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557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557B1
KR101599557B1 KR1020100004948A KR20100004948A KR101599557B1 KR 101599557 B1 KR101599557 B1 KR 101599557B1 KR 1020100004948 A KR1020100004948 A KR 1020100004948A KR 20100004948 A KR20100004948 A KR 20100004948A KR 101599557 B1 KR101599557 B1 KR 10159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onnection
peer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267A (ko
Inventor
원슈 샤오
안중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5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연결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과정;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ASSOCI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들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SCTP) 연결(association)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이동 전화 네트워크의 용량과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설계된 4 세대 무선 기술의 마지막 단계이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비디오 스트리밍, 음악 다운로드, 이동 TV와 같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들의 고정 서비스에서 이동 서비스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LTE 시스템은 새로운 이동 어플리케션들에 맞추어진 새로운 세대의 소비자 장치들로부터 연결에 대한 급증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용량을 제공할 것이다.
도 1은 차세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LTE 시스템의 일 구성 예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LTE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User Equipment : UE)(111, 113, 115 : 110), 적어도 하나의 무선 기지국(enhanced Node B : eNB)(121, 123, 125 : 120), 그리고 이동성 관리 개체 (Mobility Management Entity : MME)(131, 133 : 130)를 포함한다. 상기 eNB(120)는 UE(110)가 무선 링크를 통해 접속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의 개체이며, 상기 MME(130)는 eNB(120)의 상위 계층 장비로서 패킷 코어망(Evolved Packet Core : EPC)의 개체이다. 도 1의 LTE 시스템에서 eNB(120)와 MME(130)간의 통신은 S1 인터페이스(S1)라 불리우는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고, eNB(120)들간의 통신은 X2 인터페이스(X2)라 불리우는 장치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된다.
도 2는 도 1의 LTE 시스템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control plane protocol)의 스택(stacks)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은 LTE 시스템의 관련 표준을 규정하는 표준화 단체인 3GPP의 RAN WG2는 도 2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어 평면 프로토콜의 스택 구조를 규정하였으며, 그 스택 구조는 물리 계층(PHY),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와 같은 무선 프로토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 RRM), 상위 계층으로 제공하는 물리 계층의 서비스 등을 규정한다. 상기 스택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관련 표준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S1 인터페이스(S1)는 IP(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기지국인 eNB(120)와 이동성 관리 개체인 MME(130)를 연결하고, 제어 평면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X2 인터페이스(X2)는 제어 평면 및 사용자 평면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IP를 사용하여 eNB(120)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만약 UE(110)가 소스 eNB의 무선 영역에서 타겟 eNB의 무선 영역으로 이동하여 그 연결 도착지가 상기 타겟 eNB로 스위치되는 핸드 오버를 가정하면, 상기 X2 인터페이스(X2)는 UE(110)의 핸드 오버 시 소스 eNB를 경유하여 타겟 eNB로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S1 인터페이스(S1)와 X2 인터페이스(X2)를 통해 장치간(노드간)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중 하나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SCTP)이 있다. 상기 SCTP는 IP와 같이 연결이 없는(connectionless) 패킷 네트워크의 상위 계층에서 동작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전송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도 1의 LTE 시스템에서 S1 인터페이스(S1)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eNB(120)와 MME(130)는 각각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동작하고, eNB(120)와 MME(130)간에 상기 SCTP의 연결(association)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LTE 시스템에서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eNB(120)들은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양자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eNB는 상대 eNB와 핸드쉐이크(handshake)를 구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LAN(Local Area Network) 포트를 갖는 서로 다른 eNB들 각각은 상대 eNB에게 연결 설정 요구(INIT chunk)를 전송하고, 양자가 클라이언트들로 동작할 때 적어도 둘 이상의 잉여 연결들(redundant associations)이 eNB(120)들간에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LTE 표준은 eNB 쌍(pair)간에 단지 하나의 SCTP 연결이 허여될 것을 정의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의 발생을 방지하는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1 및/또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잉여 연결의 발생을 방지하는 연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CTP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관리를 위한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연결 제어 방법은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과정;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 구비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연결 제어 장치는 연결 설정과 관련하여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대 노드와 통신을 위한 커널; 및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차세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LTE 시스템의 일 구성 예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LTE 시스템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의 스택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들간의 기존 연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CTP 연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의 SCTP 인스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존의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시스템에서 종단(endpoint)을 의미한다.
기존의 연결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전송되는 메시지에 노드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서, SCTP를 이용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제1 노드와 제2 노드를 가정하여 기존의 연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는 LTE 시스템에서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eNB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는 예를 들어 핸드 오버 프로토콜과 같이 응용 계층에 속하는 메시지에 상기 제1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제2 노드로 전송한다.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제1 노드와의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노드의 식별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노드를 인식하고 상기 통신 링크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드와 제2 노드간의 통신 링크는 상기 SCTP를 이용하여 설정되며, 상기 메시지가 속하는 응용 계층은 상기 SCTP 보다 상위 계층에 해당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들간의 기존 연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단계에서 제1 노드(310)와 제2 노드(330)는 연결 A를 설정한다. 303 단계에서 제1 노드(310)는 연결 A를 통해 자신의 노드 식별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제2 노드(330)로 전송한다. 이후 305 단계에서 제1 노드(310)와 제2 노드(330)는 연결 B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B는 상기 연결 A와 구별되는 다른 연결이다. 307, 309 단계에서 제1 노드(310)와 제2 노드(330)는 각각 자신의 노드 식별자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전송하고, 311 단계에서 제2 노드(330)는 제1 노드(310)와 설정된 두 개의 연결 A, B 중에서 연결 B를 잉여 연결로 확인한다. 이후 313 단계에서 제2 노드(330)는 잉여 연결인 연결 B를 제거하기 위한 종료(shutdown) 메시지를 제1 노드(310)로 전송하고, 그 결과 315 단계에서 제1 노드(310)와 제2 노드(330)간의 연결 B는 삭제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연결 제어 방법에서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노드 식별자를 부가하는 것은 그 연결을 이용하여 제어 평면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대 노드를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하나 이상의 연결이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설정되는 경우 잉여 연결의 제거는 종료 신호(SHUTDOWN chunk) 또는 포기 신호(ABORT chunk)와 같은 신호를 노드들간에 송수신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가능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연결 제어 방법은 상위 계층(Upper Protocol Layer : UPL) 메시지에 노드 식별자를 부가하는 필드를 마련해야 하므로 상위 계층 메시지들의 메시지 포맷 변경이 필요하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을 확인하는 것은 상위 계층 메시지의 전송에 의존한다. 또한 기존 연결 제어 방법의 경우 상위 계층 메시지들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전송되는 경우에 노드들간의 잉여 연결을 찾을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기존 연결 제어 방법과 같이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을 설정하고 제거하는 것은 통신 시스템의 자원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하나의 연결이 발생된 후, 동일한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네트워크 노드에서 피어 데이터베이스(peer database)를 이용하는 연결 제어 방법과 그 연결 제어를 위한 후술할 상태 머신(state machine)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상위 계층 신호의 전송 전에 연결 설정이 발생되고, 상기 상위 계층 신호는 SCTP 연결의 제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SCTP 연결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장치는 SCTP 연결의 제어를 위해 후술할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상기 상태 머신은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된 정보에 따른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에 따라 연결들을 설정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면, 네트워크 노드에서 모든 SCTP 인스턴스들은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한다. 그리고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의 운영은 피어 노드 엔트리(peer node entry)의 삽입, 삭제 및 갱신을 포함한다.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는 SCTP 인스턴스가 동작하는 각 시간에 고정되어야 하고, SCTP 인스턴스의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 고정이 풀린다.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각 피어 노드 엔트리의 구조는 아래 <표 1>과 예시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0003631974-pat00001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의 구조에서 "ptype"은 피어 타입(peer type)을 나타내고, 상기 피어 타입은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의 구조에서 "pinfo"는 설정 파일(configuration file)로부터 읽혀지는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파일은 피어 주소, 그 주소 버전, 포트 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associd"는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설정된 현재 연결의 식별자를 기록한다.
상기 "status"는 상태 머신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cause"는 SCTP 커널로부터 연결되는 연결 상태의 변화 원인을 기록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상태의 변화 원인은 네트워크 노드가 SCTP 커널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의 타입, 즉 통지 타입(notification type)을 의미하며, 그 변화 원인은 예를 들어 연결(association)의 준비, 개시, 종료 등과 관련된다.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를 구성하는 각 정보(ptype, pinfo, associd, status, cause)가 이용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eNB 등의 네트워크 노드는 설정 파일로부터 상대 노드의 설정을 읽어 들일 때 해당 상대 노드에 대해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를 생성하여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대 노드가 MME이고, 호스트 노드(host node)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eNB(이하, "host eNB")인 경우를 가정하면, host eNB는 MME의 설정 파일을 읽고,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에서 "ptype"에 S1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S1"을 설정하고, "pinfo"에 피어 주소, 주소 버전, 포트 번호 등의 그 MME의 설정을 기록한다.
또한 상기 host eNB는 "associd"에 현재 연결의 식별자를 기록한다. 상기 "associd"는 상기 host eNB가 SCTP 커널로부터 통신 준비(communication up) 메시지와 그 연결의 식별자를 수신하였을 때 특정 값으로 설정된다. 만약 상기 host eNB가 SCTP 커널로부터 그 연결의 종료 완료(shutdow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associd"는 '0'으로 리셋된다. 또한 상기 host eNB는 상태 머신 상태에 따라 "status"를 변경하고, "status"는 상태 머신의 한 상태 값을 나타낸다. 만약 현재 "status"의 값이 연결 개시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고, 상기 host eNB가 통신 준비(communication up) 메시지를 수신하면, "status"의 값은 연결 상태로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될 것이다.
상기한 피어 노드 엔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노드는 상대 노드와 해당 네트워크 노드간의 연결 상태 정보는 물론 그 상대 노드의 주소, 포트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 머신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태 머신은 SCTP 인스턴스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며, 상기 SCTP 인스턴스는 도 5와 같이 연결 대기 상태(501), 연결 개시 상태(503), 연결 상태(505), 종료 진행 상태(507), 및 미연결 상태(509)의 5 가지 상태로 구분되어 동작한다. 상기 상태 머신은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SCTP 커널(kernel)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연결이 설정되는 상대 노드에 대한 새로운 피어 노드 정보가 제어부로부터 전달되고,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경우 현재 SCTP 인스턴스의 상태 머신은 연결 대기 상태(connect waiting state)(501)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피어 노드 정보는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 구조에서 상기 "pinfo"를 의미한다. 이후 SCTP 인스턴스는 타이머 T가 만료되었을 때 상기 연결 대기 상태(501)로부터 연결 개시 상태(connect init state)(503)로 상태가 변경된다. 상기 연결 개시 상태(503)에서 SCTP 개시 메시지가 상대 노드로 전송된다.
만약 네트워크 노드가 상대 노드, 즉 피어 노드(peer node)와 성공적으로 연결되면, SCTP 인스턴스의 상태 머신은 SCTP 커널로부터 통신 준비(communication up)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그리고 연결 상태(connected state)(505)로 진행한다. 만약 타이머 T가 만료되기 전에 상대 노드로부터 SCTP 커널을 통해 communication up 메시지가 수신되면, SCTP 인스턴스의 상태 머신은 상기 연결 대기 상태(501)에서 바로 연결 상태(505)로 변경된다.
그리고 SCTP 인스턴스는 제어부로부터의 명령하에 종료(shutdown)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종료 메시지를 출력한 후, SCTP 인스턴스는 연결 상태(1)에서 종료 진행 상태(shutdown pending state)(507)로 변경된다.
도 5의 연결 상태(505) 또는 종료 진행 상태(507)에서 SCTP 인스턴스는 종료 완료(shutdown complete)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미연결 상태(unconnected state)(509)로 진행한다. 그리고 SCTP 인스턴스의 상태 머신은 제어부로부터 설정 변경(configuration change)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미연결 상태(509)는 연결 대기 상태(501)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피어 데이터베이스와 상태 머신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1 노드(410)가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제2 노드(430)에 대한 피어 노드 정보를 확인하고, 제2 노드(430)와 연결을 설정하려 함을 가정한다. 연결 설정을 위해 제1 노드(410)는 SCTP 개시 메시지를 제2 노드(43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노드(410)와 제2 노드(430)는 각각 상대 노드를 위한 SCTP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상기 SCTP 인스턴스를 위한 상태 머신을 구동시킨다. 이후 403 단계에서 제1 노드(410)와 제2 노드(430)는 연결 A를 설정한다. 그리고 405, 407 단계에서 제1 노드(410)와 제2 노드(407)는 각각 상대 노드와 설정된 연결 A에 대한 정보를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409 단계에서 제2 노드(430)는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407 단계에서 기록된 연결 A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제1 노드(410)와 다른 연결을 설정하지 않아도 됨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411, 413 단계에서 제1 노드(410)와 제2 노드(430)는 상기 403 단계에서 설정된 하나의 연결 A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게 되며, 도 3에서 설명한 기존 방식과 같이 잉여 연결의 설정 및 제거는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4의 절차 수행 시 각 네트워크 노드의 SCTP 인스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SCTP 인스턴스는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고정하고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한다. 만약 피어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엔트리가 찾아지면, 도 5의 미연결 상태(509)에서 연결 대기 상태(501)로 피어 상태를 변경한다. 만약 피어 데이터베이스에서 피어 노드 엔트리가 찾아지지 않으면, SCTP 인스턴스는 해당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엔트리를 삽입하고,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피어 노드 정보를 기록하고, 피어 상태를 포함하는 관련 파라미터들을 개시한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상기한 동작 후에 데이터베이스를 푸는 것은 종료된다.
2. SCTP 인스턴스는 타이머 T가 만료한 후에 다시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상대 노드의 상기 피어 상태를 도 5의 연결 개시 상태(503)로 변경하며, 그 상대 노드와 연결을 개시하는 것을 시도한다.
3. 연결이 설정되었을 때 두 네트워크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SCTP 커널로부터 통신 준비(communication up) 메시지를 수신할 것이다.
4. 상기 통신 준비(communication up)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SCTP 인스턴스는 해당 피어 노드 정보를 찾아서 그 상태를 연결 상태(505)로 변경한다.
5. SCTP 인스턴스는 제어부로부터 연결 종료 명령을 수신하자마자 종료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전송하고, 종료 진행 상태로 진입한다. 그리고 SCTP 커널을 통해 상대 노드로부터 종료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도 5의 상태는 종료 진행 상태(507)에서 미연결 상태(509)로 변경된다.
한편 상기 타이머 T와 관련하여 타이머 갭 t1은 통신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노드는 상대 노드인 제2 노드보다 먼저 통신 설정 명령을 수신하고,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한다. 만약 제1 노드가 급작스럽게 연결을 개시하면, 제1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정보는 제2 노드의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아직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연결은 "wild" 연결이 될 것이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타이머 T를 이용되며, 타이머 T의 값은 타이머 갭 t1 보다 큼을 만족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각 네트워크 노드는 도 6의 연결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연결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도 6의 장치는 피어 데이터베이스(610), 제어부(630), 및 커널(650)를 포함한다.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610)는 연결 설정을 위한 피어 노드 정보를 저장하고, 그 피어 노드 정보는 상기 <표 1>과 같은 피어 노드 엔트리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어 데이터베이스(610)는 상대 노드와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는 도 4 및 도 5의 방법에 따라 피어 데이터베이스(610)와 상태 머신을 이용한 연결 제어를 수행하며, 커널(650)을 통해 상대 노드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기 커널(650)는 상기 상태 머신의 구동에 따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SCTP 커널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연결 제어 방법으로부터 어떤 네트워크 노드가 연결을 개시하던지 간에 두 네트워크 노드들은 그 연결 상태에 대해 알려질 것이며, 연결 정보를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위 계층 신호를 전송하기를 원할 때 피어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고, 그 피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연결을 사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떠한 잉여 연결들도 설정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S1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간에 잉여 연결 문제를 방지하고 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위 계층에게 투명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핸드 오버와 같은 상위 계층 동작을 위한 연결 설정 절차에 의해 발생되는 부가적인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행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연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는 과정;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SCTP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상기 SCTP 인스턴스를 위한 상태 머신을 구동하는 과정;
    상기 SCTP 인스턴스가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엔트리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미연결 상태에서 연결 대기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연결의 설정을 개시하는 과정;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연결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피어 노드 엔트리 정보로 저장되는 연결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 정보는 상기 설정된 연결의 식별자, 상태 변화 원인, 상기 상대 노드의 피어 주소, 포트 번호, 그리고 피어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제어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SCTP 인스턴스가 SCTP 커널로부터 통신 준비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연결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를 종료하는 경우 상기 SCTP 인스턴스가 종료 메시지를 상기 상대 노드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상대 노드로부터 종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미연결 상태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연결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설정과 관련하여 일정 시간내의 타이머 갭을 설정하여 상기 상대 노드와 통신하는 연결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상대 노드와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연결 제어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노드에 구비되는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연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연결 설정과 관련하여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상대 노드와 통신을 위한 커널; 및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SCTP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상기 SCTP 인스턴스를 위한 상태 머신을 구동하고, 상기 SCTP 인스턴스가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피어 노드 엔트리를 검색하고,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미연결 상태에서 연결 대기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연결의 설정을 개시하고,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결 제어 장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설정된 연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피어 노드 엔트리 정보로 저장되는 연결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 노드 엔트리 정보는 상기 설정된 연결의 식별자, 상태 변화 원인, 상기 상대 노드의 피어 주소, 포트 번호, 그리고 피어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결 제어 장치.
  14. 삭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이 설정된 후, 상기 SCTP 인스턴스가 SCTP 커널로부터 통신 준비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연결 상태로 변경하도록 더 제어하는 연결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상태를 종료하는 경우 상기 SCTP 인스턴스가 종료 메시지를 상기 상대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노드로부터 종료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상대 노드에 대한 상태를 미연결 상태로 변경하도록 더 제어하는 연결 제어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설정과 관련하여 일정 시간내의 타이머 갭을 설정하여 상기 상대 노드와 통신하도록 더 제어하는 연결 제어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상대 노드와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연결 제어 장치.
KR1020100004948A 2010-01-19 2010-0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9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48A KR101599557B1 (ko) 2010-01-19 2010-0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948A KR101599557B1 (ko) 2010-01-19 2010-0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67A KR20110085267A (ko) 2011-07-27
KR101599557B1 true KR101599557B1 (ko) 2016-03-07

Family

ID=4492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948A KR101599557B1 (ko) 2010-01-19 2010-01-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0615A (zh) * 2015-10-23 2016-04-27 江苏鑫软图无线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sctp协议的组呼业务数据分组识别方法
WO2020223591A1 (en) * 2019-05-02 2020-11-05 Kyocera Corporation Sidelink interface states for control signaling in v2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176A1 (en) * 2004-12-30 2008-07-10 Joerg Brus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Sctp Protocol Instance
JP2009200689A (ja) 2008-02-20 2009-09-03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処理方法並びにノ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84B1 (ko) * 2002-05-20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스씨티피에서의 다중 연결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8176A1 (en) * 2004-12-30 2008-07-10 Joerg Brus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Sctp Protocol Instance
JP2009200689A (ja) 2008-02-20 2009-09-03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処理方法並びにノ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267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244B2 (en) Signaling in dual connectivit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JP7006752B2 (ja) 無線端末、無線端末の方法、及び基地局の方法
TWI719836B (zh) Eps承載處理方法及使用者設備
CN102598786B (zh) 基站间的切换方法、基站、和通讯系统
TW202021412A (zh) 映射演進封包系統承載上下文之處理方法及其使用者設備
WO2021093438A1 (zh) 一种接入网络的方法及通信装置
WO2021150062A1 (en) Method for supporting data forwarding during conditional handover and dual stack protocol handover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000760B2 (ja) ワイヤレス遠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および装置
JP7035082B2 (ja) ユーザプレーンリンク確立方法、基地局、およびモビリティ管理デバイス
US2023026255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ing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s for new radio
KR10159955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344725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23185352A1 (zh) 基于无线网络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TWI520634B (zh) 資料流量卸載方法與系統
WO202208256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ing integrated access backhaul networks for new radio
WO2022041854A1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215101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figuring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odes during inter-donor migration
WO2020029784A1 (zh) 地址的获取方法、地址的发送方法及装置
WO2019136927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
CN117545027A (zh) 通信方法、源锚节点集中单元和目标锚节点集中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