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80B1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0880B1 KR101600880B1 KR1020140114854A KR20140114854A KR101600880B1 KR 101600880 B1 KR101600880 B1 KR 101600880B1 KR 1020140114854 A KR1020140114854 A KR 1020140114854A KR 20140114854 A KR20140114854 A KR 20140114854A KR 101600880 B1 KR101600880 B1 KR 101600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knote
- grip
- long
- plate
- banknot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폐를 계수하여 배출하되, 지폐의 갯수 및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지폐계수모듈(10); 상기 지폐계수모듈에서 배출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모듈(200); 그립구동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제1축(117a,117b)이 형성된 구동장치브라켓(11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정렬된 지폐가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에서 센싱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정지시키는 지폐감지브라켓(120),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며 하판이 상기 제1축(117a,117b)이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34a,134b)을 포함하는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되고 상판이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그립브라켓(130)(grip bracket), 및 상기 정렬된 지폐를 감싸는 지폐띠지를 통해 상기 정렬된 지폐를 결속하는 지폐결속부를 포함하는 지폐그립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정렬된 지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에서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정렬된 지폐의 높이에 맞게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하강시켜 상기 정렬된 지폐의 상측면을 눌러 상기 정렬된 지폐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폐결속부에서 상기 정렬된 지폐가 결속되면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지폐가 계수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결속 시, 정렬된 지폐의 윗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띠지가 묶일 때 지폐가 움직이지 않게 하여 지폐가 흐트러지거나 지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지폐가 일정한 강도로 결속되도록 유지시키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가 계수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결속 시, 정렬된 지폐의 윗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띠지가 묶일 때 지폐가 움직이지 않게 하여 지폐가 흐트러지거나 지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지폐가 일정한 강도로 결속되도록 유지시키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폐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의 창구 직원들이 지폐를 입출금시 창구에 마련된 통상의 지폐 계수기에서 지폐를 계수한 다음 지폐를 수작업으로 띠지에 결속하여서 보관하여 입금하거나 고객에게 출금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지폐 계수기는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폐의 결속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창구담당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속시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으로, 창구직원들의 효율적인 업무시간 활용을 위해 은행창구에 별도의 그립장치를 배치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들을 강구하고 있으나 좁은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그립장치의 활용도가 저조함에도 관련업 체에서는 별다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지폐결속기와 지폐 계수기를 혼합한 형태의 지폐 계수기를 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5789호(2002.01.09)에서는 지폐 계수기의 지폐가 계수된 포켓에 지폐가 계수되면 띠지를 이용하여 지폐를 결속할 수 있는 형태가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은 지폐의 정렬작업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속의 의미가 퇴색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지폐 계수기 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종래의 지폐 계수기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1261호(2007.01.12.)에서는 지폐 계수 후에 이송장치를 이용해 지폐를 결속장치에 이송시킨 후 지폐의 정렬작업 후 띠지를 이용해 지폐를 결속하는 지폐 계수기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정렬작업이 이루어진 지폐를 이송하여 결속 시, 지폐가 흐트러져 상측 지폐가 훼손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폐가 계수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결속 시, 정렬된 지폐의 윗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띠지가 묶일 때 지폐가 움직이지 않게 하여 지폐가 흐트러지거나 지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지폐가 일정한 강도로 결속되도록 유지시키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폐계수와 동시에 지폐의 장, 단변의 정렬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폐결속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폐계수기에서 계수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되어 지폐의 크기와 상관없이 정확한 지폐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폐를 계수하여 배출하되, 지폐의 갯수 및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지폐계수모듈(10); 상기 지폐계수모듈에서 배출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모듈(200); 그립구동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제1축(117a,117b)이 형성된 구동장치브라켓(11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정렬된 지폐가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에서 센싱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정지시키는 지폐감지브라켓(120),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며 하판이 상기 제1축(117a,117b)이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34a,134b)을 포함하는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되고 상판이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그립브라켓(130)(grip bracket), 및 상기 정렬된 지폐를 감싸는 지폐띠지를 통해 상기 정렬된 지폐를 결속하는 지폐결속부를 포함하는 지폐그립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정렬된 지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에서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정렬된 지폐의 높이에 맞게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하강시켜 상기 정렬된 지폐의 상측면을 눌러 상기 정렬된 지폐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폐결속부에서 상기 정렬된 지폐가 결속되면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은, 상기 제1축(117a,117b)이 일면에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대칭되게 형성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117a,117b)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되는 두개의 제1축지지부(116a,11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 제2구동풀리(113) 및 제3구동풀리(114); 상기 제1구동풀리, 상기 제2구동풀리(113) 및 상기 제3구동풀리(114)에 안착되어 감싸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하는 제1벨트(115); 및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구동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는 그립구동모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스프링고정바(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스프링고정바(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스프링고정바(121)와 제2스프링고정바(135)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인장스프링(118)의 상측 또는 하측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브라켓(130)은, 상판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축; 상기 제2축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1압축스프링(132); 상기 제2축의 하측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플레이트(131)(grip 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은, 상기 지폐계수모듈(10)에서 계수된 지폐가 적층되는 적층판(210); 상기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계수모듈(10)의 작동과 동시에 적층판(210)에 적층되는 지폐의 단변을 정렬하기 위해 가동하는 단변 정렬판(221)에 포함되어 있는 접촉부(221a)와 맞닿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캠(222)과 상기 캠(222)에 연결되어 있는 단변 정렬 모터(223)와 상기 단변 정렬판(2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224a)과 샤프트(224b)를 포함하는 탄성부(224)와 상기 탄성부(224)를 지지하기 위한 단변블록(225)으로 이루어진 단변 정렬부(220); 상기 단변 정렬부(220) 작동과 동시에 작동하며 지폐의 장변을 정렬하기 위해 가동하는 장변 정렬판(231)을 포함하는 장변 정렬부(230); 상기 적층판(210)에 형성되되 단변 정렬부(220)의 단변 정렬판(221)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단변 정렬 스토퍼(241)로 구성된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 상기 적층판(210)에 적층되는 지폐 종류에 대한 정보를 지폐계수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지폐의 장변 길이에 맞게 장변 정렬부(230)를 이동시키는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변 정렬부(230)는, 장변 정렬판(231)과 연결되어 장변 정렬판(231)을 이동시키는 장변이송판(232)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변이송판(232)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샤프트(233)가 상기 관통홈에서 좌우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통샤프트(233)는, 일측이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고, 타측 끝단의 지름이 상기 관통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장변이송판(232)의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가 계수되고, 정렬된 상태에서 결속 시, 정렬된 지폐의 윗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띠지가 묶일 때 지폐가 움직이지 않게 하여 지폐가 흐트러지거나 지폐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지폐가 일정한 강도로 결속되도록 유지시키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폐계수와 동시에 지폐의 장, 단변의 정렬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폐결속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폐계수기에서 계수되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되어 지폐의 크기와 상관없이 정확한 지폐 정렬을 수행할 수 있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지폐의 장, 단변 방향을 정의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에서부터 지폐그립모듈까지의 정렬, 이동 및 결속의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에서부터 지폐그립모듈까지의 정렬, 이동 및 결속의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에서와 같이 지폐의 장변 정렬 방향 및 단변 정렬 방향을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 결속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계수모듈(10), 지폐그립모듈(100), 지폐정렬모듈(200)을 포함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지폐계수모듈(10)은, 지폐를 계수하여 배출하되, 계수된 지폐의 수량 및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지폐계수모듈(10)은 이권종의 지폐를 구분하여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폐정렬모듈(200)은, 상기 지폐계수모듈(10)로부터 계수된 지폐의 수량 및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지폐계수모듈(10)에서 배출된 지폐가 적층판(210)에 쌓이면 단변을 정렬하는 단변 정렬부(220)와 장변을 정렬하는 장변 정렬부(2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지폐의 장변과 단변을 일정하게 정렬시키고, 장변 정렬부(230)가 이동하며 상기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그립모듈의 그립브라켓의 상하 이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지폐그립모듈(100)은 구동장치브라켓(110), 지폐감지브라켓(120), 그립브라켓(130), 및 지폐결속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장치브라켓(110)은, 그립구동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제1축(117a,117b)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장치브라켓(110)은, 상기 제1축(117a,117b)이 일면에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대칭되게 형성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117a,117b)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되는 두개의 제1축지지부(116a,116b);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정렬된 지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에서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정렬된 지폐의 높이에 맞게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하강시켜 상기 정렬된 지폐의 상측면을 눌러 상기 정렬된 지폐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폐결속부에서 상기 정렬된 지폐가 결속되면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상승시킨다
여기서,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제1구동풀리, 제2구동풀리(113), 제3구동풀리(114), 제1벨트(115), 그립구동모터(119), 센서플레이트(111), 변위센서(112)를 포함한다.
제1구동풀리, 제2구동풀리(113) 및 제3구동풀리(114)는,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벨트(115)는, 상기 제1구동풀리, 상기 제2구동풀리(113) 및 상기 제3구동풀리(114)에 안착되어 감싸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한다.
즉, 제1벨트(115)가 제1구동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그립이송블록(133)을 상하이동시킨다.
또한, 그립구동모터(119)는,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구동풀리로 동력을 전달한다.
즉,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의 제1구동풀리와 타면의 그립구동모터(119)는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플레이트(111)는, 상기 제1구동풀리와 결합되고 휠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다수의 제1홀(134a,13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위센서(112)는, 상기 휠에 형성된 제1홀(134a,134b)이 배치되는 위치에 수광부와 발광부가 구성되어 휠이 회전하였을때 홀(134a,134b)을통해 발광부의 신호가 수광부로 전달하는 횟수를 통해 상기 그립브라켓(130)의 이동량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장변 정렬부(230)를 통해 이동되는 정렬된 지폐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장변정렬부를 통해 이동되는 방향의 끝단에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ㄴ"자 형태로 형성된 지폐감지 브라켓의 하측판에 지폐유무감지센서(122)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는 광센서 형태, 거리감지센서 등 지폐의 유무만 센싱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형태도 사용 가능하다.
지폐감지브라켓(120)은,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상기 장변 정렬부(230)를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정렬된 지폐가 지폐감지브라켓에 존재하는지를 센싱하고 지폐의 유무가 확인되면 상기 장변 정렬부(230)를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스프링고정바(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스프링고정바(1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프링고정바(121)와 제2스프링고정바(135)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인장스프링(118)의 상측 또는 하측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통해, 그립이송블록(133) 즉, 그립브라켓(130)의 위치가 항상 초기위치에 위치하게 끔 인장스프링(118)이 그립브라켓(130)에 탄성복원력을 가한다.
다음으로, 그립브라켓(1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판이 상기 제1축(117a,117b)이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34a,134b)을 포함하는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되고 상판이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위치한다.
그립브라켓(130)은, 그립플레이트(131)를 더 포함하는데, 그립플레이트(131)는 그립브라켓(130)의 상판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축에 감겨진 제1압축 스프링을 통해 탄성을 지니게 된다.
제2축은 두개가 상판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스프링은 상기 제2축의 둘레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립플레이트(131)는, 상기 제2축의 하측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결속부는 상기 정렬된 지폐를 감싸는 지폐띠지를 통해 상기 정렬된 지폐를 결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각각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과 지폐그립모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지폐정렬모듈(200)은 적층판(210), 단변정렬부(220), 장변정렬부(230),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 장변 정렬 스토퍼(270)를 포함한다.
우선, 적층판(210)은 상술한 지폐계수모듈(10)에서 계수되는 지폐가 적층될 수 있도록 대략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판(210)에는 지폐그립모듈(100) 방향으로 장공형태의 이동홈(211)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단변 정렬부(220)는 상기 적층판(210)에 형성되어 적층판(210)에 적층되는 지폐 중 단변방향을 정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단변 정렬부(220)에는 지폐의 단변과 맞닿는 접촉부(221a)를 포함하고 있는 단변 정렬판(221)이 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변 정렬판(221)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부(221a)와 구름접촉 하여 단변 정렬판(221)을 가동시킬 수 있도록 캠(222)과 상기 캠(222)을 구동시키기 위한 단변 정렬 모터(22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변 정렬부(220)에는 단변 정렬판(221)이 캠(222)의 구동에 의해 가동된 후 최초의 자리에 복귀하도록 단변 정렬판(221)에 결합되는 스프링(224a)과 샤프트(224b)를 포함하는 탄성부(224)가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224)를 지지하기 위한 단변블록(225)이 적층판(210)에 고정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장변 정렬부(230)는 지폐의 장변을 정렬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의 장변 정렬판(231)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변 정렬판(231)을 좌, 우측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장변이송판(232)가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장변이송판(232)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샤프트(233)가 상기 관통홈에서 좌우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관통샤프트(233)는, 일측이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고, 타측 끝단의 지름이 상기 관통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장변이송판(232)의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변 정렬 스토퍼(241)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결합면(242a)을 포함하고 있는 이동축(242)과 상기 이동축(242)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243)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는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251)가 구성되고, 상기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251)에 연결되어 있는 기어 형태의 피니언(252a)과 상기 피니언(252a)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래크(252b)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52)이 구성되어 상술한 장변 정렬 스토퍼(270)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에는 장변 정렬 스토퍼(270)의 초기 위치로 이동시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25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장변 정렬 스토퍼(270) 초기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제2마이크로 스위치(253)가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252)의 래크(252b)에 결합되되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의 단변 정렬 스토퍼(241)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후판(254)이 구성된다.
상기 후판(254)은 상술한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축(242)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이동축(242)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다음으로,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는 장변 정렬부(23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장변 정렬부(2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장변 정렬부(2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장변이동블록(261)과 상기 장변이동블록(261)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262), 상기 스크류(262)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변정렬 모터(263)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장변 정렬부(230)에는 지폐의 종류에 따라 장변 정렬 스토퍼(270)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장변 정렬부(230)의 이동량을 체크할 수 있는 장변 위치확인 센서(26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변 위치확인 센서(264)는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의 스크류(262)와 제2벨트(v)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휠(264a)이 구성되고, 상기 휠(264a)의 내측에는 다수의 제2홀(h)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휠(264a)에 형성된 제2홀(h)이 배치되는 위치에 수광부(미도시)와 발광부(264b)가 구성되어 휠(264a)이 스크류(262)에 의해 회전하였을 때에 제2홀(h)을 통해 발광부(264b)의 신호가 수광부로 전달하는 횟수를 이용해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10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지폐의 계수 및 계수된 지폐의 지폐 결속을 위해 지폐계수모듈(10)에 지폐를 계수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계수된 지폐가 적층판(210)에 수납된다.
한편, 상기 지폐계수모듈(10)의 작동과 동시에 지폐계수모듈(10)에서 계수되는 지폐의 정보, 다시 말해,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오만원권 등의 권종별 데이터는 지폐계수모듈(10)에서 본 발명의 지폐 계수 결속기의 메인보드에 전달된다.
여기서, 지폐계수 결속기의 메인보드에 전달된 권종별 데이터는 지폐그립모듈(100) 및 지폐정렬모듈(200)에 전달되어 각 데이터에 맞게 장변 정렬부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변 정렬부(220)의 구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지폐의 장변의 크기에 맞게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가 구동하여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도 가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지폐계수모듈(10)를 통해 지폐 권종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에 형성되어 있는 장변 정렬 모터(263)가 구동하여 스크류(262) 및 스크류(262)에 결합되어 있는 장변이동블록(261)을 이동시켜 장변이동블록(261)에 결합되어 있는 장변 정렬부(230)를 지폐의 장변 크기에 맞게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의 스크류(262)와 제2벨트(v)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로터리 엔코더 형태로 이루어진 장변 위치확인 센서(264)는 스크류(262)와 동시에 구동하게 되어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를 계수되는 지폐의 장변 크기에 맞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의 구동수단(252)에는 래크(252b) 및 상기 래크(252b)에 의해 구동하는 장변 정렬 스토퍼(270)가 형성되어 있어, 지폐의 장변 방향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적층판(210)에 배치된다.
상술한 장변 정렬 스토퍼(270)는 최초에는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의 단변 정렬 스토퍼(241)보다 더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폐의 장변의 일측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지폐의 장변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지폐계수모듈(10)에 의해 계수되어진 지폐가 적층판(210)에 쌓이면 단변을 정렬하는 단변 정렬부(220)와 장변을 정렬하는 장변 정렬부(2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지폐의 장변과 단변을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정렬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단변 정렬부(220)의 캠(222)은 주지하다시피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단변 정렬부(220)의 단변 정렬 모터(223)의 구동에 의해 캠(222)이 회전하면 단변 정렬판(221)과 접촉하면서 단변 정렬판(221)을 주기적으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단변 정렬부(220)에는 스프링(224a)과 샤프트(224b)로 이루어진 탄성부(224)가 단변블록(225)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술한 캠(222)의 구동시 단변 정렬판(221)의 전진 이후 후진시에는 탄성부(224)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폐계수모듈(10)의 지폐 계수 및 단변 정렬부(220)와 장변 정렬부(230)를 통한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면,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장변 정렬 스토퍼(270)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의 구동수단(252)에 제2마이크로 스위치(253)가 형성되어 있어 장변 정렬 스토퍼(270)가 최초 자리로 복귀시 접촉되면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251)의 작동이 멈추도록 작용한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정렬모듈에서부터 지폐그립모듈까지의 정렬, 이동 및 결속의 단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e 를 참고하면, 우선,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250)의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251)의 구동이 멈추게 되면,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의 장변 정렬 모터(263) 및 스크류(262)가 장변 정렬부(230)를 지폐그립모듈(100)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여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그립구동모터(119)를 동작시켜 지폐그립모듈(100)의 그립브라켓(130)을 하강시켜 정렬된 지폐에 압력을 가한다.
그 다음, 지폐를 결속하고 배출한다.
그 다음, 지폐의 결속 및 지폐의 배출이 완료되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의 장변이동블록(261)이 적층판(2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마이크로 스위치(265)와 맞닿게 되면, 장변 정렬부(230)가 최초의 자리로 복귀한 것으로 인식하여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의 장변 정렬 모터(263)의 구동이 멈추면서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폐정렬모듈(200)은 지폐 계수와 동시에 지폐의 장, 단변의 정렬이이루어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지폐의 종류에 따라 장변 정렬부(230)의 위치가 가변되어, 지폐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확한 지폐의 정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폐계수모듈 100: 지폐그립모듈
110: 구동장치브라켓 111: 센서플레이트
112: 변위센서 113: 제2구동풀리
114: 제3구동풀리 115: 제1벨트
116a,116b: 제1축지지부 117a,117b: 제1축
118: 인장스프링 119: 그립구동모터
120: 지폐감지브라켓 121: 제1스프링고정바
122: 지폐유무감지센서 130: 그립브라켓
131: 그립플레이트 132: 제1압축스프링
133: 그립이송블록 134a,134b: 그립이송블록의 홀
135: 제2스프링고정바 200: 지폐정렬모듈
210: 적층판 211: 이동홈
220: 단변 정렬부 221: 단변 정렬판
221a: 접촉부 222: 캠
223: 단변 정렬 모터 224: 탄성부
224a: 스프링 224b: 샤프트
225: 단변블록 230: 장변 정렬부
231: 장변 정렬판 232: 장변이송판
233: 관통샤프트 235: 제2압축스프링
240: 단변 정렬 스토퍼부 241: 단변 정렬 스토퍼
242: 이동축 242a: 스프링 결합면
243: 스프링 250: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
251: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 252: 구동수단
252a: 피니언 252b: 래크
253: 제2마이크로 스위치 254: 후판
260: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 261: 장변이동블록
262: 스크류 263: 장변 정렬 모터
264: 장변 위치확인 센서 264a: 휠
h: 제2홀 264b: 발광부
v: 제2벨트
265: 제1마이크로 스위치 270: 장변 정렬 스토퍼
110: 구동장치브라켓 111: 센서플레이트
112: 변위센서 113: 제2구동풀리
114: 제3구동풀리 115: 제1벨트
116a,116b: 제1축지지부 117a,117b: 제1축
118: 인장스프링 119: 그립구동모터
120: 지폐감지브라켓 121: 제1스프링고정바
122: 지폐유무감지센서 130: 그립브라켓
131: 그립플레이트 132: 제1압축스프링
133: 그립이송블록 134a,134b: 그립이송블록의 홀
135: 제2스프링고정바 200: 지폐정렬모듈
210: 적층판 211: 이동홈
220: 단변 정렬부 221: 단변 정렬판
221a: 접촉부 222: 캠
223: 단변 정렬 모터 224: 탄성부
224a: 스프링 224b: 샤프트
225: 단변블록 230: 장변 정렬부
231: 장변 정렬판 232: 장변이송판
233: 관통샤프트 235: 제2압축스프링
240: 단변 정렬 스토퍼부 241: 단변 정렬 스토퍼
242: 이동축 242a: 스프링 결합면
243: 스프링 250: 장변 스토퍼 구동장치
251: 장변 스토퍼 구동모터 252: 구동수단
252a: 피니언 252b: 래크
253: 제2마이크로 스위치 254: 후판
260: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 261: 장변이동블록
262: 스크류 263: 장변 정렬 모터
264: 장변 위치확인 센서 264a: 휠
h: 제2홀 264b: 발광부
v: 제2벨트
265: 제1마이크로 스위치 270: 장변 정렬 스토퍼
Claims (6)
- 지폐를 계수하여 배출하되, 계수된 지폐의 수량 및 지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지폐계수모듈(10);
상기 지폐계수모듈에서 배출된 지폐를 정렬 및 지폐그립모듈로 이동시키는 지폐정렬모듈(200);
그립구동장치 및 하나 이상의 제1축(117a,117b)이 형성된 구동장치브라켓(11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정렬된 지폐가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에서 센싱되는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을 정지시키는 지폐감지브라켓(120), 상판과 하판을 포함하며 하판이 상기 제1축(117a,117b)이 관통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134a,134b)을 포함하는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되고 상판이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의 상측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위치하는 그립브라켓(130)(grip bracket), 및 상기 정렬된 지폐를 감싸는 지폐띠지를 통해 상기 정렬된 지폐를 결속하는 지폐결속부를 포함하는 지폐그립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지폐유무감지센서(122)를 통해 정렬된 지폐의 진입이 확인되면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에서 정렬된 지폐를 지폐그립모듈(100)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정렬된 지폐의 높이에 맞게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하강시켜 상기 정렬된 지폐의 상측면을 눌러 상기 정렬된 지폐를 고정시키고, 상기 지폐결속부에서 상기 정렬된 지폐가 결속되면 상기 그립브라켓(130)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은,
상기 제1축(117a,117b)이 일면에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대칭되게 형성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117a,117b)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되는 두개의 제1축지지부(116a,116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립구동장치는,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구동풀리, 제2구동풀리(113) 및 제3구동풀리(114);
상기 제1구동풀리, 상기 제2구동풀리(113) 및 상기 제3구동풀리(114)에 안착되어 감싸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과 결합하는 제1벨트(115); 및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구동풀리로 동력을 전달하는 그립구동모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감지브라켓(120)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스프링고정바(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그립이송블록(133)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스프링고정바(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스프링고정바(121)와 제2스프링고정바(135)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인장스프링(118)의 상측 또는 하측과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브라켓(130)은,
상판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축;
상기 제2축의 둘레에 위치하는 제1압축스프링(132);
상기 제2축의 하측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플레이트(131)(grip 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정렬모듈(200)은,
상기 지폐계수모듈(10)에서 계수된 지폐가 적층되는 적층판(210);
상기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계수모듈(10)의 작동과 동시에 적층판(210)에 적층되는 지폐의 단변을 정렬하기 위해 가동하는 단변 정렬판(221)에 포함되어 있는 접촉부(221a)와 맞닿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캠(222)과 상기 캠(222)에 연결되어 있는 단변 정렬 모터(223)와 상기 단변 정렬판(221)에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224a)과 샤프트(224b)를 포함하는 탄성부(224)와 상기 탄성부(224)를 지지하기 위한 단변블록(225)으로 이루어진 단변 정렬부(220);
상기 단변 정렬부(220) 작동과 동시에 작동하며 지폐의 장변을 정렬하기 위해 가동하는 장변 정렬판(231)을 포함하는 장변 정렬부(230);
상기 적층판(210)에 형성되되 단변 정렬부(220)의 단변 정렬판(221)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평행하게 형성되는 단변 정렬 스토퍼(241)로 구성된 단변 정렬 스토퍼부(240);
상기 적층판(210)에 적층되는 지폐 종류에 대한 정보를 지폐계수모듈로부터 수신하여 지폐의 장변 길이에 맞게 장변 정렬부(230)를 이동시키는 장변 정렬부 구동장치(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변 정렬부(230)는,
장변 정렬판(231)과 연결되어 장변 정렬판(231)을 이동시키는 장변이송판(232)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변이송판(232)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을 관통하여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샤프트(233)가 상기 관통홈에서 좌우 이송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통샤프트(233)는,
일측이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결합되고, 타측 끝단의 지름이 상기 관통홈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변 정렬판(231)과 장변이송판(232)의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854A KR101600880B1 (ko) | 2014-09-01 | 2014-09-01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854A KR101600880B1 (ko) | 2014-09-01 | 2014-09-01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0880B1 true KR101600880B1 (ko) | 2016-03-08 |
Family
ID=5553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4854A KR101600880B1 (ko) | 2014-09-01 | 2014-09-01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08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34354A (zh) * | 2018-07-27 | 2018-12-18 | 浙江然鹏电子有限公司 | 一种多功能便捷式点钞机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1957A (ja) * | 2004-03-24 | 2005-10-06 | Laurel Kikai Kk | 紙幣結束機 |
KR20130052222A (ko) * | 2011-11-11 | 2013-05-22 | 신동현 | 지폐 계수 결속기 |
KR101400772B1 (ko) * | 2012-12-03 | 2014-05-29 | 신동현 | 지폐 계수결속기의 적층가이드 |
KR101419483B1 (ko) * | 2013-05-23 | 2014-07-14 |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 자동 정렬장치 |
-
2014
- 2014-09-01 KR KR1020140114854A patent/KR1016008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71957A (ja) * | 2004-03-24 | 2005-10-06 | Laurel Kikai Kk | 紙幣結束機 |
KR20130052222A (ko) * | 2011-11-11 | 2013-05-22 | 신동현 | 지폐 계수 결속기 |
KR101400772B1 (ko) * | 2012-12-03 | 2014-05-29 | 신동현 | 지폐 계수결속기의 적층가이드 |
KR101419483B1 (ko) * | 2013-05-23 | 2014-07-14 |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 자동 정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34354A (zh) * | 2018-07-27 | 2018-12-18 | 浙江然鹏电子有限公司 | 一种多功能便捷式点钞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67082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банкнот в стопк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 |
KR20070117588A (ko) | 지폐 취급 장치 | |
US10287121B2 (en) | Sheet handling apparatus and sheet handling method | |
CN103366445B (zh) | 纸页类输送装置和纸页类处理装置 | |
KR20090093701A (ko) |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 |
KR101600880B1 (ko)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그립장치 | |
US10580247B2 (en) | Value Note Cassette | |
CN104573810B (zh) | 带自动扎把功能的点钞机 | |
KR101865141B1 (ko) | 지폐 처리 장치 | |
US7575155B2 (en) | Rotating path switch | |
KR100874162B1 (ko) | 지폐 걸림 및 풀 감지센서를 장착한 투포켓형 지폐계수기 | |
KR101419483B1 (ko) | 지폐 계수 결속기의 지폐 자동 정렬장치 | |
JP2013218421A5 (ko) | ||
KR20090012510U (ko) | 벨트형 지폐 계수기 | |
WO2014185336A1 (ja) | 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 |
JP5101154B2 (ja) | 紙幣一括払出し装置 | |
KR20200018010A (ko) | 지폐 분리집적부 | |
US11066265B2 (en) | Value note cassette | |
KR20160011763A (ko) |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70044944A (ko) | 에스크로우 장치 | |
JP6812000B2 (ja) |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搬送方法 | |
KR100889913B1 (ko) | 벨트형 지폐 계수기 | |
KR101750932B1 (ko) | 지폐류 저장장치 | |
RU2600184C1 (ru) |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осителя | |
JP5101153B2 (ja) | 紙幣払い出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