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704B1 - 운동량 측정기구 - Google Patents

운동량 측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704B1
KR101601704B1 KR1020140113033A KR20140113033A KR101601704B1 KR 101601704 B1 KR101601704 B1 KR 101601704B1 KR 1020140113033 A KR1020140113033 A KR 1020140113033A KR 20140113033 A KR20140113033 A KR 20140113033A KR 101601704 B1 KR101601704 B1 KR 10160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wearer
amount
main bod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주)은성헬스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성헬스빌 filed Critical (주)은성헬스빌
Priority to KR102014011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통공 중 하나에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게 통공에 삽설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본체의 측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기부를 개재하는 고리를 구비하는 고정수단; 상기 본체 내부에 착용자 또는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수용하고,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운동량 수치로 변환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얻은 운동량 수치 데이터를 사용자가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한 상태로 운동량을 측정 가능하고,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확인 및 운동 설계 계획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거나 고정수단을 분리한 상태로 신발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운동량 측정기구{Device for exercise measure}
본 발명은 운동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한 상태로 운동량을 측정 가능하고,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확인 및 운동 설계 계획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거나 고정수단을 분리한 상태로 신발에 장착할 수 있는 운동량 측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동은 자신의 신체를 단련하거나 다이어트 등을 통해 미용적 요소가 매우 큰 것으로 꾸준함이 부가되어야만 만족스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조깅, 자전거 등의 운동에 있어서는 단순히 뛴다던지 무작정 폐달을 밟는 등의 운동방식은 단순하여 지루함만이 발생하기 쉬워 쉽게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이는, 체계적 운동 설계 및 운동에 의해 나에게로 발생하는 효과 등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이 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2002-0014005호에 따르면, ‘운동량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무선신호 모듈을 통해 상기 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신발과; 상기 무선신호 모듈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고, 처리자료를 외부로 송신하는 제 1단말기와; 상기 제 1단말기에 의한 신호를 입력받고, 운동통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인터넷에 연결되어 운동자료에 대한 정보나 자료를 요청하는 제 2단말기와; 상기 제 2단말기로부터 식별정보 및 운동자료를 입력받는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에 가입한 회원의 개인정보가 저장되는 회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2단말기에서 웹서버로 전송된 회원의 운동자료가 저장되는 운동량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운동량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동정보를 바탕으로 회원의 운동통계정보를 상기 제 2단말기로 제공하는 운동량계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 운동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넷 운동관리시스템은 운동량검출 센서를 신발의 안창에 삽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운동한 자료를 모아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 관리가 가능할 수 있지만, 이는 단순히 신발에 한정하여 사용하였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 공보 제2002-0014005호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 운동관리시스템”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한 상태로 운동량을 측정 가능하여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확인 및 운동 설계 계획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거나 고정수단을 분리한 상태로 신발에 장착할 수 있는 운동량 측정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통공 중 하나에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게 통공에 삽설되어 고정되는 삽입부와, 본체의 측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기부를 개재하는 고리를 구비하는 고정수단; 상기 본체 내부에 착용자 또는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수용하고,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운동량 수치로 변환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얻은 운동량 수치 데이터를 사용자가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한 상태로 운동량을 측정 가능하고,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확인 및 운동 설계 계획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거나 고정수단을 분리한 상태로 신발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 측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관련되며, 본체(10), 고정수단(20), 감지수단, 단말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11)을 구비한다. 본체(10)는 도면 상에 타원형으로 타입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타원형, 원형, 사각형 등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만 인체 상에 착용이 용이하여야 함으로 무게감으로 인한 착용자의 부담이 적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본체(10)에는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11)이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20)은 상기 본체(10)의 통공(11) 중 하나에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본체(10)의 한쌍으로 형성된 통공(11) 중 하나에 삽설하여 고정하게 되는 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20)은 본체(10)의 통공(11)에 삽설되어 고정되는 삽입부(22)와, 본체(10)의 측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23)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기부(24)를 개재하는 고리(21)를 구비한다. 고정수단(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한쌍으로 형성된 통공(11) 중 하나에 삽설하여 고정 가능하게 고리(21)를 구비하게 되는데 고리(21)에는 본체(10)에 형성된 한쌍의 통공(11) 중 어느 한 곳에 삽설할 수 있도록 삽입부(22)가 형성되어 억지끼움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삽입부(22)에 근접하여 형성된 걸이부(23)를 통해 본체(10)의 측면을 감싸 2차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고리(21)의 내측에는 착용자 및 운동 장치 등에 착용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돌기부(24)를 형성한다. 또한, 고리(21)는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고정이 더욱 용이해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착용자 또는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수용하고,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운동량 수치로 변환한다. 감지수단은 착용자 또는 운동기구 등을 통해 직접적인 운동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센서를 통해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는 도면 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머큐리 센서(mercury Sensor), 마그네틱 센서(Magna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구리 이온 센서(copper ion sensor)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 가능한 바, 이러한, 감지수단의 센서의 머큐리 센서는 일명 ‘수은센서’로 써, 유리관 내부에 수용된 수은이 흔들림 등에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리고, 마그네틱 센서는 밀봉된 유리관 내부에 백금, 금, 루테늄, 로듐 등의 접점 도금을 한자성체 리드를 접점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유리관 중에 질소와 수소 혼합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와 함께 봉입하여 형성되는 바, 센서에 자석이 접근하게 되면, 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은 센서 리드를 자계의 방향에 따라 자화 시키고 리드에 N극과 S극을 유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2극 유기의 발생은 N극과 S극이 서로를 끌어당겨 접점이 자석(16)에 의해 붙게 되면, 이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게 되어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중력 센서(Gravity Sensor)는 일명 ‘G 센서’라고 불리는 것으로 최근에는 스마트폰, 블랙박스, 네비게이션 등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으로, 중력센서의 개념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공기중의 압력이 센서와 반응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원리는 물체에 압력을 줄 수 있는 펌프를 구성하고, 전류원을 구성하게 되면 전류원에서 준 전하는 압력을 구성하게 되어 압력부분에 밀착되어서 공기를 압축하게 되면서 전기가 센서에 신호를 주는 원리로 센서가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구리 이온 센서(copper ion sensor)는 기능성 화학 센서의 하나로 써, 난용성 황화동과 황화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용액 중의 유리 구리이온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응답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리 이온 센서는 상술한 위험할 수 있는 수은을 사용한 머큐리 센서와는 반대로 구리를 사용함으로 안전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상술한 센서는 하나의 일예를 설명한 것으로 그 이외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얻은 운동량 수치 데이터를 사용자가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수단은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상술한 감지수단을 통해 측정된 운동량을 인터넷 서버로부터 다운, 어플 등으로 자료를 받거나 실시간 실행하여 바로 확인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본체(10) 상에 고정수단(20)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신발(S)의 끈을 통공(11)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체(10)의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11) 중 하나에 고정수단(20)인 고리(21)의 삽입부(22)를 삽설하여 억지끼움한 다음, 걸이부(23)를 본체(10) 측면을 감싸 고정하여 고리(21)를 트레이닝복(T), 일반 옷, 운동기구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 및 실외 싸이클의 페달(P) 상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된 본체(10)는 감지수단의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운동량 수치로 변환하게 되고, 단말수단의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자신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한 상태로 운동량을 측정 가능하고,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자신의 운동량에 대한 확인 및 운동 설계 계획이 가능하고, 고정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거나 고정수단을 분리한 상태로 신발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통공
20: 고정수단 21: 고리
22: 삽입부 23: 걸이부
24: 돌기부 S: 신발
P: 페달 T: 트레이닝복

Claims (2)

  1.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 상에 장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관통된 한쌍의 통공(11)을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통공(11) 중 하나에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에 장착되게 통공(11)에 삽설되어 고정되는 삽입부(22)와, 본체(10)의 측면을 감싸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부(23)와, 착용자의 신체 또는 운동기구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돌기부(24)를 개재하는 고리(21)를 구비하는 고정수단(20);
    상기 본체(10) 내부에 착용자 또는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수용하고, 센서로부터 얻은 정보를 운동량 수치로 변환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얻은 운동량 수치 데이터를 사용자가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 기구.
  2. 삭제
KR1020140113033A 2014-08-28 2014-08-28 운동량 측정기구 KR10160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33A KR101601704B1 (ko) 2014-08-28 2014-08-28 운동량 측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033A KR101601704B1 (ko) 2014-08-28 2014-08-28 운동량 측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704B1 true KR101601704B1 (ko) 2016-03-09

Family

ID=5553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033A KR101601704B1 (ko) 2014-08-28 2014-08-28 운동량 측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05A (ko) 2000-08-12 2002-02-25 박병규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운동관리시스템
KR200408639Y1 (ko) * 2005-11-03 2006-02-10 이정문 신분증 고정구
KR20120003992U (ko) * 2010-11-29 2012-06-07 최요석 신체 착용식 경보장치
KR101341671B1 (ko) * 2013-02-27 2013-12-13 김삼생 운동량 측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05A (ko) 2000-08-12 2002-02-25 박병규 운동량 측정 센서가 내장된 신발을 이용한 인터넷운동관리시스템
KR200408639Y1 (ko) * 2005-11-03 2006-02-10 이정문 신분증 고정구
KR20120003992U (ko) * 2010-11-29 2012-06-07 최요석 신체 착용식 경보장치
KR101341671B1 (ko) * 2013-02-27 2013-12-13 김삼생 운동량 측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5663A1 (en) Wearable Computer with Fitness Machine Connectivity for Improved Activity Monitoring
KR10231227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방법 및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487391B1 (ko) 무선 줄넘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US20190008394A1 (en) Wearable computer with fitness machine connectivity for improved activity monitoring using caloric expenditure models
WO2014081154A1 (ko) 신발 인솔, 이를 구비하는 신발 및 걸음걸이 형태 교정 시스템
JP2007181673A (ja) ユーザの姿勢をモニタするための装置
JP2015058096A (ja) 運動支援装置及び運動支援方法、運動支援プログラム
AU2019100752B4 (en) Wearable computer with fitness machine connectivity for improved activity monitoring using caloric expenditure models
EP2849857B1 (en) A sensor unit for quantification of physical training with rubber band
KR102275175B1 (ko) IoT 기술을 활용하여 모든 피트니스 기구에 연동되는 장착형 스마트 짐 통합 솔루션 장치와 그 운영 방법
CN105004453A (zh) 一种智能压力垫的压力监测方法及监测系统
KR101839682B1 (ko) 자가발전형 스마트 의류
KR20190009946A (ko) 다관절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057576A1 (en) Wearable muscle strength training detector device
US20180264323A1 (en) Exercise Device
KR101601704B1 (ko) 운동량 측정기구
KR101674144B1 (ko) 웨어러블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US20060053897A1 (en) Measuring device
KR20190088957A (ko) 다관절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050095326A (ko) 운동량측정센서가 내장된 핸드폰
KR102475009B1 (ko) 운동량 측정 장치, 이를 포함하는 운동량 측정 시스템 및 운동량 측정 방법
KR101341671B1 (ko) 운동량 측정기구
KR20190087136A (ko) 족압을 이용한 스마트 신발 시스템
KR20240061388A (ko) Imu 기반의 운동가이드 장치
KR20190024013A (ko) 웨어러블 근력 운동 보조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