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20B1 -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520B1
KR101602520B1 KR1020117013352A KR20117013352A KR101602520B1 KR 101602520 B1 KR101602520 B1 KR 101602520B1 KR 1020117013352 A KR1020117013352 A KR 1020117013352A KR 20117013352 A KR20117013352 A KR 20117013352A KR 101602520 B1 KR101602520 B1 KR 101602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condary intermodulation
ref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4489A (ko
Inventor
알리 카림 아오울라드
패트릭 오젠느
필립프 바르
허브 제이콥
Original Assignee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엔 리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엔 리퀴데이션 filed Critical 에스티 에릭슨 에스에이 엔 리퀴데이션
Publication of KR2011010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IIP2)의 교정 방법은,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 - 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M2) 기준 신호(STXIM2 - REF)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와 IM2 기준 신호(STXIM2 - REF)로부터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단계, 최저 IM2 전력을 알아내기 위하여 IIP2 튜너를 튜닝하는 단계, 그리고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CALIBRATION OF A 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OF A RADIO TRANSCEIV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접 변환 수신기에서 2차 간섭 감소를 가능하게 하는 동적 이차 인터셉트 포인트(dynamic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교정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그의 높은 집적도를 위해 기본적으로 DCR(direct conversion receiver) 구조를 널리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더 낮은 비용과 보다 작은 크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ZIF(zero intermediate frequency) 구조와 같은 DCR 구조가 3G WCDMA(third generatio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핸드셋, 또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ation system) 핸드셋의 무선 수신기를 위해 현재 선택된다.
직접 변환 수신기의 주된 어려움은 원하는 신호를 손상시키며 수신기 감도를 상당히 저하시키는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 직류 오프셋 및 이차 상호변조(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M2) 왜곡과 기본적으로 관련있는 기저 대역 공동위치된 노이즈이다. 플리커 노이즈 및 직류 오프셋은 광대역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역통과 필터링에 의해 경감될 수 있다. 반대로, IM2 왜곡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여전히 가장 심각한 현상을 보인다.
IM2의 주된 원인은 다운 변환 믹서로 인한 것으로, 특히 그의 차동 구조 부분에서 비선형성 및 불일치로 인한 것이다. 그들은 본래 전단 믹서에서 발생되며, 원하는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차지한다. 임의 간섭기와 관련있는 IM2 전력은 IM2 왜곡 보상에 대한 성능 지수(figure of merit)를 가리키는 이차 인터셉트 포인트(second order intercept point; IP2) 레벨과 그의 전력 레벨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3G WCDMA FDD(full duplex) 수신기에서, 주된 어려움은 송신기 신호 누설에 의해 발생되는 IM2 왜곡과 관련있다. 또한 3G 송수신기가 예를 들면 다중 대역, 다중 표준, 다중 모드를 가지며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므로, 3G 송수신기는 새로운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IIP2)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교정 기법은 계산력 및 가용성이 상당히 제한된 DSP(digital signal pro cessor) 칩으로부터 신호 처리가 필요하므로, 교정 문제는 휴대용 장치에서 보다 중요하다.
자동화된 교정 기법이 개발되어 왔지만, 모바일 장치가 스위치온될 때에만 신속한 교정이 제공된다. 또한 온도 및 주파수 의존성은 교정점의 성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3G WCDMA FDD 동작 모드에서, 송신으로부터 수신을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 듀플렉서가 필요하다. 송신과 수신 간의 제한된 유한 듀플렉서 격리로 인한 송신기 누설은 수신기의 입력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IM2 왜곡의 주된 원인이다. 수신기의 기저 대역에서, 이것은 송신 신호 포락선의 제곱 버전에 대응하며, 송신 진폭 포락선의 대역폭의 두 배를 차지하여, 수신기의 감도 저하를 일으킨다.
종래기술을 참조하면, US 2004 0 203 458은 통신 장치에서 2차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것은 신호 처리에 의한 간섭을 보상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문서는 송신 누설에 의해서만 발생되는 상호변조 왜곡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WCDMA에서 인접 채널로 연결된 2차 비선형성은 이 방법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송수신기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 신호 공동거주(signal cohabitation)도 보다 복잡해지고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 장치가 동작중일 때일지라도 IP2를 동적으로 교정함으로써 높은 IP2 요건을 성취하고 일반적 상호변조 왜곡을 감소시키도록 제안한다.
양상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IIP2의 교정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송신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IM2 기준 신호 생성
-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로부터 IM2 전력 추정
-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IIP2 튜닝
- 알아낸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 추출
제1 특징에 따라서, IM2 기준 신호는 송신 기저 대역 신호의 이상적 제곱 처리(square-law process)에 의해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IM2 효과는 다음 유형의 제곱 처리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1043791213-pct00001
여기서 │STXBB - REF│는 송신 기저 대역 신호의 시변 복소 신호 포락선의 크기이고, α는 IP2에 비례하는 계수이다.
두 번째 특징에 따라서, IM2 전력은 적응 필터링 수단으로써 유리하게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적응 필터링 수단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의 콘볼루션(convolution)에 의해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2차 상호변조 신호를 추출한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 수단의 IM2 억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의 일반적인 일 특징에 따라서,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송신기의 업 변환기로부터의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수단의 믹서로 주입
- 송신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IM2 기준 신호 생성
-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로부터 IM2 전력 추정
-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하도록 IIP2 튜닝
-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 추출
-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된 IM2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는 IM2 전력 추정을 위한 테스트 신호로서 사용된다.
송신 누설 신호의 복소 포락선은 본래 증폭기와 듀플렉서의 격리를 통해 소정 왜곡을 겪는다. 따라서 송신 누설 신호는 원 송신 기저 대역 신호와 유사하지 않을 수 있고, 이들 두 복소 포락선들 간에 상관관계 레벨을 기반으로 한 추정 수단 성능을 저하시킬 위험이 크다. 또한 송신 누설 신호의 전력은 WCDMA 통신 표준에 따라서 변한다. 이것은 추정기의 신호 상관관계에 대한 이들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 전력의 송신 신호 부분이 수신 수단의 믹서 입력으로 주입되는 이유이다.
송신 누설 신호는 송신 신호와 상호관련이 없다. 이 비상관관계 품질이 추정 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송신 누설 신호가 송신 신호와 상호관련 있는 것으로 발견될지라도 송신 기준 신호가 인코딩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IM2 전력을 추정하고, IIP2를 튜닝하고, 최적의 IIP2를 추출하는 일은 폐쇄 회로에서 수행된다.
IM2를 억제하고 최적 제어를 위해 폐쇄 루프를 사용하기 위하여 테스트 신호로서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면, 무선 통신 장치가 작동중인 동안에 교정을 계속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근본적으로 낮은 발진 주파수와 온도 변동으로 인하여 느리게 진행되는 성능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수신 수단의 믹서로 주입되는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는 무선 송수신기의 이득 파라미터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수신 수단은 직접 변환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양상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IIP2의 교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송신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IM2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로부터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 그리고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생성 수단은 송신 기저 대역 신호의 제곱 처리를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추정 수단은 적응 필터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적응 필터링 수단은 IM2 기준 신호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의 콘볼루션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4 양상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 수단의 IM2 억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송신기의 업 변환기로부터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수단의 믹서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 수단과, 송신 기저 대역 신호로부터 IM2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과,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로부터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과, 알아낸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과, 그리고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된 IM2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하기 위한 감산 수단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추정 수단, 교정 수단 및 IIP2 튜너를 포함한 폐쇄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주입 수단은 수신 수단의 믹서로 주입된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의 이득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수신 수단은 유리하게도 직접 변환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로 제한되지 않음)을 검토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IM2 억제 시스템의 실시예를 포함한 무선 송수신기의 블록도.
도 2는 IM2 억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논리적 흐름도.
도 1은 IM2 억제 시스템의 실시예를 포함한 무선 송수신기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를 제공한다.
본 시스템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신호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일 수 있고, 소정 경우에 실수 또는 복소수, 즉 실수부 및 허수부를 나타내는 개별 신호 성분일 수 있다. 신호의 디지털, 아날로그 또는 복소 특성이 여기에 기술한 일반적 처리 개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무선 송수신기는 안테나(3)에 연결된 듀플렉서(2)를 통해 또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수단(1), 그리고 또 다른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방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안테나(3)에 연결된 듀플렉서(2)를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수단(4)을 포함한다.
송신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같은 기저 대역 생성기(5)에 제공된다. 기저 대역 생성기는 예를 들면 직접 변환 라디오에서 송신 기저 대역 신호 STXBB - REF와 같이 국부적으로 사용가능한, 송신 수단(1)을 위한 실제 복소 변조 포락선 신호를 생성한다. 송신 기저 대역 신호는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 STXRF - REF를 생성하기 위해 주파수 업 변환기(6)를 통해 송신 캐리어를 변조한다.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는 전력 증폭기(7)에 의해 증폭되고, 듀플렉서(2)로 주입된 후에 안테나(3)에 의해 송신된다.
송신측에서, 소정의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는 송신 수단(1)과 영향받는 수신 수단(4)의 모두를 위해 단일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개별 안테나들 간의 한정된 격리로 인한 간섭과 같이 수신 수단(4) 입력으로의 길을 찾아낼 것이다. 이 송신 누설 신호는 수신측에서 수신 수단(4)에 수신된 신호에서 IM2 형성을 이끌어 낼 것이다.
송신 누설 신호는 저 노이즈 증폭기(8)를 포함한 수신 수단(4)의 전단부를 통과하면서 변형된다. 이때, 송신 누설 신호의 복소 포락선은 비선형과 선형의 모두인 소정 왜곡을 겪는다.
저 노이즈 증폭기(8)를 통과한 후에, 송신 누설 신호는 믹서(8)로 주입된다. 그 후에, 신호는 통과하는 신호를 필터링 및 증폭시키는 필터링 수단(10)을 사용하여 필터링된다.
이 실시예에서, IIP2 교정 시스템(20)은 무선 송수신기로 구현된다.
IIP2 교정 시스템(20)은 송신 기저 대역 신호 STXBB - REF로부터 IM2 기준 신호 SIM2-REF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21),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와 IM2 기준 신호 SIM2-REF로부터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22), IIP2 튜너(24), 그리고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23)을 포함한다.
생성 수단(21)은 송신 기저 대역 신호 STXBB - REF로부터 IM2 기준 신호 SIM2 - REF를 생성한다. IM2 기준 신호 SIM2 - REF는 송신 기저 대역 신호 STXBB - REF의 이상적 제곱 처리에 의해 생성된다.
IM2 효과를 다음 유형의 이상적 제곱 처리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론상 인정한다:
Figure 112011043791213-pct00002
여기서 │STXBB - REF│는 송신 기저 대역 신호의 시변 복소 신호 포락선의 크기를 나타내고, α는 IP2에 비례하는 계수이다.
생성 수단(21)에 의해 생성된 IM2 기준 신호 SIM2 - REF는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를 입력에서 수신하는 추정 수단(22)으로 주입된다.
추정 수단(22)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IM2 신호의 IM2 전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이 실시예에서 최소 평균제곱 적응 제어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적응형 트랜스버설 필터(adaptive transversal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적응형 필터링 수단은 IM2 기준 신호 SIM2 - REF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를 콘볼루션시키고, 적응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IM2 기준 신호 SIM2 - REF로 적용되는 그의 필터링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에 포함된 IM2 신호를 추출한다.
추정 수단(22)은 적응 수단을 사용하여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에 포함된 IM2 신호를 추출한 후에 IM2 신호의 전력을 추정한다.
IM2 신호의 전력, 특히 저주파 IM2 신호의 전력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IIP2와 관련된다:
Figure 112011043791213-pct00003
여기서:
- PIM2는 IM2 신호의 전력을 나타내고,
- PTXRF - REF는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의 전력을 나타내고,
- IIP2는 2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나타내고,
- KTX는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 - REF가 두 톤(tones)이 아니라 대역폭 신호인 것을 고려하는 정정 인자이다.
따라서 실제 IIP2는 추출 수단(23)에 의해 IM2 전력 추정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실제 IIP2가 추출되면, 추출 수단(23)은 IIP2 튜너(24)의 코드를 변경시키고 IM2 전력이 상승 또는 낮아졌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도록 예정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IIP2 튜너(24)와 협력하여 믹서의 교정을 실행하기 시작한다. 일단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IIP2 튜너 코드가 발견되었다면, 최고 레벨을 가진 IIP2가 발견되었다고 간주한다. 따라서 이 IIP2가 추출된다. 그동안, IIP2 튜너(24)는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코드를 유지하고, 따라서 믹서(9)에 제공되는 비대칭성을 안정화시키고 IM2를 일으키기 위하여 믹서와 연결된 임피던스망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IIP2 튜너(24)에 의해 형성된 믹서(9)의 교정을 최적화한다.
모바일이 작동중인 동안에 IM2를 교정하고 최상의 효율로써 출력 신호에 있는 IM2를 억제하기 위하여, 믹서(9)의 교정과 IM2의 추정이 테스트 신호로서의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REF에 의해 행해진다.
송신 수단(1)의 업 변환기(6)에 의해 생성되는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REF 부분은 이 실시예에서 직접 변환 수신기인 수신 수단의 믹서(9)로 주입수단(25)에 의해 입력된다.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 - REF는 IM2 전력 추정을 위해 테스트 신호로서 여기에 사용된다.
송신 누설 신호의 복소 포락선은 사실상 증폭기와 듀플렉서의 격리를 통해 소정의 큰 진폭 및 위상 왜곡을 겪는다. 송신 수단(1)에 의해 생성된 송신 신호는 듀플렉서(2)가 수신 수단(4)을 향한 송신 신호의 통과를 거부 및 방지하도록 예정된 주파수 대역폭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이것은 격리 응답 기울기에서 주파수 윈도우이며, 따라서 격리는 주파수에 상당히 의존한다. 따라서 송신 누설 신호는 원 송신 기저 대역 신호와 유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들 두 복소 포락선들 간의 상관관계 레벨에 기반을 둔 추정 수단 성능을 저하시킬 위험이 상당히 크다.
또한 송신 누설 신호의 전력은 WCDMA 통신 표준에 정의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의한 제어에 따라 변한다. 이것은 추정기의 신호 상관관계에 대한 이들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 전력의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 부분이 입력 수단(25)을 통해 수신 수단(4)의 믹서(9) 입력으로 입력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 모바일폰이 기지국에 상당히 근접할 때, 낮은 송신 전력이 요청될 것이며, 이 기지국은 이웃한 채널에서 다른 모바일폰을 향해 고전력 레벨을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 - REF를 믹서(9)의 입력으로 사용하면 상당한 IM2를 생성할 것이며, 따라서 정확한 IIP2 교정을 가능하게 하여 이웃한 채널에서 기지국 송신 신호에 의해 생성되는 IM2 간섭 신호를 상쇄시킬 것이다.
이것은 이들 IM2 간섭이 다운 믹서 후에 수신 채널 내에서 출력될 것이므로 주요한 이점이다. 수신기 체인의 다수의 실제 설계에서, 믹서의 전환가능 동작 전류가 구현되고, 이 주입의 이득 조정은 이 믹서 동작점에 따라 제어될 수 있고, 이 믹서 동작점은 교정 처리의 정확성을 위해 충분하도록 높게, 교정 처리의 수렴 후에 IM2를 원하는 수신 신호 아래의 레벨로 상쇄시키기에 충분하도록 낮게 테스트 신호의 최적 전력 레벨을 설정한다.
송신 누설 신호는 송신 신호와 상호관련이 없다. 이 비연관성의 품질이 추정 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STXRF - REF는 송신 누설 신호가 송신 신호와 상호관련이 있는 것으로 발견된다고 할지라도 인코딩될 수 있다.
테스트 신호로서 송신 누설 신호 대신에 송신 무선 주파수 기준 신호 부분을 사용하면 수신 수단 입력에 앞서 필터를 추가해야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는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에 포함된 IM2 신호 전력의 효율적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IM2 기준 신호 SIM2 - REF와 상호관련이 있다.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사용하여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으로부터 IM2 신호를 추출한 후에, 신호는 감산 수단(11)에 의해 수신 수단(4)의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믹서(9)는 IIP2 튜너(24)에 의해 교정되었으므로, 최저 IM2 전력을 알아낼 수 있다.
이제, IM2의 억제 방법 실시예를 도시하는 논리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한다.
제1 단계(201)에서, 송신 수단(1)의 업 변환기(6)에 의해 생성된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 STXRF - REF 부분을 수신 수단(4)의 믹서(9)로 주입한다. 다음 단계(202)에서, 송신 기저 대역 신호 STXBB - REF로부터 IM2 기준 신호 SIM2 - REF를 생성한다.
그 다음 단계(203)에서,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사용하여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와 IM2 기준 신호 SIM2 - REF로부터 IM2 전력을 추정한다.
후속 단계(204)에서, 최저 IM2 전력을 알아내기 위하여 IIP2 튜너(24)의 코드를 변경한다.
그 후, 알아낸 최저 IM2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를 추출 수단(23)에 의해 추출하고(단계 205), 따라서 알아낸 IM2의 최저 전력에 대응한 최적 IIP2의 IIP2 튜너(24)에 대해 알아낸 코드로써 믹서를 교정한다.
마지막으로 단계(206)에서, 감산 수단(11)에 의해, 추정 수단(22)에 포함된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사용하여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 Output로부터 추출된 IM2 신호를 수신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한다.

Claims (16)

  1.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IIP2) 교정 방법에 있어서,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 - 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M2) 기준 신호(STXIM2 - REF)를 생성하는 단계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와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 - 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와,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도록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튜너를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는 최적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 - REF)는 상기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 -REF)의 제곱 처리(square-law process)에 의해 생성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은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사용하여 추정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기 위하여, 상기 적응형 필터링 수단은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 - REF)와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를 콘볼루션(convolution)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에 포함된 이차 상호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5.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 수단(4)의 이차 상호변조 억제 방법에 있어서,
    송신 수단(1)의 업 변환기(6)로부터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STXRF-REF)를 상기 수신 수단(4)의 믹서(9)로 주입시키는 단계와,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를 생성하는 단계와,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와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와,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도록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는 최적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로부터 추출된 상기 이차 상호변조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는 단계, 튜너(24)를 변경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최적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폐쇄 루프에서 수행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4)의 믹서(9)로 주입되는 상기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STXRF -REF)는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이득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4)은 직접 변환 수신기(direct conversion receiver)를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방법.
  9.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IIP2) 교정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21)과,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와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22)과,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는 최적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23)을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21)은 상기 송신 기저 대역 신호의 제곱 처리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시스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22)은 적응형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필터링 수단은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 - REF)와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의 콘볼루션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시스템.
  13.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 수단(4)의 이차 상호변조 억제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수단(1)의 업 변환기(6)로부터의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STXRF-REF)를 수신 수단(4)의 믹서(9)로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 수단(25)과,
    송신 기저 대역 신호(STXBB-REF)로부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21)과,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와 상기 이차 상호변조 기준 신호(STXIM2-REF)로부터 상기 이차 상호변조 전력을 추정하기 위한 추정 수단(22)과,
    최저 이차 상호변조 전력에 대응하는 최적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23)과,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로부터 추출된 상기 이차 상호변조 신호(STXIM2-REF)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 출력 신호(Output)로부터 감산하기 위한 감산 수단(11)을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 수단(22), 상기 추출 수단(23), 및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튜너(24)를 포함하는 폐쇄 회로를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시스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수단(25)은 상기 수신 수단(4)의 상기 믹서(9)로 주입되는 상기 송신 무선 주파수 신호(STXRF-REF)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이득 파라미터에 따라 변경시킬 수 있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시스템.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직접 변환 수신기를 포함하는
    이차 상호변조 억제 시스템.
KR1020117013352A 2008-12-12 2009-11-25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602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5928.7 2008-12-12
EP08305928A EP2197119B1 (en) 2008-12-12 2008-12-12 Method and system of calibration of a second order intermodulation intercept point of a radio trans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489A KR20110104489A (ko) 2011-09-22
KR101602520B1 true KR101602520B1 (ko) 2016-03-10

Family

ID=4057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352A KR101602520B1 (ko) 2008-12-12 2009-11-25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8559B2 (ko)
EP (1) EP2197119B1 (ko)
KR (1) KR101602520B1 (ko)
CN (1) CN102246423B (ko)
ES (1) ES2406705T3 (ko)
WO (1) WO2010066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4793B2 (en) * 2010-05-10 2014-01-21 Csr Technology Inc. IP2 calibration measurement and signal generation
US9325360B2 (en) 2010-09-28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non-linearities in a differential receiver path prior to a mixer using calibration
US8805312B2 (en) 2011-04-06 2014-08-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circuits, systems and apparatus providing audio sensitivity enhancement in a wireless receiver, power management and other performances
GB2510997B (en) 2012-05-21 2014-11-05 Aceaxis Ltd Detection of Intermodulation Products in a Wireless Network
EP2709287A1 (en) * 2012-09-17 2014-03-19 ST-Ericsson SA On-chip stimulus generation for test and calibration of nfc reader receivers
WO2014078455A1 (en) * 2012-11-13 2014-05-22 Spectra7 Microsystems Lt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 dynamic range improvement for frequency-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s
US8917792B2 (en) * 2012-12-12 2014-12-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ancellation of intermodulation and harmonic distortion in a baseband receiver
US9197279B2 (en) 2013-03-15 2015-11-24 Blackberry Limited Estimation and reduction of second order distortion in real time
US8983486B2 (en) 2013-03-15 2015-03-17 Blackberry Limited Statistical weighting and adjustment of state variables in a radio
US8942656B2 (en) 2013-03-15 2015-01-27 Blackberry Limited Reduction of second order distortion in real time
EP2779510B1 (en) 2013-03-15 2018-10-31 BlackBerry Limited Statistical weighting and adjustment of state variables in a radio
US8811538B1 (en) 2013-03-15 2014-08-19 Blackberry Limited IQ error correction
US9252892B2 (en) * 2013-05-30 2016-02-02 Nc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active reduction of radio frequency noise
US9444559B2 (en) 2013-06-03 2016-09-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IP2) calibration for wireless receivers
US9461756B2 (en) 2014-03-06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44753B (en) * 2015-11-24 2021-12-08 Trw Ltd Transceiver Circuits
US9712198B1 (en) 2016-03-18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real-time second order input intercept point calibration
EP3264620A1 (en) * 2016-07-01 2018-01-03 Intel IP Corporation Methods and transceivers for reducing a distortion component within a baseband receive signal
CN111800179B (zh) 2016-08-08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集接收机及终端
KR102573878B1 (ko) * 2017-01-17 2023-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47804B1 (ko) 2017-09-05 2022-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GB2567159B (en) 2017-10-03 2020-02-19 Surewave Tech Limited Sign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CN113439391B (zh) * 2019-02-28 2022-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校正接收机的互调失真信号的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0861A1 (en) 2000-02-15 2002-05-02 Nguyen Thinh Cat Variable transconductance variable gain amplifier utilizing a degenerated differential pair
US20030124999A1 (en) 2001-12-28 2003-07-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for continuously optimizing performance versus power consumption
WO2007113733A2 (en) * 2006-03-30 2007-10-11 Nxp B.V. Self-calibrating mix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5609B1 (en) * 1998-11-12 2003-02-25 Broadcom Corporation Large gain range, high linearity, low noise MOS VGA
US6426680B1 (en) * 1999-05-26 2002-07-30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rrow band PLL tuning
EP1145430B1 (en) * 1998-11-12 2004-09-15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tuner architecture
US7106388B2 (en) * 1999-12-15 2006-09-12 Broadcom Corporation Digital IF demodulator for video applications
US6704349B1 (en) 2000-01-18 2004-03-09 Ditran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a transmit signal spectrum in a receiver bandwidth
CN1280981C (zh) * 2001-11-16 2006-10-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功率放大器、功率放大方法和无线电通信装置
US7203472B2 (en) 2002-03-15 2007-04-1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calibration technique for RF performance tuning
US7043208B2 (en) 2002-10-15 2006-05-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707961B (zh) * 2004-06-09 2012-07-04 天津滨海鼎芯科技有限公司 零中频无线接收机二阶互调自动校准电路
ATE394830T1 (de) * 2004-07-06 2008-05-15 Acp Advanced Circuit Pursuit A Symmetrischer mischer mit fets
US7483678B2 (en) * 2005-09-27 2009-01-27 Skyworks Solutions, Inc. Single chip GSM/EDGE transceiver architecture with closed loop power control
US8170487B2 (en) * 2006-02-03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Baseband transmitter self-jamming and intermodulation cancellation device
US7742747B2 (en) 2007-01-25 2010-06-22 Icera Canada ULC Automatic IIP2 calibration architecture
US8010074B2 (en) * 2008-02-08 2011-08-3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xer circuits for second order intercept point calibration
US8126036B2 (en) * 2008-06-21 2012-02-28 Vyycore Corporation Predistortion and post-distortion correction of both a receiver and transmitter during calibration
US8060043B2 (en) * 2008-10-09 2011-11-15 Freescale Semiconductor Adaptive IIP2 calib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0861A1 (en) 2000-02-15 2002-05-02 Nguyen Thinh Cat Variable transconductance variable gain amplifier utilizing a degenerated differential pair
US20030124999A1 (en) 2001-12-28 2003-07-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the dynamic range of a receiver for continuously optimizing performance versus power consumption
WO2007113733A2 (en) * 2006-03-30 2007-10-11 Nxp B.V. Self-calibrating mix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ufrene, K. "Adaptive IP2 calibration scheme for direct-conversion receivers". Radio and Wireless Symposium, 2006 IEEE.17-19 Jan. 2006, pp111 - 1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489A (ko) 2011-09-22
CN102246423B (zh) 2014-02-26
ES2406705T3 (es) 2013-06-07
US9178559B2 (en) 2015-11-03
EP2197119B1 (en) 2013-02-13
WO2010066579A1 (en) 2010-06-17
EP2197119A1 (en) 2010-06-16
US20110299575A1 (en) 2011-12-08
CN102246423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20B1 (ko) 무선 송수신기의 이차 상호변조 인터셉트 포인트 교정 방법 및 시스템
US7043208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device
US9647705B2 (en) Digital self-interference residual cancellation
US852109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ducing interference at the front-end of a communications receiving device
CN103036827B (zh) 全分双工系统及泄露消除方法
US8320866B2 (en) Integrated circuits, communication units and methods of cancellation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US8150350B2 (en) Adaptive IIP2 calibration
US8320868B2 (en) Integrated circuits, communication units and methods of cancellation of intermodulation distortion
KR101070573B1 (ko) 혼변조 왜곡을 완화시키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매체
US2013024280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10134810A1 (en) Modul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the same therein
US201102568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Antenna Isolation Using Signal Cancellation
US8219056B2 (en) Radio environment scanner
WO2010034834A1 (en) Technique for suppressing noise in a transmitter device
WO2020113946A1 (en) I/q imbalance compensation
Habibi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an adaptive nonlinear interference suppressor for multimode transceivers
KR1021599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12060433A (ja) 送受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用端末向けrfic並びに携帯電話用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