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070B1 -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070B1
KR101598070B1 KR1020130123901A KR20130123901A KR101598070B1 KR 101598070 B1 KR101598070 B1 KR 101598070B1 KR 1020130123901 A KR1020130123901 A KR 1020130123901A KR 20130123901 A KR20130123901 A KR 20130123901A KR 101598070 B1 KR101598070 B1 KR 10159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addiction
expression
drug
preventing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623A (ko
Inventor
임혜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0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RNA에 기반한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마이크로 RNA가 마약 중독으로 인해 인체의 뇌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상보적 염기서열을 가진 안티머 마이크로 RNA-206을 이용하여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발견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ug addiction}
본 발명은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RNA에 기반한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약(narcotics)”은 아편 및 이의 유도체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사전적으로는 모르핀, 코케인, 노스카핀, 파파베린, 테바인, 헤로인 등의 습관성 또는 중독성 약물을 포함하는 양귀비 식물로부터 유래된 자연 배합물인 아편성 약물 또는 아편 유사 약물로 정의된다. 어떠한 화합물이 마약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감정 및 행동의 중대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하고, “혼수의 무통”의 상태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하며, 의존성, 내성 및 중독과 같은 심각한 위험을 나타낼 수 있음을 입증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마약 중독자들은 처음에는 진통을 목적으로 마약성 물질을 투여하게 되지만, 점차적으로 마약성 물질에 중독되면서 좀 더 강력한 마약을 찾게 된다. 이들 마약중독자들의 공통적인 병리학적 증세로는 피로, 정서적 불안정, 반-혼수 상태, 구토 등을 들 수 있고, 전기 증세가 심화되면 반사회적, 반윤리적인 행동을 취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마약 중독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이 범 국가적인 차원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마약 중독자들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병리학적인 증상을 보이는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여러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 중 마약 중독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 등의 원인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한 후, 이러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마이크로 RNA는 생물의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작은 RNA로서, mRNA와 상보적으로 결합해 세포 내 유전자 발현과정에서 중추적인 조절인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새롭게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이러한 마이크로 RNA가 마약 중독에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939호(특허문헌 1)가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1은 황금추출물,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마약중독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59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의 원인 및 기작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생체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RNA가 마약 중독으로부터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은 마이크로(micro) RNA-206에 대한 상보적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마이크로 RNA가 마약 중독으로 인해 인체의 뇌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해 상보적 염기서열을 가진 안티머 마이크로 RNA-206을 이용하여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예방 및 치유하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발견한 발명이다.
도 1은 코케인을 투여한 쥐의 이상 행동 양상을 관찰하는 실험 사진이다.
도 2는 코케인을 투여한 쥐가 이상 행동 양상을 보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코케인을 투여한 쥐에서 마이크로 RNA-206(miR-206)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코케인을 투여한 쥐에서 miR-206의 발현으로 PLC-γ1이 부위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in vitro 상에서 miR-206이 PLC-γ1의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의 원인을 분자생물학적으로 규명하여 이상 행동을 유발하는 마약 중독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은 마이크로(micro) RNA-206에 대한 상보적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이나 동물이 마약에 중독되게 되면 인체 내(in vivo), 특히 뇌에서 마이크로 RNA-206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PLC-γ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그리하여 상기 마이크로 RNA-206에 대한 상보적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을 합성하여 인체 내에 투여하게 되면 인체 내에서 상기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가 상기 마이크로 RNA-206과 상보적으로 결합하게 되며, 이렇게 상보적으로 결합한 마이크로 RNA-206의 활성이 저하되어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한 발명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은 인체 내에서 상기 안티머(antimer) RNA-206가 마약 중독으로 인해 증가된 마이크로(micro) RNA-206과 상보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이렇게 상보적으로 결합된 상기 마이크로(micro) RNA-206의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을 치료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LC-γ1는 정신 분열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단백질이다.
한편, 상기 마약은 모르핀, 코케인, 아편, 대마, 필로폰 및 엑스터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상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내에서 1-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 치료 물질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이 8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약제학적인 응용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한 나머지 물질들의 함량을 제한 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정맥내로, 피하로, 직장으로, 비강으로, 임의의 다른 비경구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로 (본원에 사용되는 “비경구로” 는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골내, 피하 및 관절내의 주사 및 주입을 비롯한 투여 방식을 지칭함) 수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선택되는 투여 수준은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치료되는 병태의 중증도 및 치료되는 환자의 병태 및 이전 병력에 따를 것이다. 그러나 원하는 치료 효과의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의 화합물의 용량에서 시작하여, 원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것은 당업계의 지식 내에 있으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나이, 성별, 체형, 체중에 따라 1-1000 nM/㎏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상 허용 가능한 제약 제제로 제제화 되기 전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입자들로 분쇄 또는 연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병태 및 치료되는 환자에 따라 달라질 것이지만, 이는 비-독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 의약품으로 인정되는 것이라면 그 형태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약품은 정맥내로, 피하로, 직장으로, 비강으로, 임의의 다른 비경구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 의약품이 포함된다. 또한 비경구 주사용의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제약상 허용되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제, 분산액제, 현탁액제 또는 애멀젼 및 사용 직전에 멸균 주사가능 용액제 또는 분산액제로의 재구성을 위한 멸균 산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에는 물, 에탄올, 폴리올(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 및 주사가능한 유기 에스테르(바람직하게는 에틸 올레에이트)가 포함된다. 적당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코팅 물질(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을 사용하고, 분산액의 경우에는 요구되는 입자 크기를 유지하고,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정제, 당제, 캡슐, 환제 및 입제의 고체 투여 형태는 제약 제제화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는 코팅 및 쉘(예컨대, 장용 코팅 및 기타 코팅)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임의로 불투명화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장관의 특정 부분에서 및/또는 지연 방식으로 활성 성분(들)만을 또는 활성 성분을 우선적으로 방출하도록 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임베딩 (embedding) 조성물의 예로는 중합체성 물질 및 왁스가 있다.
화합물 이외에, 액체 투여 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 또는 기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 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오일, 배아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테트라히드로푸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현탁액제는, 활성 화합물 이외에, 현탁화제, 예컨대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한천 및 트래거캔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직장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을 적합한 무-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 왁스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 액체이므로, 직장강 또는 질강에서 용해되
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함)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상기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이 상기 담체로부터 쉽게 유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함유형태는 약물 담체 중에 분산, 용해되거나, 약물 담체 구성성분과 혼합되어 미셀을 형성한 상태, 또는 약물 담체 구성 성분과 화학적 결합된 상태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담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함량 비율은 담체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5중량%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체를 사용한 제제중의 약물 담체의 농도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적당히 증감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코케인 투여를 통한 이상 행동 확인>
C57BL/6J의 8주령인 수컷 생쥐를 사용하였고, saline만을 투여한 saline 그룹, 6일간 saline을 투여하고 마지막 7일 째 코케인을 투여한 acute 그룹과 7일간 코케인을 투여하여 중독 모델화한 chronic 그룹인 세 개의 그룹을 제작하였다. 동물 행동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지막 투여 시점에서 2시간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의 실험은 상자 안에 생쥐를 놓아주고 30 분간 행동하는 움직임을 관찰하였다(도 1 참조). 전체 움직인 거리를 통하여 운동량을 측정하고, 상자의 중심 부분에 머무르는 거리를 측정하여 불안함을 보이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중심부에 오래 머무를수록 불안 증상이 감소함).
그 결과, 코케인을 장기적으로 투여 받은 생쥐들은 saline 그룹에 비해 과잉행동(hyperactivity)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불안증상도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회 능력 테스트를 통하여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는 성향을 가진 쥐가 장기적으로 코케인을 투여 받았을 시에는 인식을 잘하지 못하여 사회 능력이 결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코케인의 장기투여가 정신증의 이상 행동 양상을 보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도 2 참조).
< 코케인이 장기간 투여된 쥐의 뇌에서 마이크로 RNA -206의 존재 확인>
코케인에 의해 영향을 받은 보상회로와 관련된 뇌 부위를 중심으로 마이크로 RNA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의 실험은 뇌 부위 별로 miRNA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qRT-PCR기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생쥐체내에서 안정하게 발현하는 control miRNA인 snoRNA-202의 발현량을 기준으로 miR-206의 발현량을 확인하고 각 그룹별로 비교하여 변화되는 것을 확인함 코케인을 투여 받은 생쥐 뇌 부위 중 보상회로의 혐오작용에 관련된 지역인 lateral habenula (LHb)에서만 특이적으로 마이크로 RNA-206(miR-206)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도 3 참조) 또한 miR-206의 타겟 유전자인 PLC-γ1이 부위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더 나아가 생체 외 실험 (in vitro)을 통하여 miR-206이 직접적으로 PLC-γ1 유전자를 조절하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인 HT22 cell-line을 사용하여 miR-206을 인위적으로 과다발현 시키고, 이에 따른 PLC-γ1의 발현양상을 확인해 보았다. cell 내에서 miR-206의 발현이 증가하였을 때 PLC-γ1 mRNA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반면에 PLC-γ1의 단백질 발현은 크게 변화가 없고 PLC-γ1의 활성화된 상태인 phosphorylation 된 PLC-γ1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현재 우리는 자극제를 투여하여 중독을 야기시키고 이 생쥐모델을 통하여 비정상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것을 보았다. 또한 분자적인 변화 측면으로는 뇌 부위 중 혐오반응에 관여하는 부위인 LHb에서 miRNA-206의 발현이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putative 타겟 유전자인 PLC-γ1의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체 외 실험( in vitro )을 통하여 miR -206이 PLC -γ1의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
Immuno-blot은 여러 protein의 혼합물로부터 어떤 특정 단백질을 찾아내는 기법으로서 찾고자 하는 단백질에 대한 antibody를 사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그 단백질의 존재 여부를 밝혀내는 기법이다. 우선 샘플에서 단백질을 용해시키기 위해 용해 버퍼를 이용하여 단백질 혼합물을 만들고, 혼합물로부터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해서 전기영동을 이용, SDS-polyacrylamide gel을 이용하여 sample내의 물질들을 크기 별로 분리(음전하를 띄는 단백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전류를 흘러줌에 따라 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류하고, 이 때 SDS 물질이 단백질의 구조를 파괴하여 단백질 구조에 따른 이동속도 차이를 없애줌)하였다. 그 후 protein을 크기 별로 분리해낸 후에 protein을 gel에서 membrane으로 이동시킨 후 membrane에 확인하고 자 하는 단백질의 항원 (1차 항원)을 붙이고, 1차 항원을 인식하는 형광표지가 달린 2차 항원을 붙임. Substrate을 이용하여 2차 항원에 형광을 발현시키고 이 형광의 양을 측정하여 밴드 확인하였다. 이 때, 형광의 양이 많을수록 밴드는 굵어지고 진해지는데 이를 통하여 발현이 증가하고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in vitro을 통하여 miR-206이 PLC-γ1의 발현을 조절하는지를 더욱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의 결과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는 HT22 cell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에 CMV-EF1-miR-206-copGFP를 transient transfection 시켜 qRT-PCR로 miR-206과 PLC-γ1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고, immuno blotting을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A)는 HT22 cell에 miR-206의 transfection이 잘 되었을 GFP발현을 통하여 확인한 것이고, (B)는 miR-206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 및 PLC-γ1 mRNA 또한 감소함을 확인한 것이며, (C)는 miR-206의 과잉발현을 통하여 PLC-γ1의 단백질 발현은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고, 활성화된 형태인 phosphorylation된 PLC-γ1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한 것이다(GAPDH는 체내에서 일정하게 발현하는 단백질로 control로 사용됨).
이러한 실험들을 통하여 마약 중독으로 뇌에서 마이크로 RNA-206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PLC-γ1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안티머 마이크로 RNA-206을 합성하여 인체 내(in vivo)에 투여하게 되면 인체 내(in vivo)에서 상기 마이크로 RNA-206와 상보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RNA-206의 활성을 저하시켜 마약 중독으로 인한 이상 행동이 예방 및 치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Pharmacology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rug addiction <130> HPC-4421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 <212> RNA <213> Unknown <220> <223> micro RNA-206 <400> 1 uggaauguaa ggaagugugu gg 22 <210> 2 <211> 22 <212> RNA <213> Unknown <220> <223> micro RNA-206 <400> 2 accuuacauu ccuucacaca cc 22

Claims (7)

  1. 서열번호 1로 표시되어 이루어진 마이크로(micro) RNA-206에 대한 상보적 염기서열인 서열번호 2로 표시되어 이루어진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을 함유하여 생체외(in vitro)에서 마약으로 인한 PLC-γ1의 발현 감소를 억제하는 PLC-γ1 발현 감소 억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머(antimer) 마이크로 RNA-206는 생체외(in vitro)에서 마약으로 인해 발현이 증가한 마이크로(micro) RNA-206에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마이크로(micro) RNA-206의 활성을 저하시킴으로써 PLC-γ1의 발현 감소를 억제하는 PLC-γ1 발현 감소 억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약은 모르핀, 코케인, 아편, 대마, 필로폰 및 엑스터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γ1 발현 감소 억제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23901A 2013-10-17 2013-10-17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9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901A KR101598070B1 (ko) 2013-10-17 2013-10-17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901A KR101598070B1 (ko) 2013-10-17 2013-10-17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23A KR20150044623A (ko) 2015-04-27
KR101598070B1 true KR101598070B1 (ko) 2016-02-26

Family

ID=5303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901A KR101598070B1 (ko) 2013-10-17 2013-10-17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8254A (ja) 2004-11-12 2012-11-22 Asuragen Inc miRNAおよびmiRNA阻害分子に関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39B1 (ko) 2005-07-26 2007-05-09 대한민국 마약중독 치료제
KR20070115321A (ko) * 2006-06-01 2007-12-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microRNA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8254A (ja) 2004-11-12 2012-11-22 Asuragen Inc miRNAおよびmiRNA阻害分子に関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623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A large-scale chemical screen for regulators of the arginase 1 promoter identifies the soy isoflavone daidzeinas a clinically approved small molecule that can promote neuronal protection or regeneration via a cAMP-independent pathway
Andrade et al. TRPA1 antagonists as potential analgesic drugs
Falcicchia et al. Seizure-suppress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ncapsulated BDNF-producing cells in a rat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Gong et al. Autophagy-related gene 7 (ATG7) and reactive oxygen species/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regulate tetrandrine-induced autophagy in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Weaver How Taxol/paclitaxel kills cancer cells
Faris et al. Endolysosomal Ca2+ signalling and cancer hallmarks: two-pore channels on the move, TRPML1 lags behind!
Bellampalli et al. Betulinic acid, derived from the desert lavender Hyptis emoryi, attenuates paclitaxel-, HIV-, and nerve injury–associated peripheral sensory neuropathy via block of N-and T-type calcium channels
Haghparast et al. Changes in phosphorylation of CREB, ERK, and c-fos induction in rat ventral tegmental area, hippocampus and prefrontal cortex after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induced by chemical stimulation of lateral hypothalamus
CN101443001B (zh) 治疗或预防炎性痛的方法
CN107970209A (zh) 亲脂性药剂的改进的胃肠外制剂以及制备和使用其的方法
Xu et al. MicroRNA-27b inhibition promotes Nrf2/ARE pathway activation and alleviates intracerebral hemorrhage-induced brain injury
Wen et al. Targeted delivery of phycocyanin for the prevention of colon cancer using electrospun fibers
Wang et al. The post‐therapeutic effect of rapamycin in mild traumatic brain‐injured rats ensuing in the upregulation of autophagy and mitophagy
Athukuri et al. Enhanced Oral Bioavailability of Diltiazem by the Influence of Gallic Acid and Ellagic Acid in Male Wistar Rats: Involvement of CYP3A and P‐Gp Inhibition
WO2017176792A1 (en) Methods of preventing or reducing a fibrotic response using csf 1r inhibitors
Muthu et al. Identification and testing of novel CARP-1 functional mimetic compounds as inhibitors of non-small cell lung and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s
Melis et al. PIP3EA and PD‐168077, two selective dopamine D4 receptor agonists, induce penile erection in male rats: Site and mechanism of action in the brain
CN116687906A (zh) ANAVEX2-73的对映体及其在治疗阿尔海默氏病和其他由σ1受体调节的疾病中的用途
Micheli et al. Acute and subchronic antinociceptive effects of nociceptin/orphanin FQ receptor agonists infused by intrathecal route in rats
Zheng et al. Ethanol extracts from Portulaca oleracea L. attenuated ischemia/reperfusion induced rat neural injury through inhibition of HMGB1 induced inflammation
Zeeshan et al. QbD-based fabrication of transferrin-anchored nanocarriers for targeted drug delivery to macrophages and colon cells for mucosal inflammation healing
Kuntworbe et al. Pharmacokinetics and in vivo chemosuppressive activity studies on cryptolepine hydrochloride and cryptolepine hydrochloride-loaded gelatine nanoformulation designed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for the treatment of malaria
KR101598070B1 (ko) 마약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Shu et al. Inhibition of morphine tolerance by processed Aconiti tuber is mediated by kappa-opioid receptors
Gopalakrishnan et al. Lipid‐Conjugation of Endogenous Neuropeptides: Improved Biotherapy against Human Pancreatic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