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08B1 -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08B1
KR101600808B1 KR1020140038443A KR20140038443A KR101600808B1 KR 101600808 B1 KR101600808 B1 KR 101600808B1 KR 1020140038443 A KR1020140038443 A KR 1020140038443A KR 20140038443 A KR20140038443 A KR 20140038443A KR 101600808 B1 KR101600808 B1 KR 10160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data
unit
cod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970A (ko
Inventor
김기호
남웅우
박경모
김대홍
박영선
서정호
백철민
신용태
허정훈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솔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트웍스 filed Critical (주)솔트웍스
Priority to KR102014003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내의 코드인식을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그 방법, 3차원 내의 코드인식을 통한 기술정보자료 시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 내의 분리되어 있는 3차원 시스템을 통합하고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활용 서비스 지원을 위한 3차원 기술자료정보 시현부와; 상기 기술자료정보 시현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민, 관, 군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와; 상기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민, 관, 군에 요청을 받아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 시현부와 연동하여 상기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3차원 내의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 시현부를 통해 3차원 기술자료 데이터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연동 및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management system which linkage with technical document through the recognition code in a three-dimension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3차원 기술자료정보 관리/시현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새로이 기술자료(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및 정비절차가 추가 되더라도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활용하여 준수하면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으로 작동될 수 있고, 또한, 3차원 내에 모든 시스템을 소비자(고객), 생산자(기술자료생산자, 시스템개발자, 소프트웨어개발자) 및 관리자에게 통합된 시스템(프레임워크)을 제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3차원 기술자료정보 관리/시현 시스템)의 활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는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90388호의?"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는 과정, 촬영된 QR 코드를 해석하여 QR 코드 기반의 도메인 등록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 도메인 등록 요청 메시지를 도메인 서버로 전송하여 도메인 등록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10-2012-0137563 호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정보와 웹 페이지간의 링크 이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QR코드로부터 독출한 웹 페이지 URL과 링크되어 접속된 웹 서버의 웹 페이지상의 명함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력 받은 명함정보 저장신호에 따라 웹 페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는 명함정보를 내장된 주소록의 카테고리와 대응하도록 저장하는 스마트폰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과 링크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QR코드에 포함된 웹 페이지 URL과 대응하는 웹 페이지에 게재된 명함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명함정보 저장신호에 의한 호출에 따라 상기 웹 페이지에 게재된 명함정보를 스마트폰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20502호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물의 모양을 2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다수의 거리 인식 평판을 조합하여 3차원적인 모양을 형상화하는 3차원 사물 인식장치에 있어, 상기 각 거리 인식 평판의 2차원 이미지 생성부에서 형상화된 2차원 이미지를 조합하여 3차원 이미지로 형상화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부를 통해 형상화된 사물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그 사물의 중심 위치를 공간 좌표 평면에서 검출하는 공간 좌표 검출부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부를 통해 형상화된 이미지를 벡터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보다 실물에 가깝도록 구체화하는 이미지 결정부와; 상기 공간 좌표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 데이터나 상기 이미지 결정부를 통해 구체화된 사물의 3차원 데이터를 본 인식장치와 인터페이스된 장치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3차원 사물 인식장치에 소정의 사물을 넣을 경우, 각 평면으로부터 상기 사물에 대한 2차원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각 평면에서의 2차원 이미지를 조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사물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그 사물의 중심 위치를 공간 좌표 상에서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화된 3차원 이미지를 벡터 알고리즘과 같은 이미지 구체화 알고리즘에 의해 이미지를 실체에 가깝도록 구체화시키는 단계와; 데이터의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움직임 데이터, 형상화 이미지, 구체화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개발명들은 QR코드를 인식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신호에 의한 호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만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개 발명들은 3차원에서 존재하는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기술자료를 제공하는 형태가 아니며,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의 상호 공유가 불가능하며, 3차원 내의 기술자료 및 콘텐츠 관리시스템(3차원 기술정보 관리/시현 시스템)의 표준화 체계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3차원 내에 인식코드부를 두어; 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해 3차원 내에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데이터를 상호 교환 및 콘텐츠 통합 서비스(형상 데이터, 구성품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전자교범 데이터, 정비절차 데이터)를 활용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9038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3756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12050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내의 있는 인식코드를 활용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시스템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새로이 기술자료 및 콘텐츠가 추가되더라도 인식코드 규격 및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의 기술자료 규격만 준수하면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으로 작동될 수 있는 3차원내의 인식코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시스템을 소비자(고객), 생산자(시스템개발자 및 소프트웨어개발자) 및 관리자에게 표준화된 시스템(프레임워크)을 제공하여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정보 연동 및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3차원 기기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기기부와;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를 제공하는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를 포함하는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데이터 연동과 3차원 기기의 데이터 관리 및 3차원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정보처리부와;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등의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정보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와 인터페이스 연동을 통해 서비스가 구성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와,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에 대한 일련번호를 통하여 인식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코드부와; 인식한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인식 처리부와; 코드인식이 처리된 데이터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처리부와; 3차원 인식코드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3차원 인식코드처리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와,
상기 3차원 인식코드처리부와 상기 스마트기기처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기 위한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와,
스마트기기(핸드폰, 태블릿PC)등으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많은 정보들을 시현하기 위한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를 포함하는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관점으로, 3차원 내의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기술자료를 연동하고 콘텐츠 통합을 관리하여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기술자료 정보를 시현하는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3차원 내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와; 상기 인식코드 및 3차원 인식 공통 프레임워크부와;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의 요청을 받아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를 통해 데이터 및 기술자료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한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관점으로,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가 3차원 기기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기 3차원 정보 처리 및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등의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3차원 인식코드를 기초로 스마트 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 가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서 제공된 스마트기기 등으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많은 정보들을 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관점으로,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와 웹 서버를 통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집된 데이터를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현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인 필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상기 필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지원자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내의 기술자료 및 3차원내의 인식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활용하여, 새로이 3차원 기술자료 및 장비가 추가되더라도 인식코드 규격만 준수하면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으로 작동될 수 있고, 3차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시스템을 소비자(고객), 생산자(시스템 개발자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관리자에게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상기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시스템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주요부인 3차원 기기 통합시스템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주요부인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주요부인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클라이언트 지원자 프레임워크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 및 인식코드의 일련번호를 통한 기술자료 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은, 3차원 기기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기기부(1100)와;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를 제공하는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1200)를 포함하는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1000)와,
데이터 연동과 3차원 기기의 데이터 관리 및 3차원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정보처리부(2100)와;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등의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정보데이터부(2200)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1200)와 인터페이스 연동을 통해 서비스가 구성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2000)와,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인식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코드부(3100)와; 인식한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인식 처리부(3200)와; 코드인식이 처리된 데이터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처리부(3300)와; 3차원 인식코드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3차원 인식코드처리부(3400)를 포함하는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3000)와,
상기 3차원 인식코드처리부(3400)와 상기 스마트기기처리부(3300)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기 위한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4000)와,
스마트기기(핸드폰, 태블릿PC)등으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많은 정보들을 시현하기 위한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3차원 기기 통합시스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기기 통합시스템부(1000)의 상기 3차원 기기부(1100)는 3차원 기기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3차원 기기 인터페이스부(1110)와; 3차원 기기의 정보, 시스템 성능 및 효율을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기기관리부(1120)와; 3차원 기기의 시스템 구동 및 데이터 구동을 위한 3차원서비스구동부(1130)와; 3차원 기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스케쥴링 할 수 있는 3차원데이터관리부(1140)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기기 통합 서비스부(1200)는 2차원 콘텐츠저장부(1210)와; 3차원 콘텐츠저장부(1220)와; 2차원 모델저장부(1230)와; 3차원 모델저장부(1240)와; 훈련절차서저장부(1250)를 포함하고,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모델, 3차원모델, 훈련절차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3차원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3차원 기기 인터페이스부(1110)는 상기 3차원기기서비스 구동부(1130)를 통해 서비스 정상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3차원 데이터관리부(1140)의 스케쥴링 방식에 대한 지시를 수행하며 스케줄링 된 3차원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3차원 데이터관리부(1140)에 구성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부(2000)의 상기 3차원 정보처리부(210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 내부적으로 상호 보완해서 사용하며 후술하는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부와 자료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110)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부에서 결과 요청 및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2120)와; 데이터 접속 및 상태 관리를 위한 데이터 접속관리부(2130)와; 상기 3차원기기 데이터관리부(1140)의 데이터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알고리즘, 실시간,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감시부(2140)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정보데이터부(2200)는, 3차원의 구성인 형상을 저장하기 위한 형상저장부(2210)와; 구성품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품저장부(2220)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저장부(2230)와; 전자교범을 저장하기 위한 전자교범저장부(2240)와; 정비절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비절차저장부(2250)를 포함하고; 3차원의 구성인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및 정비절차 등의 기술자료를 통합하기 위해 시스템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며, 데이터 접속 방식을 통해 데이터 접근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실시간으로 기술자료를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을 서비스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에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부(2000)는 상기 3차원 기기통합 시스템부(1000)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료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3차원정보처리부(2100)의 상기 처리부(2120)는 서비스구동부(2130)를 통해 서비스 정상 상태를 판단하고 데이터감시부(2140)의 스케쥴링 방식에 대한 지시를 수행하며 상기 서비스구동부(2150)는 스케줄링 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주요부인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는(4000)는, 축적된 형상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 프레임워크부(4100)와; 축적된 구성품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구성품 데이터 프레임워크부(4200)와;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프레임워크부(4300)와; 축적된 전자교범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전자교범 데이터 프레임워크부(4400)와; 축적된 정비절차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정비절차 데이터 프레임워크부(45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는(4000)는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의 형상데이터, 구성품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전자교범 데이터, 정비절차데이터의 수집 및 축적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지원자 프레임워크의 관리자, 소비자, 생산자에게 3차원에서 이용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공 및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원 및 3차원 콘텐츠, 2차원 및 3차원 모델 및 훈련절차서 등의 데이터를 구비하여 이들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1000)와; 상기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1000)로부터 , 2차원 및 3차원 콘텐츠, 2차원 및 3차원 모델 및 훈련절차서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고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및 정비절차 등의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2000)와;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2000)의 데이터를 가져와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처리하기 위한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3000)와; 3차원의 각종 기술자료 데이터를 통합하는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4000)와; 스마트기기에서 3차원 기술자료를 시현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제공하기 위한 서버와 웹 서버(600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에 통신 접속하여 각종 필요 데이터를 요청하고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700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로부터 제공 받은 각종 데이터 및 3차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시스템을 표준화된 프레임워크로 제공받는 소비자(고객), 생산자(시스템 개발자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관리자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지원자 프레임워크부(8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는(2000)는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 와 네트워크로 통신하며 이는 상기 서버, 웹 서버(6000)를 이용해 자료 및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2000)는 디스플레이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배포되며, 이는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간단한 설치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 시현부(5000)에 최적화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5000)의 기반이 되는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7000)는 3차원 콘텐츠 지원을 위한 집합인 콘텐츠지원부(7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무선통신지원부(7200)와; 문서위주의 방대한 기술자료들을 디지털화된 전자문서 체계로 구축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고 적지적소에 상호 대화와 멀티미디어 지원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제공하는 전자식교범지원부(7300)와; 여러 기술자료들의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지원부(7400)와; 기술자료의 접근을 통해 자료 및 정보의 이용을 위한 웹 서비스부(7500)와; 스케쥴링에 의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클라우드부(7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 중 클라이언트 지원자 프레임워크부의 실시 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지원자 프레임워크부(8000)는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 시스템을 운영하고 사후관리, 교육, 보안관리, 시스템관리 등의 정보시스템 운영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관리자 프레임워크부(8100)와; 민, 관, 군에서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중심에 맞춰진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소비자 프레임워크부(8200)와; 3차원기기 생산자, 3차원 IT개발자, 시스템 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종사자 등의 3차원 기기 및 3차원 관련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생산자 프레임워크부(83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가 3차원 기기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S100)와;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기 3차원 정보 처리 및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 등의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는 단계(S110)와;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3차원 인식코드를 기초로 스마트 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120)와;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단계(S130)와;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 가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서 제공된 스마트기기 등으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많은 정보들을 시현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에 요청하는 단계(S20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와 웹 서버를 통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1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집된 데이터를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S22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현하는 단계(S23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인 필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24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상기 필요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지원자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25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필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S30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 웹서버를 통해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필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S31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로 필요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S320)와; 상기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인식코드를 처리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로 인식되어 처리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30)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수신된 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S34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해당 데이터로 시현하는 단계(S35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 웹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36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3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은,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또는 생산자 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40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 웹서버를 통해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상기 인식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41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로 상기 인식코드를 전송하는 단계(S420)와; 상기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상기 인식코드를 처리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로 처리된 인식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30)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수신된 인식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S44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해당 데이터로 시현하는 단계(S450)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 웹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460)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또는 생산자 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S4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3차원내의 있는 인식코드를 활용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시스템 등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새로이 기술자료 및 콘텐츠가 추가되더라도 인식코드 규격 및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의 기술자료 규격만 준수하면 하나의 일관된 시스템으로 작동될 수 있는 3차원내의 인식코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시스템 및 방법 및 3차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시스템을 소비자(고객), 생산자(시스템개발자 및 소프트웨어개발자) 및 관리자에게 표준화된 시스템(프레임워크)을 제공하여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정보 연동 및 콘텐츠 통합관리 시스템의 다양한 형태의 활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임은 당연하다.
1000: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
2000: 3차원 디스플레이스시템부
3000: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
4000: 3차원 통합정보서비스부
5000: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
6000: 서버, 웹서버
7000: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
8000: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

Claims (20)

  1. 3차원 기기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3차원 정보 처리 및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에 관한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고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3차원 인식코드를 기초로 스마트 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기 위한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와; 스마트기기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정보들을 시현하기 위한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는, 데이터 연동과 3차원 기기의 데이터 관리 및 3차원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정보처리부와;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에 관한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정보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는, 3차원 기기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3차원 기기부와;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를 제공하는 3차원 기기통합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기기부는 3차원 기기 정보 및 데이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3차원 기기 인터페이스부와; 3차원 기기의 정보, 시스템 성능 및 효율을 관리할 수 있는 3차원 기기관리부와; 3차원 기기의 시스템 구동 및 데이터 구동을 위한 3차원서비스구동부와; 3차원 기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스케쥴링 할 수 있는 3차원 데이터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기기 통합서비스부는 2차원 콘텐츠저장부와; 3차원 콘텐츠저장부와; 2차원 모델저장부와; 3차원 모델저장부와; 훈련절차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정보처리부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통합하여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부와 자료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레임워크부에서 결과 요청 및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와; 데이터 접속 및 상태 관리를 위한 데이터 접속관리부와;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의 데이터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알고리즘, 실시간, 업데이트 하기 위한 데이터감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정보데이터부는, 3차원의 구성인 형상을 저장하기 위한 형상저장부와; 구성품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품저장부와;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콘텐츠저장부와; 전자교범을 저장하기 위한 전자교범저장부와; 정비절차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비절차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는,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인식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코드부와; 인식한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인식 처리부와; 코드인식이 처리된 데이터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기기 처리부와; 3차원 인식코드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3차원 인식코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는, 축적된 형상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형상 데이터 프레임워크부와; 축적된 구성품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구성품 데이터 프레임워크부와;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콘텐츠 데이터 프레임워크부와; 축적된 전자교범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전자교범 데이터 프레임워크부와; 축적된 정비절차 데이터를 접근하기 위한 정비절차 데이터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9. 3차원 내의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기술자료를 연동하고 콘텐츠 통합을 관리하여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기술자료 정보를 시현하는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를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 및 3차원 내의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와; 상기 인식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처리하기 위한 3차원 인식 공통 프레임워크부와; 3차원 기기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3차원 정보 처리 및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에 관한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고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3차원 인식코드를 기초로 스마트 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여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에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와; 소비자, 관리자, 생산자의 요청을 받아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와 연동하여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를 통해 데이터 및 기술자료 정보를 제공하고 콘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한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사후관리, 교육, 보안관리, 시스템관리에 관한 정보시스템 운영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관리자 프레임워크부와; 민, 관, 군에서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 중심에 맞춰진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소비자 프레임워크부와; 3차원기기 생산자, 3차원 IT개발자, 시스템 개발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종사자의 3차원 기기 및 3차원 관련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생산자 프레임워크부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지원자 프레임워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시스템.
  13.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가 3차원 기기 및 데이터를 관리하고 3차원 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2차원 콘텐츠, 3차원 콘텐츠, 2차원 모델, 3차원 모델, 훈련절차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기통합시스템부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는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부기 3차원 정보 처리 및 형상, 구성품, 콘텐츠, 전자교범, 정비절차에 관한 다양한 기술자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내의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가 인식한 코드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가 코드인식이 처리된 데이터를 통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상기 3차원 인식 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처리 및 시현하는 기술자료들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서 제공된 스마트 기기로 인식한 코드를 통하여 통합된 정보들을 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
  14. 삭제
  15.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형상 데이터, 구성품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전자교범 데이터 및 정비절차 데이터 중 필요한 특정 데이터를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와 웹 서버를 통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집된 데이터를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시현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인 상기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요청한 특정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상기 특정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지원자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상기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및 생산자 프레임워크부 중 어느 하나가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
  16. 삭제
  17.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형상 데이터, 구성품 데이터, 콘텐츠 데이터, 전자교범 데이터 및 정비절차 데이터 중 필요한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 웹서버를 통해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상기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로 상기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인식코드를 처리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로 인식되어 처리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수신된 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해당 데이터로 시현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인 특정 데이터를 상기 서버, 웹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특정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지원자프레임워크부가 상기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및 생산자 프레임워크부 중 어느 하나가 특정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
  18. 삭제
  19.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또는 생산자 프레임워크부가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서버, 웹서버를 통해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상기 인식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로 상기 인식코드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상기 인식코드를 처리하여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로 처리된 인식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정보통합서비스부가 수신된 인식코드 정보를 기초로 해당 데이터를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수신된 해당 데이터로 시현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기술자료정보시현부가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서버, 웹서버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프레임워크부가 수신된 시현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프레임워크부, 소비자 프레임워크부 또는 생산자 프레임워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인식공통프레임워크부에서 상기 인식코드의 처리는,
    인식코드(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바코드, OPT코드) 및 인식코드 일련번호를 통하여 인식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한 코드를 처리하는 단계와; 코드인식이 처리된 데이터를 통하여 스마트기기에서 시현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3차원 인식코드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내의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 방법.
  20. 삭제
KR1020140038443A 2014-04-01 2014-04-01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43A KR101600808B1 (ko) 2014-04-01 2014-04-01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43A KR101600808B1 (ko) 2014-04-01 2014-04-01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970A KR20150115970A (ko) 2015-10-15
KR101600808B1 true KR101600808B1 (ko) 2016-03-10

Family

ID=5435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43A KR101600808B1 (ko) 2014-04-01 2014-04-01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930B1 (ko) 2004-06-1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100716710B1 (ko) * 2005-08-12 2007-05-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양한 형식의 코드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74272B1 (ko) * 2007-01-17 2013-06-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Rfid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1113A (ko) * 2010-04-30 2011-11-07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매장 주문 처리 시스템과 이를 위한 휴대단말 및 가맹점 단말
KR101993239B1 (ko) 2011-02-07 2019-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Qr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20137563A (ko) 2011-04-27 2012-12-24 정병완 스마트폰을 이용한 qr코드 정보와 웹페이지간의 링크 이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8150B1 (ko) * 2011-06-15 2013-07-19 박진수 큐알 코드를 이용한 국공립기관 또는 관공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970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3274B (zh) 识别设备的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处理器和终端
KR20120137739A (ko)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3873288B (zh) 基于告警信息对通信网络设备故障进行定位的系统和方法
GB2539769A (e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US118804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 information discovery with multiple senses
KR101181967B1 (ko) 고유식별 정보를 이용한 3차원 실시간 거리뷰시스템
US20150140974A1 (en) Supporting the provision of services
Ramakrishnan et al. Internet of things: approach and applicability in manufacturing
JP2016541073A (ja) タグデータアプリケ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JP6376616B2 (ja) データタグキャリア情報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AU202327406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nitoring drone
Seitz et al. Augmenting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with emojis
JP2006252053A (ja) Qrコード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qrコード生成システム
RU201911311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ерекрестных интерактивных транзакций
WO2021248479A1 (zh) 人流量数据监控系统及其人流量数据的展示方法和装置
KR101600808B1 (ko) 3차원 내에 있는 인식코드를 통한 기술자료 연동 및 콘텐츠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360023A (zh) 用于模块的有效执行的方法和设备
CN111951385A (zh) 企业展示方法及装置
JP7129586B1 (ja) Bimデータ提供システム、bimデータ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049730A (zh) 三维虚拟仓库产品条码系统及实现方法
KR101293924B1 (ko) 촬영된 영상에 위치정보와 환경정보를 부가하는 촬영장치 및 방법
KR101245984B1 (ko) 단말기를 사용한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40176721A1 (en) Mobile command system and mobile terminal thereof
TWI665560B (zh) 行動製造管理和優化平台
CN107592612A (zh) 电子名片交互方法以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