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429B1 -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 Google Patents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429B1
KR101600429B1 KR1020140147055A KR20140147055A KR101600429B1 KR 101600429 B1 KR101600429 B1 KR 101600429B1 KR 1020140147055 A KR1020140147055 A KR 1020140147055A KR 20140147055 A KR20140147055 A KR 20140147055A KR 101600429 B1 KR101600429 B1 KR 10160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hearing aid
output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동혁
최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4014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4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4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3Electronic input selection or mixing based on input signal analysis, e.g. mixing or selection between microphone and telecoil or between microphones with different directivity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1Detection or adaptation of hearing aid parameters or programs to listening situation, e.g. pub, for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device of an environmental circumstance adaptation scheme and 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id device for the connection with a multimedia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ring aid device of an environmental circumstance adaptation scheme, which det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ircumstances to enable a response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while automatic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ircumstances, and 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id device for the connection with a multimedia device. The hearing aid device of an environmental circumstance adaptation scheme comprises: a control unit (P12)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multimedia unit (P111) and an environmental circumstance unit (P112); a classification unit (P14) classify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environmental circumstance unit (P112); an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determining a processing method of th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unit (P14); an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outputt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and an adaptation unit (P16) determining the level and an output method of a danger signal outputted to the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Description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ring aid device and a hearing aid device for connecting a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은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주변 환경 상황을 탐지하여 자동으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그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id device for linking a multimedia device with an environmental situation adaptation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detect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condition and automatically providing information on a situation, And 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ssistive device for linking a multimedia device and a hearing aid device in an adaptive manner.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가 발달하면서 보행 또는 차량 운행 중 음악 감상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은 이어폰 또는 헤드셋의 사용을 수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변 환경으로 발생되는 소리에 대한 주의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사용은 주위 환경에 대한 주의력을 산만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보청기의 사용 과정에서도 발생된다. 보청기는 청력 보조를 위한 것이지만 보청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와 결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셋 또는 이어폰에 보청기 기능이 추가될 수 있고 보청기의 작동이 스마트 폰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청력 기기의 사용과 그에 따른 주위 상황에 대한 주의력 감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portable multimedia devices, the use of multimedia such as listening to music while walking or driving is gradually increasing. The use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entails the use of an earphone or a headset, thereby reducing the attention to sound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use of such multimedia is a cause to distract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problem also occurs during the use of a hearing aid. Hearing aids are for hearing aids, but they are combined with various multimedia devices with the development of hearing aid technology. For example, a hearing aid function may be added to a headset or earphone, and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may be associated with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such a hearing aid and the reduction in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특허등록번호 제0753481호 '보행 중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동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행 중 위험 상황임을 감지하고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보행 안전을 확보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의 보행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 부분;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노출된 것을 식별하는 출력 제어 구동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부분; 상기 진동 센서 부분에 의하여 감지된 진동 데이터와 상기 설정 부분에 의하여 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출력 제어 구동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비교 부분; 상기 데이터 비교 부분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보행자가 외부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음원 재생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부분; 및 상기 출력 제어 부분에 의하여 제어된 출력에 따라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Document No. 0753481 'Portabl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safety during walking and its control method' relates to a portabl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a user's walking safety and a reproduc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portable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to secure the safety of the user's walk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ior art includes a vibration sensor part for sensing vibrations caused by a user's walking; A setting section for setting an output control drive condition for identifying that the user is exposed to a dangerous situation; A data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vibration data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with the data set by the sett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output control driving condition is satisfied; An output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sound reproduction output so that the pedestrian can detect an external dangerous element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ata comparison section; And a sound source reproduction section for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section.

보행 중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3-0039267호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주변 소음의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해당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주변 상황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저장하는 단계; 통화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이 되면 주변 소리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소집된 소리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해당 소리의 주파수 특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주파수 특성과 기 저장된 복수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상기 수집된 소리가 발생되는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주변 상황에 따라 기 설정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Another prior art for securing the user's safety in using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during walkin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3-0039267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The prior art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recognizing a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ambient noise and informing a user of the situ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e method includes stor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ound generated in a plurality of peripheral situations; Collecting surrounding sounds when a call or multimedia is played back; Analyzing a frequency spectrum of the sound and calcula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sound; Comparing the calculated frequency characteristic with a plurality of pre-stored frequency characteristics to recognize a surrounding situation where the collected sound is generated;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cognized peripheral condition.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기술은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진동 또는 주변으로부터 수집된 소리에 기초하여 음원 발생 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미 발생된 진동 또는 소리를 기초로 음원 발생 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대응이 어렵게 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음원 발생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 방법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주변 환경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인지 수준에 따른 경고 신호의 제어 방식에 대하여 제시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선행기술은 필요에 따라 환경 음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The prior art or known technique controls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generating device based on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user or sounds collected from the surroundings. Howeve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generating device on the basis of the vibration or sound thus generated may be difficult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on the other h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ound source generating device itself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control method I have a problem. In addition, the prior art does not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warning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user's perception level. In addition, the prior art does not disclose a method for enabling control of environmental sounds as required.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문헌1: 특허등록번호 제0753481호((주)이노비츠아이엔씨, 2007년08월31일 공개) 보행 중 안전을 위한 휴대용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Prior Art 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0753481 (published by Ionobizu Co., Ltd., August 31, 2007) Portabl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safety during walking and its control method 선행문헌2: 특허공개번호 제2013-0039267호(엘지전자 주식회사, 2013년04월19일 공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Prior Art 2: Patent Publication No. 2013-0039267 (published by LG Electronics Co., Ltd. on Apr. 19, 201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of its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외부 환경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환경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인지가 향상되도록 하는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 condition adaptation method for collecting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 various ways and allowing the user to respond to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s during use of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ring aid device for connecting a hearing aid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주기적으로 자극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주의력 산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device of an environmental situation adaptive type and a hearing aid device for connecting a multimedia device, which can reduce distraction of the user by periodically stimulating the user in the course of using the portable multimedia device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력 보조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외부 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ring aid device of an environmental condition adaptation type and a control method of a hearing aid device for linking a multimedia device to enable external sound to be input to the us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hearing aid device .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유닛 및 환경 상황 유닛으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유닛; 환경 상황 유닛으로 전송된 상기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 유닛; 분류 유닛의 분류에 따라 분류된 상기 정보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출력 결정 유닛; 상기 적응 유닛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는 환경 출력 유닛; 및 환경 출력 유닛으로 출력되는 위험 신호의 수준 및 출력 방식을 결정하는 적응 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unit and the environmental situation unit; A classification unit that classifies the information sent to the environmental situation unit; An output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method of processing th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unit; An environment output unit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adaptation unit; And an adaptive unit for determining a level and an output mode of the hazard signal output to the environment out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응 유닛은 위험 수준을 판단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출력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출력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ive unit include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danger level, changing the size of the output signal with the lapse of time, or periodically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적응 유닛은 멀티미디어 유닛 및 환경 상황 유닛으로 전송되는 정보의 상대적인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aptation unit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a relative size of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unit and the environment situation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는 상기 상황 신호를 정상 신호, 미리 결정된 신호 및 예외 상황 신호로 분류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aid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ultimedia device; A signal processing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tu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or from a microphone; An outpu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or;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each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control module, and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or classifies the status signal into a normal signal, a predetermined signal, and an exception condition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은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상기 경고 상황은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신호의 에너지 또는 전력 값이 시간의 증가에 따른 변화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고, 정해진 시간 범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hearing aid,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n interface between a hearing aid and a multimedia device; A step in which an external environmental situation is introduced;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coming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Determining whether a warning condition is m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the comparison result;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he output of the hearing assistive device is controlled, wherein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is introduc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or from the hearing aid device, Is determined to be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 continuing beyond a predetermined time r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 영상 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동 시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image information, or operation time of the multimedia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또는 매칭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gnition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convert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a conversion into a matching mess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을 제어되는 단계는 외부 환경 상황으로부터 유입된 정보와 멀티미디어로부터 유입된 정보의 상대적인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earing aid comprises controlling the relative siz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multimedia and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 상황에 대응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청력 보조 기기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기능 확대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보조 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계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청력 정도에 따라 주변 환경 및 주변 상황의 인지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외부 환경 또는 상황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따른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genera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nabling the hearing assistive device itself to be miniaturized and function expandable by being linked with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ultimedia device connecte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uxiliary device itself. Further,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hearing, and may cause problems due to poor external environment or situations that may be caused by the use of multimedia It can be solved.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구조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이 제어되는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A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B illustrates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device system according to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C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output is controlled in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2B and 2C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ultimedia device.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보청기, 이어폰, 헤드 폰, 이어 셋 또는 헤드셋과 같이 귀에 착용이 되어 소리의 유입 또는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한다. 청력 보조 기기는 자체적으로 볼륨이 조절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력 보조 기기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멀티미디어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hearing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device that enables the sound to be introduced or controlled by being worn on the ear, such as a hearing aid, earphone, headphone, earset, or headset. The hearing aid may have its own volume control and may include its own control unit, such as a microprocessor, as required, as described below. The hearing aid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multimedia device in a wireless or wired manner.

멀티미디어 기기는 셀 폰, 스마트 폰, 태블릿 기기 또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의 재생이 가능하면서 휴대 가능한 임의의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는 티브이, 라디오 또는 엠피쓰리 또는 컴퓨터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재생 또는 멀티미디어 관련 신호를 발생시키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로 유입되거나 또는 발생되는 소리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청력 보조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Multimedia devices include cell phones, smart phones, tablet devices, or any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various types of multimedia. The multimedia device may also include any device for generating multimedia related signals such as TV, radio or MP3 or multimedia. Sounds coming into or out of the multimedia device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via wired or wireless.

청력 보조 기기는 소리 신호의 크기 또는 볼륨을 보완하거나 또는 소리 신호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크기 또는 볼륨의 조절은 소리 신호의 증폭을 의미하고 변환은 소리 신호의 압축, 주파수 대역 별 증폭 또는 주파수 이동을 의미한다. 소리 신호의 변환은 개인의 청력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보청기의 피팅(fitting)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이와 같은 개인의 청력에 따른 특성을 기초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의 청력에 따른 특성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되거나 또는 청력 보조 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청력 보조 기기는 작동 과정에서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작동될 수 있다.A hearing aid may have the ability to complement the volume or volume of the sound signal or to convert the sound signal. Adjustment of size or volume means amplification of sound signal, and conversion means compression of sound signal, amplification by frequency band or frequency shift. The conversion of the sound signal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hearing ability of the individual and can be based on the same or similar process as the fitting process of the hearing aid, for example.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earing of the individu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hearing ability can be stored in a multimedia device in the form of software or stored in a hearing aid. And the hearing aid can be operated based on the stored software during the operation.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에 대한 제어는 자체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는 온/오프, 볼륨 조절 또는 작동 조건의 설정을 위한 입력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청력 보조 기기 기능의 작동 또는 프로그램 작동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의 경고음 발생 조건 및 그에 따른 경고 신호의 발생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또는 개인의 청력 특성이 멀티미디어 기기에 저장될 수 있다.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may be done on its own or through a multimedia device. For example, the hearing aid may have input means for on / off, volume control or setting of operating conditions. Alternatively, the operation or program operation of the hearing aid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multimedia device. For example, a program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a beeping condition of the hearing aid and the resulting alert signal may be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and activated as needed. Or the h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may be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환경 상황 신호 또는 상황 신호는 외부 환경 또는 외부 상황과 관련된 신호를 의미한다. 환경 상황 신호는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소리, 경고 방송, 벨소리, 갑작스런 환경 소음 또는 상대적으로 큰 음성을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기기 자체의 통화 벨 소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황 신호는 음향 또는 음성 신호를 비롯하여 영상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 자체에서 발생 조건이 결정된 신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상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다른 카메라를 통하여 얻어지는 영상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생 조건이 결정된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가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 또는 일정한 시각에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신호는 외부의 음성, 음향 및 영상 신호를 비롯하여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 및 발생 조건이 설정된 신호를 포함한다.An environmental status signal or a status signal refers to a signal relat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or an external situati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signal includes the call sound of the multimedia device itself, for example, a car horn sound, a warning sound, a ringing sound, a sudden environmental noise or a relatively large sound. Also, the situation signal includes a sound or voice signal, a video signal, or a signal in which a generation condition is determined in the multimedia device itself. For example, the video signal may be a video signal obtained through a multimedia device or another camera. Also, the signal for which the occurrence condition is determined may be a signal set to be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or a signal set to be generated at a certain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ituation signal includes external audio, audio, and video signals as well as signals generated in the multimedia device and signals in which the generation conditions are set.

아래에서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이 제어되는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Hereinafter, a hearing assistive device in an environment adaptive manner in which the operation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a multimedia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A shows an embodiment of an operating structure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경 상황 적응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유닛(P111) 및 환경 상황 유닛(P112)으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 유닛(P12); 환경 상황 유닛(P12)으로 전송된 상기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 유닛(P14); 분류 유닛(P14)의 분류에 따라 분류된 상기 정보의 처리 방법을 결정하는 출력 결정 유닛(P15); 출력 결정 유닛(P15)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는 환경 출력 유닛(P171); 및 환경 출력 유닛(P171)으로 출력되는 위험 신호의 수준 및 출력 방식을 결정하는 적응 유닛(P1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A,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P12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multimedia unit P111 and an environment status unit P112; A classification unit P14 for classify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environmental situation unit P12; An output determining unit (P15) for determining a method of processing the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unit (P14); An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And an adaptation unit P16 for determining the level and the output mode of the hazard signal outputted to the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멀티미디어 유닛(P111) 및 환경 상황 유닛(P112)은 각각 소리 신호를 제어 유닛(P12)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 유닛(P12)은 전송된 소리 신호 또는 정보를 분류 유닛(P14)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P111)은 예를 들어 재생 소리 신호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는 소리 신호를 제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유닛(P111)은 장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환경 음 또는 카메라를 통하여 전송된 외부 상황 이미지와 같은 것을 제어 유닛(P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만약 초음파 탐지 유닛과 같은 거리 탐지 유닛이 장착되어 있다면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어 유닛(P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정보가 멀티미디어 유닛(P111)을 통하여 제어 유닛(P111)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P12)은 전송된 정보의 형태에 따라 분류 유닛(P14)으로 전송하거나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환경 상황 유닛(P112)으로 전송되는 신호는 주로 환경 상황 신호 또는 환경 상황 소리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에 별도로 마이크가 설치될 수 있고 환경 상황 소리 신호가 마이크를 통하여 제어 유닛(P12)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multimedia unit P111 and the environmental situation unit P112 may respectively transmit a sound signal to the control unit P12 and the control unit P12 may transmit the transmitted sound signal or information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The multimedia unit P111 may transmit, for example, a playback sound signal or a sou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control unit. Also, the multimedia unit P111 can transmit to the control unit P12, such as an external environment sound inputted through the mounted microphone or an external environment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amera. In addition, if a distance detection unit such as an ultrasonic detection unit is mounte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12. Th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111 through the multimedia unit P111. Then, the control unit P12 may transmit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or to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 unit P112 may mainly be an environmental condition signal or an environmental condition sound signal. For example, a microphon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the hearing aid and an environmental condition sou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P12 through the microphone.

멀티미디어 유닛(P111) 또는 환경 상황 유닛(P112)으로부터 제어 유닛(P12)으로 신호는 적절한 통신 유닛을 통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유닛(P12)은 전송된 신호를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분류 유닛(P14)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분류 유닛(P14)에서 처리된 신호를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P12)은 신호 형태, 유입 기기 또는 신호의 크기와 같은 처리 기준에 기초하여 전달된 신호를 분류 유닛(P14)으로 전송하거나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유닛(P111)로부터 재생되는 신호는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 전송될 수 있고, 환경 상황 유닛(P112)으로 유입되는 신호는 분류 유닛(P14)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의 신호 또는 이미 전달되어 별도로 처리될 필요가 없는 신호는 제거될 수 있다.The signal from the multimedia unit P111 or the environmental status unit P112 to the control unit P12 may be transmitted wirelessly or by wire through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P12 may transmit the transmitted signal to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or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and may transmit the processed signal to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in the classification unit P14. The control unit P12 may transmit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or the output decision unit P15 based on the processing standard such as the signal type, the input device or the size of the signal. For example, a signal reproduced from the multimedia unit P111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and a signal input to the environment situation unit P112 may be transmit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On the other hand, a negligible level of signal or a signal that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and does not need to be processed separately can be eliminated.

분류 유닛(P14)으로 전달된 신호는 신호의 종류, 발생 형태 또는 특징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분류 과정에서 특성 데이터베이스(P13)에 저장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분류 유닛(P14)은 전달된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전달된 정보 또는 신호가 분류될 수 있다. 정보 또는 신호는 특성 데이터베이스(P13)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분류될 수 있다. 정보 또는 신호의 분류 과정에서 입력되는 신호 또는 정보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바로 직전 시간 대역에서 입력된 정보와 현재 시간 대역에서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여 새로이 발생된 이벤트가 주요한 비교 인자가 될 수 있다. 비교 유닛(P14)은 입력된 정보를 분류 결과를 적절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유닛(P14)은 위험 수준, 근접 수준 또는 위험 형태로 분류하고 그에 해당하는 표시를 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P14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generation form or characteristic of the signal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haracteristic database P13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used. The classification unit P14 can extract the characteristic from the transmitted signal and the information or signal conveyed based on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can be classified. The information or signal can be classified by referring to the data stored in the characteristic database P13. The signal or information input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information or signal can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the information inputted in the immediately preceding time band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inputted in the current time band so that the newly generated event becomes the main comparison factor . The comparison unit P14 can display the classification result in an appropriate manner.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unit (P14) can be classified as a risk level, a proximity level, or a risk type, and a corresponding indication can be made.

분류 유닛(P14)에서 분류된 신호는 제어 유닛(P12)을 경유하여 출력 결정 유닛(P15)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 결정 유닛(P15)은 분류 유닛(P14)에서 분류된 결과에 따라 정보 또는 신호의 출력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출력 결정 유닛(P15)은 예를 들어 출력 방향, 신호 출력 방식 또는 출력 시간과 같은 신호 출력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증폭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 또는 출력 반복 회수와 같은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출력 결정 유닛(P15)에서 출력 형태가 결정된 신호는 환경 신호 출력 유닛(P171)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환경 신호의 출력과 동시에 멀티미디어 출력 신호 유닛(P172)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에 의하여 전달되는 신호는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The signal classified in the classification unit P14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via the control unit P12.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can determine the output mode of the information or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unit P14.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can determine the signal output format such as, for example, the output direction, the signal output method, or the output time, and can determine,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to be amplified or the number of output repetitions. The signal whose output type is determined in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environmental signal output unit P171. At the same time as the output of the environmental signal,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can be transmitted by the multimedia output signal unit P172, and the signal transmitted by the multimedia devic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as needed.

출력 결정 유닛(P15)은 위험으로 분류된 신호를 환경 출력 유닛(P171)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출력 유닛(P172)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환경 출력 유닛(P171) 및 멀티미디어 출력 유닛(P172)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출력 유닛이 되고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환경 출력 유닛(P171)이 되고 멀티미디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출력 유닛(P172)이 될 수 있다. 환경 신호와 멀티미디어 신호는 함께 출력되거나 어느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출력 결정 유닛(P15)에서 위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위험 신호는 적응 유닛(P16)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output unit P172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ignal classified as the danger through the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to the user. The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and the multimedia output unit P172 physically become one output unit and can be logically divided. For example, an environment output unit P171 when processing an environment signal and a multimedia output unit P172 when outputting a multimedia signal. The environment signal and the multimedia signal may be output together or one of them may be output. When a danger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the danger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adaptation unit P16.

적응 유닛(P16)은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위험 수준 및 신호 형태에 따라 저장하고 그리고 미리 결정된 방법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적응 유닛(P16)은 현재 전달된 위험 신호의 지속 여부 및 위험도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이에 대하여 인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에 대한 위험도가 증가하면 위험 신호에 대한 이득(gain)이 증폭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이득이 감소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적응 유닛(P16)은 위험 수준의 지속 여부, 위험 수준의 증가 여부 및 위험 수준의 접근 정도를 사용자에게 인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적응 유닛(P16)은 위험 여부 자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결정 유닛(P15)으로부터 전달된 현재 신호의 값을 B, 직전 신호의 값을 C라고 하고 위험지수를 R이라 하면 R = B*P + C*Q(P 및 Q는 각각 위험 결정 계수로 0 내지 1 사이의 값이 된다)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P=0.2 그리고 Q = 0.8로 결정하는 경우 위험 R ≤ 직전 신호 값+15 dB이 되고 이와 동시에 지속 시간이 예를 들어 0.1 초 이상이 되는 경우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응 유닛(P16)의 기능은 분류 유닛(P14)에서 위험 수준 분류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 유닛(P14)에서 R을 산출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여 적응 유닛(P16)으로 전달하고, 적응 유닛(P16)은 신호 전달의 지속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증가된 위험 수준을 증폭된 신호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e adaptation unit P16 may stor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according to the risk level and the signal type and determine how to recognize the us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In addition, the adaptation unit P16 may have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anger signal is continuously transmitted and whether the risk is increased or not, and informing the user of the increase. For example, as the risk for the same or similar signal increases, the gain for the hazard signal is amplified and delivered to the user. At the same time, the gai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is reduc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hus, the adaptation unit P16 may have a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perceive whether the risk level is maintained, whether the risk level is increased, and whether the risk level is approached. Further, the adaptive unit P16 can judge whether or not the danger is itself. 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curr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P15 is B, the valu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signal is C, and the risk index is R, R = B * P + C * And the coefficient is a value between 0 and 1). For example, if P = 0.2 and Q = 0.8, the risk R ≤ the previous signal value is +15 dB. At the same time, if the duration is more than 0.1 second, for example, it can be judged as a dangerous situation. Such a function of the adaptation unit P16 may be applied to the risk level classification process in the classification unit P14.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unit P14 calculates R to determine whether it is dangerous and transmits it to the adaptation unit P16. The adaptation unit P16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transmission is continued or not, It can be delivered in signal form. Or the siz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can be gradually reduced.

적응 유닛(P16)의 다른 기능은 청력 보조 기기의 착용 상태에서 환경 음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청력 보조 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예를 들어 상대방과 대화를 위하여 멀티미디어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충분히 억제하거나 소거시킬 필요가 있다. 또는 위험 신호만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적절한 제어 스위치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억제하면서 위험 신호를 비롯하여 모든 환경 신호가 청력 보조 기기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스위치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에 설치될 수 있고 적응 유닛(P16)은 적절한 필터 유닛을 이용하여 또는 신호 전달 경로의 선택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대화 음만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신호만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Another function of the adaptation unit P16 is to allow ambient sound to be introduced into the wearer's hearing aid. In the course of using the hearing aid,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suppress or eras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for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In this case, all the environmental signals including the danger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assistive device while suppressing the multimedia signal by the appropriate control switch. The control switch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a multimedia device or a hearing aid, and the adaptive unit P16 may remove the multimedia signal using a suitable filter unit or using a selection of signaling paths. For example, only the conversation sound of the other party can be inputted. Alternatively, only the multimedia signal may be input.

적응 유닛(P16)은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 신호, 위험 신호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daptation unit P16 can control environmental signals, danger signals and multimedia signals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구조가 적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다. An apparatus or system to which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 시스템(10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20)에서 출력이 제어되는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B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ring aid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C shows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output is controlled in the hearing ai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청력 보조 기기(20)는 멀티미디어 기기(10)와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16);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또는 마이크(24b)로부터 전송된 상황 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 프로세서(21); 상기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모듈(212); 및 상기 출력 제어 모듈(212)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유닛(22a, 19)을 포함한다. 1B and 1C, a hearing aid 20 for external environment respons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6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ultimedia device 10; A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for processing the stat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 or from the microphone (24b); An output control module (212)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And an output unit (22a, 19) for outputting each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상황 신호는 영상 장치(S1)를 통하여 전달되거나 또는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황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발생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장치(S1)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카메라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마이크 장치(S2)는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설치된 마이크가 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 자체에 부착된 마이크 장치(S2)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얻어진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 내부에 설치된 출력 장치를 경유하여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유입된 신호는 통신 수단(16)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전달되어 분석 유닛(11)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The status signal may be transmitted via the imaging device S1 or via the microphone device S2.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signal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program of the multimedia device 10. [ The imaging device S1 may be, but not limited to, a camera of the multimedia device 10 and the microphone device S2 may be a microphone install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 or the hearing aid 20. The signal obtained from the microphone device S2 attached to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20 itself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 21 of the hearing aid device 20. [ A signal obtain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via an output device provided inside the multimedia device 10. [ A signal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as needed can be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10 via the communication means 16 and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1. [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유입된 상황 신호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를 통하여 유입된 상황 신호는 분석 유닛(11)에 의하여 분석될 수 있다. 분석 유닛(11)은 필터 유닛(111a)과 분류 유닛(111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1a)은 특정 크기 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리고 분류 유닛(111b)은 음성 신호, 음향 신호, 가청 주파수 대역을 벗어난 신호 및 영상 신호를 분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1a)에 의하여 추출되고 그리고 분류 유닛(111b)에 의하여 분류된 신호는 비교 유닛(12)로 전달되어 매칭 신호가 검색될 수 있다. 비교 유닛(12)은 외부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분류에 따른 상황 관련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송된 상황 신호를 상황 관련 데이터와 비교하여 매칭 수준이 가장 높은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비교 유닛(12)은 상황 관련 데이터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로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 형태는 예를 들어 짧은 경보음, 메시지 형태 또는 특정 멜로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후 검색된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기기(10)에 내장된 제어 유닛(13)으로 전달될 수 있다.A situation signal inputted into the multimedia device 10 or a situation signal inputted through the hearing aid device 20 can be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1. [ The analysis unit 11 may include a filter unit 111a and a classification unit 111b. The filter unit 111a has a function of extracting a sound signal of a specific size or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classification unit 111b has a function of classifying a voice signal, an acoustic signal, a signal outside the audible frequency band, have. The signal thus extracted by the filter unit 111a and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unit 111b is transmitted to the comparison unit 12 so that the matching signal can be searched. The comparison unit 12 may have a database in which situation-related data according to various categories related to external conditions are stored. Then, the transmitted status signal is compared with the situation-related data to find the data with the highest matching level. The comparison unit 12 may store the context-related data as a sound signal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The sound signal form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may be, for example, a short beep sound, a message form or a specific melody form. The retrieved data may the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 incorporat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 [

도 1a에서 제시된 분석 유닛은 예를 들어 분석 유닛(11) 및 비교 유닛(12)에 대응될 수 있고 상황 신호는 분석 유닛(11)으로 먼저 전송되거나 또는 제어 유닛(13)으로 먼저 전송될 수 있다. 실제로 제어 유닛(13), 분석 유닛(11) 및 비교 유닛(12)은 하나의 통합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적응 유닛은 비교 유닛(12)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1A can correspond to, for example, the analysis unit 11 and the comparison unit 12, and the status signal can be transmitted first to the analysis unit 11 or first to the control unit 13 . In practice, the control unit 13, the analysis unit 11 and the comparison unit 12 can form one integrated unit. The adaptive unit described above can be included in the comparison unit 12 or can be installed separately.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상황 신호와 멀티미디어 발생 신호는 에너지 크기, 발생원의 탐지, 주파수 분석 또는 파형 분석을 통하여 구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외부 상황 신호는 노이즈의 포함 형태에 따라 구별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상황 신호와 멀티미디어 발생 신호가 구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상황 신호는 적절한 방향으로 주파수 변환, 메시지와 같은 대응 신호로 변환 또는 에너지의 변환과 같은 방법으로 적절하게 변환이 되어 필요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ituation signal and the multimedia generation signal can be distinguished through energy size, source detection, frequency analysis, or waveform analysis.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situation signal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type of noise included. The external situation signal and the multimedia generation signal can be distinguished in various ways. And the external situation signal can be appropriately converted in a suitable way such as frequency conversion, conversion to a corresponding signal such as a message, or conversion of energy, and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when necessary.

모든 상황 신호가 반드시 비교 유닛(12)에서 검색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분석 유닛(11)은 미리 결정된 신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신호 데이터의 하나가 발생되는 경우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20) 자체에서 발생된 벨소리 또는 특정한 방향에서 유입되는 비교적 일정한 크기 이상의 자동차 경적 소리와 같은 것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직접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될 수 있다.Not all situation signals need to be searched in the comparison unit 12. The analysis unit 11 may store predetermined signal data. And may transmit directly to the hearing aid 2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6 if one of the predetermined signal data is generated. For example, a ringing sound generated in the multimedia device 20 itself or a car horn sound of a relatively constant size or more coming from a specific direction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hearing aid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 [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피팅 데이터(14)가 저장될 수 있다. 피팅 데이터(14)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경우 가청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신호를 인지하지 못한다. 다른 한편으로 보청기 사용자가 아닌 경우라고 할지라도 인지 수준이 높은 주파수 대역 또는 음색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 유닛(13)은 분석 유닛(12)으로부터 전달된 상황 신호를 피팅 테이터(14)에 기초하여 직접 변환하여 통신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팅 데이터(14)는 보청기 분야에서 적용되는 피팅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소리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The fitting data 14 may be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 or the hearing aid 20. The fitting data 14 means hearing data of the user. Generally, a hearing aid user does not recognize a sound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in an audible frequency band. On the other hand, even if it is not a hearing aid user, there may be a frequency band or tone having a high recognition level. The control unit 13 can directly convert the situ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alysis unit 12 based on the fitting data 14 and transmit it to the communication unit 16. [ Here, the fitting data 14 i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data relating to a user's preferred sound signal, including fittings applied in the hearing aid field.

제어 유닛(13)은 상황 신호를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상황 출력 수단(15)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의 디스플레이 창에 상황을 표시하거나 또는 진동과 같은 수단을 통하여 상황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달된 신호는 제어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 can transmit the status signal to the hearing aid 20 and output it via the status output means 15 itself. For example, a status signal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window of the multimedia device 10 or a status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means such as vibration. And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20 may be output in a controlled manner.

도 1b를 참조하면, 상황 신호는 청력 보조 기기(20)로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또는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청력 보조 기기(20) 자체에 설치된 소리 형태의 상황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 전송되거나 또는 청력 보조 기기(10)의 출력 제어 모듈(212)으로 전송될 수 있다.1B, a situ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hearing aid 2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6 or via the microphone device S2. As described above, a sound-like status signal installed in the hearing aid device 20 itself may be transmitted to the multimedia device 10 or to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of the hearing aid device 10. [

본 명세서에 따르면, 통신 유닛(16)은 멀티미디어 기기(20)와 청력 보조 기기(10)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수단 또는 유선 통신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6 means a communication means or a wired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20 and the hearing aid device 10. [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청력 보조 기기(10)로 전달된 신호는 정상 신호(211a), 미리 결정된 신호(211b) 및 예외 상황 신호(E)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정상 신호(211a)는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멀티미디어의 재생 또는 통화에 따른 음성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결정된 신호(211b)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 또는 청력 보조 기기(20)에 저장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탐색된 위치 정보, 일정 시각에 발생되도록 설정된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의 통화 수신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신호의 형태는 미리 결정되거나 또는 탐지 유닛(18)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탐지 유닛(18)는 신호 형태를 탐지할 수 있고 탐지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기기(10)에서 신호를 구분된 형태로 변환시켜 전송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탐지는 신호가 유입되는 장치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20)에 별도로 설치된 마이크 장치(S2)를 통하여 소리 신호가 유입되었다면 예외 상황 신호(211c)에 해당된다.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hearing aid device 10 may be divided into a normal signal 211a, a predetermined signal 211b and an exceptional situation signal E. [ The normal signal 211a may be the same as a multimedia signal in the multimedia device 10, such as a multimedia signal. And the predetermined signal 211b may be, for example, a signal set by a user stored in the multimedia device 10 or the hearing aid 20.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search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 a signal set to be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or a call reception signal of the multimedia device 10. [ The form of the signal may be predetermined or may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8. The detection unit 18 can detect the signal form and the detection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converting the signal into the separated form and transmitting the signal in the multimedia device 10, for example. In addition, detection can be detected by the device into which the signal is being received. For example, if a sou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device S2 provided separately to the hearing aid device 20, the signal corresponds to the exception signal 211c.

정상 신호(211a) 및 미리 결정된 신호(211b)는 직접 출력 제어 모듈(21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예외 상황 신호(211c)는 예외 분석 유닛(212d)을 경유하여 출력 제어 모듈(2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외 분석 유닛(212d)은 예외 상황 신호(211c)의 종류 또는 크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출력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긴급한 예외 신호에 해당되는 것인지 또는 일반적인 예외 상황 신호에 해당되는 것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외 상황 신호(211c)의 특성에 따라 출력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외 상황 신호(211c)가 긴급한 것이라면 정상 신호(211a)를 널 출력(Null output)(211b)을 시키고 그리고 예외 상황 신호(211c)를 스피커(22a)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출력 결정 유닛은 출력 제어 모듈(212)을 포함할 수 있고 예외 분석 모듈(212d)은 적응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The normal signal 211a and the predetermined signal 211b may be transmitted to the direct output control module 212. [ On the other hand, the exception condition signal 211c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via the exception analysis unit 212d. The exception analysis unit 212d is for determining the output typ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r size of the exception state signal 211c, for example, whether it corresponds to an urgent exception signal or a general exception state signal Can be determined. The output form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eption condition signal 211c. For example, if the exception signal 211c is urgent, the normal signal 211a may be output to the null output 211b and the exception signal 211c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2a. The output determination unit described above may include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and the exception analysis module 212d may be included in the adaptation unit.

출력 제어 모듈(212)에 의하여 출력 방법이 결정되고 이와 동시에 신호 변환 유닛(212a)에 의하여 상황 신호가 특정 주파수 대역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매칭 메시지 유닛(212b)에 의하여 상황 신호가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출력 제어 모듈(212)은 상황 신호의 출력 형태를 결정한다. 출력 제어 모듈(212)의 출력 형태는 예를 들어 정상 신호(211a)를 크기를 줄이거나, 상황 신호를 적절하게 지연(221a)을 시키거나 또는 널 출력(221b)을 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정상 신호(211a)를 소거 또는 널 출력(221b)을 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출력 제어 모듈(212)은 자극 신호 유닛(19)을 통하여 자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주기 마다 자극 신호를 가하는 것에 의하여 음악을 듣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주의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자극 신호는 예를 들어 전기 신호 또는 진동 신호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극 신호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 또는 교통수단의 장시간 이용 과정에서 가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는 정해진 상황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 도중에 건널목에 도달하는 경우, 정해진 목적지에 도달하는 경우 또는 대중교통의 이용 과정에서 특정 음향이 유입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자극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output method is determined by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and at the same time the status signal can be converted into a specific frequency band signal by the signal conversion unit 212a. Also, a status signal may be delivered in the form of a message by the matching message unit 212b.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determines the output format of the status signal. The output form of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may reduce the size of the normal signal 211a, for example, to delay the status signal appropriately 221a, or to output the null output 221b. The normal signal 211a can be erased or the null output 221b can be generated as needed.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may generate a stimulus signal through the stimulus signal unit 19. [ For example, by applying a stimulus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 user's attention can be raised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o music. The stimulus signal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al signal or a vibration signal. Such a stimulus signal can be applied in the user's walking process or in the long-term us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set such a stimulus signal to be generated when a predetermined situation signal is input. For example, such a stimulation signal may be set to be generated when reaching a crossing during a walk, reaching a predetermined destination, or when a specific sound is introduced in the process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 제어 모듈(212)은 정상 신호(211a), 미리 결정된 신호(211b) 및 예외 상황 신호(211c)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In various manners, the output control module 212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normal signal 211a, the predetermined signal 211b, and the exception status signal 211c,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가 연결되는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multimedia device 10 and the hearing aid 20 are connected is described below.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가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S. 2A, 2B and 2C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multimedia device.

도 2a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의하여 보청기와 같은 청력 보조 기기(20)가 제어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는 청력 보조 기기(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어플리케이션(17)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제어 어플리케이션(17)은 기능 제어 유닛(171) 및 피팅 제어 유닛(17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력 보조 기기(20)는 예를 들어 이어 셋 또는 헤드셋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어폰에 설치된 보청기가 설치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마이크(24a)와 외부에서 발생되는 상황 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위한 제2 마이크(24b)를 가질 수 있다.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는 근거리 통신 수단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 hearing aid 20 such as a hearing aid can be controlled by the multimedia device 10. The multimedia device 10 may have a control application 17 for controlling the hearing aid 20 and the control application 17 may include a function control unit 171 and a fitting control unit 172 . In addition, the hearing aid 20 may be, for example, an ear-set or a headset, and a hearing aid installed in the earphone may be installed if necessary.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20 may have a first microphone 24a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 and a second microphone 24b for directly receiving a situation signal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multimedia device 10 and the hearing aid device 20 may communicate via a communication unit 16, such 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Alternatively, the multimedia device 10 and the hearing aid 20 may be connected by wire.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청력 보조 기기(20)로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소리 신호, 발생되는 통화 신호 또는 유입되는 상황 신호가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각각의 신호가 청력 보조 기기(20)에서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multimedia sound signal reproduced on the multimedia device 10 by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20, a generated call signal, or an incoming situ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 And each signal can be appropriately processed by the hearing aid 20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2b는 청력 보조 기기(20)가 무선 보청기가 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2c는 청력 보조 기기(20)가 양이 보청기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이 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2B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hearing aid 20 is a wireless hearing aid, and FIG. 2C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hearing aid 20 is a headset having a hearing aid function.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10)에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18)가 설치될 수 있고 통신 유닛(16)으로 무선 동글(dongle)과 같은 것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동글(dongle)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0)의 신호가 청력 보조 기기(20)로 전송(TR)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20)는 자체적으로 필요한 작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27)를 가질 수 있고 통신 유닛(16)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청력 보조 기기(20)는 독립 전원을 가지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2B and 2C, the multimedia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18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a communication dongle such as a wireless dongle may be installed. A signal of the multimedia device 10 may be transmitted (TR) to the hearing aid 20 through a wireless dongle.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20 may have an interface 27 capable of inputting the necessary operating commands on its own and may have the communication unit 16. [ If desired, the hearing aid 20 may have an independent power supply or be supplied with necessary power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 [

통신 유닛(16)을 통하여 전송(TR)이 된 신호 또는 제2 마이크(24b)를 통하여 전송된 정상 신호, 미리 결정된 신호 또는 상황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는 위에서 설명이 된 출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signal that has been transmitted (T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 or a normal signal, a predetermined signal, or a situ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24b may be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1.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may include an output control module as described above.

제2 마이크(24b)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는 A/D 컨버터(211)에 의하여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로 전달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24b may be converted by the A / D converter 211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1.

본 발명에 따르면, 청력 보조 기기(20)에 메모리(215)가 설치될 수 있다. 메모리(215)에 상황 신호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15)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기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 또는 마이크(24b)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이 될 수 있다. 메모리(215)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출은 위에서 설명된 비교 유닛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출과 유사한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메모리(215)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음성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215 can be installed in the hearing aid 20. The memory 215 may store voice data related to the status signal.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memory 215 can be ca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10 or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4b. The invocation of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215 may be accomplished through a process similar to the invocation of data stored in the comparison unit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215 can be stored in voice data set by the user or audio data suitable for the hearing of the user.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21)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는 제어된 형태로 D/A 컨버터(213)를 경유하여 스피커(22a)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신호는 적응 변환 유닛(214)에 의하여 예를 들어 주파수 대역 별로 증폭되어 스피커(22a)로 출력될 수 있다. 적응 변환 유닛(214)은 전달된 신호를 선형 증폭(linear Amplification) 또는 비선형 증폭(non-linear amplification)을 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적응 변환 유닛(214)은 주파수 이동 기능 또는 양이 제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양이 제어 기능을 예를 들어 음원의 위치에 따라 양쪽 귀로 전달되는 소리에 지연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via the speaker 22a via the D / A converter 213 in a controlled form. As shown in FIG. 2C, the signal may be amplified by, for example, frequency band by the adaptive conversion unit 214 and output to the speaker 22a. The adaptive transform unit 214 may have a function of performing linear amplification or non-linear amplification of the transmitted signal. The adaptive transformation unit 214 may have a frequency shift function or a positive control function. The amount of control includes, for example, imparting a delay effect to the sound delivered to both ea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ource.

멀티미디어 기기(10)와 청력 보조 기기(20)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multimedia device 10 and the hearing aid device 20 may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과정에 대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은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S31);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S32);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S33);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S34);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S35);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S36)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그리고 상기 출력의 제어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에서 출력 방향이 설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Hereinafter, an operation example of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hearing aid in a multimedia device-linked manner includes setting an interface between a hearing aid and a multimedia device (S31); A step (S32) in which an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is introduced; A step S33 of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fluxe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 step (S34) of judging whether or not a warning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the comparison result;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S35);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earing assistive device, wherein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is introduc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or from the hearing aid device, and the control of the output is performed by the hearing aid device, .

멀티미디어 기기와 청력 보조 기기의 인터페이스의 설정(S31)은 통신 수단, 청력 보조 기기의 제어 방법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청력 보조 기기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기기와 인터페이스 설정과 함께 청력 보조 기기 자체의 작동 조건이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청력 보조 기기의 사용자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의 마이크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예외 상황 신호 중 긴급한 신호의 처리 방법 또는 자극 신호의 발생 주기와 같은 것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황 신호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설정은 미리 결정되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의하여 또는 청력 보조 기기 자체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tting (S31)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 and the hearing aid includes such things as communication means, a method of controlling a hearing aid, or driving an application related to a hearing aid in a multimedia devic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hearing aid itself must be set together with the interface settings of the multimedia device. For example, if a user of a hearing aid does not recognize the sound of a particular frequency band,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sound signal coming from the microphone of the multimedia device or the hearing aid device into the user's audible frequency band. In addition, a method of processing an urgent signal or an occurrence period of a stimulus signal among the exception signal described above can be set in advance. In addition, a setting may be made to convert the status signal to a frequency band most suitable for the user. However, such a setting may be predetermined and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multimedia device or the hearing aid itself.

인터페이스 설정되고(S31) 청력 보조 기기가 작동되면 정상 신호 또는 상황 신호가 멀티미디어 기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의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S32). 유입된 상황 신호가 추출, 분석 및 비교가 될 수 있고(S33) 그리고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과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34). 만약 경고 상황에 해당되지 않는다면(NO) 환경 상황 유입 과정(S32)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32). 이에 비하여 경고 발생 상황에 해당된다면(YES) 인지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S35). 인지 방법의 결정이란 유입된 상황 음원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법, 주파수 변환을 하여 전달하는 방법, 메시지로 변환하는 전달하는 방법, 미리 결정된 경고음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방법 또는 자극 신호로 전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정상 신호를 완전히 소거하여 전달하는 방법, 정상 신호의 볼륨을 줄이는 방법, 시간 지연을 시켜 전달하는 방법 또는 반복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이와 같은 방법의 결정은 출력 제어 모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is activated (S31), a normal signal or a status signal may b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of the multimedia device or the hearing aid device (S32). The incoming situation signal can be extracted, analyzed, and compared (S33), an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corresponds to the progress statu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comparison result (S34). If the warn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NO), the environmental condition influx process S32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S32). On the other hand, if it is the case that the warning is generated (YES), the method of recognition can be determined (S35). The determination of the recognition method determines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incoming sound source as it is, the method of transferring by frequency conversion, the method of transferring to be converted into a message, the method of transferring to predetermined warning sound, . Or the method of completely destroying the normal signal, the method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normal signal, the method of delivering by time delay, or the method of repeatedly transmitting. As described above, the determination of such a method can be done by the output control module.

인지 방법이 결정되면(S35). 변환 또는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S36). 변환은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이 되거나, 경고음으로 변환이 되거나 또는 미리 결정된 메시지 형태로 변환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입된 상황 신호에 대하여 저장 매체에서 저장된 동일 또는 유사한 음성 메시지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한다.If the recognition method is determined (S35). Conversion or matching may be performed (S36). The conversion means that the user is converted into an audible frequency band, converted into a beep sound, or converted into a predetermined message form. Means searching for the same or similar voice messag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with respect to the incoming context signal.

변환 또는 매칭이 된 신호는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S371) 또는 청력 보조 기기 제어(S37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38). 경보 발생(S38)은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문자 메시지 팝업,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청력 보조 기기에서 음성 신호 전달, 청력 보조 기기로 음성 메시지 전송 또는 자극 신호 발생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rted or matche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multimedia device control S371 or the hearing aid device control S372 at step S38. The alarm generation (S38) may include, for example, a text message popup in the multimedia device, a voice signal transmission in a hearing assistive devic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a voice message transmission in a hearing assistance device, or a stimulation signal generation.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경고 발생 상황은 소리 에너지 또는 소리 값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동일 종류의 신호의 에너지 또는 전력 값이 시간의 증가에 따른 변화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면서 정해진 시간 범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경고 발생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경고 상황의 지속 여부에 또는 증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게 증폭된 형태의 경고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 제어는 외부 환경 상황으로부터 유입된 정보와 멀티미디어로부터 유입된 정보의 상대적인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의 제어는 경과 상황의 발생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제어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제어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of a warning can be judged by measuring a change in sound energy or sound value. If the energy or power value of the same kind of signal continues to exceed the predetermined time range while the change value with time increases beyond the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judged that the alarm occurrence situation exists. In addition, the warning signal of the amplified typ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depending on whether the warning situation continues or increases. 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 of the hearing aid may include controlling the relative size of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formation coming from the multimedia. Control of the output includes control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occurrence of an elapsed situation and control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need.

경과 상황의 발생 여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판단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출력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Whether or not an elapsed state occurs can be judged by various methods, and the output control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다양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In various ways,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multimedia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사용 환경에 따라 외부 환경 상황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외부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과 연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청력 보조 기기의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기능 확대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보조 기기 자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계되는 멀티미디어 기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청력 보조 기기는 청력 정도에 따라 주변 환경 및 주변 상황의 인지 정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의 사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외부 환경 또는 상황에 대한 미흡한 대처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y generating a signal rega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earing aid can be miniaturized and its function can be expanded by linking with the function of the multimedia device.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multimedia device connected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uxiliary device itself. In addition,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hearing, and may cause a problem due to an unsatisfactory respon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r situation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use of multimedia Can be solved.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P12: 제어 유닛 P13: 특성 DB
P14: 분류 유닛 P15: 출력 결정 유닛
P16: 적응 유닛 P111: 멀티미디어
P112: 환경상황
P171: 환경 출력 유닛 P172: 멀티미디어 출력 유닛
100: 청력 보조기기 시스템
10: 멀티미디어 기기 11: 분석 유닛
12: 비교 유닛 13: 제어 유닛
14: 피팅 데이터 15: 출력 수단
16: 통신 유닛 17: 제어 어플리케이션
18: 탐지 유닛 20: 청력 보조 기기
21: 신호 처리 프로세서 19, 22a: 출력 유닛
24a, 24b: 마이크 27: 인터페이스
212: 출력 제어 모듈 214: 적응 변환 유닛
215: 메모리
P12: Control unit P13: Characteristic DB
P14: Classification unit P15: Output determination unit
P16: Adaptive unit P111: Multimedia
P112: Environmental situation
P171: Environment output unit P172: Multimedia output unit
100: Hearing aid system
10: Multimedia device 11: Analysis unit
12: comparison unit 13: control unit
14: Fitting data 15: Output means
16: communication unit 17: control application
18: Detection unit 20: Hearing aid device
21: Signal processing processor 19, 22a: Output unit
24a, 24b: microphone 27: interface
212: output control module 214: adaptive conversion unit
215: Memory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력 보조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유입된 외부 환경 상황이 분석 및 비교되는 단계;
상기 분석 및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 상황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이 제어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또는 상기 청력 보조 기기로부터 유입되고, 상기 경고 상황은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신호의 에너지 또는 전력 값이 시간의 증가에 따른 변화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고, 정해진 시간 범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환경 상황 대응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 연계 방식의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
Set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hearing aid and the multimedia device;
A step in which an external environmental situation is introduced;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coming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Determining whether a warning condition is m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the comparison result;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Wherein the output of the hearing aid is controlled,
Wherein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is input from the multimedia device or from the hearing aid device, and the warning condition is that the energy or power value of the same or similar type of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with a change in the tim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ring assistant device is in a state of continuing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상황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 영상 정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작동 시간을 포함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or operation time of the multimedia device obtained from the multimedia devi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단계 또는 매칭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ogni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onvert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converting into a matching mess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청력 보조 기기의 출력을 제어되는 단계는 외부 환경 상황으로부터 유입된 정보와 멀티미디어로부터 유입된 정보의 상대적인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연계를 위한 청력 보조 기기의 작동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hearing aid comprises controlling the relative size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multimedia environment to the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context .
KR1020140147055A 2014-10-28 2014-10-28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KR1016004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055A KR101600429B1 (en) 2014-10-28 2014-10-28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055A KR101600429B1 (en) 2014-10-28 2014-10-28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455A Division KR20160049965A (en) 2015-10-06 2015-10-06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429B1 true KR101600429B1 (en) 2016-03-21

Family

ID=5565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055A KR101600429B1 (en) 2014-10-28 2014-10-28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42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90B1 (en) * 2017-03-17 2018-10-23 주식회사 비에스엘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Supplement Relation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KR102062340B1 (en) * 2019-01-17 2020-01-03 주식회사 프린트플랜 Sound source assisted recognition device
WO2020017842A1 (en) * 2018-07-16 2020-01-23 Printplan Corp. Sound source assisted recogni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746A (en) * 2010-09-17 2012-04-26 Kinki Univ Sound process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3746A (en) * 2010-09-17 2012-04-26 Kinki Univ Sound process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90B1 (en) * 2017-03-17 2018-10-23 주식회사 비에스엘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Supplement Relation with a Portable Smart Device
WO2020017842A1 (en) * 2018-07-16 2020-01-23 Printplan Corp. Sound source assisted recognition device
KR102062340B1 (en) * 2019-01-17 2020-01-03 주식회사 프린트플랜 Sound source assisted recogni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93B1 (en) Smart Hearing Aid Device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US9344793B2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s
US9628904B2 (en) Voltage control device for ear microphone
KR102051545B1 (en) Auditory device for considering external environment of us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uditory device
KR1016071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KR2015001872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low power operation of hearing assistance
KR101600429B1 (en)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CN111800696B (en) Hearing assistance method, earphon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494306B1 (en) Ommited
KR10246033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utput intensity of a speaker based on distance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1522291B1 (en) Auxiliary Aid Apparatus of Hearing for Coping to with External Environmental Situ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Associated with Multimedia Device
CN105635378A (en) Call quality adjusting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20160049965A (en)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TWI233741B (en) Mobile communication earphone accommodating hearing aid with volume adjus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164970B1 (en) Apparatus for earing aid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KR20170033750A (en) bone conduction helmet for wireless calls with a sensor
KR101672942B1 (en)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773876B2 (en) Input / output device
JP2018084843A (en) Input/output device
KR101672947B1 (en)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KR101482420B1 (en) Sound Controller of a Cellular Phone for Deafness and its method
JP2014202808A (en) Input/output device
KR20140097698A (en) Compensating a hearing impairment apparatus and method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