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73B1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73B1
KR101598473B1 KR1020140062331A KR20140062331A KR101598473B1 KR 101598473 B1 KR101598473 B1 KR 101598473B1 KR 1020140062331 A KR1020140062331 A KR 1020140062331A KR 20140062331 A KR20140062331 A KR 20140062331A KR 101598473 B1 KR101598473 B1 KR 10159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chair
plate
seat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4905A (en
Inventor
이동균
Original Assignee
이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균 filed Critical 이동균
Priority to KR102014006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73B1/en
Publication of KR2015013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9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자가 착석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착석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면서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척추를 비롯한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안락함을 제공해주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와, 사용자의 착석시 등 부위가 안치되는 제2 판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안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곡지게 연결되고, 연결부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착석자의 요추가 닿게 되는 요추부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요추부 주변으로 형성되는 협부와 상기 협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면서 제1 판부와 연결되는 광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분리부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hich stably supports a waist and a back part including a spine and provides comfort even if the waist and the back part of the seated person are closely contacted to the chair by a momentary load caused by the seated person,
A first plate portion on which a thigh and a hip portion are seated when the user sits, a second plate portion on which a back part is seated when the user sits, and a second plate portion on which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re connected. And a frame portion having a connecting portion on which a waist portion is placed,
Wherein the first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 front bulge extending frontward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projecting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backward The lumbar part is form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ing part. The lumbar part of the lumbar part is made thickest. The lumbar part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lumbar part. The lumbar part is widened downward in the pivot pa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art.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having a shape for forming the light portion is formed to be the thinnest.

Description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CHAIR}Chairs that can lead to correct attitude and comfort when seated {CHAIR}

본 발명은 착석시 착석자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석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의 전방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져 있으면서 제2 판부와 연결부를 통해 전체적으로 만곡지게 연결 형성하고, 연결부에 있어서는 척추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와 동시에 플렉시블성(즉, 유연성) 제공을 위한 단계적인 두께 변화를 주어 착석자가 착석하는 순간 하중에 의해 착석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의자에 밀착되면서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척추를 비롯한 허리 및 등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안락함을 제공해주는 착석시 바른자세의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capable of providing comfort while keeping the right posture of a seated person at the time of sit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capable of maintaining a right posture of a seated person while the front of the first plate portion on which a thigh and a hip portion of a seated person are seated is inclined upward, (I.e., flexibility) of the spine, and at the same tim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hanged stepwise to provide flexibility (i.e., flexibility) at the same time as stably supporting the spine portion. The chair is provided with a comfortable support while stably supporting the back and back parts including the spine, even when the back part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chair, and the chair can be expected to induce the correct posture and comfort.

의자의 기본적인 기능은 휴식 및 작업시 사용자의 상체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 바, 휴식시에 사용자의 요추를 편안하고 좋은 자세로 유지시켜주는 의자들은 많이 소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전후 좌우 움직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 특히 작업 도중 전방으로 상체가 숙여지는 경우에도 허리 등을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의자들은 많지 않다.
The basic function of the chair is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resting and working, and there are many chairs that keep the user's lumbar spine in a comfortable and good posture at rest. However, There are not many chairs that can support the waist continuously and stably even when the upper body is bent forward in the course of work.

즉 학생이나 사무직 종사자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사람들이 일상생활 중의 상당한 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작업을 하는데, 의자에 앉아서 특정 작업을 하다보면 사용자들의 상체가 전방으로 숙여지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허리 내지 등 부위는 의자의 등받이부와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기존 소개되고 있는 올바른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에 아무리 앉아있다 하더라도 허리나 등 부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기에 장시간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허리나 등이 아프고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In other words, not onl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but also a large number of people sit in a chair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n their daily lives and study or work. When they sit in a chair and perform specific tasks,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bowed forward, The seat is separated from the backrest of the chair. For this reason, no matter how much the chair seats for the correct posture correction that is being introduced, there is no stable support for the back or back region. Therefore, when sitting on a chair for a long time, The sitting position is disturbed, and the like.

기존의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의 유형을 살펴보면, 크게 등받이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좌석에 주안점을 둔 의자와, 그리고 이들의 복합 형태의 의자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의 의자들은 등받이 구조에 주안점을 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 types of chairs used for orthodontic correction are divided into chairs with a focus on the backrest, chairs with a focus on the seats, and a combination of these chairs. Among them, recent chairs have a backrest structure There are a lot of products that are focused on.

이러한 의자들로 대표적인 것이 소위 "듀오백"이라 불리는 등받이부를 좌우로 분할하여 각각 사용자의 등부위에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된 의자 형태를 들 수 있다(참고로, 듀오백은 의자제품의 브랜드인 것으로 듀오백 브랜드명을 가지는 의자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비슷하게 등받이부를 좌우로 이등분하여 설계된 제품 모두를 가리킨다).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chair is a chair type designed so that a backrest portion called a "duobag"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portions and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on a user's back portion (for reference, This is not just a chair with a brand name of duo-b, but similarly refers to all products designed by bisecting the backrest.

그러나 상기한 의자 형태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리를 꼿꼿이 세우는 경우에 안정된 허리 및 등 부위를 지지하고 척추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However, the chair type described above can support a stable waist and back region when the user stands upright when standing,

전술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이 작업을 하면서 상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이나 허리 부위가 의자의 등받이부와 떨어지고 밀착되지 않기에 아무리 허리 등에 좋은 구조가 도입된 의자라 하더라도 자세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in most cases, the upper body is generally inclined forward while the users are working. In this case, since the back or back portion of the user falls away from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The posture correction effect can not be expected.

이러한 기존 의자 형태를 보완하고자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2012.06.13)『요추부 지지 의자』가 소개된바 있다.In order to supplement this existing chair form, the "lumbar support chair" w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2-0061581 (2012.06.13).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는 착석자의 요추가 작업시 또는 휴식시 어떠한 경우라도 정상적인 만곡(좋은 자세)을 유지하여 요통을 줄이고 추후 요추 반곡의 변형, 추간판 탈출증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의자의 구조를 좌판이 앞으로 20도 내지 30도까지 기울어지는 구조를 갖고 이와 동시에 뒤로 4도 내지 11도로 기울어지는 구조를 갖는 요추부 지지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Open Patent No. 10-2012-0061581 discloses a method for reducing the backbone by maintaining a normal curve (good posture) in any case when the lumbar of the seated person is working or resting, and in order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lumbar vertebr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 is inclined forwardly by 20 to 30 degrees and at the same time is inclined backward by 4 to 11 degrees.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2012-0061581호에 개시된 구조만으로는 의자의 전방 기울어짐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걸림고리 및 받침대부)의 도입이 필요하고,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에서와 같은 사용자의 착석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밀착되고, 이에 안정적이고 안락하게 지지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2-0061581 requires the introduction of a separate structure (a hook and a pedesta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forward inclination of the chai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back and back parts of the user natur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parts of the chair and can not be expected to be stably and comfortably supported.

한편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좌식 생활에서도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명 "일식집 의자"(의자의 통상적인 다리 구조가 없어 바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연상시킬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ince the structure that can be used immediately in the sitting style is presented, a so-called "Japanese dining chair" (chair without a leg structure of a chair, It can also be reminiscent.

그러나 기존 "일식집 의자"는 좌식 생활에서 사용자의 바닥에서의 착석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공통점 외에,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추를 비롯한 허리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유동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라 할 것이어서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과 동일시될 수 없는 구성임을 밝힌다.
However, the conventional "Japanese dining chair" is not a structure that can stably and fluidly support the waist including the lumbar vertebrae,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common point that the user can maintain the sitting state on the floor in the sitting room It can not be identifi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특수 목적의 의자 즉, 자세교정용 의자가 가지는 문제점 내지 한계점만이 아니라 사용에 따라서는 소위 일식집 의자를 대체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a chair capable of replacing a so-called Japanese-style chair, depending not only on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conventional special-purpose chairs, that is,

착석함과 동시에 착석자의 허리 및 등 부위가 자연스럽게 의자에 밀착될 수 있고, 전후좌우(특히, 전후)로의 착석자의 움직임이 있더라도 밀착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바른 자세를 유도하고 오랜시간 착석하더라도 요통이 생기지 않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waist and the back of the seated person can be natur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hair, and even when there is a movement of the seated person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in particular, front and rear), the close contact stat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The purpose of the chair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feel comfortable without back pain.

물론, 상기와 같은 목적을 제공하면서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설계 구조를 가진 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Of cour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having an optimal design structure that can provide durability while provid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와, 사용자의 착석시 등 부위가 안치되는 제2 판부와, 그리고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안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A first plate portion on which a thigh and a hip portion are seated when the user sits, a second plate portion on which a back part is seated when the user sits, and a second plate portion on which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re connected. And a frame portion having a connecting portion on which a waist portion is placed,

상기 제1 판부에는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Wherein the first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 front bulge portion whose forward portion is lifted upward,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The second plate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연결부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곡지게 연결되고, 연결부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착석자의 요추가 닿게 되는 요추부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요추부 주변으로 형성되는 협부와 상기 협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면서 제1 판부와 연결되는 광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분리부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n a curved shape so as to protrude rearwar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lumbar portion to which the lumbar vertebra of the seated person is contacted is thickest,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having a shape that widen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forms a ligh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is formed to be the thinnest.

또한 상기 제2 판부는 제2 판부 후면의 두께가 변화되는 것으로, 두께 변화는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2 판부 상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portion has a thinner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changes,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decreases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towar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제1 분리부 외측으로 단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connecting portion is thicker stepwise outside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 상기 제2 판부는 "V"자 형상의 유닛들이 연속 배열되면서 상단부로 갈수록 얇은 두께를 형성하고, 가장 두꺼운 두께를 형상하는“V"자 형상의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제1 판부의 후면과 연결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ate portion is formed by continuously arranging the "V" -shaped units and forming a thinner thickness toward the upper end, and a " V "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또한 상기 의자의 외곽으로는 의자 외곽을 감싸는 테두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air is further provided with a rim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air.

상기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즉, 제1 판부와 제2 판부가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통해 일체 연결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착석자의 하중으로 전방들림부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와 동시에 제2 판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고, 전후방으로의 착석자의 상체 움직임이 있더라도 제1 판부의 전방들림부 구조 및 제2 판부 만곡진 구조로 인해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서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있더라도 허리가 아프지 않으며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first plate is formed with a front bulge, and the second plate has a length The front lifting unit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late is tilted forward to be closely attached to the waist and the back of the user so that the overall supporting is stable Even if there is a movement of the upper body of the seated person in front and back, the state of close contact due to the forward rim structure and the second plate bending structure of the first plate portion is not released and is continuously maintained. Therefore, even if sitting on the chair for a long time, The effect that the posture can be maintained can be expected.

또한 보다 안정된 지지력이 필요한 부위에는 의자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상부로 갈수록 또는 양 측면으로 갈수록 두께 변화를 주어 상기 언급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함께 보장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portion where a more stable supporting force is required, a thicker chair can be formed. As a result,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be obtained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hair toward the upper side or both side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정면과 배면과 측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평면과 저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 프레임부와 쿠션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 연결부의 두께변화를 도시한 단면 및 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있어 제2 판부의 두께변화를 도시한 단면 및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angles;
2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ront, back and side view.
Fig. 3 is a plan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rame part and a cushion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enlarged view showing a thickness variation of a connecting portion in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enlarged view showing a thickness varia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in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에서는 다양한 사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 개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정면과 배면과 측면이 개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평면과 저면이 개시되어 있다.1 to 3 are views showing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angles. FIG. 1 is a view from various perspective angles. FIG. 2 is a front view, a rear view and a sid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plane and a bottom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6은 이하 언급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횡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a virtual center line mentioned below,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ir is cut in a later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의자에 있어 프레임부와 쿠션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인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의자를 이루는 뼈대가 되는 프레임부(F)와 착석부위에 대한 쿠션감 제공을 위한 쿠션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F as a skeleton of a chair, and a frame portion And a cushion part (C) for providing a cushion feeling to a seated part.

먼저 쿠션부(C)의 경우 후술되는 제1 판부(10)와 제2 판부(20)에 각각 부착되는 제1 쿠션부(C1)와 제2 쿠션부(C2)로 이루어지고, 제1 쿠션부(C1) 및 제2 쿠션부(C2)의 경우 일측에서 일측으로 관통되는 유로홈(R)이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홈(R)은 외부 공기가 관통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되어 제1 쿠션부 또는 제2 쿠션부가 동일한 두께감을 갖는 일률적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오랜 시간 앉은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사용자의 쾌적성을 높여줄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The first cushion portion C1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C2 which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10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of the cushion portion C, (R) passing through from one side to the other in the case of the first cushion portion (C1)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C2). Such a channel groove R can function as a spac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pass, so that a user who has to sit for a long tim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first cushion portion or the second cushion portion is formed of a flat surface having the same thickness feeling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user.

아울러 제1 쿠션부에 형성된 유로홈(R)은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H"자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low path groove R formed in the first cushion portion preferably has an "H" shape as seen in the figure.

또한 이러한 통풍기능(내지 통기성)의 강화를 위해서 제1 쿠션부(C1)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판부(10)에서는 다수의 관통공(H)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enhance the ventilation function (or air permeability),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in the first cushion portion C1 and the first plate portion 10 corresponding thereto.

다음으로 상기 쿠션부가 부착되는 프레임부(F)를 살펴본다.Next, a frame part F to which the cushion part is attached will be describ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프레임부는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10)와,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등 부위가 안치되는 제2 판부(20)와,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2 참조).As shown in the figure, the frame por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10 on which a thigh and a hip portion are seated when a user sits, a second plate portion 20 on which a back portion of a user is seated when the user is seated, And a connection part 30 connecting the first plate part and the second plate part (see FIG. 2).

상기 연결부(30)는 사용자의 착석시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닿게 되는 부위이다.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a portion where some of the buttocks and the waist of the us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ser is seated.

그리고 상기 제1 판부(10)와, 제2 판부(20)와, 그리고 연결부(30)는 하나의 재질로 일체 형성된다.
The first plate portion 10, the second plate portion 2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 are integrally formed of one material.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30)는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허리 부분이 위치하는 곳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되는 부분이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portion 30 is a portion where the hip portion and the waist portion of the user are located when the user sits, and is curved as shown in the figure.

이하 설명될 제2 판부(20)가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만곡지게 형성(S1)됨으로써(도 2 및 도 6 참조) 상대적으로 연결부(30)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을 취하게 된다.
The second plate portion 20 to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into a curved shape S1 that protrudes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s. 2 and 6),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30 has a curved shape protruding rearward .

다음으로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10)에는 엉덩이가 앉혀지는 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전방들림부(15)가 형성된다.Next, the first plate portion 10 on which the user's thighs and hip portions are placed is formed with a forward rim portion 15 on which the front portion is lifted upwards with respect to a portion where the buttocks are seated.

그리고 제2 판부(20)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S1)으로 설계되는데(도 2 및 도 6 참조), In the cas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t is designed to have a curved shape S1 for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s. 2 and 6)

상기한 구조를 통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들림부(15)가 아래로 내려가고 이에 의해 제1 판부(1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30) 및 제 2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비롯하여 허리 및 등 부위에 의자 자체가 밀착된다.
7,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the front rim 15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user, and thereby, the connection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ate portion 10 30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0 are tilted forward, the chairs themselves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ip region and waist region of the user.

더욱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부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S1) 즉, 사용자의 착석시 만곡되는 허리 부위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됨으로써 전방들림부(15)가 아래로 내려감과 동시에 제2 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가 제2 판부에 밀착된다.
Fur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late portion is designed in such a form that it can support a backwardly curved shape S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waist portion that is bent when the user is seated and a backward inclined portion, The lifting portion 15 is lowered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s tilted forward so that the waist and the back portion of the user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portion.

그리고 전방들림부(15)가 형성된 제1 판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30)가 허리 및 엉덩이 라인을 따라 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일단 의자에 착석한 이상 연결부(30)에 허리 및 엉덩이 부위가 밀착된 상태가 되기에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더라도(즉, 하중이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의자에 대한 밀착상태는 유지된다.
A connecting portion 30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10 on which the front rim 15 is formed is curved rearward along the waist and the hip lin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ttach the waist and the back to the ideal connecting portion 30, The state of tight contact with the chair is maintained even i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tilts the upper body backward (i.e., the load is moved rearward) because the hip reg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air.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프레임부 재질이 하드 재질이 아닌 탄성이 어느 정도 있는 재질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부분이기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소재는 플렉시블(plexible)함을 가지고 있어 착석자의 하중 이동이 생기더라도 하중 이동에 대한 프레임의 신속한 반응이 이루어져 착석자의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만, 본 발명의 프레임부에서 언급되는 플렉시블 즉, 유연함이라 함은 외력을 의자쪽으로 가했을 때 의자가 휘어지거나 등의 형태 변형이 발생되는 정도의 유연함을 의미한다.
This is also possible because the frame member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ade of a hard material bu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In other words, the material forming the frame por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exible shape, so that even if the load of the seated person is shifted, the frame is quickly reacted to the load movement, so that the seat occupied state is maintained. However, the "flexible" referred to in the fram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e flexibility to such an extent that the chair is bent or deform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hair.

또한 상기한 플렉시블함을 가지면서도 특정 신체부위에 대해서는 안정된 지지력을 가져야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F)의 경우 각 부위마다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프레임부의 외곽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테두리부(40)를 형성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rame portion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exible structure and a stable supporting force for a specific body part, the thickness of the frame part F is different for each part, and the outer part of the frame part is thickest Thereby forming a rim 40 having a thickness.

즉 플렉시블함만을 강조하다보면 힘을 안정적으로 받지 못하기에(즉, 안정된 힘으로 허리나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없기에) 착석자가 앉아서 상체를 뒤로 젖히면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1차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는 프레임부의 외곽을 감싸는 것으로 가장 두꺼운 두께를 이루는 테두리부(40)를 형성하게 된다.
In other words, if stress is emphasized on the flexible arm, the chair does not get a stable power (because it can not support the waist or back with stable forc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art 40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is formed by enclosing the outer part of the frame part.

또한 제2 판부(20)에 있어서도 연결부(3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2 판부의 상단부로 갈수록 두께를 얇게 형성한다(도 6 참조). 즉, 연결부(30)와 근접된 부분을 가장 두껍게 형성하여 역시 사용자가 의자에 앉는 경우 의자가 힘을 받치지 못하고 뒤로 넘어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Also, in the second plate portion 20,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s reduc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late portion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0 (see FIG. 6). That is, the portion closest to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formed to be thickest, so that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the chair can not support the force, and the problem is solved.

그리고 제2 판부에 대한 두께 변화는 제2 판부의 전면이 아닌 후면에서 두께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판부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야 할 부분이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가 허리를 지지해주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에 연결부는 전면과 후면 모두에서 두께의 변화가 있는데 이후 쿠션부가 부착되고, 착석자의 힘이 주로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가해진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제2 판부의 두께 변화는 후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chang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portion gives a change in thickness at the rear surface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This is because the connecting portion is the most important part for supporting the waist as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changes i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n the cushion portion is attached, Considering that the force of the seated person is mainly applied from the front surface to the rea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is changed at the rear surface.

물론,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부에 대한 두께변화는 마치 계단형상과 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도 2 및 도 6 참조) 이것 자체가 디자인적 요소로소 작용될 수 있기에 쿠션부에 의해 가려지는 제2 판부의 전면보다는 후면에서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varia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portion is made stepwise like a stepped shape (see FIGS. 2 and 6), and since the plate itself can be used as a design element,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lag on the back surface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 판부(20)는 "V"자 형상의 유닛(21)들이 연속배열되면서 상단부로 갈수록 얇은 두께를 형성하게 되고, 제2 판부 후면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형성하는 "V"자 형상의 유닛(21a)은 상기 연결부의 후부(33')와 연결되면서 제 1 판부의 후면(10')으로까지 연결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cond plate portion 20 has a V-shaped unit 21 continuously arranged to form a thinner thickness toward the upper end, and a thickest thickness Shaped unit 21a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33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10' of the first plate portion.

다음으로 착석자의 허리 부위 즉, 요추를 지지하게 되는 연결부(30)를 살펴본다. 특히 상기 연결부(30)에서도 어느 정도의 플렉시블함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의자에 앉는 경우 엉덩이 및 허리 부위가 밀착되면서도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지탱이 되어야 하고 나아가 허리를 받쳐주는 힘이 최대한 형성될 수 있도록 두께의 변화가 중요하다.
Next, the back part of the seated person, that is, the connection part 30 supporting the lumbar vertebra, will be examine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sits on a chair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in the connecting portion 30,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hip and the waist portion so that they do not come close to each other while coming close to each other. Further, Change is important.

우선 연결부(30)의 후면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판부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V"자형 유닛(21a)과 동일한 면으로 연결되는 후부(33')가 형성되는데(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후부의 외곽 형상은 후술되는 연결부(30)에서의 제2 분리부(33)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도록 한다. 후술되는 제1 분리부(32)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도록도 할 수 있으나 안정적으로 힘을 받쳐주기 위해서 좀 더 넓은 면적으로 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제3 분리부(34)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록도 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지나치게 넓은 면적이 형성되어 플렉시블함이 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rear portion 3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to be connected to the same plane as the "V" -shaped unit 21a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in the second plate portion (refer to FIGS. 1 and 2 ), And the rear outer shape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separating portion 33 in the connecting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first separator 32 described later,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rear portion to have a wider area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forc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third separator 34, but in this case, an excessively large area is formed and the flexibility is deteriorated.

다음으로 도 4 등을 참조하여 연결부(30)의 전면을 살펴보면, 연결부(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앉는 경우 사용자의 요추가 닿게 되는 요추부(31)가 가장 두껍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요추부(31)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결부(30)의 중심부위에 위치된다.Next, referring to FIG. 4 and the like,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0 has a thickest lumbar portion 31 on which a user's lumbar vertebrae are contacted when the user sits. Of course, the lumbar part 31 is position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3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요추부가 의자에서는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는 힘이 가장 강하게 요구되는 부분이기에 연결부(30)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lumbar part has the thickest thickness at the connection part 30 because it is the part where the back supporting part of the lumbar part is prevented while preventing the user from supporting the waist.

그 다음으로 제1 분리부(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분리부(32)는 상기 요추부(31) 주변으로 형성되는 협부(32a)와 상기 협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면서 제1 판부(10)와 연결되는 광부(32b)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분리부(32)는 연결부에서 가장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32 is formed next to the shoulder portion 31.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32 has a shoulder portion 32a formed around the lumbar portion 31 and a first plate portion 1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32b. The first separator 32 is formed to have the thinnest thickness at the connection portion.

그리고 제1 분리부 외측에서 연결부 외곽까지 "ㄷ"자 형상의 제2 분리부(33), 제3 분리부(34), 제4 분리부(35)를 거치면서 연결부 두께가 단계적으로 두꺼워지고, 최종적으로는 프레임부 외곽에 형성된 테두리부(40)와 연결된다.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ar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separating part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art through the second separating part 33, the third separating part 34 and the fourth separating part 35, And finally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40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ame por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경우 요추부(31)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진 후 이와 인접된 제1 분리부(32)에서 가장 얇아진 후 다시 제2 내지 제4 분리부를 거치면서 두께가 두꺼워진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art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in the lumbar part 31 is thinned by the first separating part 32 adjacent to the lumbar part 31, and then thickened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separating parts.

다음으로 제1 판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락함 내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1 판부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형상(S2)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as shown in FIG. 2, the first plate portion 10 is formed on the basis of a virtual center line 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on the first plat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 or comfor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when the user sits It is preferable to design it as a shape (S2) in which both sides extend upward.

이는 제1 판부 양 측이 상부로 들어올려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벅지와 엉덩이를 감싸는 형태가 되기 때문이고, This is because the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are lifted up to the upper side to cover the user's thighs and hips,

나아가 상기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의자 착석 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하중을 이동하더라도 제1 판부가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고 제2 판부에 대한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의 밀착 지지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Further, even if the user moves the load to the left or right side after the chair is seated through the above structure, the first plate portion can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is shifted, so that the sitting position of the user is not disturbed, So that the portion in the contact-supported state is maintained.

또한 제2 판부(20) 역시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안락함 내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제2 판부에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 측이 전방으로 오므라진 형상(S3)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가 감싸지는 느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고 안락함을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도 8 참조).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s formed so as to be comfortable or comfortab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when the user is seated. (S3),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feeling that the upper body of the user is wrapped and feel comfortable. (See Fig. 8).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기능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다시 한 번 더 설명한다.The function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즉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즉, 제1 판부(10)에 착석하게 되면 전방들림부(15)로 인해 전방이 들어올려졌던 제1 판부(10)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고 이로 인해 제1 판부(10)와 연결부(30)를 통해 일체 연결 형성되어 있던 제2 판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밀착되고 이를 지지하게 된다(도 7의 B 참조).
That is,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chair, i.e., seated on the first plate portion 10, the first plate portion 10 which has been lifted forward due to the forward rim portion 15 is lowered by the load of the user,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1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 is tilted for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ist and back portion of the user and to support the second plate portion 20 (refer to FIG. 7B).

물론 사용자가 작업상태에 따라 상체를 좀 더 전방으로 숙이는 경우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본 발명 의자의 제1 판부(10)는 전방들림부(15)에 의해 아래로 기울어지면서도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대한 제2 판부(20)의 밀착 및 지지 상태가 유지된다(도 7의 C 참조).
Of course, when the upper body is bowed more forward according to the working state, the first plate p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downward by the forward tilting part 15 due to the load of the user,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s held in close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second plate portion 20 (see Fig. 7C).

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의자의 제1 판부(1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및 등 부위에 대한 제2 판부(20)의 밀착 및 지지 상태가 유지되면서 보다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The first plate portion 10 of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n be moved downward while the second plate portion 20 is kept in close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user's waist and back portion (See Fig. 7C).

그리고 연결부(30)에 형성된 요추부(31)를 비롯한 제1 내지 제4 분리부의 구성 및 후부(33')의 구성, 그리고 테두리부(40)와 제2 판부 후면에 형성된 두께 변화구조 등을 통해 사용자의 하중 이동에 의해 의자 자체가 일정 부분 플렉시블하게 변형되면서도 요추를 비롯한 허리가 받쳐지는 즉, 허리를 지지해주는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o fourth separator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portion 33 'including the lumbar portion 31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30 and the thickness variation structure formed on the rear edge portion 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The chair itself is flexibly deformed to a certain extent, and the supporting state of the back including the lumbar spine, that is, supporting the waist is stably main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상부에는 의자 이동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공(50)이 형성된다.
In the upper part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dle 50 for gripping when a chair is moved is fo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의자"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기술되는 청구범위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쿠션부 F: 프레임부
10: 제1 판부 15: 전방들림부
20: 제2 판부 21: V자 형상의 유닛
30: 연결부 31: 요추부 32: 제1 분리부
32a: 협부 32b: 광부 33': 후부
40: 테두리부 50: 손잡이공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 Cushion part F: Frame part
10: first plate portion 15: anterior rim portion
20: second plate portion 21: V-shaped unit
30: connecting portion 31: lumbar portion 32: first separating portion
32a: narrowed portion 32b: light portion 33 ': rear portion
40: rim 50: handle ball

Claims (5)

사용자의 착석시 허벅지와 엉덩이 부위가 안치되는 제1 판부;
사용자의 착석시 등 부위가 안치되는 제2 판부;
상기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일부 엉덩이 부위와 허리 부위가 안치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판부에는 전방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전방들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부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제1 판부와 제2 판부를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곡지게 연결되고,
연결부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착석자의 요추가 닿게 되는 요추부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요추부 주변으로 형성되는 협부와 상기 협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면서 제1 판부와 연결되는 광부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분리부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판부는 제2 판부 후면의 두께가 변화되는 것으로, 두께 변화는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2 판부 상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단계적으로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시 바른 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A first plate part on which a thigh and a hip part are seated when the user is seated;
A second plate portion on which a user's seat or the like is seated;
And a frame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in which a part of the buttocks and a waist portion are seated when the user is seated by connecting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Wherein the first plate portion is formed with a front bulge portion whose forward portion is lifted upwar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rearward,
A lumbar part form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and having a lumbar part to be contacted with the lumbar part of the seated person is formed thickest and has a narrow part formed around the lumbar part and a light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art gradually widening downwardly in the narrow part. 1 separation part is formed to be the thinnest,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is varied in a thickness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late portion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econd plate portion. Can be a chai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분리부 외측으로 단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착석시 바른 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is thicker stepwise outside the first separating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a correct attitude and comfort in sitt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부는 "V"자 형상의 유닛들이 연속 배열되면서 상단부로 갈수록 얇은 두께를 형성하고, 가장 두꺼운 두께를 형상하는“V"자 형상의 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제1 판부의 후면과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시 바른 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plate portion is formed by continuously arranging the units of the " V "-shaped shape to form a thinner thickness toward the upper end, and the unit of the "V" shape having the thickest thickness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late portion The chair can be expected to have a good posture and comfort during sitt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외곽으로는 의자 외곽을 감싸는 테두리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시 바른 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rim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hair is further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hair.
KR1020140062331A 2014-05-23 2014-05-23 Chair KR1015984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31A KR101598473B1 (en) 2014-05-23 2014-05-23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331A KR101598473B1 (en) 2014-05-23 2014-05-23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05A KR20150134905A (en) 2015-12-02
KR101598473B1 true KR101598473B1 (en) 2016-02-29

Family

ID=5488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331A KR101598473B1 (en) 2014-05-23 2014-05-23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7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0481S1 (en) 2018-07-31 2019-12-24 Ablue Co., Ltd. Chair
KR102303524B1 (en) 2020-11-16 2021-09-23 주식회사 로이첸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2310862B1 (en) 2021-04-19 2021-10-14 윤석균 Legless chair
KR20220116969A (en) 2021-02-16 2022-08-23 (주)굿프렌드 Chair for right posture
KR20220146055A (en)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Auxiliary seat
KR20220147283A (en) 2021-04-27 2022-11-03 김연수 chair of leading correct posture and health
US11583086B2 (en) 2021-05-26 2023-02-21 Ablue Co., Ltd. Functional legless chair
KR20230096188A (en) 2021-12-22 2023-06-3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A chair that corrects the curvature of the lumbar spine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elvi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0457B2 (en) 2020-02-04 2023-07-04 Hni Technologies Inc. Chair with flexible internal support
KR102286614B1 (en) * 2021-01-21 2021-08-11 주식회사 이랜시스 Chair for Posture Correcting Having Posture Correcting Bum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9526B (en) * 1959-10-17 1968-01-25 Ludwig Halter Seat adapted to the body
EP2381817B1 (en) * 2009-01-23 2013-07-10 Backjoy Orthot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orrecting posture
KR20130000030A (en) * 2011-06-22 2013-01-02 최광영 Functional chai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0481S1 (en) 2018-07-31 2019-12-24 Ablue Co., Ltd. Chair
KR102303524B1 (en) 2020-11-16 2021-09-23 주식회사 로이첸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20220116969A (en) 2021-02-16 2022-08-23 (주)굿프렌드 Chair for right posture
KR102310862B1 (en) 2021-04-19 2021-10-14 윤석균 Legless chair
KR20220146055A (en) 2021-04-23 2022-11-01 탐탐케어주식회사 Auxiliary seat
KR20220147283A (en) 2021-04-27 2022-11-03 김연수 chair of leading correct posture and health
US11583086B2 (en) 2021-05-26 2023-02-21 Ablue Co., Ltd. Functional legless chair
KR20230096188A (en) 2021-12-22 2023-06-3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A chair that corrects the curvature of the lumbar spine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elv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905A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473B1 (en) Chair
KR101517350B1 (en) Chair
JP6936369B2 (en) Posture holder
KR102163201B1 (en) Functional chair
EP3064091B1 (en) Seat assembly for task-oriented seating
US20020175553A1 (en) Set of office chairs
US10172464B2 (en) Chair
US11583086B2 (en) Functional legless chair
KR102109497B1 (en) Chair for lumbar and pelvic correction
KR100772167B1 (en) A chair having backrest
KR20150112350A (en) Chair
KR101948506B1 (en) Ergonomic seating for seat
EP3179886B1 (en) Chair
JP2017221667A (en) Adjustable back support for seating surface
KR102136560B1 (en) A seat board for chair, and a chair comprising the same
JPH11239526A (en) Cushion for chair capable of adjusting angle
KR20120061581A (en) The chair for waist support
KR102574701B1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20170048682A (en) Seat pad of wheelchair for correction of posture
KR20130078931A (en) Chair
CN206182772U (en) Position of sitting self -modulation integer office chair
KR20170030406A (en) Chair
KR20210001659U (en) Functional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KR101330022B1 (en) Chair having a waist support and a back support
KR20230084789A (en)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