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722B1 -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 Google Patents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722B1
KR101597722B1 KR1020150024979A KR20150024979A KR101597722B1 KR 101597722 B1 KR101597722 B1 KR 101597722B1 KR 1020150024979 A KR1020150024979 A KR 1020150024979A KR 20150024979 A KR20150024979 A KR 20150024979A KR 101597722 B1 KR101597722 B1 KR 101597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main body
cover
monit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피케이엘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케이엘앤에스 filed Critical (주)피케이엘앤에스
Priority to KR102015002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2Church pulpits ; Stands for lectu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상판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고 모니터가 자동으로 부팅되는 전자교탁을 개시한다.
모니터 및 광 감지센서를 구비한 본체상판; 상기 본체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덮개; 및 상기 모니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덮개는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상판덮개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광 감지센서가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면, 상기 광 감지센서가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모니터가 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Electronic Lecture Desk Operated by Eletronic Authorization}
본 실시예는 전자인증에 의해 상판이 자동으로 개폐되고 부팅되는 전자교탁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전자교탁이란 교탁과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일체로 구현하여 강의자가 편리하게 강의를 진행하도록 돕는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보편화되고 있는 디지털 교실은 컴퓨터, 마이크, 앰프, 빔프로젝터 등의 여러가지 주변 장치들을 포함하여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강의실에서 전자교탁은 강의실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전자교탁의 보안기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또한, 전자교탁의 컴퓨터 내부에는 강의 또는 강사의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 또는 강의자가 아닌 학생들과 외부인이 임의로 전자교탁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전자교탁의 보안기능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과 몸체가 전자석 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권한이 없는 사람이 사용할 수 없고, 강의자가 인증정보를 입력하거나 보안카드 등을 접근시키면 전자석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상판이 자동으로 열리고 이에 따라 광 감지센서가 노출되어 모니터까지 자동으로 부팅되며 모니터의 기울기도 자동 조절되는 전자교탁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모니터 및 광 감지센서를 구비한 본체상판; 상기 본체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덮개; 및 상기 모니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덮개는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고, 상기 상판덮개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광 감지센서가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면, 상기 광 감지센서가 광선을 감지하여 상기 모니터가 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석 잠금장치에 의해 상판과 몸체가 고정되어 학생들이나 외부인이 상판을 열 수 없으므로 전자교탁의 보안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강의자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전자석 잠금장치가 풀린 후 상판이 자동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고, 상판이 열림에 따라 광 감지센서가 노출되어 모니터가 자동으로 부팅되므로 편리하고 빠르게 전자교탁을 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된 강의자의 인증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로 모니터의 기울기가 조정되므로 강의자는 매번 모니터의 기울기를 조정할 필요 없이 자신이 설정한 각도로 자동으로 조정된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이 시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의 상판덮개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자교탁(100)은 강의실 내부에 구비되어 각종 외부장치와 연계되며 각각의 외부장치를 제어하고, 강의자에게 강의 관련 내용이나 파일, 저장된 자료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자교탁(100)은 예컨대, 외부장치인 빔프로젝터, 스피커, 앰프 및 프로젝터 스크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100)은 본체하부(102), 본체상판(110), 메인모니터(114), 제어모니터(118), 상판덮개(120), 마이크(130), 앰프(140), 랩탑 연결부(150), 구동부(미도시) 및 통신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100)의 본체하부(102)는 지지대와 받침대로 이루어져 제작될 수 있으며, 최하부에는 복수의 바퀴를 구비하여 손쉽게 이동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바퀴가 구비된 경우에는 바퀴에 제동장치 또는 고정장치가 설치되어 전자교탁(100)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100)의 본체상판(110)은 메인모니터(114)와 제어모니터(118)를 구비하며,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나 공간을 구비한다.
메인모니터(114)는 화면이 대략 위를 향하여 노출되어 강의자가 가장 보기 좋은 각도로 설치되며, 강의자에게 강의내용, 발표내용, 각종 파일, 자료,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모니터(118)는 강의자로부터 외부장치인 빔프로젝터, 스피커, 앰프 및 프로젝터 스크린 등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것이 사용 편의성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체상판(110)은 또한 강의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마이크(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체상판(110) 또는 본체하부(102)의 내부에는 마이크(130)로 수신된 강의자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고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앰프(14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본체상판(110)은 랩탑 연결부(1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랩탑 연결부(150)는 사용자가 전자교탁(100)과 랩탑을 연동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동부 및 통신부는 본체하부(102) 내부에 구비되어 메인모니터(114)를 비롯한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구동부 및 통신부는 본체하부(102)의 내부에 구비된다고 기재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동부 및 통신부는 본체상판(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부는 메인모니터(114)에 강의내용, 발표내용, 각종 파일, 자료,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밖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두가지 주요 기능을 가진다. 구동부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감당할 수 있는 사양을 갖춘 데스크탑 컴퓨터의 본체로 대체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랩탑 연결부(150)를 통하여 랩탑과 전자교탁(100)을 연결하여 연동시키면, 사용자는 전술한 구동부 대신에 랩탑을 이용하여 메인모니터(114)에 강의내용, 발표내용, 각종 파일, 자료,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밖의 외부 장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제어모니터(118)로부터 빔프로젝터, 스피커, 앰프 및 프로젝터 스크린 등의 온/오프, 밝기, 음성크기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를 통하여 위의 제어신호를 빔프로젝터, 스피커, 앰프 및 프로젝터 스크린 등으로 전송하여 온/오프, 밝기, 음성크기 상태를 제어한다. 통신부는 빔프로젝터, 스피커, 앰프 및 프로젝터 스크린 등과 RS-232C 표준 인터페이스, USB, Ethernet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강의자의 단말기와 유선통신으로, 혹은, 무선랜(WIFI),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동부는 인증정보 입력부(112)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증정보를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로 판단하여 전자석 잠금장치(210)를 해제한다. 또한, 상판덮개(120)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본체상판(110)에 구비된 기어(224)에 연결된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킨다.
상판덮개(120)는 본체상판(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및 광 감지센서를 보호하는 덮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아래측에 돌출부(122)를 갖추고 있어 상판덮개(120)에 교재나 강의자료를 올려놓았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의 상판덮개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와 같이, 상판덮개(120)는 본체상판(110)의 윗면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개폐된다.
구동부가 인증정보 입력부(112)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전자석 잠금장치(210)가 해제되고, 상판덮개(120)가 열리고 나면 광 감지센서(116)가 광선을 인지하여 메인모니터(114)가 부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광 감지센서(116)는 상판덮개(120)가 열린 상태에서만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판덮개(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의 광선이 혹여 새어 들어오더라도 외부의 광선과 접촉되지 않도록 본체상판(11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광 감지센서(116)는, 바람직하게는 상판덮개(120)가 슬라이딩하여 열리는 방향 끝단으로부터 4분의 3 내지 2분의 1 지점의 사이에 위치한다. 광 감지센서(116)는 또한, 본체상판(110)의 전방향(아래쪽)과 후방향(바깥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지점에 위치한 광 감지센서(116)는, 상판덮개(120)가 닫혀 있을 때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지 않고, 상판덮개(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의 광선이 상판덮개(120)와 본체상판(110)의 틈새를 통해서 새어 들어오더라도 외부의 광선과 접촉하지 않는다.
구동부는 광 감지센서(116)가 감지한 광선의 밝기에 대해 설정된 한계점(threshold brightness)을 가지고 있다. 구동부는 광 감지센서(116)가 기 설정된 밝기 이상의 광선을 감지했을 때만 메인모니터(114)를 부팅시키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이 시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잠금장치 잠금 상태의 전자교탁(1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잠금장치 풀림 상태의 전자교탁(1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덮개가 열린 상태의 전자교탁(1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부팅되는 상태의 전자교탁(1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기울기가 조정되는 상태의 전자교탁(100)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의 순서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100)이 시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의 본체상판(110)에 구비된 인증정보 입력부(112)에 보안키 또는 보안카드를 접근시켜서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전자석 잠금장치(210)에 의하여 고정되었던 상판덮개(120)와 본체상판(110)의 잠금이 풀리고 상판덮개(120)가 본체상판(110)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열리며, 이에 따라 광 감지센서(116)가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어 구동부가 자동으로 부팅되어 사용자가 메인모니터(114) 및 제어모니터(118)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부는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를 인증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설정한 각도에 따라 조정한다.
인증정보 입력부(112)는 RFID 인식장치로 구현되며, RFID 인식기술을 이용하여 RFID 태그가 부착된 보안키나 보안카드를 통하여 인증정보를 입력받는다.
인증정보 입력부(112)가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반드시 RFID 인식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블루투스(Bluetooth) 기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방식에 있어서도 지문인식시스템, 홍채인식, 비밀번호 등의 인증방식으로 인증하여 상판덮개(120)의 상태가 제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판덮개(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판덮개(120)가 슬라이딩하여 열리지 않도록 전자석 잠금장치(210)에 의하여 잠겨서 본체상판(110)과 고정된다.
전자석 잠금장치(210)의 전자석(212)은 본체상판(110) 상부의 상판덮개(120)와 접하는 하나의 지점 홈에 구비되며, 영구자석(214)은 상판덮개(120) 하부의 본체상판(110)과 접하는 하나의 지점 홈에 구비된다.
도면에 미도시된 전원장치에 의하여 전자석(212)에 감긴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발생된 자속에 의하여 자성을 띄게 된 전자석(212)은 인력에 의해 영구자석(214)에 붙게 되어 전자석 잠금장치(210)가 잠금 상태가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석(212)에 감긴 도선에 전류가 차단되었을 경우, 전자석(212)은 자성을 잃고 영구자석(214)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판덮개(120)와 본체상판(110)의 잠김은 해제되게 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자석 잠금장치(210)의 잠김이 해제되고 난 후, 구동부는 본체상판(110)에 구비된 기어(224)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기어(224)가 회전하고, 슬라이딩 레일(222)을 통하여 상판덮개(120)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상판덮개(12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여기서는 기어(224)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하여 상판덮개(120)를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사용자는 수동으로 상판덮개(120)를 밀어 슬라이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는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판덮개(120)가 열림에 따라 광 감지센서(116)가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고, 광 감지센서(116)가 외부의 광선을 감지하면 구동부는 메인모니터(114)를 시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감지센서(116)는 상판덮개(120)가 슬라이딩하여 열리는 방향 끝단으로부터 4분의 3 내지 2분의 1 지점의 사이에 위치하고, 본체상판(110) 상부의 전방향(안쪽)과 후방향(바깥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므로, 상판덮개(120)가 열린 상태에서만 외부의 광선에 노출되고, 상판덮개(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의 광선이 세어들어오더라도 외부의 광선과 접촉되지 않는다.
도 2e를 참조하면, 메인모니터(114)는 부팅됨과 동시에 구동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기울기가 조정된다.
전자교탁(100)은 본체상판(110)에 구비된 전동레일(230), 체결부(232) 및 회전기어(234)를 이용하여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전자교탁(100)은 구동부에 미리 설정된 각도값에 대응하는 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전동레일(230)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하여 전동레일(2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교탁(100)은 전동레일(2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동레일(230)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기어(234)가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 모니터(114)의 기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교탁(100)은 전동레일(30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동레일(230)의 이동방향에 따라 회전기어(23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 모니터(114)의 기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메인모니터(114)가 부팅되고 나면 전자교탁(100)은 구동부에 미리 설정된 각도값에 따라 전동레일(230)을 이동시켜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구동부는 인증정보 입력부(112)에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에 따라 다르게 기 설정된 메인모니터(114)의 각도값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구동부는 인증정보 입력부(112)에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에 따른 각도값에 따라 전동레일(230)을 이동시켜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예컨대, 인증정보 입력부(112)에 입력된 사용자가 저장해 놓은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가 30도이면, 구동부는 전동레일(230)을 이동시켜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를 30도로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e는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의 순서로 변환하여 전자교탁(100)이 구동되는 단계를 설명하고 있으나, 전자교탁(100)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이해하기 위하여는 도 2e, 도 2d, 도 2c, 도 2b, 도 2a의 순서로 참조하여야 한다.
즉, 전자교탁(100)의 강의자가 전자교탁(100)의 사용을 마치고 인증정보 입력부(112)에 다시 한번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구동부는 메인모니터(114)의 기울기 각도가 0이 되도록 전동레일(232)을 움직여 메인모니터(114)의 각도를 조정하며 메인모니터(114)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판덮개(120)가 본체상판(110) 위에서 슬라이딩하여 닫히도록 하고, 전자석 잠금장치(210)가 잠기도록 하여 상판덮개(120)와 본체상판(11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전자석(212)이 본체상판(110)에 구비되고, 영구자석(214)이 상판덮개(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전자석(212)이 상판덮개(120)에 구비되고, 영구자석(214)이 본체상판(110)에 구비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는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교탁(100)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덮개와 본체상판이 전자석 잠금장치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외부인이 사용할 수 없고, 강의자가 인증정보를 입력하거나 보안카드 등을 접근시키면 전자석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상판덮개가 자동으로 열리고 이에 따라 광 감지센서가 노출되어 모니터까지 자동으로 부팅된다. 따라서 전자교탁의 보안성이 강화되고, 편리하고 빠르게 전자교탁을 시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된 강의자의 인증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각도로 모니터의 기울기가 조정되므로 강의자는 매번 모니터의 기울기를 조정할 필요 없이 자신이 설정한 각도로 자동으로 조정된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자교탁 102 : 본체하부
110 : 본체상판 112 : 인증정보 입력부
114 : 메인모니터 116 : 광 감지센서
118 : 제어모니터 120 : 상판덮개
122 : 돌출부 130 : 마이크
132 : 무선 마이크 140 : 앰프
150 : 랩탑 연결부 210 : 전자석 잠금장치
212 : 전자석 214 : 영구자석
222 : 슬라이딩 레일 224 : 기어
230 : 전동레일 232 : 체결부
234 : 회전기어

Claims (8)

  1. 모니터 및 광 감지센서를 구비한 본체상판;
    상기 본체상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덮개;
    상기 모니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본체하부; 및
    상기 상판덮개의 홈에 영구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상판덮개의 홈과 접하는 상기 본체상판의 위치에 구비된 홈에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석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석 잠금장치는 사용자의 인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자석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전자석이 상기 상판덮개의 홈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과 탈착되어 잠금을 해제하고,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상판덮개가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도록 하며,
    상기 상판덮개가 열리는 동안 상기 본체상판의 기 설정된 일방향 끝단으로부터 4분의 3 내지 2분의 1 지점에 위치한 상기 광 감지센서가 외부의 광선을 감지하면 상기 모니터를 시동하고, 상기 모니터를 시동함과 동시에 상기 인증정보에 기 설정된 각도로 상기 모니터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덮개는,
    상기 본체상판과 접하는 면에 슬라이딩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상판은,
    상기 상판덮개가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상판은,
    상기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상판은,
    인증정보 입력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인증정보 입력부로부터 상기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정보가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상판덮개의 잠금이 풀리고 슬라이딩하여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지센서는,
    상기 상판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의 광선이 접촉하지 않고, 상기 상판덮개가 슬라이딩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의 광선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상판의 상기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8. 삭제
KR1020150024979A 2015-02-23 2015-02-23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KR101597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79A KR101597722B1 (ko) 2015-02-23 2015-02-23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979A KR101597722B1 (ko) 2015-02-23 2015-02-23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722B1 true KR101597722B1 (ko) 2016-02-26

Family

ID=5544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979A KR101597722B1 (ko) 2015-02-23 2015-02-23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832A (zh) * 2017-11-30 2018-05-01 陈伟望 一种自动防护电视机柜
KR102402034B1 (ko) * 2022-02-09 2022-05-26 (주) 아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하는 원격제어를 융합한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580A (ko) * 2009-09-21 2011-03-29 임아현 디지털 보석함
KR200453959Y1 (ko) * 2010-11-05 2011-06-09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 유동방지 장치
KR101436312B1 (ko) * 2014-02-24 2014-09-02 (주)피케이엘앤에스 모니터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교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580A (ko) * 2009-09-21 2011-03-29 임아현 디지털 보석함
KR200453959Y1 (ko) * 2010-11-05 2011-06-09 주식회사 리비젼프로젝트 전자 강의용 탁자의 상판 커버 유동방지 장치
KR101436312B1 (ko) * 2014-02-24 2014-09-02 (주)피케이엘앤에스 모니터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교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9832A (zh) * 2017-11-30 2018-05-01 陈伟望 一种自动防护电视机柜
KR102402034B1 (ko) * 2022-02-09 2022-05-26 (주) 아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인식 기능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하는 원격제어를 융합한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
KR102424139B1 (ko) * 2022-02-09 2022-07-22 (주) 아하 인공지능 기능 및 사물인터넷 기능을 융합한 보안성이 향상된 디지털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
KR102424138B1 (ko) * 2022-02-09 2022-07-22 (주) 아하 인공지능 기능에 기반하는 강의 진행 및 사물인터넷 기능에 기반하는 원격제어를 융합한 디지털 전자교탁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441B1 (ko) 엔에프시 통신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55875B2 (en) Accessory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8789802B2 (en) Tablet computing device system
US73091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projector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BR122017012064A2 (pt) montagem de conector para um dispositivo eletrônico
CA3026963A1 (en) Padlock device, systems including a padlock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for
US10097265B2 (en) Techniques for position-based actions using light-based communication
CN102525118B (zh) 一种多媒体讲台系统
US20200268144A1 (en) Modular desks
EP3477432A1 (en) Electronic device, input/output apparatus, and use method of input/output apparatus
KR102079044B1 (ko) 온/오프라인에서의 원격강의와 주변기기의 통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전자교탁
KR101597722B1 (ko) 전자인증에 의해 시동되는 전자교탁
US117894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opening hinged components of electronic devices
CN102592070B (zh) 双屏幕pc
US10729025B1 (en) Display device with lock cover structure
CN205955426U (zh) 一种应用于壁挂教学终端的电控锁
KR20160004696A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금고 및 이를 이용한 보관소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1436312B1 (ko) 모니터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전자교탁
TWM366840U (en) Computer digital photographing mobile phone with the capabilities of dual-face touch screen/movable keyboard/expandable antenna and lens/instant camera
KR102076352B1 (ko) 단말 장치를 이용한 금고 관리 시스템
JP2014519786A (ja) Nfc通信方式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制御方法
EP4024358A1 (en) A method for pairing a remote controller with a device
CN209883380U (zh) 一种信息化电子讲台
CN202504575U (zh) 一种多媒体讲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