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052B1 -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052B1
KR101600052B1 KR1020140141150A KR20140141150A KR101600052B1 KR 101600052 B1 KR101600052 B1 KR 101600052B1 KR 1020140141150 A KR1020140141150 A KR 1020140141150A KR 20140141150 A KR20140141150 A KR 20140141150A KR 101600052 B1 KR101600052 B1 KR 10160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opening
food
cov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14014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몸체와 짝을 이루는 덮개를 분리하여 몸체의 개 구를 개방한 후에도, 상기 몸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덮개를 보관할 수 있어, 재결합할 때, 손쉽게 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2)와, 상기 개 구를 개폐하는 덮개(3)와,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덮개(3)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완전 밀착되도록 체결하며;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하부로 상기 덮개(3)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체결되도록 된 식품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용기{A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몸체에 수용하고 덮개로 상기 몸체를 밀폐하여 음식물을 보관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를 개방한 후 내부에 담기 음식물을 시식하도록 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식품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이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오염, 부 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식품용기는, 내부에 상부가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 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의 밀착 부에는 탄성 재질의 밀폐 링이 게재되어, 음식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와 밀폐하여 음식물이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몸체는, 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근자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것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47071호(명칭: 용기 내부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밀폐마개가 조립되는 밀폐용기 뚜껑)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식품용기가 게재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식품용기는, 공보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가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 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외주 면과 상기 덮개의 외주 면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몸체와 뚜껑을 결합하도록 된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몸체의 외주 면에서 외 측으로 연장 형성된 돌기와, 상기 덮개의 외주 면에 외 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끼움 결합 되는 결합 공이 형성된 체결 편으로 이루어진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를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어 폐쇄한 후, 상기 체결 편을 회동시켜 상기 결합 공에 상기 돌기를 끼움 하여 결합하면, 상기 몸체의 개 구를 상기 덮개가 폐쇄하면서 밀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이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식물을 밀폐하여 보관하는 중에, 음식물을 시식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덮개의 상기 체결 편을 역 회동하여 상기 결합 공에서 상기 돌기를 분리한 후, 걷어내면, 상기 몸체의 개 구가 개방되고, 개방된 개 구를 통해 음식물을 빼내어 별도의 접시에 놓고 시식하거나, 상기 몸체에 음식물을 배치한 후, 그대로 음식물을 시식하면 된다.
이때, 상기 덮개는 별도의 장소에 비치하여 보관한 후, 시식이 완료된 후, 상기 몸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품용기는, 내용물을 시식할 때, 몸체와 분리된 덮개를 분실할 염려가 있으며, 다수 개를 적용하여 사용할 때에는, 각각의 몸체와 짝을 이루는 덮개를 선별하여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덮개의 저 면에 몸체에 담긴 음식물의 잔재가 묻어, 덮개를 별도의 장소에 비치할 때, 덮개에 묻어있는 음식물의 잔재가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몸체에 담긴 음식물을 시식할 때, 몸체를 놓는 장소가 야외 등과 같이 바닥면이 비 적합한 환경에서는 몸체를 오염시키거나, 혹은 몸체에 담긴 음식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몸체와 짝을 이루는 덮개를 분리하여 몸체의 개 구를 개방한 후에도, 상기 몸체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덮개를 보관할 수 있어, 재결합할 때, 손쉽게 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덮개의 묻어 있는 음식물의 잔재가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몸체를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배치하도록 하여, 비 적합한 바닥면을 가지는 장소에서도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시식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와, 상기 개 구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몸체와 상기 덮개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덮개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몸체의 개 구에 완전 밀착되도록 체결하며; 상기 몸체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몸체의 하부로 상기 덮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체결수단은, 돌기와 상기 돌기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끼움 요소는, 상기 돌기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끼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주 면에서 외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한 끼움 요소는, 상기 덮개의 외주 면에서 외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체결 편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주 면상에서, 수직 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덮개의 체결 편에는, 상기 몸체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결합할 때는 상기 상부 돌기와 끼움 체결하며, 상기 몸체의 저 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 돌기에 끼움 체결하도록 된 위치에 상기 끼움 요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끼움 요소는, 상기 체결 편에서 수직 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상부 끼움 공과 하부 끼움 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덮개의 표면에는, 바닥면과의 밀착시 마찰력을 증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 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덮개에서, 상기 몸체와 결합할 때에 상기 몸체와 밀착하는 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 구비되되;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 상기 덮개와 상기 몸체와의 사이 간격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몸체의 저 면을 지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품용기는,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의 개 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항상 상기 몸체와 연결되어 있어 재결합할 때, 손쉽게 짝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덮개의 묻어 있는 음식물의 잔재가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게 덮개를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몸체를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배치하여 지지할 수 있어, 비 적합한 바닥면을 가지는 장소에서도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시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의 결합 된 상태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일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식용용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는, 내부에 상부가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체결되어 개폐하는 덮개(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의 외주 면과 상기 덮개(3)의 외주 면에는 서로 체결되어 상기 몸체(2)와 덮개(3)를 결합하도록 된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2)에서 상기 덮개(3)를 분리 결합하여, 상기 몸체(2)에 담긴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시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덮개(3)에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와의 결합 시, 상기 몸체(2)의 상단과 밀착되어 결합부위의 밀폐 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밀폐 링(4)이 구비되어, 음식물의 보관시 외부환경에 의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보관 중인 음식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덮개(3)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완전 밀착되도록 체결하며,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하부로 상기 덮개(3)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때, 항상 상기 몸체(2)와 연결되어 있어 재결합할 때, 손쉽게 짝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 구를 개방하면서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덮개(3)에 의해 상기 몸체(2)가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지지 됨에 따라, 비 적합한 바닥면을 가지는 장소에서도 위생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시식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덮개(3) 상에서 음식물의 잔재가 묻어 있는 부위가 상기 몸체(2)와의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대면하는 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덮개(3)가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돌기(5)와 상기 돌기(5)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5)가 상기 끼움 요소에 끼움 체결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덮개(3)와 몸체(2)를 분리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상기 끼움 요소는, 상기 돌기(5)가 관통하여 삽입 고정되는 끼움 공(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5)가 상기 끼움 공(6)에 삽입하여 관통되면서 끼움 결합함에 따라, 체결 력을 구조적으로 증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돌기(5)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외주 면에서 외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한 끼움 요소는, 상기 덮개(3)의 외주 면에서 외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체결 편(7)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 편(7)의 회동에 따라, 상기 끼움 요소가 상기 돌기(5)와 끼움 결합하거나 분리하도록 되어, 간편하면서 확고하게 상기 덮개(3)와 몸체(2)를 분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돌기(5)는, 상기 몸체(2)의 외주 면상에서, 수직 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상부 돌기(5a)와 하부 돌기(5b)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3)의 체결 편(7)에는,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결합할 때는 상기 상부 돌기(5a)와 끼움 체결하며,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 돌기(5b)에 끼움 체결하도록 된 위치에 상기 끼움 요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상기 덮개(3)가 체결되어 상기 개 구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상부 돌기(5a)에 상기 끼움 요소가 체결되어 상기 몸체(2)와 덮개(3)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덮개(3)가 위치되면서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 돌기(5b)에 상기 끼움 요소가 체결되어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돌기(5b)의 위치는 끼움 요소와의 체결 시,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의 사이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끼움 요소는, 상기 체결 편(7)에서 수직 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상부 끼움 공(6a)과 하부 끼움 공(6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상기 덮개(3)가 체결되어 상기 개 구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상부 돌기(5a)에 상기 상부 끼움 공(6a)이 체결되어 상기 몸체(2)와 덮개(3)를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덮개(3)가 위치되면서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 돌기(5b)에 상기 하부 끼움 공(6b)이 체결되어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돌기(5a)의 위치는 상기 상부 끼움 공(6a)과의 체결 시,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를 완전 밀착하면서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돌기(5b)의 위치는 상기 하부 끼움 공(6b)과의 체결 시,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의 사이에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징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에서, 상기 덮개(3)의 표면에는, 바닥면과의 밀착시 마찰력을 증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 판(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2)를 지지하면서 바닥면에 안치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시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마찰 판(8)은, 상기 덮개(3)에서 외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3)와 바닥면의 사이에 사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바닥면에 대한 덮개(3)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는, 상기 덮개(3)에서, 상기 몸체(2)와 결합할 때에 상기 몸체(2)와 밀착하는 면에는, 외 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9) 구비되며, 상기 지지 돌기(9)는,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2)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 상기 덮개(3)와 상기 몸체(2)와의 사이 간격의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몸체(2)의 저 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덮개(3)를 체결할 때,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지지 돌기(9)를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덮개(3)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함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 돌기(9)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링(4)이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개 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 링(4)과 상기 몸체(2)의 상단이 밀착될 때, 상기 몸체(2)의 상단을 외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돌기(9)에 의해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3)의 개 구를 폐쇄하는 형태로 결합할 때는, 상기 지지 돌기(9)가 상기 몸체(2)의 상단을 외측방향으로 지지하여 결합이 더욱 확고히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3)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결합할 때는,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의 사이 공간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는, 음식물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개 구를 통해 음식물을 상기 몸체(2)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3)로 상기 개 구를 폐쇄하면서 결합하여 음식물을 외부 환경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에 보관된 음식물을 시식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상기 덮개(3)를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하여, 바닥면에서 상기 몸체(2)를 소정의 높이로 위치시켜 음식물을 시식할 수 있어, 바닥면에 의한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시식을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도 상기 몸체(2)와 연결되어 있어 재결합할 때, 손쉽게 짝에 맞게 재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기(1)는,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완전 밀착되도록 체결하며,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하부로 상기 덮개(3)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식품용기 2 : 몸체
3 : 덮개 4 : 밀폐 링
5 : 돌기 5a : 상부 돌기
5b : 하부 돌기 6 : 끼움 공
6a : 상부 끼움 공 6b : 하부 끼움 공
7 : 체결 편 8 : 마찰 판
9 : 지지 돌기

Claims (8)

  1. 개 구 된 공간 부를 가지는 몸체(2)와, 상기 개 구를 개폐하는 덮개(3)와, 상기 몸체(2)와 상기 덮개(3)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상기 덮개(3)가 결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개 구에 완전 밀착되도록 체결하며,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하부로 상기 덮개(3)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체결되도록 된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한 체결수단은,
    상기 몸체(2)의 외주 면상에서, 수직 상으로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 상부 돌기(5a) 및 하부 돌기(5b)와,
    상기 덮개(3)의 외주 면에서 외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체결 편(7)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2)의 개 구를 폐쇄하면서 결합할 때는 상기 상부 돌기(5a)와 끼움 체결하도록 된 상부 끼움 공(6a)과 상기 몸체(2)의 저 면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는 상기 하부 돌기(5b)에 끼움 체결하도록 된 하부 끼움 공(6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덮개(3)에는,
    상기 몸체(2)와 결합시 상기 몸체(2)의 상단과 밀착되어 결합부위의 밀폐 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밀폐 링(4)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3)에는,
    상기 밀폐 링(4)이 배치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개 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2)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 링(4)과 상기 몸체(2)의 상단이 밀착될 때에는 상기 몸체(2)의 상단을 외측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3)가 상기 몸체(2)의 저면 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결합할 때에는 상기 덮개(3)와 상기 몸체(2)가 사이 간격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2)의 저 면을 지지하도록 된 길이를 가지도록 된 지지돌기(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덮개(3)의 표면에는,
    바닥면과의 밀착시 마찰력을 증대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된 마찰 판(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8. 삭제
KR1020140141150A 2014-10-17 2014-10-17 식품용기 KR101600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50A KR101600052B1 (ko) 2014-10-17 2014-10-17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150A KR101600052B1 (ko) 2014-10-17 2014-10-17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052B1 true KR101600052B1 (ko) 2016-03-04

Family

ID=55536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150A KR101600052B1 (ko) 2014-10-17 2014-10-17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39A (ko) 2018-08-30 2020-03-10 김범준 접이식 덮개가 구비된 식품용기
KR20210089403A (ko) * 2020-01-08 2021-07-16 이윤주 기능성 반찬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321A (ja) * 2001-09-07 2003-03-19 Dainippon Ink & Chem Inc 容 器
KR200406689Y1 (ko) * 2005-10-20 2006-01-24 박철자 결합형 밀폐용기
KR20060069034A (ko) * 2004-12-17 2006-06-21 김진만 상하 개폐용기
KR100767396B1 (ko) * 2006-05-02 2007-10-18 신준용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321A (ja) * 2001-09-07 2003-03-19 Dainippon Ink & Chem Inc 容 器
KR20060069034A (ko) * 2004-12-17 2006-06-21 김진만 상하 개폐용기
KR200406689Y1 (ko) * 2005-10-20 2006-01-24 박철자 결합형 밀폐용기
KR100767396B1 (ko) * 2006-05-02 2007-10-18 신준용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339A (ko) 2018-08-30 2020-03-10 김범준 접이식 덮개가 구비된 식품용기
KR20210089403A (ko) * 2020-01-08 2021-07-16 이윤주 기능성 반찬통
KR102336636B1 (ko) * 2020-01-08 2021-12-07 이윤주 기능성 반찬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230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US9930996B2 (en) Flip top plastic lid
CA2889578C (en) Measuring scoop and support for a container
US10206482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ner lid
US20140027460A1 (en) Attachable food container
RU2613170C2 (ru) Емкость
US20170369212A1 (en) Vapor-tight container
KR101600052B1 (ko) 식품용기
KR101903494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CA3003050C (en) Airtight container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US20080190933A1 (en) Sealing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KR102376066B1 (ko)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CA2961881C (en) Flip top plastic lid
US9150330B1 (en) Multi-compartment vessel with optional lids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2015136475A (ja) 食品保温容器
KR20170027945A (ko) 조리 용기를 위한 보관 덮개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483094Y1 (ko) 밀폐형 찬바트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200485154Y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2623919B1 (ko) 음식 포장 용기
KR101453547B1 (ko) 음식물 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