolution impedance manometry)는,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카테터를 식도 내에 삽입시키고 저항 변화에 기초한 통과물의 성질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식도 질환을 분석할 수 있다. 식도에 통과물이 많이 남아 있을수록 임피던스 값은 낮아지며 식도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해상도 마노메트리 카테터를 활용한 임피던스 검사법은 아직까지 그 결과값의 해석에 있어 제한점이 많고, 결정적으로 정확한 양을 객관적인 숫자로 나타내주지 못하여, 임상적으로는 그 쓰임에 있어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02-0093860호(2002.12.1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식도 질환의 판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은,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식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 내에서 기 설정된 관심 위치 구간을 대상으로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며,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중에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삽입 시, 식도 기능에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식도 부위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을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하는 임피던스 획득부와,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하는 컨덕턴스 획득부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포함하는 세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하는 3차원 분포 획득부, 및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체적적분 연산부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은,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부,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식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질환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적적분 연산부는,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 내에서 기 설정된 관심 위치 구간을 대상으로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며,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중에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삽입 시, 식도 기능에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식도 부위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을 설정받는 관심구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에 구비된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들의 임피던스의 역수 값을 이용하여 컨덕턴스의 시공간적 3차원 분포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도 질환의 판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식도에 식염수가 주입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에 따라 획득한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나타낸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high resolution impedance manometry)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식도 내의 질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도 1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는 그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도 1의 경우 2cm 간격)으로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Z1~Z16)이 배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압력(pressure)를 측정하는 1cm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압력 센서들(ex, 36개) 사이에, 2cm 간격으로 배열된 임피던스 전극(ex, 16개)이 달려 있는 형태를 가지는 손가락 굵기의 카테터(catheter)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는 카테터를 콧구멍으로 삽입한 후, 대략 5~10분 정도의 기간 동안 10번 정도의 식염수(saline)를 삼킴으로써 모든 검사가 종료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고해상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에 부착되어 있는 2cm 간격으로 배열된 임피던스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값을 객관화된 수치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서, 삼킨 식괴의 양이 일정 시간 내에 식도를 다 빠져 나가지 못하고, 식도에 많이 남아 있을 수록 식도 운동에 문제가 있다는 이론에 기반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는 기 공지된 형태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도 1와 같은 마노메트리 형태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서 식도에 식염수가 주입된 모습이다. 식도 임피던스 검사는 저항 변화에 기초한 통과물(ex, 셀라인; 식염수)의 성질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식염수가 주입된 이후 식도 내에 식염수가 남아있는 양이 많을수록 임피던스는 저하되고 전도도는 커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장치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도 질환 검사 장치(100)는 임피던스 획득부(110), 컨덕턴스 획득부(120), 3차원 분포 획득부(130), 체적적분 연산부(140), 임계값 비교부(150), 질환 판단부(160), 구간 분류부(170), 관심구간 설정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임피던스 획득부(110)는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에 구비된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한다(S410).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은 도 1과 같이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ex, 2㎝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임의 위치 구간이란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의 관부의 전체 길이 중 전극이 설치된 일부 길이 구간을 의미함은 자명하다.
상기 S410 단계는 각각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임피던스 값을 개별 획득하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획득한다. 그러면, 시간에 따른 각 임피던스 전극에서의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알 수 있으며, 각 임피던스 전극의 위치(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른 임피던스 값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이후, 컨덕턴스 획득부(120)는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한다(S420). 이러한 S420 단계는 앞서 S410 단계 시에 획득한 모든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 3차원 분포 획득부(130)는 상기 전극이 설치된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한다(S430).
도 5는 도 4의 S430 단계에 따라 획득한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나타낸다. 도 5의 x축은 시간(Time; s), y축은 전극의 설치 위치(Position; cm), z축은 컨덕턴스 값(conductance; mS)을 나타낸다.
도 5의 경우 25초 동안의 컨덕턴스 값의 획득 데이터를 나타낸다. 임피던스 전극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y축의 경우 0~30㎝ 범위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3차원 컨덕턴스 분포는 하나의 입체감 있는 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임피던스 전극은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2cm 간격으로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 구간에 대한 컨덕턴스 값을 세세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각각의 포인트 지점을 이어서 곡선화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도 5와 같이 각 지점 사이에 대한 연속적인 데이터를 획득(추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는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 값들(x축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각 포인트 지점을 이어서 곡선화 또는 곡면화 처리하고 각 지점 사이의 중간값들을 획득하는 기법은 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식도 질환을 판단한다. 즉, 체적적분 연산부(140)는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한다(S440).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0~30cm 구간 전체에 대하여 0~25초 동안 획득된 3차원 컨덕턴스 분포 전체에 대하여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한다.
그런 다음, 임계값 비교부(150)는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S450). 이후, 질환 판단부(160)는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식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460).
컨덕턴스의 경우 임피던스와 반대의 개념으로서,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질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컨덕턴스는 그 값이 클수록 질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에는,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의 전체를 이용하지 않고 일부 구간(ex, 10~20cm)을 이용한다. 즉, 상기 S440 단계 시에,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에는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 내에서 기 설정된 관심 위치 구간을 대상으로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한다. 즉, 이 일부 구간에 대한 체적 적분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질환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임계값은 앞서 전체 구간을 이용한 경우에 사용하는 임계값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사용되는 임계값은 전체 전극 길이 구간에 대한 일부 구간의 길이 비율에 비례하여 변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이란, 전극이 설치된 구간 중에서도 상기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의 식도 삽입 시에, 식도 기능에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식도 부위에 대응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식도 기능에 일부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에는 기능에 이상이 없는 구간을 활용하여 정상 및 비정상/병변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검자에 따라 정상 기능의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관심 구간의 설정 기능을 포함한다. 즉, 관심구간 설정부(180)는 상기 임피던스 마노메트리(10)에서 임피던스 전극이 설치된 구간(0~30cm) 내에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의 영역을 설정받는다. 이러한 관심 위치 구간의 설정 과정은 도 4의 S410 단계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물론, S440 단계 이전의 어느 단계에 수행하여도 무관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에 구비된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들의 임피던스의 역수 값을 이용하여 컨덕턴스의 시공간적 3차원 분포를 획득하고 이를 활용하여 식도 질환의 판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에 임피던스 검사에서 단순히 임피던스 값을 표준값과 비교한 것과는 달리, 각 전극에서의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한 컨덕턴스 값을 시공간적으로 가공한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활용한 것으로서, 시공간적 변화에 따른 3차원 적분 체적을 이용하여 식도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
110: 임피던스 획득부 120: 컨덕턴스 획득부
130: 3차원 분포 획득부 140: 체적적분 연산부
150: 임계값 비교부 160: 질환 판단부
170: 구간 분류부 180: 관심구간 설정부

Claims (8)

  1.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에서의 식도 질환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도 질환 검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식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도 질환 검사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 내에서 기 설정된 관심 위치 구간을 대상으로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며,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중에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삽입 시, 식도 기능에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식도 부위에 대응하는 구간인 식도 질환 검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을 설정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도 질환 검사방법.
  5.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이 길이 방향의 임의 위치 구간을 따라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피던스 전극으로부터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하는 임피던스 획득부;
    상기 획득한 임피던스 값을 역수화하여 컨덕턴스 값을 획득하는 컨덕턴스 획득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각 임피던스 전극이 배치된 위치, 상기 시간, 상기 컨덕턴스 값을 포함하는 세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컨덕턴스의 변화를 나타내는 3차원 컨덕턴스 분포를 획득하는 3차원 분포 획득부; 및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는 체적적분 연산부를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에 대한 전체 체적 적분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임계값 비교부; 및
    상기 연산된 비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식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질환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적적분 연산부는,
    식도 기능에 이상이 있는 피검자의 경우, 상기 3차원 컨덕턴스 분포 내에서 기 설정된 관심 위치 구간을 대상으로 체적 적분 값을 연산하며,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은,
    상기 임의 위치 구간 중에서, 상기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의 삽입 시, 식도 기능에 이상이 없는 정상적인 식도 부위에 대응하는 구간인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임의 위치 구간 내에서 상기 관심 위치 구간을 설정받는 관심구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장치.
KR1020140033403A 2014-03-21 2014-03-21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KR101602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403A KR101602555B1 (ko) 2014-03-21 2014-03-21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US15/310,793 US10750965B2 (en) 2014-03-21 2015-03-20 Method for detecting disease using high resolution manometry, and apparatus thereof
PCT/KR2015/002761 WO2015142120A1 (ko) 2014-03-21 2015-03-20 고해상도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질환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US16/931,456 US20200345254A1 (en) 2014-03-21 2020-07-17 Method for detecting disease using high resolution manometry,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403A KR101602555B1 (ko) 2014-03-21 2014-03-21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7A KR20150111417A (ko) 2015-10-06
KR101602555B1 true KR101602555B1 (ko) 2016-03-11

Family

ID=5434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403A KR101602555B1 (ko) 2014-03-21 2014-03-21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5780B (zh) * 2020-03-06 2023-02-28 重庆金山医疗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分辨率消化道测压数据分析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4495A1 (en) 2003-01-29 2004-12-16 Sandhill Scientific, Inc. Standardized swallow challenge medium and method of use for esophageal function testing
US20060004304A1 (en) 2004-05-17 2006-01-05 Sierra Scientific Instruments, Inc. Analysis and visualization methods using manometry 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4495A1 (en) 2003-01-29 2004-12-16 Sandhill Scientific, Inc. Standardized swallow challenge medium and method of use for esophageal function testing
US20070225613A1 (en) 2003-01-29 2007-09-27 Sandhill Scientific, Inc. Method of esophageal function testing with a standardized thixotropic swallow challenge medium
US20060004304A1 (en) 2004-05-17 2006-01-05 Sierra Scientific Instruments, Inc. Analysis and visualization methods using manometry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17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8145192A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сбора данных о движениях и способ сбора данных о движениях
Shi et al. Normative data of high‐resolution impedance manometry in the C hinese population
US10376160B2 (en) Blood pressure estimation method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US8374803B2 (en) Damage detection apparatus, damage dete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09047283A3 (en) Means and methods for monitoring myocardial infarction and its treatment
KR101602555B1 (ko) 고해상도 식도 임피던스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식도 질환 검사방법 및 그 장치
Nabeel et al. Magnetic plethysmograph transducers for local blood pulse wave velocity measurement
Tamilia et al. An automatized system for the assessment of nutritive sucking behavior in infants: a preliminary analysis on term neonates
TW201308253A (zh) 運動量分析方法及採用此方法之運動量分析裝置
US10165958B2 (en)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of signal source in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signal source in living body
Park et al. High-resolution impedance manometry criteria in the sitting position indicative of incomplete bolus clearance
Kimura Long and short of nerve conduction measures: reproducibility for sequential assessments
Drinnan et al. Inter‐observer agreement in the estimation of bladder pressure using a penile cuff
Santoso et al. Development of precession instrumentation system for differentiate walking from running in race walking by using piezoelectric sensor
WO2015142120A1 (ko) 고해상도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질환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JP2017083414A (ja) 欠陥検出装置及び欠陥検出方法
Banasiuk et al. Comparison of anorectal function as measured with high-resolution and high-definition anorectal manometry
KR101521750B1 (ko) 고해상도 항문 직장 마노메트리를 이용한 항문 직장 질환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61506A (ja) 信号解析装置、信号解析方法、劣化診断装置及び劣化診断方法
US20220117542A1 (en) Four-dimensional manometry
Jang et al. A modified D-max method to estimate heart rate at a ventilatory threshold during an incremental exercise test
Provot et al. Intra and inter test repeatability of accelerometric indicators measured while running
EP2048478A3 (de)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Sensors an einem Messverstärker und zur selbsttätigen Anpassung eines Sensors an einen Messverstärker
RU2015153610A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илы давления мышц языка на сегменты смежных анатомических образований полости рта
KR101603764B1 (ko) 인체 내 임피던스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