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173B1 -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173B1
KR101600173B1 KR1020140035946A KR20140035946A KR101600173B1 KR 101600173 B1 KR101600173 B1 KR 101600173B1 KR 1020140035946 A KR1020140035946 A KR 1020140035946A KR 20140035946 A KR20140035946 A KR 20140035946A KR 101600173 B1 KR101600173 B1 KR 1016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t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3263A (en
Inventor
신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팩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팩시스
Priority to KR102014003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173B1/en
Publication of KR2015011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1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근거리 전송방식으로 전송되는 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된 시설물 이용 기기를 사용자들이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제공하고 시설물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를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기기 식별정보를 제공받고, 시설물 식별정보에 기기 식별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결제정보를 연결시켜 시설물 이용정보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각 시설물 단말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앱서비스하는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 및 각 시설물 단말장치에서 송출되는 시설물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레저시설 또는 놀이동산 등을 방문한 사용자들이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acility-use device storing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short distance transmission system using a facility or a servic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a customer us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which collect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sensor network and receives and manages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s, A facility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generate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by connec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oods or service information, and the payment information to the facil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Based on facility use terminal equipment The user terminal device collects and manage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facility terminal devices that are installing the application using application services so that the generated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it is effective for users who visited the leisure facility or the playground to easily use the facilities or services.

Description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설물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근거리 전송방식으로 전송되는 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된 시설물 이용 기기를 사용자들이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제공하고 시설물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를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ustomer us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facility or a service, And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in whic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a sensor node (repeater) installed in a certain area where a facility or service is provided, and the user receives facility usage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will be.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한다. 궁극적으로 모든 사물에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언제나(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processes and manages information by connecting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various sensors to an external network through a network in real time. Ultimately, it provides computing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o all objects to realize an environment that can communicate anytime, anywhere regardless of network, device and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wireless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물에 대한 인식정보 또는 주변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서와 통신 모듈로 구성되는 센서 노드(100, 101, 102) 및 센서 노드(100, 101, 102)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센서 필드(103, 104, 105)와, 센서 필드(103, 104, 105)에서 수집된 정보를 전송 받는 싱크 노드(106,107, 108)와, 싱크 노드(106, 107, 108)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라우팅하여 광대역 통신망(110)을 통해 관리서버(111)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1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노드(100, 101, 102) 및 싱크 노드(106, 107,108)는 게이트웨이(109)를 통하여 위성통신, 무선랜, 블루투스, 유선 인터넷과 같은 기존의 인프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nsor network 100 includes sensor nodes 100, 101, and 102 and a sensor node 100, 101, and 102, each of which includes a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detects real- A sink node 106, 107, 108 which receives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ensor field 103, 104, 105, and a sink node 106, 107, 108 to the management server 111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110. The gateway 109 is connected to the gateway server 111 via the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110. [ The sensor nodes 100, 101 and 102 and the sink nodes 106, 107 and 108 may be connected to an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satellite communication, wireless LAN, Bluetooth, and wired Internet through a gateway 109.

이러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리조트, 스키장, 놀이공원, 워터파크, 관광지 등 사용자들이 이동하면서 즐길 수 있는 환경에 센서 네트워크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불편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Such a wireless sensor network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ields and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network system is also adopt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by allowing users to enjoy the mobile devices such as resorts, ski resorts, amusement parks, water parks, And to remove the inconvenienc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1273호[발명의 명칭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그 운용 방법]Korean Patent No. 10-0881273 [Title of the invention: Sensor node of wireless sensor network and its operation metho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565호[발명의 명칭 :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매체 접근 제어 방법 및 센서 노드의매체 접근 제어 장치]Korean Patent No. 10-0953565 [Title of the invention: medium access control method in sensor network and medium access control device of sensor nod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29289호[발명의 명칭 : 여행 관리 시스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29289 [Title of the invention: Travel Management Syst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시설물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근거리 전송방식으로 전송되는 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된 시설물 이용 기기를 사용자들이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제공하고 시설물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를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acility-use device storing equipm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short-distance transmission mode when a facility or a provided service is us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in which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a sensor node (repeater) installed in a local area, and the user receives facility usage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발명은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와 통신을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동선에 따른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ensor node (repeater) installed in a certain area so as to track a user's movement line, and provides facility use information or service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line .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시설물 또는 서비스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시설물 또는 서비스의 이용빈도정보, 이용 인원수정보, 이용시간정보 등을 시설물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센서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invention collects facilities or service information used by a user and provides customer information using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which provides the facility or service provider (manager) with information on frequency of us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user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은 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기기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기기 식별정보를 제공받고, 기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시설물 식별정보에 기기 식별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결제정보를 연결시켜 시설물 이용정보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각 시설물 단말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 및 각 시설물 단말장치에서 송출되는 시설물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시설물 이용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acility use terminal devices stor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stor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anner, When a predetermined product or service is provided us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yment is made,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oods or service information, and the payment information are connected to the facil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facility use application for providing information selectively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facility use terminal apparatuses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user, Facility transmitted from terminal equipment Collect information used to manage, and can use the facilities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may include a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providing a user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일정 영역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를 통해 중계기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송출되는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receiv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repeate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ted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o as to generate and provide the user's copper lin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동선정보에 부응하여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can provide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시설물 이용정보는 이용 가능한 시설물 정보, 시설물의 위치정보, 시설물의 이용대기 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available facility information,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and facility utilization wait tim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시설물 이용정보에 따른 시설물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may collect and provide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시설물 사용정보는 해당 시설물의 이용빈도정보, 이용 인원수정보, 이용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facility us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the frequency of us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information of the number of users, and the usage time information.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 가능한 팔찌 형태를 이루며, 기기 식별정보는 일정 시설물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정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영역 내에서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정보, 구매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is in the form of a bracelet that can be attached to the wrist of a user.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ccess information for accessing a certain facility, purchase information for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in a preset area,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방법은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시설물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시설물 식별정보에 기기 식별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결제정보를 연결시켜 생성된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시설물 이용정보의 기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정보에 연결시켜 사용자에 의해 구매 또는 이용된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결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시설물 이용정보 확인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ustomer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aging a facility based on a facility network including a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facil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checks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by us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check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the goods or servic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purchased or used by the user, and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providing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of the stored user in response to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 ≪ / RTI >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일정 영역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를 통해 중계기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송출되는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receiv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repeate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ted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동선정보에 부응하여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user's copper lin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정보는 이용 가능한 시설물 정보, 상기 시설물의 위치정보, 상기 시설물의 이용대기 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available facility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use waiting tim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시설물 이용정보에 따른 시설물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collecting facility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viding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시설물 사용정보는 해당 시설물의 이용빈도정보, 이용 인원수정보, 이용시간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the frequency of us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the number of people to be used, and the usage time information.

본 발명은 시설물 또는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근거리 전송방식으로 전송되는 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된 시설물 이용 기기를 사용자들이 착용하기 용이하도록 제작하여 제공하고 시설물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를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함으로써, 레저시설 또는 놀이동산 등을 방문한 사용자들이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facility-use device storing apparatu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in a short distance transmission system using a facility or a service provided, ) And collec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and manages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users visiting the leisure facility or the playground to easily use the facility or the service.

본 발명은 일정 지역에 설치된 센서노드(중계기)와 통신을 통해 기기 식별정보를 시설물 관리 서버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동선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동선에 따른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다음 장소를 이동할 때 이동목적지를 별도로 고민할 필요없이 제공되는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통해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용정보에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의 위치정보, 대기시간 등을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으로 시설물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을 t세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facility management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sensor node (repeater) installed in a certain area to track a user's copper line, and provides facility use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copper lin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d use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or the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provided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the travel destination separately when the user moves to the next location, Waiting time, etc., so that the schedule can be set up so that the facility or service can be utilized most efficiently.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시설물 또는 서비스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시설물 또는 서비스의 총 이용빈도정보, 총 이용 인원수정보, 총 이용시간정보 등을 시설물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시설물 또는 서비스에 대해서 근거를 가지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facility information or service information used by a user and provides the facility or service provider (manager) with information on the total frequency of use of the facility or service,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users, So that it can be managed based on the relevant facilities or services.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호 연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서의 시설물 이용정보 제공화면의 일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wireless sensor networ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stomer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in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은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 시설물 단말장치(200),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 및 통신망(500)으로 이루어진다.2, the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includes a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100, a facility terminal 200,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a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40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500 ).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는 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기기 식별정보를 NFC 등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송출한다. 여기서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는 팔찌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팔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기기 식별정보는 일정 시설물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정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영역 내에서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정보, 구매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100 stor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a local area network (NFC). Here,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100 is formed as a bracele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facility-use terminal device 100 while wearing it on the cuff.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be used as access information for accessing a certain facility, purchase information for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in a predetermined area, and payment information for purchas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의 기기 식별정보는 미리 발행되어 저장되어 있는 기기 식별정보에 사용자별로 발행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결시켜 생성될 수도 있다.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100 may be generated by connec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sued for each user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has been previously issued and stored.

즉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를 객실 출입키로 이용할 경우 분실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기기 식별정보에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결시켜 저장한 후 사용자가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객실문을 오픈시키고자 할 때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송출되는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1차 인증을 수행하고, 1차 인증 수행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여 2차 인증을 수행하여 모두 등록된 사용자로 판명된 경우에만 객실문이 오픈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damage due to loss when using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100 as a room access key,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n the user uses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100 In order to open the door of the guest room, it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carries out the first authentication, performs the first authentication, and provides the user to input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uest door can be opened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the users are registered users.

시설물 단말장치(200)는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기기 식별정보를 제공받고, 기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상품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시설물 식별정보에 기기 식별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결제정보를 연결시켜 시설물 이용정보를 생성시키고, 이를 전송한다.The facility terminal device 200 receiv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anner with a plurality of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when a predetermined product or service is provided us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yment is mad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to generate facility use information and transmit it.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된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앱)서비스하는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다.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a facility utilization application for providing services (apps) so tha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plurality of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s 100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로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들을 검색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facility use application makes online access to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then searches and confirms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

즉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은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는 전체 이용지역에 대한 정보 및 그 이용지역에 존재하는 시설물 정보, 시설물의 구체적인 정보(위치, 이용시간, 이용가격, 현재 이용현황 등등)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앱)서비스한다.That is, the facility utilization applic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entire utilization area where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100 can be used, facility information existing in the utilization area, specific information of the facility (location, usage time, usage price, (Apps) so that they can be checked and us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여기서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모바일폰, PC, 테블릿 PC 등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이를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형태를 이루던 이에 해당된다.Here,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can receive a user's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C, a tablet PC, and can transmit the request signal to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And may be any device that ca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output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각 시설물 단말장치(200)에서 송출되는 시설물 이용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시설물 이용정보를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로 제공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collects and manage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facility terminal apparatus 200 and provide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일정 영역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통신망(500)을 이루는 복수의 중계기를 통해 중계기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송출되는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400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repeater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500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and transmi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And generates and provides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by tracking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user.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의 동선정보에 부응하여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시설물 이용정보는 이용 가능한 시설물 정보, 시설물의 위치정보, 시설물의 이용대기 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copper line information. Here,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includes available facility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waiting tim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로 제공되는 시설물 이용정보에 따른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는 다수의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 총 이용빈도정보, 총 이용 인원수정보, 총 이용시간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collects and provides the entire facility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Here, the entire facility use information includes total usage frequency information, total usage number information, and total usage tim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acilities.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customer management method based on the sensor network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호 연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서의 시설물 이용정보 제공화면의 일예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ustomer management method based on a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providing screen in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시설물 단말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시설물 식별정보에 기기 식별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상품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정보를 연결시켜 생성된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받는다.3,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displays the facil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oods or the service (service)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product, or payment information on the use of the service.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시설물 이용정보의 기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기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상품 또는 서비스정보, 상품구매 또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결제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연결시켜 저장하여 관리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confirms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by us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and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confirms the stored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nd stores and manages payment information related to purchase of goods or use of services by linking with user information.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시설물 이용정보 확인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하고,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일정 영역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를 통해 중계기 식별정보에 연결되어 송출되는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중계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facility usage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in response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received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with the relay information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nnected to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provides the user's movement information by tracking the movement location of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100 using the repeat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이렇게 생성된 사용자의 동선정보에 부응하여 이용 가능한 시설물 정보, 상기 시설물의 위치정보, 상기 시설물의 이용대기 시간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를 제공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provides facility use information or service use information including available facility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se waiting tim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like in response to the generated copper line information.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로 제공되는 시설물 이용정보에 따른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는 다수의 시설물의 총 이용빈도, 총 이용인원수, 총 이용 시간 등으로 이루어지며, 도면으로는 미도시된 각 시설물 관리자 단말장치 또는 시설물 총괄 관리자 단말장치로 전송되어, 각 시설물 관리자 또는 시설물 총괄 관리자가 이를 미리 인지하고 있어, 그에 따른 시설물 이용정보 또는 서비스 이용정보들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며,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계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collects and provides the entire facility u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sag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300. Here, the total usag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composed of the total usage frequency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the total number of users, the total usage time, and the like, and is transmitted to each facility manager terminal device or facility general administrator terminal device Or general manager of the facility knows this beforehand, so that it can change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or service utiliz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it, and can use it as statistical data for providing better service.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을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리조트 객실문에 도착하면,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기기 식별정보를 송출하고, 도면으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객실 관리제어장치가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등록된 기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객실문의 잠금장치를 해제시켜 객실문이 열리도록 한다.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Referring to FIG. 4, when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100 is worn on the wris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guest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which is not shown in the figure, receives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tches the register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f it is a match, unlock the door of the room door to open the door.

여기서 객실 관리제어장치는 고객 관리 시스템인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룰 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되어 있으며, 객실에 사용자가 할당되는 경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가 미리 객실에 구비되어 있는 객실 관리제어장치에 기기 식별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저장시켜 둠으로써, 기기 식별정보에 따른 객실 출입이나 객실 이용과 관련된 기록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거나, 또는 객실 관리제어장치가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다시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등록된 기기 식별정보인지의 여부를 체크받아 등록된 기기 식별정보인 경우 객실문이 열리도록 구현가능하다.In this case, the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is constructed as an environment capable of on-line access to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which is a customer management system. When a user is assigned to the room,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is provided in the room in advance And the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can perform the recording management related to the access to the room or the use of the room based 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stor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And transmits it to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to check whether it is the register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 open the guest door in case of the registere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은 리조트 객실 관리뿐만 아니라 리조트내의 각종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고객관리시스템의 일부로 구현 가능한 대기관리 시스템이나 예약정보 관리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정보 관리자가 시설물의 이용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임의의 시설물에 대해 사용자들이 집중적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주변 시설물이나 이용이 적은 시설물의 관리자 단말장치로 비상연락을 취하여 서비스 인력을 재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집중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시설물로 인력이 지원되도록 하거나, 인원을 재배치시켜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겪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In addition, the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various facilities in the resort as well as the resort room management, and can use the air management system or the reserv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the customer management system, Administrators can check usage information of facilities in real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users are concentrated on arbitrary facilities, it is possible to arrange emergency service by relocating service personnel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human resources are supported by the facilities that the users are using intensively, or the users who use the facilities by rearranging the personnel can use the facilities without inconvenien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통신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4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불된 요금정보를 사용 내역서를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custom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ensor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nline connection to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charge information paid by purchasing the product or using the service by receiving the usage statement.

여기서 사용 내역 제공 서비스는 최근 결제 내역, 결재자별 검색 등 다양한 메뉴항목으로 제공되며, 다양한 메뉴항목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결제 정보를 가진 사용 내역정보(결제 내역 또는 시설물 이용 내역)가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Here, the use history providing service may be provided in various menu items such as recent payment history and search by a billing person, and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usage history information (payment history or facility usage history) having different payment informa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various menu items .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
200 : 시설물 단말장치
300 : 사용자 통신 단말기
400 : 시서물 이용 관리 서버
500 : 통신망
100: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200: Facility terminal device
300: User communication terminal
400: Water usage management server
500: Network

Claims (6)

기기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송출하는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
다수의 시설물마다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와 연계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통해 소정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다수의 시설물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시설물 정보, 상기 시설물의 위치정보 및 상기 시설물의 이용대기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시설물 이용정보를 전송하는 시설물 단말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 기반하에 생성된 다중 정보들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앱서비스하는 시설물 이용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한 사용자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시설물 단말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수집해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객실 내 구비된 객실 관리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시켜 두며, 상기 사용자의 객실 체크인(check in)시, 상기 객실 관리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된 상기 기기 식별정보에 대한 등록여부를 확인해 상기 기기 식별정보가 상기 객실의 사용이 허여된 등록된 정보로 파악되면 상기 객실의 문이 개방되도록 상기 객실 관리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통해 파악되는 상기 사용자의 객실 사용에 관한 기록을 관리 수행하거나,
상기 다수의 시설물 중 일부 시설물의 이용이 집중됨을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통해 확인할 시, 다른 일부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장치로 비상 호출하여 인력 재배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는 상기 기기 식별정보와 더불어 시설물 식별정보, 상품, 서비스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의 기기 식별정보는 미리 발행되어 저장되어 있는 기기 식별정보에 사용자별로 발행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연결시켜 생성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불된 요금정보를 사용 내역서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상기 사용 내역서는 최근 결제 내역, 결재자별 검색을 포함하는 메뉴항목으로 제공되며, 상기 메뉴항목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결제 정보를 가진 사용 내역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
A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anner;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each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is communicated in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in connection with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and when settlement for a predetermined commodity or service is performed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facility terminal device for transmitting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which is at least one of facility information available as an obje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use waiting tim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 user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facility use application for providing an app service so that multiple information generated under the facility use terminal device based on a user's opera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nd
And a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for collecting and managing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acility terminal device and transmitting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in response to the user request,
The facility use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viously stored in the guest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guest room, and when the user checks in the room, whether or not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guest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is registered is checked, Controls the guest room management control device so as to open the door of the guest room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as registered information to which the guest room is permitted to use, and records the user's room usage, which is grasped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When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use of some facilities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s concentrated, an emergency call is made to the manager terminal unit which manages some other facilities, thereby requesting the relocation of manpower.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identification information, goods, service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is generated by connec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sued for each user to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previously issued and stored,
The user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online access to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and then receives the charge information paid by purchasing the product or using the service,
Wherein the usage statement is provided as a menu item including a recent payment history and a search by a payment person and usage history information having different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item is provided,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상기 시설물 및 객실이 조성된 일정 영역 내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의 이동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의 동선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동선정보에 부응하여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에 따른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설물 이용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결합 가능한 팔찌로도 제작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repeater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area in which the facility and the room are provided, tracking the movement location of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generating user's movement information,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user's copper line information and the entire facility u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ility utilization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is collected.
Wherein the facility utilization terminal device is also fabricated as a bracelet that can be coupled to the wrist of a user.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전체 사용정보는 상기 다수의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 총 이용빈도정보, 총 이용 인원수정보 및 총 이용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acility-wide usage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total usage frequency information, total usage number information, and total usage time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식별정보는,
상기 시설물 및 객실을 출입할 수 있는 출입정보, 상기 시설물 및 객실이 조성된 주변영역 내에서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구매정보 및 상기 구매정보에 따른 결제정보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rvice information is used as access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facility and the room, purchase information for purchasing goods or services in the surrounding area in which the facility and the room are provided, and paymen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chase information. Based customer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이용 관리 서버는,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 내 포함된 상기 기기 식별정보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구매 또는 이용된 상기 상품, 서비스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시설물 이용에 따른 확인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시설물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관리시스템.
The facility utilization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1,
Service information or payment information purchased or used by the user by checking the registered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facility us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confi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from the user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140035946A 2014-03-27 2014-03-27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600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46A KR101600173B1 (en) 2014-03-27 2014-03-27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46A KR101600173B1 (en) 2014-03-27 2014-03-27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263A KR20150113263A (en) 2015-10-08
KR101600173B1 true KR101600173B1 (en) 2016-03-04

Family

ID=5434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946A KR101600173B1 (en) 2014-03-27 2014-03-27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17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78B1 (en) 2008-02-15 2008-10-28 주식회사 코스텍시스템알앤디 A caring system based on rfid and zigbee for customer and manager of theme park and method which it us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289A (en) 2000-10-12 2002-04-18 강철호 traveling adminicular system
KR100881273B1 (en) 2006-12-08 2009-0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ensor node and its operating method
KR100953565B1 (en) 2007-10-19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dia access in sensor network
KR20110006627U (en) * 2009-12-24 2011-06-30 백대전 System for managing facility use using
KR20130043897A (en) * 2011-10-21 2013-05-02 메타빌드주식회사 Service apparatus of amusement park and method for offering the service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778B1 (en) 2008-02-15 2008-10-28 주식회사 코스텍시스템알앤디 A caring system based on rfid and zigbee for customer and manager of theme park and method which it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263A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18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Mainetti et al. Integration of RFID and WSN technologies in a Smart Parking System
CN104509137B (en) For the method and system to communicate in precalculated position
CN105829223B (en) Utilize the elevator controlling of mobile device
CN107005432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network analysis
CN107004312A (en) Method for providing the controlled path of visitor entered in building
CN104350805B (en) Pass through positioning of the protected access point to not protected access point
CN109923592B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and awareness management
KR20050085484A (en) Location tracking of portable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201501926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 microlocation
KR20170029238A (en) Service providing device for canceling ticket, ticket cancel guid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1785416B2 (en) Enhanced algorithms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using internet of things sensor integration
KR20130082966A (en) Smart shop that automatically provides shop information
US93924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roximity recognition
CN105745991A (en) Wireless protocol message conversion device and methods of using thereof
KR101554867B1 (en) System for managing visitor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224803B1 (en) System and metohd for providing service
KR101600173B1 (en) Custom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60047181A (en) Tracing method for the lost using beacon and mobile terminal
KR20170133869A (en) Terminal, POS terminal, beacon management server, beacon signal transmitter, troupe management server for confirming troupe using beac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70087270A (en)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lodging management and portable terminal
JP63792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80159B1 (en) Method for providing wifi zone service
KR101553830B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Mobile Game Items in Offline Store
KR20180079859A (en)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ommodations convenience in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