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89B1 -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89B1
KR101597089B1 KR1020140043380A KR20140043380A KR101597089B1 KR 101597089 B1 KR101597089 B1 KR 101597089B1 KR 1020140043380 A KR1020140043380 A KR 1020140043380A KR 20140043380 A KR20140043380 A KR 20140043380A KR 101597089 B1 KR101597089 B1 KR 10159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outdoor
spraying
outdoo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218A (ko
Inventor
이정언
Original Assignee
보평그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평그린(주) filed Critical 보평그린(주)
Priority to KR102014004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089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9/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 F25B19/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using fluid jet, e.g. of steam
    • F25B19/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vaporation of a refrigerant but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using fluid jet, e.g. of steam using liquid jet, e.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7/00Devices using evaporation effects without recovery of the vap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외 응축기와, 상기 실외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 하류의 냉매 라인에 마련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내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응축기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냉각 가능하게 분무를 형성하는 분무부를 포함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증발잠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냉각된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포그 에어를 발생시키는 분무장치에 복수의 냉동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Cooling System with Spray Device for Outdoor Cooling Coil Cooling System using Fog Air}
본 발명은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 응축기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조를 개선한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건물, 공장, 클린 룸, 식물 공장 등의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를 필요로 하는 상태로 조절하기 위하여 공조 시스템이 사용된다. 실내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이 적정하면 실내에 생활하는 인간에게 쾌적성, 건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실내에서 성장하는 식물 등에게는 성장성, 건강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조 시스템 등을 운영하기 위하여 온실가스 배출에 다른 요금 부하, 화석연료나 전기를 사용하는 데 따른 비용 상승 등으로 인하여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한 비용이 급격하게 증대하는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전기에너지는 80% 이상이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부담이 증대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가격 변동에 민감한 편이다. 전기에너지는 계절별로 부하변동이 심하여 여름철에는 냉동부하로 겨울철에는 난방부하로 각각 비상전력 체계로 운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여건으로 인해 지난 10년간 전기요금이 60%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전력요금 상승 폭은 해마다 증가될 추세이므로 에너지 소비가 덜 되는 고효율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의 하나로 전기에너지가 특히 여름철에 많이 소요되는 냉동기, 에어컨장치에 포함되어 외기에 있는 응축코일의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834101호(2008.06.02), 제10- 0688351호(2007.03.02)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분무되는 수분이 투습소재 등에 흡수되어 증발되어 증발되는 효율이 다소 떨어진다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증발잠열을 이용하면서도 냉각된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잠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냉각된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그 에어를 발생시키는 분무장치에 복수의 냉동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무에 의하여 잔존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위생성과 환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외 응축기와, 상기 실외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 하류의 냉매 라인에 마련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내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응축기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냉각 가능하게 분무를 형성하는 분무부를 포함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분무부에서 형성되는 물입자의 평균크기는 20 ~ 50㎛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압력은 60 ~ 110 bar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무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분무부로 가압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펌프에 상기 냉동장치가 복수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는 각 냉동장치의 분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서 가압된 물은 각 냉동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는 토출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통과하여 상기 물탱크로 리턴되는 리턴라인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외 응축기와, 상기 실외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 하류의 냉매 라인에 마련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내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응축기로 유입되는 공기 유로 상에 일측이 물탱크의 물과 접촉되고 단면적이 상기 유로상을 가로질러 결합된 냉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냉각부재에 포함된 수분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잠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냉각된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포그 에어를 발생시키는 분무장치에 복수의 냉동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무에 의하여 잔존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위생성과 환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도 1의 계통도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냉동장치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일반 냉동사이클과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을 비교하는 그래프,
도 5는 분무 입자의 크기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에어 포그가 적용된 경우의 냉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이하에서 ‘냉동시스템’이라 함, 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의 계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계통도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냉동장치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일반 냉동사이클과 본 발명에 따른 냉동사이클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며, 도 5는 분무 입자의 크기에 대한 그래프이며, 도 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에어 포그가 적용된 경우의 냉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냉각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냉동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장치(110)와 냉동장치(110)측에 분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분무장치(130)를 구비한다.
냉동장치(110)는 냉동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113)와, 상기 압축기(113)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외응축기(흔히 ‘응축기’라고도 함, 117)와, 상기 실외응축기(117)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15)와, 상기 팽창밸브(115) 하류의 냉매 라인에 마련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내응축기(흔히 ‘증발기’라고 함, 119);를 포함한다. 냉동장치(110)는 공장, 사무실, 가정, 냉동고, 저장창고 등의 실내, 저장 공간 등의 온도나 습도를 원하는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에어컨, 냉장고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냉동장치(110)는 도 4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따라 작동하게 된다. 즉, 열을 운반하는 데는 냉매가 주입되어 이는데, 냉매는 증발기( , 4→1)에서 외부로 부터 열을 흡수[실내]하면서 증발(액체→기체)하고 저온 저압의 가스 상태가 되어 압축기(113)로 흡입된다. 압축기(113, 1→2)에서는 냉매가 압축되면서 고온 고압상태가 되어 실내응축기(117)로 이동되며, 실내응축기(117, 2→3)에서는 열을 방출하면서 냉매는 액화된다. 고압의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115, 3→4)에서 감압되고, 저온 저압 액화 상태의 냉매는 실외응축기(119)인 증발기로 들어간다. 에어컨 또는 냉장고를 포함하는 냉동장치(110)는 이러한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온의 열을 회수하고 압축기(113) 동력을 부과하여 필요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킨다.
이때 실외응축기(117)의 온도는 압축기(113)에 동력과 연동되어 있다. 즉 실외응축기(117)의 응축온도가 ‘T1’에서 ‘T2’로 떨어지면, 압축기(113)의 동력은 ‘AW1’에서 ‘AW2’로 줄어든다. 즉 냉동장치(110)의 응축온도를 줄이게 되면 운전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동장치(110)의 온도를 줄이기 위해 포그 에어(Fog Air, 미세 액적을 함유한 공기)를 분사하여 실외응축기(117) 또는 실외응축기(117)와 열전달 가능하게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떨어뜨려 냉동장치(110)를 운전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는 것이다.
다른 한편, 통상적으로 에어컨을 사용할 때 외기의 온도가 거의 30℃이상이므로, 뜨거운 여름철의 공기로 실외응축기(117)를 냉각하여도 냉각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실외응축기(117)의 냉각이 잘 안될 때 도 4의 ph 선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기(113)에서 그 더 많은 동력을 소모하여야 한다. 또한 여름철의 외기 온도가 34℃이상일 경우에는 실외응축기(117) 냉각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에어컨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실외응축기(117)의 온도를 더 떨어뜨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냉동장치(110)의 실외응축기(117)로 유입되는 외기에 분무장치(130)에서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포그 에어(Fog air)를 생성하여 공기의 온도를 약 5℃이상 낮추어 실외응축기(117)에 공급함으로서 실외응축기(117)의 온도를 낮추어 냉동장치(110)에 소요되는 동력을 줄여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다.
분무장치(130)는 상기 실외응축기(117)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냉각 가능하게 분무를 형성하는 분무부(133)와,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37)와; 상기 물탱크(137)와 연통되어 상기 분무부(133)로 가압된 물을 공급하는 펌프(131);를 포함한다.
수돗물이나 공업용수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부유 입자를 필터(139) 등으로 제거하여 물탱크(137)에 저장한다. 물탱크(137)에 저장하는 물은 후술하는 리턴라인(135)에서의 물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보충수가 공급되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장치(130)의 펌프(131)에서 가압된 물을 포함하는 유체는 토출라인(131a)을 거쳐 토출라인(131a)에서 복수(예을 들어 ‘n’ 개)의 분무라인(133a)으로 분기(도 1 및 도 2에서 ‘133a-1’, ‘133a-2’, ‘133a-3’, ..., 및 ‘133a-n’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분무부(133)는, 분무라인(133a)과, 분무라인(133a)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개폐시키는 분무개폐밸브(133d)와,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33c)와, 각 분무라인(133a)의 말단부에 복수로 결합된 분무노즐(133b)을 포함한다.
분무노즐(133b)에 걸리는 압력은 약 50 내지 110 bar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압력범위에서 분무노즐(133b)을 적절하게 선정하여 후술하는 입자를 갖는 분무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부된 입자는 실외응축기(117)로 빨려 들어가는 공기에 혼입되어 실외응축기(117)와 접촉하고 다소 높은 온도의 실외응축기(117)의 표면에 접촉된 물입자는 기화하면서 실외응축기(117)의 열을 저감시키면 실외응축기(117) 내측의 냉매의 온도가 저감될 수 있다.
여기서, 분무노즐(133b)에 분사되는 물입자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완전한 증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외응축기(117) 하측으로 흘러내려 고이고, 이러한 물기, 수분에 의해 기계 부식, 곰팡이 발생 등의 우려가 있다. 본 출원인의 시험 결과 물입자의 평균입경이 25 ~ 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입경보다 적으면 분무라인(133a)에서 너무 많은 압력이 걸리고 이러한 고압으로 인해 펌프(131)의 동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입결이 크면 증발이 완전하게 발생하지 않아 전술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도 5는 분무노즐(133b)에서 발생되는 물입자를 측정한 일예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그림의 검은 표 참조)을 나타낸다. 실험 조건은 2초간에 거쳐 노즐 직경 0.15mm에서 110bar로 가압하여 1m 거리에서 70배로 확대한 사진으로 분무되는 물입자의 입도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분무노즐(133b)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의 가로방향으로 분무가 될 수 있도록 공기 흐름의 가장자리에서 공기 흐름의 중앙측을 향하도록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분무노즐(133b)은 배치되는 간격, 분무라인(133a)의 크기, 펌프(131) 용량, 실외응축기(117)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개수, 분사각도 등이 결정된다. 또한, 분사각도가 작으면 분무되는 물입자의 길이가 길고, 분사각도가 크면 분무되는 물입자의 길이가 짧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시스템(100)의 효과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30℃의 외기 온도 조건에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외부 공기로만 실외응축기(117)를 냉각했을 때의 사용 전력량과 본 발명에 따른 분무장치(130)를 이용하여 포그 에어(Fog Air)로 실외응축기(117)를 냉각했을 때의 사용 전력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의 평균 전력 사용량은 2.8KW이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균 전력 사용량은 1.9KW로 측정되어 에너지 절감이 약 30%정도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포그(Fog) 생산을 위한 펌프(131)의 동력은 45W로 파악되어 절감량(0.9KW)에 비해 소요 동력(0.045KW)은 매우 적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해 볼 때, 물을 포함하는 하나의 유체를 분무노즐(133b)에서 발생시킨 포그(Fog)를 공기와 함께 실외응축기(117)를 냉각하는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 효과가 30%정도 되는 유효한 기술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전이 용이하므로, 건물 에너지 절감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다른 한편, 펌프(131)에서 토출되는 토출라인(131a)의 유체가 전부 냉동장치(110)로 공급될 경우에는 토출라인(131a)에서 펌프(131)를 냉각시키는 냉각부(135a)를 통해 물탱크(137)로 리턴되는 리턴라인(135)으로 흐르는/회수되는 물은 없다.
여기서, 각 냉동장치(110)가 가동이 되지 않은 경우 분무개폐밸브(133d)의 작동이 멈추가 되는데 이 때 일부의 냉동장치(110)라도 작동이 되면 펌프(131)는 작동이 되어 토출라인(131a)으로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나, 공급되는 유체에서 남는 량은 리턴이 되도록 리턴라인(135)의 리턴밸브(135b)가 개방된다. 이러한 제어는 미도시한 제어부에서 각 냉동장치(110)의 작동여부와 토출되는 압력 등을 고려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잠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도 냉각된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포그 에어를 발생시키는 분무장치에 복수의 냉동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무에 의하여 잔존하는 물의 량을 최소화하여 위생성과 환경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동시스템(200)은, 상기 실외응축기(117)로 유입되는 공기 유로(250) 상에 일측이 물탱크(137)의 물과 접촉되고 단면적이 상기 공기 유로(250)상을 가로질러 결합된 냉각부재(230)를 구비하여 상기 공기 유로(25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냉각부재(230)에 포함된 수분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부재(230)는 기공이 많이 형성된 섬유제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에서와 같이 실외응축기(117)의 냉각을 위해 외기가 공급되는 공기통로(250)의 하부측으로부터 공기가 미도시된 팬에 의해 흡입되어 상부로 빠져나가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때 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실외응축기(117)로 들어가기 전 냉각부재(230)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온도가 하강한다. 차가워진 공기는 실내응축기(117)의 온도를 낮추게 하므로 냉동장치(200)의 운전 동력을 줄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냉각부재(230)는 물탱크(210)의 물에 잠겨 있어 물에 항상 젖어 있으며, 공기가 냉각부재(230)를 지나면서 냉각부재(230)에 부착된 물을 기화시키고, 냉각부재(230)의 표면에서 물이 기화되면 표면에서 물이 기화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냉각부재(230)로 다시 물이 스며들고 다시 공기에 의해 기화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공기의 온도를 낮춰 실외응축기(117)의 냉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효율보다 다소 떨어지고 비위생적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갖지만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냉동시스템 110 : 냉동장치
113 : 압축기 115 : 팽창밸브
117 : 실외응축기 119 : 실내응축기
130 : 분무장치 131 : 펌프
131a : 토출라인 133 : 분무부
133a : 분무라인 133b : 분무노즐
133c : 체크밸브 133d : 분무개폐밸브
135 : 리턴라인 135a : 냉각부
135b : 리턴밸브 137 : 물탱크
139 : 필터

Claims (5)

  1.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외 응축기와, 상기 실외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 하류의 냉매 라인에 마련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 가능하게 마련된 실내 응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응축기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를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냉각 가능하게 분무를 형성하는 분무부를 포함하는 분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무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분무부로 가압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펌프에 상기 냉동장치가 복수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는 각 냉동장치의 분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상기 펌프에서 가압된 물은 각 냉동장치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펌프에서 토출되는 토출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펌프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통과하여 상기 물탱크로 리턴되는 리턴라인으로 흐르드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에서 형성되는 물입자의 평균크기는 20 ~ 50㎛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부에서 분무되는 압력은 60 ~ 110 ba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43380A 2014-04-11 2014-04-11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KR10159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80A KR101597089B1 (ko) 2014-04-11 2014-04-11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80A KR101597089B1 (ko) 2014-04-11 2014-04-11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202A Division KR20160010855A (ko) 2015-11-30 2015-11-30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18A KR20150118218A (ko) 2015-10-22
KR101597089B1 true KR101597089B1 (ko) 2016-02-25

Family

ID=5442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80A KR101597089B1 (ko) 2014-04-11 2014-04-11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51B1 (ko) 2023-02-15 2023-06-20 천상일 미스트 분무방식을 활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407B2 (ja) * 2017-03-07 2020-10-21 株式会社フェザーグラス 除熱方法及び除熱システム
CN114017868B (zh) * 2022-01-04 2022-05-06 浙大宁波理工学院 一种光伏供能的空气调节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819A (ja) * 2005-01-20 2006-08-03 Fuji Koki Corp 補助冷却装置用クーリング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補助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053B1 (ko) * 2001-08-17 2004-10-2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혼합응축방식을 이용한 에어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819A (ja) * 2005-01-20 2006-08-03 Fuji Koki Corp 補助冷却装置用クーリング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補助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51B1 (ko) 2023-02-15 2023-06-20 천상일 미스트 분무방식을 활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218A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4987B (zh) 冷热多功节能系统
CN102359738B (zh) 一种热管与制冷系统复合式能量输运方法
CN102472537B (zh) 空气调节热水供给系统
CN102252380A (zh) 带新风预处理装置的溶液调湿空调机组
CN102116537A (zh) 一种溶液喷淋型热泵机组
S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a novel frost-free air source heat pump system combined with liquid desiccant dehumidification and closed-circuit regeneration
CN102620361A (zh) 带除湿功能的热泵空调及其控制方法
CN205747570U (zh) 蒸发式冷凝空调热泵系统
KR101597089B1 (ko)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CN103759468B (zh) 一种双温热源热泵系统
CN103162362A (zh) 一种节能水冷式空调机
CN202254029U (zh) 一种溶液喷淋型热泵机组
KR20110139906A (ko) 히트펌프형 항온항습기
CN101793427A (zh) 可连续喷雾的风冷雾化蒸发式冷凝系统及空气调节方法
CN207991017U (zh) 雾化喷淋装置和制冷机组
CN114264109A (zh) 一种冷却分散用户端的冷网首站系统
JP3145551U (ja) 空調装置
CN105526731A (zh) 一种蒸发式冷凝空调热泵系统
CN101893297A (zh) 柜式水冷空调机
CN109282397B (zh) 基于空气压缩制冷循环的新型蓄能空调装置和方法
CN203758069U (zh) 中央空调制冷回路系统
KR20160010855A (ko) 포그 에어(Fog Air)를 이용한 실외 응축기용 분무장치를 갖는 냉동시스템
KR101309625B1 (ko) 물 증발식 냉방장치
CN203036917U (zh) 一种带制冷剂泵的终端制冷系统和数据中心终端制冷系统
CN109282371A (zh) 空调微雾冷却节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