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58B1 - Cold-rolled steel sheet - Google Patents

Cold-rolled ste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58B1
KR101597058B1 KR1020147003047A KR20147003047A KR101597058B1 KR 101597058 B1 KR101597058 B1 KR 101597058B1 KR 1020147003047 A KR1020147003047 A KR 1020147003047A KR 20147003047 A KR20147003047 A KR 20147003047A KR 101597058 B1 KR101597058 B1 KR 10159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steel sheet
phase
rolling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0335A (en
Inventor
준 하가
다쿠야 니시오
마사유키 와키타
야스아키 다나카
노리오 이마이
도시로 도미다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4369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970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50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8319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50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8318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50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8320B2/en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3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연성, 가공 경화성, 신장 플랜지성이 뛰어나고, 인장 강도가 780MPa 이상의 고장력 냉연 강판은, 질량%로, C:0.020% 초과 0.30% 미만, Si:0.10% 초과 3.00% 이하, Mn:1.00% 초과 3.50% 이하를 함유하는 화학 조성과,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가진다.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4.0% 초과 25.0% 미만, 평균 입경이 0.80μm 미만이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입경이 1.2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가 3.0×10-2개/㎛2 이하이다.C: not less than 0.020%, not more than 0.30%, Si: not less than 0.10% but not more than 3.00%, Mn: not more than 1.00%, not more than 3.50%, and a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stretch flangeability and high tensile strength of 780 MPa or more. And a metal structure containing residual austenite in the second phase. The residual austenite is the volume ratio is less than 4.0%, greater than 25.0%,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entire tissue is less than 0.80μm, the number dens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residual austenite grain diameter is less than 1.2μm 3.0 × 10 -2 탆 / 2 or less.

Description

냉연 강판{COLD-ROLLED STEEL SHEET}Cold rolled steel sheet {COLD-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뛰어난 고장력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rolled steel she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산업 기술 분야가 고도로 세분화한 현재, 각 기술 분야에 있어서 이용되는 재료에는, 특수하고 또한 고도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하여 사용되는 냉연 강판에 대해서도, 프레스 형상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보다 뛰어난 성형성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 높은 강도가 요구되게 되어, 고장력 냉연 강판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용 강판에 관해서는, 지구 환경으로의 배려로부터, 차체를 경량화하여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박육 고성형성의 고장력 냉연 강판의 수요가 현저히 높아지고 있다. 프레스 성형에 있어서는,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가 얇을수록, 균열이나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연성이나 신장 플랜지성이 보다 뛰어난 강판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레스 성형성과 강판의 고강도화는 배반하는 특성이며, 이들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다.BACKGROUND ART At present, as the industrial technology field is highly fragmented, special and high performance is required for the materials used in each technical field. For example, even for cold-rolled steel sheets used by press forming, more excellent formability is required along with the diversification of the press form. Further, high strength is required, and application of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s been studied.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steel sheets for automobiles, the demand for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s with a thin steel sheet is remarkably increased 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from consideration for the global environment to improve fuel economy. In press forming, a thinner steel sheet used tends to cause cracks and wrinkles, so a steel sheet having more ductility and elongation flangeability is required. However, such press formability and high strength of the steel sheet are characteristics of betrayal, and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satisfy these properties.

지금까지, 고장력 냉연 강판의 프레스 성형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마이크로 조직의 미세립화에 관한 기술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Ar3점 근방의 온도역에서 합계 압하율 80% 이상의 압연을 행하는, 극미세립 고강도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압하율 40% 이상의 압연을 연속하여 행하는, 초세립 페라이트강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Heretofore,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ess formability of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many techniques for microfabrication of microstructure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producing a fine-grain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in which rolling is performed at a total rolling reduction of 80% or more at a temperature near the Ar 3 point in the hot rolling step. Patent Literature 2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super fine grain ferrite which continuously performs rolling at a reduction ratio of 40% or more in the hot rolling step.

이들 기술에 의해, 열연 강판에 있어서 강도와 연성의 밸런스가 향상하지만, 냉연 강판을 미세립화하여 프레스 성형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특허 문헌에 어떠한 기재도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대압하 압연에 의해 얻어진 세립 열연 강판을 모재로 하여 냉간 압연 및 소둔을 행하면, 결정 입자가 조대(粗大)화하기 쉬워, 프레스 성형성이 뛰어난 냉연 강판을 얻는 것은 어렵다. 특히, Ac1점 이상의 고온역에서 소둔하는 것이 필요한, 금속 조직에 저온 변태 생성상이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복합 조직 냉연 강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소둔시의 결정 입자의 조대화가 현저하고, 연성이 뛰어나다고 하는 복합 조직 냉연 강판의 이점을 향수할 수 없다.These techniques improve the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ductility in the hot-rolled steel sheet, but there is no description in the patent literature on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ess-formability by microfilling the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s of the present inventors, it is difficult to obtain a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press-formability because cold-rolled and annealed using the fine-grained hot-rolled steel sheet obtained by the large-reduction rolling as a base material tends to make coarse crystal grains. Particularly, in the production of a composite structure cold rolled steel sheet containing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forming phase or retained austenite in a metal structure which needs to be annealed at a high temperature of Ac 1 point or more, coarsening of crystal grains during annealing is remarkable, It is impossible to enjoy the advantage of the composite cold rolled steel sheet which is said to stand out.

특허 문헌 3에는, 열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 동적 재결정역에서의 압하를 5스탠드 이상의 압하 패스로 행하는, 초미세립을 가지는 열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열간 압연시의 온도 저하를 극도로 저감시킬 필요가 있어, 통상의 열간 압연 설비로 실시하는 것은 어렵다. 또, 열간 압연 후, 냉간 압연 및 소둔을 행한 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인장 강도와 구멍 확장성(신장 플랜지성)의 밸런스가 나빠, 프레스 성형성이 불충분하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a fine grain by performing a rolling down in a dynamic recrystallization zone in a hot rolling step by a downward stroke of 5 stands or more.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tremely reduce the temperature drop at the time of hot rolling, and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with the ordinary hot rolling equipment. In addition, examples of cold rolling and annealing after hot rolling are disclosed, but the balance between tensile strength and hole expandability (stretch flangeability) is poor and press formability is insufficient.

미세 조직을 가지는 냉연 강판에 관해서는, 특허 문헌 4에 평균 결정 입경이 10μm 이하인 페라이트 중에 평균 결정 입경이 5μm 이하인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분산시킨, 내충돌 안전성 및 성형성이 뛰어난 자동차용 고강도 냉연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금속 조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강판에서는, 가공 중에 오스테나이트가 마텐자이트화함으로써 발생하는 변태 야기 소성(TRIP)에 의해 큰 신장을 보이나, 경질인 마텐자이트의 생성에 의해 구멍 확장성이 손상된다. 특허 문헌 4에 개시되는 냉연 강판에서는, 페라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미세화함으로써, 연성 및 구멍 확장성이 향상한다고 되어 있는데, 구멍 확장비는 기껏해야 1.5이며, 충분한 프레스 성형성을 구비한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가공 경화 지수를 높여 내충돌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주상을 연질인 페라이트상으로 할 필요가 있어, 높은 인장 강도를 얻는 것이 어렵다.With regard to cold-rolled steel sheets having microstructure, Patent Document 4 discloses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s for automobiles having excellent collision safety and moldability, in which residual austenite having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of 5 탆 or less is dispersed in ferrite having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of 10 탆 or less . In a steel sheet containing retained austenite in a metal structure, a large elongation is exhibited due to the transformation-induced aging (TRIP) caused by martensitization of austenite during processing. However, due to the formation of hard martensite, do. In the cold-rolled steel shee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the ductility and hole expandability are improved by making the ferrite and the retained austenite fin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hole expanding ratio is at most 1.5 and sufficient press formability is provided. 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hardening index and improve the collision safet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ain phase a soft ferrite phase,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high tensile strength.

특허 문헌 5에는, 결정 입자 내에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또는 마텐자이트로 이루어지는 제2상을 미세하게 분산시킨, 신장 및 신장 플랜지성이 뛰어난 고강도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상을 나노 사이즈에까지 미세화하여 결정 입자 내에 분산시키기 위해, Cu나 Ni 등의 고가의 원소를 다량으로 함유시키고, 고온에서 장시간의 용체화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어, 제조 코스트의 상승이나 생산성의 저하가 현저하다.Patent Document 5 discloses a high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elongation and stretch flangeability in which fine particles of a second phase composed of residual austenite and / or martensite are finely dispersed in crystal grains. However, in order to finely disperse the second phase to nanosize and disperse it in the crystal grains,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a large amount of expensive elements such as Cu and Ni and to conduct a solution treatment for a long time at a high temperature, The productivity is remarkably deteriorated.

특허 문헌 6에는, 평균 결정 입경이 10μm 이하인 페라이트 및 뜨임 마텐자이트 중에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저온 변태 생성상을 분산시킨, 연성, 신장 플랜지성 및 내피로 특성이 뛰어난 고장력 용융 아연 도금 강판이 개시되어 있다. 뜨임 마텐자이트는 신장 플랜지성 및 내피로 특성의 향상에 유효한 상이며, 뜨임 마텐자이트를 세립화하면 이들 특성이 한층 향상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뜨임 마텐자이트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해서는, 마텐자이트를 생성시키기 위한 1차 소둔과, 마텐자이트를 뜨임하고 또한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얻기 위한 2차 소둔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큰 폭으로 손상된다.Patent Document 6 discloses a high-strength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in which residual austenite and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re dispersed in ferrite and temper martensite having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of 10 탆 or less and excellent ductility, stretch flangeability and endothelial property . Trim martensite is an effective phase for improvement of stretch flangeability and endothelial property, and it is sai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further improved by refining tume martensite. However, in order to obtain a metal structure containing temperate martensite and retained austenite, it is necessary to perform primary annealing for producing martensite, secondary annealing for trimming martensite and obtaining residual austenite So that the productivity is greatly damaged.

특허 문헌 7에는, 열간 압연 직후에 720℃ 이하까지 급냉시키고, 600~720℃의 온도역에서 2초간 이상 유지하여, 얻어진 열연 강판에 냉간 압연 및 소둔을 실시하는, 미세 페라이트 중에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분산한 냉연 강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7 discloses a hot rolled steel sheet which is quenched immediately after hot rolling to a temperature of 720 占 폚 or less and kept at a temperature range of 600 to 720 占 폚 for 2 seconds or longer to perform cold rolling and annealing on the obtained hot rolled steel she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d-rolled steel sheet is disclosed.

일본국 특허 공개소 58-12382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123823 일본국 특허 공개소 59-22941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9-229413 일본국 특허 공개평 11-15254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52544 일본국 특허 공개평 11-6132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61326 일본국 특허 공개 2005-17970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79703 일본국 특허 공개 2001-19276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92768 국제 공개 제 2007/15541호 팜플렛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7/15541 pamphlet

상기 서술의 특허 문헌 7에 있어서 개시되는 기술은, 열간 압연 종료 후, 오스테나이트에 축적된 가공 변형을 해방시키지 않고, 가공 변형을 구동력으로서 페라이트 변태 시킴으로써 미세립 조직이 형성되어, 가공성 및 열적 안정성이 향상한 냉연 강판이 얻어지는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7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end of hot rolling, a fine rib structure is formed by ferrite transformation of the work deformation as a driving force without releasing the work deformation accumulated in the austenite and the work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It is excellent in that an improved cold rolled steel sheet can be obtained.

그러나, 근년의 새로운 고성능화의 필요성에 따라, 높은 강도와 양호한 연성과 양호한 가공 경화성과 양호한 신장 플랜지성을 동시에 구비하는 냉연 강판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with the recent need for new high performance, there is a demand for a cold-rolled steel sheet which has high strength, good ductility, good work hardenability and good stretch flangeability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그러한 요청에 응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과제는, 뛰어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가지는, 인장 강도가 780MPa 이상의 고장력 냉연 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meet such a request. Specifically,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tensile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stretch flangeability and tensile strength of 780 MPa or more.

본 발명자들은, 고장력 냉연 강판의 기계 특성에 미치는 화학 조성 및 제조 조건의 영향에 대해 상세한 조사를 행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강의 화학 조성에 있어서의 각 원소의 함유량을 나타내는 「%」란 전체 질량%를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influence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high-tensile cold-rolled steel shee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 representing the content of each element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el means the total mass%.

일련의 공시강은, 질량%로, C:0.020% 초과 0.30% 미만, Si:0.10% 초과 3.00% 이하, Mn:1.00% 초과 3.50% 이하, P:0.10% 이하, S:0.010% 이하, sol.Al:2.00% 이하, N:0.010% 이하를 함유하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것이었다.A series of steels containing not less than 0.020% but not more than 0.30% of Si, more than 0.10% of not more than 3.00%, Mn of more than 1.00% of not more than 3.50%, P of not more than 0.10%, S of not more than 0.010%, sol . Al: not more than 2.00%, N: not more than 0.010%.

이러한 화학 조성을 가지는 슬래브를, 1200℃로 가열한 후, Ar3점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 다양한 압하 패턴으로 판두께 2.0mm까지 열간 압연하고, 열간 압연 후, 다양한 냉각 조건으로 720℃ 이하의 온도역까지 냉각하며, 5~10초간 공냉한 후, 90℃/s 이하의 냉각 속도로 다양한 온도까지 냉각하고, 이 냉각 온도를 권취 온도로 하며, 동 온도로 유지된 전기 가열로 중에 장입하여 30분간 유지한 후, 20℃/h의 냉각 속도로 노냉각하여, 권취 후의 서냉을 시뮬레이트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열연 강판을 산세(酸洗)하고, 50%의 압연율로 판두께 1.0mm까지 냉간 압연했다. 얻어진 냉연 강판을, 연속 소둔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로 가열하고, 95초간 유지한 후, 냉각하여, 소둔 강판을 얻었다.The slab having such a chemical composition was heated to 1200 캜 and then hot rolled to a plate thickness of 2.0 mm in various depressions in a temperature range of Ar 3 point or higher. After hot rolling, the slab was cooled After air cooling for 5 to 10 seconds, the mixture was cooled to various temperatures at a cooling rate of 90 ° C / s or lower, and this cooling temperature was taken as the winding temperature, charged into an electric heating furnac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and held for 30 minutes , And the furnace was cooled at a cooling rate of 20 DEG C / h to simulate annealing after winding. The hot-rolled steel sheet thus obtained was pickled and cold-rolled to a plate thickness of 1.0 mm at a rolling rate of 50%. The obtained cold-rolled steel sheet was heated to various temperatures using a continuous annealing simulator, held for 95 seconds, and cooled to obtain an annealed steel sheet.

열연 강판 및 소둔 강판으로부터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광학 현미경 및 전자선 후방 산란 패턴 해석 장치(EBSP)를 구비한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금속 조직을 관찰함과 더불어, X선 회절 장치(XRD)를 이용하여, 소둔 강판의 강판 표면으로부터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률을 측정했다. 또, 소둔 강판으로부터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고, 연성을 전체 신장에 의해 평가하며, 가공 경화성을 변형 범위가 5~10%의 가공 경화 지수(n값)에 의해 평가했다. 또한, 소둔 강판으로부터 100mm각의 구멍 확장 시험편을 채취하여, 구멍 확장 시험을 행하고, 신장 플랜지성을 평가했다. 구멍 확장 시험에서는, 클리어런스 12.5%로 직경 10mm의 펀칭 구멍을 뚫고, 선단각 60°의 원추 펀치로 펀칭 구멍을 확대하여, 판두께를 관통하는 균열이 발생했을 때의 구멍의 확대율(구멍 확장률)을 측정했다.A test piece for tissue observation was taken from the hot-rolled steel sheet and the annealed steel sheet and subjected to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equipp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nd an electron beam backscattering pattern analyzer (EBSP) , And the volume percentage of retained austenite at 1/4 depth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of the annealed steel sheet was measured using an X-ray diffractometer (XRD). The tensile test specimens were taken from the annealed steel plate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and subjected to a tensile test. The ductility was evaluated by total elongation, and the work hardening property was evaluated by a work hardening index (n value) of 5 to 10% . Further, a 100 mm square hole expanding test piece was taken from the annealed steel plate, and a hole expanding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retch flangeability. In the hole expansion test, a punching hole having a diameter of 10 mm was punched with a clearance of 12.5%, and a punching hole was enlarged with a conical punch having a tip angle of 60 ° to measure the enlargement ratio (hole expanding rate) .

이들의 예비 시험 결과, 다음의 (A) 내지 (H)에 기술하는 지견을 얻었다.As a result of these preliminary tests, the following knowledge (A) to (H) was obtained.

(A) 열간 압연 직후에 수냉에 의해 급냉하는 이른바 직후 급냉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된 열연 강판, 구체적으로는, 열간 압연 완료로부터 0.40초간 이내에 720℃ 이하의 온도역까지 급냉하여 제조된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고, 소둔하면, 소둔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소둔 강판의 연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향상하는데, 소둔 온도가 너무 높으면,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조대화하여, 소둔 강판의 연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급격히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A) Hot-rolled steel sheets produced through a so-called quench-cooling process in which they are quenched by water cooling immediately after hot-rolling, specifically, hot-rolled steel sheets produced by quenching to a temperature range of 720 ° C or lower within 0.40 seconds from the completion of hot- When the steel sheet is rolled and annealed, the duct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of the annealed steel sheet improve with the increase of the annealing temperature. When the annealing temperature is too high, the austenite grains coarsen and the duct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of the annealed steel sheet sharply It may deteriorate.

(B) 열간 압연의 최종 압하량을 상승시키면, 냉간 압연 후의 고온에서의 소둔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가 억제된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최종 압하량이 많을수록,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페라이트 분율이 증가함과 더불어 페라이트가 세립화하는 것, (b) 최종 압하량이 많을수록,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저온 변태 생성상이 감소하는 것, (c) 페라이트 입계는 소둔 중에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에 있어서의 핵생성 사이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미세한 페라이트가 많을수록 핵생성 빈도가 상승하고, 오스테나이트가 세립화하는 것, (d) 조대한 저온 변태 생성상은, 소둔 중에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B) Raising the final rolling reduction of hot rolling suppresses coarsening of austenite grains that may occur during annealing at a high temperature after cold rolling.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but (a) the higher the final reduction in load, the more the ferrite fraction is increased in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and (b) (C) Since the ferrite grain boundary serves as a nucleation site in the transformation from ferrite to austenite during annealing, the nucleation frequency increases as the number of fine ferrite increases, and austenite (D) coars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is assumed to be due to coarse austenite grains during annealing.

(C) 직후 급냉 후의 권취 공정에 있어서, 권취 온도를 상승시키면, 냉간 압연 후의 고온에서의 소둔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가 억제된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직후 급냉에 의해 열연 강판이 세립화하기 때문에, 권취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열연 강판 중의 철탄화물의 석출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 (b) 철탄화물은, 소둔 중에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에 있어서의 핵생성 사이트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철탄화물의 석출량이 많을수록 핵생성 빈도가 상승하고, 오스테나이트가 세립화하는 것, (c) 미고용의 철탄화물이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오스테나이트가 세립화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When the coiling temperature is raised in the winding step after quenching immediately after the step (C), coarsening of the austenite particles which may occur during annealing at a high temperature after cold rolling is suppressed. Although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a) the hot-rolled steel sheet becomes fine by quenching immediately after the hot-rolled steel sheet, and therefore the precipitation amount of the iron carbide in the hot-rolled steel sheet remarkably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coiling temperature; (b) (C) the iron carbide which is not solid-dissolved is used as the nucleating site in the transformation from the ferrite to the austenite during the annealing, so that the nucleation rate increases as the deposition rate of the iron carbide increases, It is presumed that the austenite is caused by grain refinement because it suppresses grain growth of austenite.

(D) 강 중의 Si 함유량이 많을수록,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 방지 효과가 강해진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Si 함유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철탄화물이 미세화해, 그 수밀도가 증가하는 것, (b) 이에 의해, 페라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에 있어서의 핵생성 빈도가 더 증대하는 것, (c) 미고용의 철탄화물의 증가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성장이 더 억제되고, 오스테나이트가 더 세립화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D) The greater the Si content in the steel, the stronger the anti-coarsening effect of the austenite grains is. Although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a) the iron carbide becomes finer and the number density increases as the Si content increases, (b) the nucleation frequency in the transformation from ferrite to austenite And (c) the increase in the iron carbide in the non-solidified steel is further suppressed by the growth of the austenite grains and the austenite is further refined.

(E)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하면서 고온에서 균열하여 냉각하면, 미세한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제2상이 미세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경우에 따라 미세한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금속 조직이 얻어진다.(E) cracking and cooling at a high temperature while suppressing coarsening of the austenite grains, the fine phase of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is formed as the main phase, and the second phase is formed of the fine retained austenite and, in some cases, a metal structure containing fine polygonal ferrite .

도 1은, 최종 압하량을 판두께 감소율로 42%, 압연 완료 온도를 900℃, 급냉 정지 온도를 660℃, 압연 완료로부터 급냉 정지까지의 시간을 0.16초로 하여 열간 압연하고, 권취 온도를 520℃로 하며,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고 균열 온도 850℃에서 소둔하여 얻어진 소둔 강판에 있어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입경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동일한 화학 조성을 가지는 슬래브를, 직후 급냉을 행하지 않고 상법(常法)에 의해 열간 압연하고, 냉간 압연하며 소둔하여 얻어진 소둔 강판에 있어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입경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2의 비교로부터, 적절한 직후 급냉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된 소둔 강판(도 1)에서는, 입경이 1.2μm 이상의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이 억제되고,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미세하게 분산하는 것을 안다.1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hot rolling at a final reduction of 42% in plate thickness reduction rate, a rolling finish temperature of 900 占 폚, a quenching stop temperature of 660 占 폚, and a time from completion of rolling to quenching of 0.16 seconds, , Which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examin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retained austenite in a annealed steel sheet obtained by cold-rolling a hot-rolled steel sheet and annealing at a cracking temperature of 850 ° C.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the retained austenite in the annealed steel sheet obtained by hot rolling the slab having the same chemical composition immediately after the hot rolling by the ordinary method, cold rolling and annealing to be. 1 and 2, it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Figs. 1 and 2 that the annealed steel sheet (Fig. 1) produced through a quenching process immediately after the formation of the steel sheet has suppressed the formation of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and that the retained austenite is finely dispersed know.

(F) 입경이 1.2μm 이상의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는 강판의 신장 플랜지성이 향상한다.(F) B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the stretch flangeability of the steel sheet having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the main phase is improved.

도 3은, TS1 .7×λ과 입경 1.2μm 이상의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수밀도(N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S는 인장 강도, λ는 구멍 확장률이며, TS1 .7×λ은 강도와 구멍 확장률의 밸런스로부터 구멍 확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다. 동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S1 .7×λ은 NR과 상관 관계를 가지며, NR이 낮을수록 구멍 확장성이 향상하는 것을 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가공에 의해 경질인 마텐자이트로 변화하지만,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조대하면 마텐자이트 입자도 조대해지고, 응력 집중이 높아져 모상과의 계면에 보이드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균열의 기점이 되는 것, (b)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가공의 초기 단계에서 마텐자이트화하기 때문에, 미세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보다 균열의 기점이 되기 쉬운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S × λ 1 .7 and retained austenite particle size crude number density (N R) of the nitro to 1.2μm or more. TS is the tensile strength, the hole expanding ratio λ, 1 .7 TS × λ is an indicator for evaluating the hole expandability from the balance of the strength and the hole expansion rate. As shown in the diagram, TS 1 .7 × λ is know to have a correlation with the N R, N R is lower The improved hole expandability. Although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a) the retained austenite changes to hard martensite by processing, but when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are coarse, the martensite grains become coarse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becomes high, (B) coars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are likely to be originated from cracks rather than fin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because they are martensitized at an early stage of processing .

(G) 소둔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저온 변태 생성상의 분율이 늘어나고, 가공 경화성이 열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입경이 1.2μm 이상의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는 강판에 있어서, 가공 경화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G)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rises, the fraction of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tends to increase and the work hardening property tends to deteriorate. By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of work hardening property in the steel sheet as the main phase.

도 4는, TS×n값과 N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TS×n값은 강도와 가공 경화 지수의 밸런스로부터 가공 경화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다. 동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S×n값은 NR과 상관 관계를 가지며, NR이 낮을수록 가공 경화성이 향상하는 것을 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는, 변형이 5% 미만인 가공 초기 단계에서 마텐자이트화해 버리기 때문에, 변형 범위가 5~10%에 있어서의 n값의 상승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 것, (b)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을 억제하면, 5% 이상의 고변형역에서 마텐자이트화하는 미세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증가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S x n and N R. The TS x n value is an index for evaluating work hardenability from the balance of strength and work hardening index. As shown in the figure, the value of TS x n has a correlation with N R, and it is found that the work hardening property is improved as the N R is lower. Although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a)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are martensitized at an early stage of processing at a strain of less than 5%, so that the deformation range is almost equal to the increase of n value at 5 to 10% (B)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is presumed to be caused by an increase in fine retained austenite grains martensitized at a high strain rate of 5% or more.

(H)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이는 bcc(체심 입방) 구조를 가지는 입자 및 bct(체심 정방) 구조를 가지는 입자(이하, 이들 2종류의 입자를 총칭하여 「bcc 입자」라고도 한다)의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가지는 강판의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향상한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a) bcc 입자의 미세화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배치가 적합화하는 것, (b) bcc 입자의 세립화에 의해, 균열의 신장이 억제되는 것에 기인한다고 추정된다.(Bcc) particles having a bcc (body center cubic) structure and a bct (body center square) structur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bcc particles " The small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higher th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of the steel sheet having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the main phase and the metal phase containing the retained austenite as the second phase.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but it is presumed that (a) the arrangement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suitably adjusted by the refinement of the bcc particles, and (b) the elongation of cracks is suppressed by grain refinement of the bcc particles .

이상의 결과로부터, Si를 일정량 이상 함유시킨 강을, 최종 압하량을 높여 열간 압연한 후, 직후 급냉하고, 고온에서 코일형상으로 감아, 냉간 압연하며, 고온에서 소둔한 후 냉각함으로써,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바람직하게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더 포함하며, 입경이 1.2μm 이상인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적고, 바람직하게는, bcc 입자가 세립인 금속 조직을 가지는, 연성, 가공 경화 특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뛰어난 냉연 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results that the steel containing a certain amount or more of Si is hot rolled after raising the final reduction amount, quenched immediately thereafter, wound in a coil shape at a high temperature, cold rolled, annealed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second phase further comprises retained austenite and preferably polygonal ferrite and having fewer coarse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and preferably having a metal structure in which the bcc grains are fine, , A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work-hardening properties and stretch flangeability can be produced.

본 발명은, 질량%로, C:0.020% 초과 0.30% 미만, Si:0.10% 초과 3.00% 이하, Mn:1.00% 초과 3.50% 이하, P:0.10% 이하, S:0.010% 이하, sol.Al:0% 이상 2.00% 이하, N:0.010% 이하, Ti:0% 이상 0.050% 미만, Nb:0% 이상 0.050% 미만, V:0% 이상 0.50% 이하, Cr:0% 이상 1.0% 이하, Mo:0% 이상 0.50% 이하, B:0% 이상 0.010% 이하, Ca:0% 이상 0.010% 이하, Mg:0% 이상 0.010% 이하, REM:0% 이상 0.050% 이하, Bi:0% 이상 0.050%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냉연 강판으로서,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구비하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4.0% 초과 25.0% 미만, 평균 입경이 0.80μm 미만이고,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입경이 1.2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가 3.0×10-2개/㎛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연 강판이다.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by mass%, C: more than 0.020% to less than 0.30%, Si: more than 0.10% to 3.00%, Mn: more than 1.00% to 3.50% : 0 to 2.00%, N: not more than 0.010%, Ti: not less than 0.050%, Nb: not less than 0% and not more than 0.050%, V: not less than 0% and not more than 0.50% Mo: 0% or more and 0.50% or less, B: 0% or more and 0.010% or less, Ca: 0% or more and 0.010% or less, Mg: 0% or more and 0.010% or less, REM: 0% or more and 0.050% 0.050% or less, and the remainder being Fe and impurities, wherein the main phase is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generated phase and the second phase has a metal structure containing residual austenite, and the retained austenite has a to volume ratio is less than 4.0% greater than 25.0%,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0.80μm, the retained austenite wherein the residual austenite grain diameter is less than 1.2μm number density 3.0 × 10 -2 / ㎛ 2 is a cold-rolled ste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not more than.

본 발명에 따른 냉연 강판의 금속 조직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중 어느 한쪽 또는 모두를 만족한다:The metal structure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atisfies one or both of the following: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 및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7.0μm 이하이다;Particles having a bcc structure and particles having a bct structure surrounded by a grain boundary of an azimuth angle of 15 ° or more are 7.0 μm or less;

·상기 제2상이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2.0% 초과 27.0% 미만,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이다.The second phase contains residual austenite and polygonal ferrite, and the polygonal ferrite has a volume ratio of more than 2.0% to less than 27.0% with respect to the whole structure an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5.0 m.

적합 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은, 하기 원소(%는 전체 질량%) 중 적어도 1종을 더 함유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hemical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lements (% is the total mass%):

Ti:0.005% 이상 0.050% 미만, Nb:0.005% 이상 0.050% 미만 및 V:0.010% 이상 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및/또는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at least 0.005% and less than 0.050%, Nb: at least 0.005% and less than 0.050%, and V: at least 0.010% and 0.50%

Cr:0.20% 이상 1.0% 이하, Mo:0.05% 이상 0.50% 이하 및 B:0.0010% 이상 0.01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및/또는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at least 0.20% and not more than 1.0%, Mo: at least 0.05% and not more than 0.50%, and B: at least 0.0010% and not more than 0.010%

Ca:0.0005% 이상 0.010% 이하, Mg:0.0005% 이상 0.010% 이하, REM:0.0005% 이상 0.050% 이하 및 Bi:0.0010% 이상 0.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 0.0005% to 0.010%, Mg: 0.0005% to 0.010%, REM: 0.0005% to 0.050%, and Bi: 0.0010% to 0.050%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성형 등의 가공에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가지는 고장력 냉연 강판이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경량화를 통해 지구 환경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등,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바 크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sufficient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pplicable to processing such as press form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such as contributing to the solution of th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body.

도 1은 직후 급냉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된 소둔 강판에 있어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입경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직후 급냉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 제조된 소둔 강판에 있어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입경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TS1 .7×λ과 입경 1.2μm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수밀도(N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TS×n값과 입경 1.2μm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수밀도(NR)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retained austenite in a annealed steel sheet produced through a quenching process immediately after the quenching process.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retained austenite in the annealed steel sheet produced immediately after the quenching process. Fig.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S × λ 1 .7 and retained austenite grain size number density (N R) of 1.2μm or more nitro.
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S x n and the number density (N R ) of retained austenite having a grain size of 1.2 μm or more.

본 발명에 따른 고장력 냉연 강판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 화학 조성 및 그 강판을 효율적, 안정적이고 또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압연, 소둔 조건 등에 대해, 이하에 상술한다.The metal structure, chemical composition and rolling, annealing conditions and the like in a production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stably, and economically manufacturing the steel sheet of the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1. 금속 조직1. Metal structure

본 발명의 냉연 강판은,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와 바람직하게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4.0% 초과 25.0% 미만이고 평균 입경이 0.80μm 미만이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입경이 1.2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가 3.0×10-2개/㎛2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 및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7.0μm 이하이거나, 및/또는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2.0% 초과 27.0% 미만, 그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인 금속 조직을 가진다.The cold-rolled steel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phase is a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and the second phase contains retained austenite and preferably polygonal ferrite. The retained austenite has a volume ratio of more than 4.0% to 25.0% and less tha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0.80μm, the retained austenite of, and particle size of 1.2μm or more residual austenite number density is 3.0 × 10 -2 gae / ㎛ particles of 2 or less, preferably grain boundaries over primary defense 15˚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having the bcc structure and the bct structure is not more than 7.0 μm and / or the volume ratio of the polygonal ferrite to the whole structure is more than 2.0% and less than 27.0%,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less than 5.0 μm Organization.

주상이란 체적률이 최대인 상 또는 조직을 의미하고, 제2상이란 주상 이외의 상 및 조직을 의미한다.The main phase means an image or a structure having the maximum volume ratio, and the second phase means a phase and a structure other than the main phase.

저온 변태 생성상이란, 마텐자이트나 베이나이트라고 하는 저온 변태에 의해 생성되는 상 및 조직을 말한다. 이들 이외의 저온 변태 생성상으로서, 베이니틱 페라이트 및 뜨임 마텐자이트가 예시된다.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라스형상 또는 판형상의 형태를 나타내는 점 및 전위 밀도가 높은 점에서 폴리고날 페라이트로부터 구별되고, 내부 및 계면에 철탄화물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서 베이나이트로부터 구별된다.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refers to phases and structures produced by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such as martensite or bainite. Examples of 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other than these are bainitic ferrite and trimmatiteite. Bainitic ferrite is distinguished from polygonal ferrite in that it has a lasic or plate-like morphology and a high dislocation density, and is distinguished from bainite in that iron carbide is not present in the inside and the interface.

이 저온 변태 생성상은, 2종 이상의 상 및 조직, 예를 들어, 마텐자이트와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저온 변태 생성상이 2종 이상의 상 및 조직을 포함하는 경우는, 이들 상 및 조직의 체적률의 합계를 저온 변태 생성상의 체적률로 한다.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may include two or more phases and structures, for example, martensite and bainitic ferrite. In the case where 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 phase contains two or more phases and / or a structure, the total volume ratio of these phases and / or the structure is defined as the volume fraction of 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 phase.

bcc상이란, 체심 입방 격자(bcc 격자, body-centered cubic lattice)형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상이며, 폴리고날 페라이트나 베이니틱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뜨임 마텐자이트가 예시된다. 한편, bct상이란, 체심 정방 격자(bct, body-centered tetragonal lattice)형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상이며, 마텐자이트가 예시된다.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란, bcc상 중에서, 방위차 15˚ 이상의 경계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란, bct상 중에서, 방위차 15˚ 이상의 경계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bcc상과 bct상을 총칭하여 bcc상이라고도 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EBSP에 의한 금속 조직 평가에서는 격자 정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bcc상과 bct상이 준별되지 않고 검출되기 때문이다.The bcc phase is an image having a crystal structure of a body-centered cubic lattice typ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gonal ferrite, bainitic ferrite, bainite and trimmatite. On the other hand, the bct phase is an image having a crystal structure of a body-centered tetragonal lattice (bct) type, and martensite is exemplified. The particles having the bcc structure are regions surrounded by a boundary of 15 degrees or more in the bcc phase. Similarly, a particle having a bct structure is a region surrounded by a boundary having an azimuth difference of 15 degrees or more in the bct phase. Hereinafter, the bcc phase and the bct phas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bcc phase. This is becau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lattice constant i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evaluation of the metal structure by EBSP, the bcc phase and the bct phase are detected irrevocably.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으로 하는 것은, 인장 강도를 유지하면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하기 때문이다.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 아닌 폴리고날 페라이트이면, 인장 강도 및 신장 플랜지성의 확보가 어려워진다.This is because the main phase is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nd the second phase contains residual austenite because it is suitable for improving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while maintaining tensile strength. If the main phase is a polygonal ferrite other than a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securing of tensile strength and stretch flangeability becomes difficult.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은 4.0% 초과 25.0% 미만으로 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4.0% 이하이면, 연성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은 4.0% 초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9.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초과이다. 한편,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25.0% 이상이면 신장 플랜지성의 열화가 현저해진다. 따라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은 25.0% 미만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8.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 미만이다.The volume ratio of the retained austenite to the whole structure is set to be more than 4.0% and less than 25.0%. If the volume percentage of the retained austenite to the entire structure is 4.0% or less, the ductility becomes insufficient. Therefore, the volume ratio of the retained austenite to the entire structure is set to be more than 4.0%. , Preferably more than 6.0%, more preferably more than 9.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1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ume percentage of the retained austenite with respect to the entire structure is 25.0% or more, deterioration of stretch flangeability becomes remarkable. Therefore, the volume ratio of the retained austenite to the entire structure is made less than 25.0%. , Preferably less than 18.0%, more preferably less than 16.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4.0%.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은 0.80μm 미만으로 한다.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가지는 냉연 강판에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이 0.80μm 이상이면,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현저히 열화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은, 0.70μ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60μm 미만이면 더 바람직하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0.15μm 이하로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의 최종 압하량을 매우 높게 할 필요가 있어, 제조 부하가 현저히 높아진다. 따라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의 하한은 0.15μm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set to be less than 0.80 mu m. In the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the main phase and the metal phase containing the residual austenite in the second phase, when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0.80 m or more, th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re significantly deteriorated do.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preferably less than 0.70 mu m, more preferably less than 0.60 mu m.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n order to make the grain size smaller than 0.15 탆, the final rolling reduction of the hot rolling is required to be extremely high, and the production load is remarkably increased. Therefore, the lower limit of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preferably set to be more than 0.15 m.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가지는 냉연 강판에서는,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이 0.80μm 미만이어도, 입경이 1.2μm 이상인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많이 존재하면,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손상된다. 그로 인해, 입경이 1.2μm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는 3.0×10-2개/㎛2 이하로 한다. 입경이 1.2μm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는 2.0×10-2개/㎛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0-2개/㎛2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며, 1.0×10-2개/㎛2 이하이면 가장 바람직하다.In the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the main phase and the metallic phase containing the residual austenite in the second phase, even if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is less than 0.80 mu m, the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The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re impaired. Therefore, the number density of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is 3.0 x 10 -2 pieces / 탆 2 or less. The residual austenite grain size number density of particles above 1.2μm nitro is 2.0 × 10 -2 gae / ㎛ 2 or less is preferable, and if 1.5 × 10 -2 gae / ㎛ 2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0 × 10 -2 gae / ㎛ 2 Or less.

연성 및 가공 경화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제2상에는, 잔류 오스테나이트 이외에,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은 2.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초과이다. 한편,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률이 과잉이 되면,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률은 27.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24.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미만이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ductility and work hardenability, the second phase preferably contains polygonal ferrite in addition to retained austenit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percentage of the polygonal ferrite with respect to the entire structure is more than 2.0%. , More preferably more than 8.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13.0%. On the other hand, if the volume percentage of polygonal ferrite is excessive, stretch flangeability deteriorates. Therefore, the volume percentage of polygonal ferrite is preferably less than 27.0%. , More preferably less than 24.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8.0%.

또,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세립일수록 연성 및 가공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늘어나므로,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은 5.0μm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4.0μm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3.0μm 미만이다.Further, as the fine grain of polygonal ferrite increases the effect of improving ductility and work hardening property, the average grain size of polygonal ferrite is preferably less than 5.0 m. More preferably less than 4.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3.0 mu m.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저온 변태 생성상에 포함되는 뜨임 마텐자이트의 체적률은 전체 조직에 대해 5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35.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이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stretch flange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percentage of temper martensite included in 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ion phase is less than 50.0% with respect to the whole structure. , More preferably less than 35.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0.0%.

인장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저온 변태 생성상은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마텐자이트의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은 4.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6.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이다. 한편, 마텐자이트의 체적률이 과잉이 되면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한다. 이로 인해, 조직 전체에 차지하는 마텐자이트의 체적률은 1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includes martensit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ratio of the martensite to the whole texture is more than 4.0%. , More preferably more than 6.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10.0%.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ume ratio of martensite is excessive, the stretch flangeability deteriorates. As a result, the volume percentage of martensite in the entire structure is preferably less than 15.0%.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bcc 입자(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bcc 입자란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 및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의 총칭)의 평균 입경은 7.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cc 입자의 평균 입경은 6.0μm 이하이면 더 바람직하고, 5.0μm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the average of bcc particles (bcc particles mean collectively the particles having the bcc structure and the bct structure surrounded by the grain boundaries of 15 degrees or more in the orientation difference) The particle size is preferably 7.0 탆 or les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cc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6.0 탆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0 탆 or less.

본 발명에 따른 냉연 강판의 금속 조직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저온 변태 생성상 및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률은,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종단면을 연마하며, 나이탈로 부식 처리한 후,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SEM을 이용하여 금속 조직을 관찰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저온 변태 생성상과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면적률을 측정하며, 면적률은 체적률과 동등한 것으로 하여, 각각의 체적률을 구한다.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은, 시야 중에서 폴리고날 페라이트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결정 입자수로 나누어, 원상당 직경을 구해 평균 입경으로 한다.The metal structure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as follows. Namely, the volume ratio of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nd the polygonal ferrite is determined by taking a test piece from a steel sheet, polishing a longitudinal s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area ratio of the polygonal ferrite is measured by image processing. The area ratio is determined to be equal to the volume ratio, and the respective volume ratios are obtaine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lygonal ferrite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area occupied by the entire polygonal ferrite in the field of view by the number of crystal grains of the polygonal ferrite and calculating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률은,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까지 압연면을 화학 연마하며, XRD를 이용하여 X선 회절 강도를 측정해 구한다.The volume percentage of retained austenite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X-ray diffraction intensity using XRD by collecting a test piece from the steel sheet, chemically polishing the rolled surface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o the 1/4 depth of the plate thickness.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종단면을 전해 연마하며,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EBSP를 구비한 SEM을 이용하여 금속 조직을 관찰한다. 면심입방정형의 결정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fcc상)으로서 관찰되고, 모상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하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로 하고, 화상 처리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단위 면적당 입자수) 및 개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면적률을 측정한다. 시야 중에서 개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차지하는 면적으로부터 개개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원상당 직경을 구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으로 한다The particle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are measured as follows. That is, a test piece is taken from the steel sheet, the longitudinal s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is electrolytically polished, and the metal structure is observed using a SEM equipped with EBSP at 1/4 depth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Fcc phase) composed of a face-centered cubic crystal structure, and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parent phase is regarded as one residual austenite particle, and the number dens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the number of particles per unit area) and The area ratio of the individual retained austenite particles is measured.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s of the individual austenite grains are determined from the areas occupied by the individual retained austenite grains in the visual field,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taken a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EBSP에 의한 조직 관찰에서는, 판두께 방향으로 50μm 이상이며 압연 방향으로 100μm 이상인 영역에 있어서, 0.1μm각으로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의 판정을 행한다. 또, 얻어진 측정 데이터 중, 신뢰성 지수(Confidence Index)가 0.1 이상의 것을 유효한 데이터로서 입경 측정에 이용한다. 측정 노이즈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입경이 과소하게 평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상당 직경이 0.15μm 이상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만을 유효한 입자로서, 평균 입경의 산출을 행한다.In EBSP-based tissue observation, an electron beam is irradiated at an angle of 0.1 占 퐉 in an area of 50 占 퐉 or more in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and 100 占 퐉 or more in the rolling direction. Among the obtained measurement data, a Confidence Index of 0.1 or more is used as effective data for particle size measurement. In order to prevent the grain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from being underestimated due to the measurement noise, only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circle equivalent diameter of 0.15 占 퐉 or more are used as effective grains to calculate the average grain size.

bcc 입자의 평균 입경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강판으로부터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종단면을 전해 연마하며,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EBSP를 구비한 SEM을 이용하여 금속 조직을 관찰한다. bcc상으로서 관찰되고, 방위차 15˚ 이상의 경계로 둘러싸인 영역을 하나의 bcc 입자로 하며, 하기식(1)의 정의에 따라 산출되는 값을 bcc 입자의 평균 입경으로 한다. 여기서 N은 평균 입경 평가 영역에 포함되는 결정 입자의 수, Ai는 i번째 (i=1, 2,··, N)의 결정 입자의 면적, di는 i번째의 결정 입자의 원상당 직경을 각각 나타낸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bcc particles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a test piece is taken from the steel sheet, the longitudinal s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is electrolytically polished, and the metal structure is observed using a SEM equipped with EBSP at 1/4 depth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The area surrounded by the boundary of 15 degrees or more is regarded as one bcc particle, and the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following formula (1) is taken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bcc particle. Where N is the number of crystal grains contained in the average grain size evaluation area, A i is the area of the crystal grains of the i-th (i = 1, 2, ..., N), d i is the circle- Respectively.

[수 1][Number 1]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1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는,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와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를 일체로서 취급한다. 이는, EBSP에 의한 금속 조직 평가에서는 격자 정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예를 들어, 폴리고날 페라이트, 베이니틱 페라이트, 베이나이트, 뜨임 마텐자이트)와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예를 들어, 마텐자이트)를 준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cles having a bcc structure and particles having a bct structure are treated as one body. This is because the evaluation of the metal structure by EBSP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lattice constant. Therefore, particles having a bcc structure (for example, polygonal ferrite, bainitic ferrite, bainite, and tempered martensite) For example, martensite).

이때의 EBSP에 의한 조직 관찰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판두께 방향으로 50μm, 압연 방향으로 100μm의 크기의 영역에 있어서, 0.1μm각으로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의 판정을 행한다. 또, 얻어진 측정 데이터 중, 신뢰성 지수가 0.1 이상의 것을 유효한 데이터로서 입경 측정에 이용한다. 또한, 측정 노이즈에 의한 입경의 과소 평가를 막기 위해, bcc상의 평가에서는, 상기 서술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경우와는 상이하여, 입경이 0.47μm 이상의 bcc 입자만을 유효한 입자로서 상기의 입경 산출을 행한다. 조직이 미세한 입자와 조대한 입자가 혼재한 혼립 조직인 경우, 금속 조직의 결정 입경 평가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절단법으로 평가하면, 조대한 입자의 영향이 과소하게 평가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대한 입자의 영향을 고려한 결정 입경의 산출법으로서, 결정 입자 개개의 면적을 무게로서 잰 상기(1)식을 이용한다.At this time, also in the tissue observation by EBSP, the electron beam is irradiated at an angle of 0.1 占 퐉 in the region of the size of 50 占 퐉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100 占 퐉 in the rolling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obtained measurement data, a reliability index of 0.1 or more is used as effective data for particle size measurement. Further, in order to prevent underestimation of the particle size due to the measurement noise, in the evaluation of the bcc phase, the grain diameter is calculated by using only bcc particles having particle diameters of 0.47 μm or more as effective particles, unlike the above-described residual austenite. In the case where the texture is a mixed grain structure in which fine grains and coarse grains are mixed, the influence of the coarse grains may be underestimated in an evaluation by a cutting method generally used as an evaluation of crystal grain size of a metal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rystal grain size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coarse particles, the above formula (1) in which the area of each crystal grain is measured as the weight is used.

본 발명에서는, 냉연 강판의 경우는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 도금 강판의 경우는 기재인 강판과 도금층의 경계로부터 기재인 강판의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상기 서술의 금속 조직을 규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at the 1/4 depth of the sheet thickness from the steel sheet surface, in the case of the coated steel sheet,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steel sheet and the plating layer, Describe the metallurgical structure of the description.

이상의 금속 조직상의 특징에 의거하여 실현될 수 있는 기계 특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연 강판은, 충격 흡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TS)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950MPa 이상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TS는 1180M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a mechanical property that can be realiz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features of the metallographic structure, the cold-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nsile strength (TS) of 780 MPa or mo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And more preferably 950 MPa or highe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cure ductility, TS is preferably less than 1180 MPa.

프레스 성형성의 관점으로부터, 압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체 신장(El0)을 하기식(1)에 의거하여 판두께 1.2mm 상당의 전체 신장으로 환산한 값인 El, 일본 공업 규격 JIS Z2253에 준거하여 변형 범위를 5~10%로 하고 5%와 10%의 2점의 공칭 변형 및 이들에 대응하는 시험력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가공 경화 지수인 n값, 및 일본 철강 연맹 규격 JFST1001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구멍 확장률인 λ에 대해,From the viewpoint of press formability, the total elongation (El 0 )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lling direction i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El, JIS Z2253 of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The n-value, which is the work hardening index calculated using the nominal deformation at two points of 5% and 10% with the deformation range of 5% to 10% and the corresponding test force, and the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Japan Steel Federation standard JFST1001 For a hole expansion factor of lambda,

·TS×El의 값이 19000MPa% 이상, 특히 20000MPa 이상,The value of TS x El is 19000 MPa% or more, particularly 20000 MPa or more,

·TS×n값의 값이 160MPa 이상, 특히 165MPa 이상, 및 TS1 .7×λ의 값이 5500000MPa1.7% 이상, 특히 6000000MPa1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A value of more than the value of TS × n value of 160MPa, 165MPa or more in particular, and TS × λ is not less than 1 .7 5500000MPa than 1.7%, particularly 6000000MPa 1 .7%.

El=El0×(1.2/t0)0.2···(2) El = El 0 × (1.2 / t 0) 0.2 ··· (2)

여기서, 식 중의 El0는,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이용하여 측정된 전체 신장의 실측값을, t0는, 측정에 제공한 JIS5호 인장 시험편의 판두께를 나타내고, El은 판두께가 1.2mm인 경우에 상당하는 전체 신장의 환산값이다.El 0 in the equation represents the measured value of the total elongation measured using the JIS No. 5 tensile test specimen and t 0 represents the plate thickness of the JIS No. 5 tensile specimen provided for the measurement, Is the equivalent value of the total elongation.

가공 경화 지수는, 자동차 부품을 프레스 성형할 때에 발생하는 변형이 5~10% 정도인 것으로부터, 인장 시험에 있어서의 변형 범위 5~10%에 대한 n값으로 나타냈다. 강판의 전체 신장이 높아도, n값이 낮은 경우에는 자동차 부품의 프레스 성형에 있어서 변형 전파성이 불충분해져, 국소적인 판두께 감소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또, 형상 동결성의 관점에서는, 항복비가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75% 미만인 것은 더 바람직하며, 70% 미만이면 특히 바람직하다.The work hardening index is represented by an n value with respect to a strain range of 5 to 10% in a tensile test, since deformation occurring when an automobile part is press molded is about 5 to 10%. Even if the total elongation of the steel sheet is high, when the value of n is low, deformation propagation property becomes insufficient in the press forming of an automobile part, and molding defects such as local plate thickness reduction are likely to occur. From the viewpoint of shape freezing property, the yield ratio is preferably less than 80%, more preferably less than 75%,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70%.

2. 강의 화학 조성2. Chemical composition of steel

C:0.020% 초과 0.30% 미만C: more than 0.020% and less than 0.30%

C 함유량이 0.020% 이하에서는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020% 초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7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0.1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0.14% 초과이다. 한편, C 함유량이 0.30% 이상에서는, 강판의 신장 플랜지성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용접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30% 미만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2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7% 미만이다.When the C content is 0.020% or les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Therefore, the C content should be more than 0.020%. , Preferably more than 0.070%, more preferably more than 0.1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0.14%. On the other hand, when the C content is 0.30% or more, not only the stretch flangeability of the steel sheet is deteriorated but also the weldability is deteriorated. Therefore, the C content should be less than 0.30%. , Preferably less than 0.25%, more preferably less than 0.2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17%.

Si:0.10% 초과 3.00% 이하Si: more than 0.10% and not more than 3.00%

Si는, 소둔 중의 오스테나이트 입자 성장 억제를 통해,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작용을 가지며,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Si 함유량이 0.10% 이하에서는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10% 초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6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0.9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초과이다. 한편, Si 함유량이 3.00% 초과에서는 강판의 표면 성상이 열화한다. 또한, 화성 처리성 및 도금성이 현저히 열화한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3.0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2.0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8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미만이다.Si has an action to improv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through inhibition of austenite grain growth during annealing. It also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stability of austenite and is an element effective for obtaining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When the Si content is 0.10% or les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of the above action. Therefore, the Si content should be more than 0.10%. , Preferably more than 0.60%, more preferably more than 0.9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1.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 content exceeds 3.00%,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steel sheet deteriorate. In addition, th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and the plating ability are remarkably deteriorated. Therefore, the Si content is set to 3.00% or less. , Preferably less than 2.00%, more preferably less than 1.8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60%.

후술하는 Al을 함유하는 경우는, Si 함유량과 sol.Al 함유량이 하기식(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식(4)을 만족하면 더 바람직하며, 하기식(5)을 만족하면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containing Al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i content and the sol.Al content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3), more preferably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4) desirable.

Si+sol.Al>0.60···(3)Si + sol.Al > 0.60 (3)

Si+sol.Al>0.90···(4)Si + sol.Al > 0.90 (4)

Si+sol.Al>1.20···(5)Si + sol.Al > 1.20 (5)

여기서, 식 중의 Si는 강 중에서의 Si 함유량을, sol.Al은 산 가용성의 Al 함유량을 질량%으로 나타낸 것이다.Here, Si in the formula represents the Si content in the steel, and sol.Al represents the acid-soluble Al content in mass%.

Mn:1.00% 초과 3.50% 이하Mn: more than 1.00% and less than 3.50%

Mn은, 강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Mn 함유량이 1.00% 이하에서는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1.00% 초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1.5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8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2.10% 초과이다. Mn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압연 방향으로 전신한 조대한 저온 변태 생성상이 발생하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증가하며,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3.5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3.0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8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 미만이다.M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is an element effective for obtaining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When the Mn content is 1.00% or les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Therefore, the Mn content should be more than 1.00%. , Preferably more than 1.50%, more preferably more than 1.8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2.10%. If the Mn content is excessive, a coars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occurs in the rolling direction in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the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increase in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And stretch flangeability deteriorates. Therefore, the Mn content should be 3.50% or less. , Preferably less than 3.00%, more preferably less than 2.8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2.60%.

P:0.10% 이하P: not more than 0.10%

P는, 불순물로서 강 중에 함유되는 원소이며, 입계에 편석하여 강을 취화시킨다. 이로 인해, P 함유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1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5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5% 미만이다.P is an element contained in the steel as an impurity and is segregated at grain boundaries to brittle the steel. Therefore, the smaller the P content, the better. Therefore, the P content should be 0.10% or less. , Preferably less than 0.050%, more preferably less than 0.02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015%.

S:0.010% 이하S: not more than 0.010%

S는, 불순물로서 강 중에 함유되는 원소이며, 황화물계 개재물을 형성하여 신장 플랜지성을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S 함유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1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03%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 미만이다.S is an element contained in the steel as an impurity and forms sulfide inclusions to deteriorate elongation flangeability. Therefore, the smaller the S content is, the better. Therefore, the S content should be 0.010% or less. , Preferably less than 0.005%, more preferably less than 0.003%,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002%.

sol.Al:2.00% 이하sol.Al: less than 2.00%

Al은, 용강을 탈산하는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l과 마찬가지로 탈산 작용을 가지는 Si를 함유시키기 때문에, Al은 반드시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즉, 한없이 0%에 가까워도 된다. 탈산의 촉진을 목적으로 하여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sol.Al로서 0.0050%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sol.Al 함유량은 0.020% 초과이다. 또, Al은, Si와 마찬가지로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작용을 가지며,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데 유효한 원소이므로, 이 목적으로 Al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sol.Al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40%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0.05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0.060% 초과이다.Al has an action of deoxidizing molten steel.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 having a deoxidizing action is contained in the same manner as Al, Al is not necessarily contained. That is, it may be as close to 0% as possible. When it is contained for the purpose of accelerating deoxida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50% or more as sol.Al. A more preferred sol.Al content is greater than 0.020%. Al also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stability of austenite like Si, and is an element effective for obtaining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and thus Al can also be contained for this purpose. In this case, the sol.Al content is preferably more than 0.040%, more preferably more than 0.050%, particularly preferably more than 0.060%.

한편, sol.Al 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알루미나에 기인하는 표면 상처가 발생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변태점이 크게 상승하여,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는 금속 조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sol.Al 함유량은 2.0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6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 미만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sol.Al is too high, not only surface scratches due to alumina tend to occur, but also the transformation point is greatly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a metal structure having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a main phase. Therefore, the content of sol.Al should be 2.00% or less. , Preferably less than 0.60%, more preferably less than 0.2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0.10%.

N:0.010% 이하N: 0.010% or less

N은, 불순물로서 강 중에 함유되는 원소이며, 연성을 열화시킨다. 이로 인해, N 함유량은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1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0.006%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이하이다.N is an element contained in the steel as an impurity and deteriorates ductility. Therefore, the smaller the N content, the better. Therefore, the N content should be 0.010% or less. It is preferably not more than 0.006%,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0.005%.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이하에 열기하는 원소를 임의 원소로서 함유해도 된다.The ste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s an arbitrary element, an element to be described below.

Ti:0.050% 미만, Nb:0.050% 미만 및 V: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less than 0.050%, Nb: less than 0.050%, and V: 0.50%

Ti, Nb 및 V는, 열간 압연 공정으로 재결정을 억제함으로써 가공 변형을 증대시키고,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미세화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 탄화물 또는 질화물로서 석출하고, 소둔 중의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원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과잉으로 함유시켜도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가 포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뿐만 아니라, 소둔시의 재결정 온도가 상승하여, 소둔 후의 금속 조직이 불균일해져, 신장 플랜지성도 손상된다. 또, 탄화물 또는 질화물의 석출량이 늘어나, 항복비가 상승하고, 형상 동결성도 열화한다.Ti, Nb and V have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work strain by suppressing recrystallization in the hot rolling step and finely reducing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Further, it has a function of precipitating as carbide or nitride and suppressing coarsening of austenite during annealing. Therefore,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may be contained. However, even if it is contained in excess, the effect due to the action is saturated, which is not economical. In addition, the recrystallization temperature at the time of annealing increases, the metal structure after annealing becomes uneven, and the stretch flangeability is also damaged. Further, the deposition amount of carbide or nitride increases, yield ratio increases, and shape freezing property also deteriorates.

따라서, Ti 함유량은 0.050% 미만, Nb 함유량은 0.050% 미만, V 함유량은 0.50% 이하로 한다. T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4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0% 미만이고, N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4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0% 미만이며, V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50% 미만이다.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를 보다 확실히 얻으려면, Ti:0.005% 이상, Nb:0.005% 이상 및 V:0.010%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i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Ti 함유량을 0.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Nb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Nb 함유량을 0.0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V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V 함유량을 0.0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Ti content is less than 0.050%, the Nb content is less than 0.050%, and the V content is not more than 0.50%. The Ti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0.040%, more preferably less than 0.030%, the Nb content is preferably less than 0.040%, more preferably less than 0.030%, the V content is preferably not more than 0.30% Preferably less than 0.050%. In order to more reliably obtain the effect of the above ac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i: 0.005% or more, Nb: 0.005% or more, and V: 0.010% or more is satisfied. When Ti is contained, the Ti content is more preferably 0.010% or more. When Nb is contained, the Nb content is more preferably 0.010% or more. When V is contained, More preferably 0.020% or more.

Cr:1.0% 이하, Mo:0.50% 이하 및 B:0.01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Not more than 1.0% of Cr, not more than 0.50% of Mo, and not more than 0.010% of B,

Cr, Mo 및 B는, 강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상기의 금속 조직을 얻는데 유효한 원소이다. 따라서, 이들 원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과잉으로 함유시켜도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가 포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Cr 함유량은 1.0% 이하, Mo 함유량은 0.50% 이하, B 함유량은 0.010% 이하로 한다. Cr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이고, Mo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이며, B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30% 이하이다.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를 보다 확실히 얻으려면, Cr: 0.20% 이상, Mo:0.05% 이상 및 B:0.0010%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Cr, Mo and B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hardenability of steel, and are effective elements for obtaining the above-mentioned metal structure. Therefore,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may be contained. However, even if it is contained in excess, the effect due to the action is saturated, which is not economical. Therefore, the Cr content is 1.0% or less, the Mo content is 0.50% or less, and the B content is 0.010% or less. The Cr content is preferably 0.50% or less, the Mo content is preferably 0.20% or less, and the B content is preferably 0.0030% or less. In order to more reliably obtain the effect of the above action, it is preferable that Cr: 0.20% or more, Mo: 0.05% or more, and B: 0.0010% or more are satisfied.

Ca:0.010% 이하, Mg:0.010% 이하, REM:0.050% 이하 및 Bi:0.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 not more than 0.010%, Mg: not more than 0.010%, REM: not more than 0.050%, and Bi: not more than 0.050%

Ca, Mg 및 REM은 개재물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Bi는 응고 조직을 미세화함으로써, 더불어 신장 플랜지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원소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그러나, 과잉으로 함유시켜도 상기 작용에 의한 효과가 포화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Ca, Mg, and REM have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shape of the inclusions so that Bi improves the elongation flangeability by making the solidification structure finer. Therefore,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may be contained. However, even if it is contained in excess, the effect due to the action is saturated, which is not economical.

따라서, Ca 함유량은 0.010% 이하, Mg 함유량은 0.010% 이하, REM 함유량은 0.050% 이하, Bi 함유량은 0.050%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Ca 함유량은 0.0020% 이하, Mg 함유량은 0.0020% 이하, REM 함유량은 0.0020% 이하, Bi 함유량은 0.010% 이하이다. 상기 작용을 보다 확실히 얻으려면, Ca:0.0005% 이상, Mg:0.0005% 이상, REM:0.0005% 이상 및 Bi:0.0010% 이상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EM이란 희토류 원소를 의미하고, Sc, Y 및 란타노이드의 합계 17원소의 총칭이며, REM 함유량은 이들 원소의 합계 함유량이다.Therefore, the Ca content is 0.010% or less, the Mg content is 0.010% or less, the REM content is 0.050% or less, and the Bi content is 0.050% or less. Preferably, the Ca content is 0.0020% or less, the Mg content is 0.0020% or less, the REM content is 0.0020% or less, and the Bi content is 0.010% or less. In order to more surely obtain the above action, it is preferable that Ca: 0.0005% or more, Mg: 0.0005% or more, REM: 0.0005% or more and Bi: 0.0010% or more are satisfied. REM means a rare earth element, and is a generic name of a total of 17 elements of Sc, Y and lanthanoid, and the REM content is the total content of these elements.

3. 제조 조건3. Manufacturing conditions

상기 서술한 화학 조성을 가지는 강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용제된 후에, 연속 주조법에 의해 강괴로 되거나, 또는, 임의의 주조법에 의해 강괴로 한 후에 분괴 압연하는 방법 등에 의해 강편으로 된다. 연속 주조 공정에서는, 개재물에 기인하는 표면 결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주형 내에서 전자 교반 등의 외부 부가적인 유동을 용강에 발생시키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괴 또는 강편은, 일단 냉각된 것을 재가열하여 열간 압연에 제공해도 되고, 연속 주조 후의 고온 상태에 있는 강괴 또는 분괴 압연 후의 고온 상태에 있는 강편을 그 상태로, 혹은 보온하고, 혹은 보조적인 가열을 행해 열간 압연에 제공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강괴 및 강편을, 열간 압연의 소재로서 「슬래브」라고 총칭한다. 열간 압연에 제공하는 슬래브의 온도는, 오스테나이트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12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0℃ 이하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 열간 압연에 제공하는 슬래브의 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간 압연을 Ar3점 이상으로 완료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이면 된다.The steel having the above-described chemical composition is made into a steel ingot by a continuous casting method after being melted by a known means, or a steel ingot is formed into a steel ingot by an arbitrary casting method and then a steel ingot is rolled. In the continuous casting step,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surface defects caused by inclusions,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an external additional flow in the molten steel such as electron stirring in the mold. The steel ingot or the steel strip may be reheated once and then supplied to the hot rolling. Alternatively, the steel ingot in the high temperature state after the continuous casting or the high temperature state after the granite rolling may be maintained in this state, Or may be provided for hot rolling. In this specification, such ingot and steel strip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slab " The temperature of the slab to be provided in the hot rolling is preferably less than 125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not higher than 1200 占 폚 in order to prevent coarsening of austenite. The lower limit of the temperature of the slab to be provided to the hot roll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temperature at which the hot rolling can be completed at an Ar 3 point or more as described later.

열간 압연은, 압연 완료 후에 오스테나이트를 변태시킴으로써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미세화하기 위해, Ar3점 이상의 온도역에서 완료시킨다. 압연 완료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압연 방향으로 전신한 조대한 저온 변태 생성상이 발생하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증가하여,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열간 압연의 완료 온도는, Ar3점 이상 또한 82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Ar3점 이상 또한 850℃ 초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Ar3점 이상 또한 880℃ 초과이다. 한편, 압연 완료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가공 변형의 축적이 불충분해져,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미세화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열간 압연의 완료 온도는 9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920℃ 미만이면 더 바람직하다. 또, 제조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열간 압연의 완료 온도를 높여 압연 하중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는, 열간 압연의 완료 온도를 Ar3점 이상 또한 78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r3점 이상 또한 800℃ 초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The hot rolling is completed in a temperature range of Ar 3 points or more in order to miniaturize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by transforming austenite after completion of rolling. If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olling is completed is too low, a coarse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occurs in the rolling direction in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The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increase in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and the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re likely to deteriorate.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letion temperature of the hot rolling is not less than 3 points and not less than 820 degrees centigrade. More preferably, the Ar 3 point or more is also more than 850 ° C, particularly preferably the Ar 3 point or more is also more than 880 ° C. On the other hand, if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rolling is completed is too high, accumulation of processing deformation becomes insufficient and it becomes difficult to make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finer. Therefore, the completion temperature of hot rolling is preferably less than 95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less than 920 占 폚. Further,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load,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completion temperature of hot rolling to lower the rolling loa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letion temperature of the hot rolling is higher than Ar 3 point and higher than 780 ° C, and more preferably higher than Ar 3 point and higher than 800 ° C.

또한, 열간 압연이 조압연과 마무리 압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마무리 압연을 상기 온도에서 완료하기 위해, 조압연과 마무리 압연의 사이에 조압연재를 가열해도 된다. 이때, 조압연재의 후단이 선단보다 고온이 되도록 가열함으로써 마무리 압연의 개시시에 있어서의 조압연재의 전체 길이에 미치는 온도의 변동을 140℃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코일 내의 제품 특성의 균일성이 향상한다.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hot rolling comprises the rough rolling and the finishing rolling, the controlled-pressure expanding material may be heated between the rough rolling and the finishing rolling to finish the finish rolling at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fluctuation to 140 占 폚 or les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pressure control strip at the start of the finish rolling by heating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control strip to be higher than the front end. This improves the uniformity of the product characteristics in the coil.

조압연재의 가열 방법은 공지의 수단을 이용하여 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조압연기와 마무리 압연기의 사이에 솔레노이드식 유도 가열 장치를 설치해 두고, 이 유도 가열 장치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조압연재 길이 방향의 온도 분포 등에 의거하여 가열 온도 상승량을 제어해도 된다.The heating method of the pressure control strip may be carried out by a known means. For example, a solenoid-typ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ugh rolling mill and the finish rolling mill, and the heating temperature rise amount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pressurized softening material on the upstream side of the induction heating apparatus.

열간 압연의 압하량은, 최종 1패스의 압하량을 판두께 감소율로 25% 초과로 한다. 이는, 오스테나이트에 도입되는 가공 변형량을 늘려,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미세화하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을 억제함과 더불어 bcc 입자를 세립화하기 위함이다. 또, 제2상이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세립화하기 위함이다. 최종 1패스의 압하량은 3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초과이면 더 바람직하다. 압하량이 너무 높아지면, 압연 하중이 상승하고 압연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최종 1패스의 압하량은 55%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미만이면 더 바람직하다. 압연 하중을 저하시키기 위해, 압연롤과 강판의 사이에 압연유를 공급하여 마찰 계수를 저하시켜 압연하는, 이른바 윤활 압연을 행해도 된다.The reduction amount of the hot rolling is such that the reduction amount of the final one pass exceeds 25% in terms of plate thickness reduction rate. This is because, in order to refine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ork deformation introduced into the austenit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in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to be. When the second phase contains polygonal ferrite, the polygonal ferrite is to be refined. The reduction amount of the final one pass is preferably more than 30%, more preferably more than 40%. If the reduction amount is too high, the rolling load increases and rolling becomes difficult. Therefore, the reduction amount of the final one pass is preferably less than 55%, more preferably less than 50%. In order to lower the rolling load, so-called lubrication rolling may be performed in which rolling oil is supplied between the rolling roll and the steel plate to decrease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then rolling.

열간 압연 후는, 압연 완료 후 0.40초간 이내에 720℃ 이하의 온도역까지 급냉한다. 이는, 압연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에 도입된 가공 변형의 해방을 억제하고, 가공 변형을 구동력으로서 오스테나이트를 변태시키며,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미세화하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생성을 억제함과 더불어 bcc 입자를 세립화하기 위함이다. 또, 제2상이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세립화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압연 완료 후 0.30초간 이내에 720℃ 이하의 온도역까지 급냉하는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압연 완료 후 0.20초간 이내에 720℃ 이하의 온도역까지 급냉하는 것이다. 또, 가공 변형의 해방은, 급냉 중의 평균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억제되므로, 급냉 중의 평균 냉각 속도를 300℃/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열연 강판의 금속 조직을 한층 미세화할 수 있다. 급냉 중의 평균 냉각 속도를 400℃/s 이상으로 하면 더 바람직하고, 600℃/s 이상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압연 완료로부터 급냉을 개시할 때까지의 시간 및, 그 사이의 냉각 속도는, 특별히 규정할 필요가 없다.After hot rolling, rapid cooling is carried out up to a temperature of 720 ° C or less within 0.4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rolling. This is because the release of the work strain introduced into the austenite by the rolling is suppressed, the austenite is transformed as a driving force by the working deformation,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made finer, This is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ustenite grains and to grain the bcc particles. When the second phase contains polygonal ferrite, the polygonal ferrite is to be refined. Preferably, the steel sheet is quenched to a temperature of 720 占 폚 or less within 0.3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rolling, more preferably quenched to a temperature of 720 占 폚 or less within 0.20 seconds after completion of rolling. Since the release of the working deformation is suppressed as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quenching is increased,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quenching is preferably set to 300 ° C / s or more, whereby the metal structur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can be further miniaturized .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average cooling rate during quenching to 400 DEG C / 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e to be 600 DEG C / s or more. The time from the completion of rolling to the start of quenching and the cooling rate therebetween need not be specially specified.

급냉을 행하는 설비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으나, 공업적으로는 수량 밀도가 높은 물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압연판 반송 롤러의 사이에 물스프레이 헤더를 배치하며, 압연판의 상하로부터 충분한 수량 밀도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방법이 예시된다.A water spraying apparatus having a high water density is preferably used. A water spray header is disposed between the rolling plate conveying rollers, and a water spray header is disposed between the rolling plate conveying rollers. A method of spraying high-pressure water is exemplified.

급냉 정지 후는, 강판을 500℃ 초과의 온도역에서 감는다. 이는, 권취 온도가 500℃ 이하이면, 열연 강판에 있어서 철탄화물이 충분히 석출하지 않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생성함과 더불어 bcc 입자가 조립화하기 때문이다. 권취 온도는 55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580℃ 초과이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권취 온도가 너무 높으면, 열연 강판에 있어서 페라이트가 조대해지고, 냉간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조대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가 생성한다. 이로 인해 권취 온도는 6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20℃ 미만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After quenching, the steel sheet is rolled in a temperature range exceeding 500 ° C. This is because if the coiling temperature is 500 캜 or less, iron carbide does not sufficiently precipitate in the hot-rolled steel sheet,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are formed in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and bcc grains are assembled .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more than 550 DEG C, more preferably 580 DEG C or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coiling temperature is too high, ferrite becomes coarse in the hot-rolled steel sheet, and coarse retained austenite grains are produced in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Therefore, the coil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less than 65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less than 620 占 폚.

급냉 정지로부터 권취까지의 조건은 특별히 규정하지 않으나, 급냉 정지 후, 720~600℃의 온도역에서 1초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미세한 페라이트의 생성이 촉진된다. 한편, 유지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생산성이 손상되므로, 720~600℃의 온도역에 있어서의 유지 시간의 상한을 10초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720~600℃의 온도역에서 유지한 후에는, 생성된 페라이트의 조대화를 방지하기 위해, 권취 온도까지를 20℃/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ditions from the quenching stop to the coiling are not particularly specifi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quenching is stopped for at least 1 secon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20 to 600 占 폚 after quenching.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fine ferrite is promoted. On the other hand, if the holding time is too long, the productivity is impai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upper limit of the holding time within the range of 720 to 600 ° C within 10 seconds. After holding at a temperature range of 720 to 600 占 폚, it is preferable to cool the coiling up to a coiling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of 20 占 폚 / s or more in order to prevent coarsening of the generated ferrite.

열간 압연된 강판은, 산세 등에 의해 탈스케일 된 후에, 상법에 따라 냉간 압연된다. 냉간 압연은, 재결정을 촉진하여 냉연 압연 및 소둔 후의 금속 조직을 균일화하고,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냉압율(냉간 압연에 있어서의 총 압하율)을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압율이 너무 높으면, 압연 하중이 증대하여 압연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냉압율의 상한을 7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The hot-rolled steel sheet is descaled by pickling or the like, and then cold-roll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cold rolling, it is preferable to set the cold pressing rate (total rolling reduction in cold rolling) to 40% or more in order to accelerate recrystallization to homogenize the metal structure after cold rolling and annealing and to further improve elongation flangeability. If the cold pressing rate is too high, the rolling load becomes large and rolling becomes difficult, so the upper limit of the cold pressing rate is preferably less than 70%, more preferably less than 60%.

냉간 압연 후의 강판은,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방법을 따라 탈지 등의 처리가 실시된 후, 소둔된다. 소둔에 있어서의 균열 온도의 하한은, (Ac3점-40℃) 이상으로 한다. 이는,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함이다. 저온 변태 생성상의 체적률을 증가시키고, 신장 플랜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균열 온도는 (Ac3점-20℃)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c3점 초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균열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오스테나이트가 과도하게 조대화하고, 소둔 후의 금속 조직이 조대화함과 더불어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생성이 억제되어,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한다. 따라서, 균열 온도의 상한은, (Ac3점+1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Ac3점+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Ac3점+20℃) 미만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균열 온도의 상한을 (Ac3점+50℃) 미만으로 함으로써, bcc 입자를 평균 입경 7.0μm 이하까지 세립화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히 뛰어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얻어진다.The steel sheet after cold rolling is subjected to degreasing or the like according to a known method, if necessary, and then annealed. The lower limit of the cracking temperature in annealing is set to (Ac 3 point -40 ° C) or higher. This is to obtain a metal structure in which the main phase is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nd the second phase contains retained austenite. In order to increase the volume ratio of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nd to improve the elongation flangeability, the crack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higher than (Ac 3 point -20 ° C), more preferably Ac 3 point higher. However, if the cracking temperature becomes too high, austenite becomes excessively coarse, the metal structure after annealing coarsens, and generation of polygonal ferrite is suppress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Therefore, the upper limit of the soaking temperature is, particularly preferred, and it is more preferable as it is less than desirable and, (Ac 3 point + 50 ℃) that is less than (Ac 3 point + 100 ℃), which is less than (Ac 3 point + 20 ℃) Do. By making the upper limit of the crack temperature lower than (Ac 3 point + 50 ° C), the bcc particles can be finely granulated to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7.0 μm or less, and particularly excellent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can be obtained.

균열 온도에서의 유지 시간(균열 시간)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안정된 기계 특성을 얻기 위해, 15초간 초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초간 초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유지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오스테나이트가 과도하게 조대화하고,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열화하기 쉬워진다. 이로 인해, 유지 시간은, 150초간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초간 미만으로 하면 더 바람직하다.The holding time (cracking time) at the crack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more than 15 seconds, more preferably more than 60 seconds, in order to obtain stabl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if the holding time becomes too long, the austenite becomes excessively coarse, and ductility, work hardening proper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re liable to deteriorate. Therefore,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less than 150 seconds, and more preferably less than 120 seconds.

소둔에 있어서의 가열 과정에서는, 재결정을 촉진하여 소둔 후의 금속 조직을 균일화하고,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700℃로부터 균열 온도까지의 가열 속도를 10.0℃/s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s 미만으로 하면 더 바람직하고, 5.0℃/s 미만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In the heating process in the annealing,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eating rate from 700 占 폚 to the cracking temperature to less than 10.0 占 폚 / s in order to facilitate recrystallization, uniformize the metal structure after annealing, and further improve elongation flangeability. More preferably less than 8.0 DEG C / 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5.0 DEG C / s.

소둔에 있어서의 균열 후의 냉각 과정에서는, 미세한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생성을 촉진하고, 연성 및 가공 경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5.0℃/s 미만의 냉각 속도로 균열 온도로부터 50℃ 이상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냉각 속도는, 3.0℃/s 미만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2.0℃/s 미만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률을 더 높이려면, 80℃ 이상 냉각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100℃ 이상 냉각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120℃ 이상 냉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c3점+50℃) 미만으로 균열한 후, 5.0℃/s 미만의 냉각 속도로 균열 온도로부터 50℃ 이상 냉각함으로써,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인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로 2.0% 초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특히 뛰어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얻어진다.In the cooling process after the cracking in the annealing, it is preferable to cool the cracking temperature by 50 占 폚 or more from the cracking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of less than 5.0 占 폚 / s in order to promote the generation of fine polygonal ferrite and improve ductility and work hardening property. The cooling rate at this time is more preferably less than 3.0 DEG C / 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2.0 DEG C / s.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volume percentage of polygonal ferrite, it is more preferable to cool at 80 ° C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at 100 ° C or more, and most preferably at 120 ° C or more. (Ac 3 point + 50 ° C), and then cooled to 50 ° C or more from the cracking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of less than 5.0 ° C / s to obtain a polygonal ferrite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of less than 5.0 μm as a volume ratio of 2.0%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excellent ductility, work hardening property and stretch flangeability.

또, 저온 변태 생성상을 주상으로 하는 금속 조직을 얻기 위해, 650~500℃의 온도 범위를 15℃/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50~450℃의 온도 범위를 15℃/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것은 더 바람직하다. 냉각 속도가 빠를수록 저온 변태 생성상의 체적률이 높아지므로, 상기 어느 온도 범위에서도, 냉각 속도를 30℃/s 초과로 하면 더 바람직하고, 50℃/s 초과로 하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 속도가 너무 빠르면 강판의 형상이 손상되므로, 650~50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냉각 속도를 200℃/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0℃/s 미만이면 더 바람직하고, 130℃/s 미만이면 특히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cool the temperature range of 650 to 500 占 폚 at a cooling rate of 15 占 폚 / s or more in order to obtain a metal structure having a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as a main phase. It is more preferable to cool the temperature range of 650 to 450 DEG C at a cooling rate of 15 DEG C / s or more. The higher the cooling rate is, the higher the volume ratio of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forming phase becomes. Therefore, the cooling rate is more preferably 30 ° C / s and more preferably 50 ° C / s in any of the above temperature ranges. On the other hand, if the cooling rate is too high, the shape of the steel sheet is damag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50 to 500 占 폚 is 200 占 폚 / s or less. More preferably less than 150 ° C / 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30 ° C / s.

잔류 오스테나이트량을 확보하기 위해, 냉각 과정에 있어서 450~340℃의 온도역에서 30초간 이상 유지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지 온도역을 430~3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지 시간을 길게 할수록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유지 시간을 60초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초간 이상으로 하는 것은 더 바람직하고, 300초간 초과로 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In order to secure the retained austenite amount, it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range of 450 to 340 ° C. for 30 seconds or more during the cooling process. In order to enhance the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and further improv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olding temperature range to 430 to 360 ° C. The longer the holding time, the higher the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Therefore,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60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120 second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0 seconds or more.

전기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냉연 강판에, 필요에 따라 표면의 청정화 및 조정을 위한 주지의 전처리를 실시한 후, 상법에 따라 전기 도금을 행하면 되고, 도금 피막의 화학 조성 및 부착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도금의 종류로서, 전기 아연 도금, 전기 Zn-Ni합금 도금 등이 예시된다.In the case of producing an electroplated steel sheet, the cold rolled steel sheet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subjected to known pretreatment for cleaning and adjustment of the surface, if necessary, and then electroplat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deposition are not limited. Examples of electroplating include electro-galvanizing, electro-Zn-Ni alloy plating and the like.

용융 도금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소둔 공정까지 행하고, 450~340℃의 온도역에서 30초간 이상 유지한 후, 필요에 따라 강판을 가열하고 나서, 도금욕에 침지하여 용융 도금을 실시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지 온도역을 430~3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지 시간을 길게 할수록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높아지므로, 유지 시간을 60초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0초간 이상으로 하는 것은 더 바람직하고, 300초간 초과로 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용융 도금 후 재가열하여 합금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도금 피막의 화학 조성 및 부착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용융 도금의 종류로서, 용융 아연 도금,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용융 알루미늄 도금, 용융 Zn-Al합금 도금, 용융 Zn-Al-Mg합금 도금, 용융 Zn-Al-Mg-Si합금 도금 등이 예시된다.In the case of producing a hot-dip coated steel sheet, the annealing step is carried out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steel sheet is held at a temperature range of 450 to 340 DEG C for 30 seconds or longer. Thereafter, . In order to enhance the stability of retained austenite and further improve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holding temperature range to 430 to 360 ° C. The longer the holding time, the higher the stability of the retained austenite. Therefore, the holding time is preferably 60 seconds or longer. More preferably 120 second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00 seconds or more. After the hot-dip coating, re-heating may be performed to perform the alloying treatment.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eposition amount of the plated film are not limited. Examples of the type of hot-dip coating include hot-dip galvanizing, hot-dip galvanizing, hot-dip galvanizing, hot-dip Zn-Al alloy plating, hot-dip Zn-Al-Mg alloy plating and hot-dip Zn-Al-Mg-Si alloy plating.

도금 강판은, 그 내식성을 더 높이기 위해, 도금 후에 적당한 화성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화성 처리는, 종래의 크로메이트 처리를 대신하여, 논크롬형의 화성 처리액(예를 들어, 실리케이트계, 인산염계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ted steel sheet may be subjected to a suitabl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after plating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its corrosion resistance. Th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using a non-chrome chemical conversion solution (for example, silicate, phosphate or the like) instead of the conventional chromate treatment.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냉연 강판 및 도금 강판에는, 상법에 따라 조질 압연을 행해도 된다. 그러나, 조질 압연의 신장률이 높으면 연성의 열화를 초래하므로, 조질 압연의 신장률은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신장률은 0.5% 이하이다.The cold-rolled steel sheet and the coated steel sheet thus obtained may be subjected to temper roll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However, a high elongation percentage of the temper rolling causes deterioration of ductility, so that the elongation of the temper rolling is preferably 1.0% or less. A more preferable elongation is 0.5% or less.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예시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실험용 진공 용해로를 이용하고, 표 1에 기재되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강을 용해하여, 주조했다. 얻어진 각 강괴를, 열간 단조에 의해 두께 30mm의 강편으로 했다. 강편을, 전기 가열로를 이용하여 1200℃로 가열하고, 이 온도로 60분간 유지한 후, 표 2에 기재되는 조건으로 열간 압연을 행했다.Using a laboratory vacuum melting furnace, the steel having the chemical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was melted and cast. Each of the obtained ingot was made into a 30 mm-thick piece of steel by hot forging. The slabs were heated to 1200 DEG C using an electric heating furnace, held at this temperature for 60 minutes, and then hot-rolled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

구체적으로는, 실험용 열간 압연기를 이용하여, Ar3점 이상의 온도역에서 6패스의 압연을 행해, 두께 2~3mm로 완성했다. 최종 1패스의 압하율은, 판두께 감소율로 12~42%로 했다. 열간 압연 후, 물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냉각 조건으로 650~720℃까지 냉각하고, 5~10초간 방냉한 후, 60℃/s의 냉각 속도로 다양한 온도까지 냉각하며, 그 온도를 권취 온도로 하고, 같은 온도로 유지된 전기 가열로 중에 장입하여 30분간 유지한 후, 20℃/h의 냉각 속도로 실온까지 노냉각하고, 권취 후의 서냉을 시뮬레이트함으로써, 열연 강판을 얻었다.Concretely, 6 passes were performed at a temperature range of Ar 3 points or more using an experimental hot rolling mill, and the thickness was 2 to 3 mm. The reduction rate of the final one pass was set to 12 to 42% in terms of plate thickness reduction rate. After hot rolling, the steel sheet is cooled to 650 to 720 占 폚 in various cooling conditions using a water spray, allowed to cool for 5 to 10 seconds, cooled to various temperatures at a cooling rate of 60 占 폚 / s, , Charged into an electric heating furnace maintained at the same temperature, held for 30 minute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t a cooling rate of 20 DEG C / h, and simulated annealing after winding was performed to obtain a hot-rolled steel sheet.

얻어진 열연 강판을 산세하여 냉간 압연 모재로 하고, 냉압율 50~60%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두께 1.0~1.2mm의 냉연 강판을 얻었다. 연속 소둔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얻어진 냉연 강판을, 10℃/s의 가열 속도로 550℃까지 가열한 후, 2℃/s의 가열 속도로 표 2에 기재되는 다양한 온도까지 가열하고, 95초간 균열했다. 그 후, 표 2에 기재되는 온도까지 일차 냉각하고, 또한 일차 냉각 정지 온도로부터 평균 냉각 속도를 60℃/s로서, 표 2에 기재되는 다양한 냉각 정지 온도까지 이차 냉각하며, 그 온도로 330초간 유지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소둔 강판을 얻었다.The obtained hot-rolled steel sheet was pickled to obtain a cold-rolled base material, and cold-rolled at a cold pressing rate of 50 to 60% to obtain a cold-rolled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0 to 1.2 mm. The obtained cold-rolled steel sheet was heated to 550 DEG C at a heating rate of 10 DEG C / s, heated to various temperatures shown in Table 2 at a heating rate of 2 DEG C / s, and cracked for 95 seconds . Thereafter, primary cooling to the temperatures shown in Table 2 was carried out, secondary cooling was carried out from the primary cooling stop temperature to the various cooling stop temperatures shown in Table 2 at an average cooling rate of 60 占 폚 / s and maintained at that temperature for 330 second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annealed steel sheet.

[표 1][Table 1]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2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2

[표 2][Table 2]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3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3

소둔 강판으로부터 SEM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종단면을 연마한 후, 나이탈로 부식 처리하며,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의 금속 조직을 관찰하여, 화상 처리에 의해, 저온 변태 생성상 및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분율을 측정했다. 또, 폴리고날 페라이트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결정 입자수로 나누어,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평균 입경(원상당 직경)을 구했다.The test specimen for SEM observation was taken from the annealed steel plate, the longitudinal s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was polished, and the steel structure was corroded with a detaching process. The metal structure at the 1/4 depth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teel plate surface was observed, By the treatment,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production phase and the volume fraction of polygonal ferrite were measured. Further, the area occupied by the entire polygonal ferrite was divided by the number of crystal grains of polygonal ferrite, and the average grain size (circle equivalent diameter) of polygonal ferrite was obtained.

또, 소둔 강판으로부터 XRD 측정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까지 압연면을 화학 연마한 후, X선 회절 시험을 행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분율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X선 회절 장치에 리가크 제조 RINT2500를 사용하고, Co-Kα선을 입사하여 α상(110), (200), (211) 회절 피크 및 γ상(111), (200), (220)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를 측정하여,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분율을 구했다.Further, a test piece for XRD measurement was sampled from the annealed steel sheet, and the rolled surface was chemically polished to a depth of 1/4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and subjected to an X-ray diffraction test to measure the volume fraction of the retained austenite. Specifically, RINT2500 manufactured by Rigaku Corporation was used in the X-ray diffraction apparatus, and Co-K? Ray was incident to obtain α-phase (110), (200) and (211) diffraction peaks and γ- The integral intensity of the (220) diffraction peak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volume fraction of retained austenite.

또한, 소둔 강판으로부터 EBSP 측정용 시험편을 채취하고, 압연 방향에 평행한 종단면을 전해 연마한 후, 강판 표면으로부터 판두께의 1/4 깊이 위치에 있어서 금속 조직을 관찰하고, 화상 해석에 의해, bcc 입자의 평균 입경,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입경 분포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EBSP 측정 장치에 TSL제 OIM5를 사용하고, 판두께 방향으로 50μm, 압연 방향으로 100μm의 영역에 있어서 0.1μm피치로 전자빔을 조사하여, 얻어진 측정 데이터 중, 신뢰성 지수가 0.1 이상의 것을 유효한 데이터로서 bcc상 및 fcc상의 판정을 행했다.Further, a test piece for EBSP measurement was taken from the annealed steel sheet, the longitudinal section parallel to the rolling direction was electrolytically polished, the metal structure was observed at the 1/4 depth of the plate thickness from the steel sheet surface, and bcc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the particle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residual austenite particles,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etained austenite were measured. Specifically, TSL OIM5 was used for the EBSP measuring apparatus, and electron beams were irradiated at a pitch of 0.1 占 퐉 in a region of 50 占 퐉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100 占 퐉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a reliability index of 0.1 or more Bcc phase and fcc phase were judged as data.

bcc상으로서 관찰되고,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영역을 하나의 bcc 입자로 하며, 개개의 bcc 입자의 원상당 직경 및 면적을 구하고, 상기 서술한 식(1)의 정의에 따라 평균 입경을 산출했다. 또한 평균 입경 산출에 임하여, 원상당 직경이 0.47μm 이상인 bcc 입자를 유효한 bcc 입자로 했다. 또, 마텐자이트의 결정 구조는 엄밀히는 체심 정방 격자(bct)이지만, EBSP에 의한 금속 조직 평가에서는 격자 정수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마텐자이트도 bcc상으로서 취급했다.and the area enclosed by the grain boundaries at an azimuth angle of 15 DEG or more is regarded as one bcc particle and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 and area of each individual bcc particle are determined an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above- Respectively. In order to calculat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bcc particles having a circle equivalent diameter of 0.47 탆 or more were made effective bcc particles.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martensite is strictly a body center square lattice (bct), but since the lattice constant is not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metal structure by EBSP, martensite is also treated as the bcc phase.

또, fcc상으로서 관찰되고, 모상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하나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로 하며, 개개의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원상당 직경을 구했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경은, 원상당 직경이 0.15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를 유효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로 하며, 개개의 유효한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원상당 직경의 평균값으로서 산출했다. 또, 입경이 1.2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단위 면적당 수밀도(NR)를 구했다.Also, as the fcc phase, the area surrounded by the parent phase was regarded as one retained austenite grain, and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 of each of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was obtained. The average austenite size of the retained austenite was determined as the effectiv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 of 0.15 탆 or more as the effective retained austenite grain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circle equivalent diameters of the individual effective retained austenite grains. Also, the number density (N R ) per unit area of the retained austenite grains having a grain size of 1.2 탆 or more was determined.

항복 응력(YS) 및 인장 강도(TS)는, 소둔 강판으로부터 압연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을 따라 JIS5호 인장 시험편을 채취하고, 인장 속도 10mm/min로 인장 시험을 행함으로써 구했다. 전체 신장(El)은, 압연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을 따라 채취한 JIS5호 인장 시험편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얻어진 실측값(El0)을 이용하고, 상기식(2)에 의거하여, 판두께가 1.2mm인 경우에 상당하는 환산값을 구했다. 가공 경화 지수(n값)는, 압연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을 따라 채취한 JIS5호 인장 시험편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변형 범위를 5~10%로서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공칭 변형 5% 및 10%에 대한 시험력을 이용하여 2점법에 의해 산출했다.The yield stress (YS) and the tensile strength (TS) were obtained by taking a JIS No. 5 tensile test specimen from the annealed steel sheet along the direc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rolling direction and performing a tensile test at a tensile speed of 10 mm / min. The overall elongation El was determined by tensile test with a JIS No. 5 tensile test specimen taken along the direc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rolling direction and using the measured actual value El 0 and calculating the sheet thickness And the convert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1.2 mm was obtained. The work hardening index (n value) was determined by the tensile test with the JIS No. 5 tensile test specimen taken along the direction immediately preceding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train range was 5 to 10%. Specifically, the test force for the nominal strain of 5% and 10% was used to calculate by the two-point method.

신장 플랜지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구멍 확장률(λ)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소둔 강판으로부터 100mm각의 정방형 소판을 채취하고, 클리어런스 12.5%로 직경 10mm의 펀칭 구멍을 뚫으며, 선단각 60°의 원추 펀치로 뚫은측으로부터 펀칭 구멍을 확장하여, 판두께를 관통하는 균열이 발생했을 때의 구멍의 확대율을 측정해, 이것을 구멍 확장률로 했다.The stretch flangeabil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hole expanding rate (?) In the following manner. A 100 mm square plate was taken from the annealed steel plate, and a punching hole having a diameter of 10 mm was punched with a clearance of 12.5%. A punching hole was extended from the side punched with a conical punch having a tip angle of 60 to generate cracks penetrating the plate thickness The enlargement ratio of the hole was measured, and this was regarded as the hole expansion rate.

표 3에, 소둔 후의 냉연 강판의 금속 조직 관찰 결과 및 성능 평가 결과를 기재한다. 또한, 표 1~표 3에 있어서, *를 붙인 수치 또는 기호는 본 발명의 범위 외인 것을 의미한다.Table 3 shows the results of metal structure observ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old-rolled steel sheet after annealing. In Table 1 to Table 3, numerals or symbols denoted by " * " mean thos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3][Table 3]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4
Figure 112014011397819-pct00004

본 발명이 규정하는 범위 내의 강판에 대한 시험 결과는 모두, TS×El의 값이 19000MPa% 이상이고, TS×n값의 값이 160 이상이며, TS1 .7×λ의 값이 6000000MPa1.7% 이상이고, 양호한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을 나타냈다. 특히 bcc 입자의 평균 입경이 7.0μm 이하이거나, 및/또는 제2상이 잔류 오스테나이트에 더해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이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체적률이 2.0% 초과 27.0% 미만,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이면, TS×El의 값이 20000MPa% 이상, TS×n값의 값이 165 이상, TS1 .7×λ의 값이 6000000MPa1 .7% 이상이 되어, 연성, 가공 경화성 및 신장 플랜지성이 더 개선되었다.Test results for the steel sheet in the range def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and the value of TS × El more than 19000MPa%, and the value of TS × n value of more than 160, the value of TS × λ 1 .7 more than 1.7% 6000000MPa , And exhibited good ductility, work hardenability and stretch flangeability. And the second phase contains polygonal ferrite in addition to the retained austenite, the volume ratio of the polygonal ferrite is more than 2.0% and less than 27.0%,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5.0 m If less than, the value of the value of TS × El more than 20000MPa%, the value of TS × n value of more than 165, TS 1 .7 × λ is at least 1 .7% 6000000MPa, ductility, the curing process and the stretch flangeability Further improvement.

Claims (6)

질량%로, C:0.020% 초과 0.30% 미만, Si:0.10% 초과 3.00% 이하, Mn:1.00% 초과 3.50% 이하, P:0.10% 이하, S:0.010% 이하, sol.Al:0% 이상 2.00% 이하, N:0.010% 이하, Ti:0% 이상 0.050% 미만, Nb:0% 이상 0.050% 미만, V:0% 이상 0.50% 이하, Cr:0% 이상 1.0% 이하, Mo:0% 이상 0.50% 이하, B:0% 이상 0.010% 이하, Ca:0% 이상 0.010% 이하, Mg:0% 이상 0.010% 이하, REM:0% 이상 0.050% 이하, Bi:0% 이상 0.050%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냉연 강판으로서,
주상이 저온 변태 생성상이고, 제2상에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조직을 구비하며,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4.0% 초과 25.0% 미만, 평균 입경이 0.80μm 미만이고,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 중, 입경이 1.2μm 이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수밀도가 3.0×10-2개/μ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 특성이 우수한 냉연 강판.
C: not less than 0.020%, not more than 0.30%, Si: not more than 0.10%, not more than 3.00%, Mn: not more than 1.00%, not more than 3.50%, P: not more than 0.10%, S: not more than 0.010% Ti: 0% or more and less than 0.050%, Nb: 0% or more and less than 0.050%, V: 0% or more and 0.50% or less, Cr: 0% or more and 1.0% or less, Mo: 0% 0% or more and 0.010% or less, B: 0% or more and 0.010% or less, Ca: 0% or more and 0.010% or less, Mg: 0% or more and 0.010% or less, REM: 0% or more and 0.050% And the balance of Fe and impurities,
Wherein the main phase has a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phase and the second phase has a metal structure containing retained austenite, wherein the retained austenite has a volume ratio of more than 4.0% to less than 25.0%, an average grain size of less than 0.80 mu m, the residual austenite of the, grain size of 1.2μm or more residual austenite grain number density is 3.0 × 10 -2 gae / μm 2 the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work-hardening properties, characterized in that not more than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조직에 있어서, 방위차 15˚ 이상의 입계로 둘러싸인 bcc 구조를 가지는 입자 및 bct 구조를 가지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7.0μm 이하인, 냉연 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verage grain size of grains having a bcc structure and grains having a bct structure surrounded by grain boundaries of 15 degrees or more in azimuthal difference is 7.0 占 퐉 or less.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조직에 있어서, 제2상이 잔류 오스테나이트 및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전체 조직에 대한 체적률이 2.0% 초과 27.0% 미만, 평균 입경이 5.0μm 미만인, 냉연 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phase contains residual austenite and polygonal ferrite, and the polygonal ferrite has a volume ratio of more than 2.0% to less than 27.0% and an average grain size of less than 5.0 占 퐉 with respect to the whole structur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Ti:0.005% 이상 0.050% 미만, Nb:0.005% 이상 0.050% 미만 및 V:0.010% 이상 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냉연 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chemical composition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 at least 0.005% and less than 0.050%, Nb: at least 0.005% and less than 0.050%, and V: at least 0.010% and at most 0.50% , Cold rolled steel pl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Cr:0.20% 이상 1.0% 이하, Mo:0.05% 이상 0.50% 이하 및 B:0.0010% 이상 0.01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냉연 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hemical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at least 0.20% to at most 1.0%, Mo: at least 0.05% and at most 0.50%, and B: at least 0.0010% to 0.010% , Cold rolled steel pla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이, 질량%로, Ca:0.0005% 이상 0.010% 이하, Mg:0.0005% 이상 0.010% 이하, REM:0.0005% 이상 0.050% 이하 및 Bi:0.0010% 이상 0.050% 이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냉연 강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hemical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 0.0005% to 0.010%, Mg: 0.0005% to 0.010%, REM: 0.0005% to 0.050%, and Bi: 0.0010% to 0.050% A cold-rolled steel sheet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thereof.
KR1020147003047A 2011-07-06 2012-06-27 Cold-rolled steel sheet KR1015970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0240A JP5708319B2 (en) 2011-07-06 2011-07-06 Cold rolled steel sheet
JPJP-P-2011-150239 2011-07-06
JP2011150239A JP5708318B2 (en) 2011-07-06 2011-07-06 Cold rolled steel sheet
JPJP-P-2011-150245 2011-07-06
JP2011150245A JP5708320B2 (en) 2011-07-06 2011-07-06 Cold rolled steel sheet
JPJP-P-2011-150240 2011-07-06
PCT/JP2012/066380 WO2013005618A1 (en) 2011-07-06 2012-06-27 Cold-rolled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335A KR20140030335A (en) 2014-03-11
KR101597058B1 true KR101597058B1 (en) 2016-02-23

Family

ID=4743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047A KR101597058B1 (en) 2011-07-06 2012-06-27 Cold-rolled steel sheet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523139B2 (en)
EP (1) EP2730672B1 (en)
KR (1) KR101597058B1 (en)
CN (1) CN103781932B (en)
BR (1) BR112014000063A2 (en)
CA (1) CA2841061C (en)
ES (1) ES2665318T3 (en)
IN (1) IN2014DN00268A (en)
MX (1) MX356410B (en)
PL (1) PL2730672T3 (en)
RU (1) RU2560479C1 (en)
WO (1) WO20130056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0013A (en) * 2014-03-31 2015-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high-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and high-strength alloy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uctility, stretch-flangeability, and weldability
WO2015177582A1 (en) 2014-05-20 2015-11-26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Double-annealed steel sheet having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ductility characteristic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of such sheets
TWI592500B (en) 2015-02-24 2017-07-21 新日鐵住金股份有限公司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554397B2 (en) * 2015-03-31 2019-07-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980 MPa or more excellent in workability and impact proper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R112017027412B1 (en) 2015-06-30 2021-07-06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 LAMINATED STEEL SHEET, HOT IMMERSION GALVANIZED STEEL SHEET AND GALVANIZED STEEL SHEET
RU2602585C1 (en) * 2015-11-20 2016-1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им. И.П. Бардина" (ФГУП "ЦНИИчермет им. И.П. Бардина") Laminated high-strength corrosion-resistant steel
MX2019001148A (en) * 2016-08-10 2019-06-10 Jfe Steel Corp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9082036A1 (en) * 2017-10-24 2019-05-02 Arcelormittal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ated steel sheet
RU2738130C1 (en) 2017-10-24 2020-12-08 Арселормиттал Method of making galvanized and annealed steel sheets
JP2021503549A (en) 2017-11-17 2021-02-12 アルセロールミタル Method for manufacturing galvanized steel sheet resistant to liquid metal embrittlement
CN111133121B (en) * 2017-11-24 2021-07-20 日本制铁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9180492A1 (en) * 2018-03-23 2019-09-26 Arcelormittal Forged part of bainitic ste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DE102022127491A1 (en) * 2022-10-19 2024-04-25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Tempered steel sheet with intact oxide layer on a metallic coating
CN115652207B (en) * 2022-11-07 2023-05-12 鞍钢股份有限公司 780 MPa-grade short-process economic cold-rolled DH stee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526A (en) * 2004-05-25 2005-12-08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006336074A (en) 2005-06-02 2006-12-14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hemical convertibility
JP2007182625A (en) 2005-12-06 2007-07-19 Kobe Steel Ltd High-strength galvannealed sheet steel excellent in powdering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3823A (en) 1981-12-11 1983-07-23 Nippon Steel Corp Manufacture of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of super fine grain
JPS59229413A (en) 1983-06-10 1984-12-22 Nippon Steel Corp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ultrafine particle ferrite steel
US6319338B1 (en) * 1996-11-28 2001-11-20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plate having high dynamic deformat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61326A (en) 1997-08-06 1999-03-05 Nippon Steel Corp High strength automobile steel plate superior in collision safety and formability, and its manufacture
US6221179B1 (en) * 1997-09-11 2001-04-24 Kawasaki Steel Corporation Hot rolled steel plate to be processed having hyper fine particle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ld rolled steel plate
JP3386726B2 (en) 1997-09-11 2003-03-17 川崎製鉄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for processing having ultrafine grain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JP3619357B2 (en) 1997-12-26 2005-02-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high dynamic deformat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840864B2 (en) 1999-11-02 2006-11-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tensile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927384B2 (en) * 2001-02-23 2007-06-0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Thin steel sheet for automobiles with excellent notch fatigue strengt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277884A (en) * 2002-01-21 2003-10-02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baking hardenability
JP4068950B2 (en) 2002-12-06 2008-03-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strength steel sheet, warm-working method, and warm-worked high-strength member or parts
CN100368580C (en) * 2003-04-10 2008-02-13 新日本制铁株式会社 High strength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and its production method
EP1512760B1 (en) * 2003-08-29 2011-09-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excellent in processibility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109619B2 (en) 2003-12-16 2008-07-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elongation and stretch flangeability
JP4288364B2 (en) * 2004-12-21 2009-07-0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mposite structure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elongation and stretch flangeability
JP4716359B2 (en) 2005-03-30 2011-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uniform elong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2242308B (en) * 2005-08-03 2013-03-27 住友金属工业株式会社 Hot-rolled steel sheet and cold-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297051B (en) * 2005-12-06 2010-12-29 株式会社神户制钢所 High-strength galvannealed sheet steels excellent in powdering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CN100510143C (en) * 2006-05-29 2009-07-08 株式会社神户制钢所 High strength steel sheet with excellent extending flange property
JP5167487B2 (en) * 2008-02-19 2013-03-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High strength steel plate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065272A (en) * 2008-09-10 2010-03-25 Jfe Steel Corp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446885B2 (en) * 2010-01-06 2014-03-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RU2563397C2 (en) * 2011-07-06 2015-09-20 Ниппон Стил Энд Сумитомо Метал Корпорейшн Production of cold-rolled steel sheet
BR112014000074A2 (en) * 2011-07-06 2017-02-1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Hot-dip galvanized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6526A (en) * 2004-05-25 2005-12-08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006336074A (en) 2005-06-02 2006-12-14 Kobe Steel Ltd High strength and high ductility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chemical convertibility
JP2007182625A (en) 2005-12-06 2007-07-19 Kobe Steel Ltd High-strength galvannealed sheet steel excellent in powdering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730672T3 (en) 2018-07-31
US20140241933A1 (en) 2014-08-28
EP2730672A4 (en) 2015-04-29
CA2841061A1 (en) 2013-01-10
CN103781932A (en) 2014-05-07
IN2014DN00268A (en) 2015-06-05
CN103781932B (en) 2016-05-25
WO2013005618A1 (en) 2013-01-10
MX356410B (en) 2018-05-24
EP2730672A1 (en) 2014-05-14
ES2665318T3 (en) 2018-04-25
EP2730672B1 (en) 2018-02-14
US9523139B2 (en) 2016-12-20
RU2560479C1 (en) 2015-08-20
CA2841061C (en) 2016-04-12
KR20140030335A (en) 2014-03-11
MX2014000117A (en) 2014-07-09
RU2014104025A (en) 2015-08-20
BR112014000063A2 (en)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058B1 (en) Cold-rolled steel sheet
KR101591611B1 (en) Method for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EP3214196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354916B2 (en) Steel plate and plated steel plate
KR101621639B1 (en) Steel sheet, plat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plated steel sheet
KR102119373B1 (en) Steel sheet for hot pr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hot-press forming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646857B1 (en) Hot-dip plated cold-rolled steel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511474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strength steel sheet with extremely good balance between hole expansibility and duct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galvanized steel sheet
JP5648597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5825206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EP2762582A1 (en) High-strength galvannealed steel sheet of high bake hardenability, high-strength alloyed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90023093A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825205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2011140686A (en) Method of producing cold-rolled steel sheet
JP5482513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664482B2 (en) Hot-dip cold-rolled steel sheet
JP5648596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5609793B2 (en) Method for producing hot-dip cold-rolled steel sheet
US20230059951A1 (en)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216933B2 (en) Steel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5825204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JP5708320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JP5644703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5644704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JP5708318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