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36B1 -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7036B1 KR101597036B1 KR1020140066344A KR20140066344A KR101597036B1 KR 101597036 B1 KR101597036 B1 KR 101597036B1 KR 1020140066344 A KR1020140066344 A KR 1020140066344A KR 20140066344 A KR20140066344 A KR 20140066344A KR 101597036 B1 KR101597036 B1 KR 101597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unit
- soil
- area
- evalu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지형 판단부,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 및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식물 판단부 및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식물 판단부 및 지형 판단부에서 확인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도의 육역화 발달 단계를 평가할 수 있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천관리 및 계획은 기본적으로 홍수 관리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그에 따라 하도 관리계획 및 하천 생태복원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잘못된 하천관리 계획에 따라 하천의 유수 흐름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면 하천의 유사가 하천 하류부에 퇴적되면서 육지로 변하는 하도 육역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그에 따라 하천의 홍수 관리 기능과 수생태 건강성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골공법, 역물골공법, 국부세굴 유도형 하도육역화 방지공, 퇴적방지용 하상구조 및 유사배제형 래버린스 위어와 같은 다양한 하도 육역화 저감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술을 하천에 적용하여 하도 육역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하도 육역화 저감 기술을 이용해 하천을 정비하더라도, 하도 육역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지 않아 하도 육역화 저감 기술을 이용한 하천 정비의 효용성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도에서 발생하는 육역화 현상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하도 육역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서버,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지형 판단부,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 및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식물 판단부 및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상기 식물 판단부 및 지형 판단부에서 확인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부는 상기 지형 판단부 및 상기 식물 판단부에서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며, 상기 6단계는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 상기 자갈에 수생식물이 침입하는 식물침입 단계,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어 상기 자갈 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 상기 퇴적된 토사 위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발달하고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 및 상기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하여 하도의 수표 면적 및 지표 면적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의 측량자료로부터 하도의 구역별 표고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정보를 이용하여 하도의 구역별 토사 입경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식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계산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또한, 상기 식물 판단부는 하도에서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아,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상기 평가부를 이용하여 평가된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도의 육역화 평가 방법은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측량자료,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구역별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지형 판단단계,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식물 판단단계 및 상기 지형 판단단계 및 상기 식물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 단계는 상기 지형 판단단계 및 상기 식물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며, 상기 6단계는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 상기 자갈에 수생식물이 침입하는 식물침입 단계,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어 상기 자갈 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 상기 퇴적된 토사 위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발달하고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 및 상기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비교단계를 상기 평가 단계 이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도의 지형 및 자생하는 식생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분류함으로서 하도의 육역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시간별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하도 육역화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6단계로 분류된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하도가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표 면적 및 수표 면적의 계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하도의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구역별 표고 계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하도가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한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의 판단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지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하도 육역화 단계 분류에 따른 면적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6단계로 분류된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하도가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표 면적 및 수표 면적의 계산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하도의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구역별 표고 계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하도가 촬영된 항공사진을 이용한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의 판단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지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하도 육역화 단계 분류에 따른 면적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전체 시스템은 서버(1), 입력부(2), 데이터 베이스(3)로 구성된다.
서버(1)는 입력부(2)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육역화를 평가하는 장치로서 지형 판단부(100), 식물 판단부(200) 및 평가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원발명에 따른 평가부(300)는 후술할 지형 판단부(100) 및 식물 판단부(200)에서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도 2에 도시된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게 된다.
1단계는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A)이다.
순환 단계(A)는 하도에 흐르는 물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토사량이 증가할 경우 투과성 자갈 내에 토사가 점점 퇴적되지만, 폭우나 홍수 등에 의해 물의 흐름이 빨라 질 경우 투과성 자갈 사이에 퇴적되었던 토사가 침식되면서 하도의 표고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단계는 하도 내부에 식물이 침입하여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하는 식물침입 단계(B)이다.
식물침입 단계(B)는 투과성 자갈 내에 퇴적된 토사에 수생식물이 뿌리를 내리면서, 수생식물에 의해 물의 유속이 느려지고 수생식물의 뿌리가 퇴적된 토사를 결속하면서 흐르는 물에 의한 토사의 유실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단계는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면서 투과성 자갈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C)이다.
토사퇴적 단계(C)는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보다 퇴적작용이 더 활발해 지면서 하도의 수표면 이상으로 토사의 퇴적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단계는 하도의 수표면 이상 퇴적된 토사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D)이다.
식물안착 단계(D)에서 하도의 수표면 이상으로 퇴적된 토사는 하도의 수량에 따라 침수되거나 노출되게 되며, 그에 따라 수변식물이 번성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서 갈대와 같은 수변식물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단계는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E)이다.
토사안정 단계(E)에서 상기 수변식물이 자라게 되는 토사는 퇴적 작용이 더욱 가속화되며, 결국 폭우나 홍수에 의해 하도의 수표면이 최대가 되더라도 침수되지 않을 정도로 토사가 안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단계는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F)이다.
식물경쟁 단계(F)에서는 육상식물이 수변식물을 밀어내어 더욱 번성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관목숲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버(1)는 평가부(300)를 이용해 상기와 같이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6단계 중 하나로 단계로 평가하기 위하여 입력부(2)로부터 하도에 대한 자료를 입력받고, 상기 자료를 지형 판단부(100) 및 식물 판단부(200)로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버(1)는 상기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 평가를 위하여 하도를 일정 영역으로 나누게 되는데, 현장에 따라 상기 나뉘는 영역을 더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을 당업자들이 극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지형 판단부(100)는 하도의 수표 면적, 지표 면적, 표고 및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상기 지형 판단부(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을 상기 입력부(2)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항공사진의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함으로써 하도의 수표 면적과 지표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 판단부(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도의 측량자료를 상기 입력부(2)로부터 입력받아 하도의 구역별 표고를 계산하며, 이를 이용하여 수표 면적과 지표 면적을 확인할 수도 한다.
그리고, 상기 지형 판단부(100)는 상기 입력부(2)로부터 하도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정보를 입력받아 하도의 구역별 평균 토사 입경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시료의 채취는 사주, 여울이나 웅덩이 등 국부적으로 토사의 변화가 심한 구역은 피하며, 가급적 그 구역에 보편적으로 있는 토사를 선택한다.
식물 판단부(200)는 하도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 및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물 판단부(2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을 상기 입력부(2)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식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판단부(200)는 상기 입력부(2)로부터 하도에서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입력받아,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할 수도 있다.
평가부(300)는 상기 지형 판단부(100) 및 상기 식물 판단부(200)에서 확인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의 정보를 기준으로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단계를 상기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게 되며, 상기 평가부(300)가 하도에서 일정 구역을 선택한 후 육역화 단계를 평가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가부(300)는 지형 판단부(1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이 수표 면적에 속하고, 선택된 구역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평균 입경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며,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식물이 없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순환 단계(A)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평가부(300)는 지형 판단부(1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이 수표 면적에 속하고, 선택된 구역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평균 입경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며,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식물침입 단계(B)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수생식물에는 뿌리, 줄기, 잎 등 식물체 전체가 물 속에서 생육하는 침수 식물(submerged plant)이나, 물 밑바닥에 뿌리가 있고 긴 잎자루 또는 줄기로 수면에 잎을 띄우고 있는 부엽 식물(floating-leaf water plant)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수련, 마름, 자라풀 및 나사말 등이 있다.
또한, 평가부(300)는 지형 판단부(100)를 이용해 선택된 구역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평균 입경이 상기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평균 입경보다 더 작은 것으로 확인되고,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토사퇴적 단계(C)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평가부(300)는 지형 판단부(100)를 이용해 선택된 구역의 표고가 상기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고,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수변식물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식물안착 단계(D)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기준 표고는 하도의 수표면 높이를 기준으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하도의 연평균 수표면 높이에 100mm를 더한 값을 기준으로 하였지만, 상기 기준 표고를 현장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음을 당업자들이 극히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수변식물은 지상에 노출되거나 폭우나 홍수 등에 의해 침수되더라도 잘 자라는 식물을 뜻하며, 대표적으로 갈대, 달뿌리풀 및 갯버들 등이 있다.
또한, 평가부(300)는 지형 판단부(100)를 이용해 선택된 구역의 표고가 상기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수변식물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토사안정 단계(E)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평가부(300)는 식물 판단부(200)를 이용해 상기 선택된 구역에 자생하는 육상식물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선택된 구역은 식물경쟁 단계(F)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육상식물은 폭우나 홍수 등에 의해 침수될 경우 자생이 어려운 식물을 의미하며, 최종적으로 관목류와 같은 대형 식생이 자라는 경우도 있다.
평가부(300)는 상기와 같은 하도 육역화 평가를 바탕으로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상기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지도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하도 육역화 정도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지도로 표시한 것으로, 도 6의 a는 하도 육역화 방지 시공을 마친 하도에 대하여 상기 평가부(300)를 이용해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여 지도로 표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상기 하도 육역화 방지 시공을 마친 하도에 홍수가 발생한 후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다시 평가하여 지도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도 6과 같이 구역별로 하도 육역화 단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지도에 표시함으로서, 사용자는 손쉽게 하도의 육역화 정도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시스템의 서버(1)에 비교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부(400)는 상기 평가부(300)를 이용하여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고 상기 M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평가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장치로서, 단순히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였던 평가부(300)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3개 시점(2010년, 2012년, 2014년)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평가를 비교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도 육역화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에 따른 하도의 육역화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은 지형 판단단계(S110), 식물 판단단계(S120) 및 평가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형 판단단계(S110)는 하도 육역화 평가에 필요한 지형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측량자료,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구역별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물 판단단계(S120) 하도 육역화 평가에 필요한 식물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가 단계(S130)는 상기 지형 판단단계(S110) 및 상기 식물 판단단계(S120)에서 확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평가 단계(S130)에서 평가하는 구역별 하도의 육역화 정도는 6단계로 분류되며, 상기 6단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A), 상기 자갈에 수생식물이 침입하는 식물침입 단계(B),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어 상기 자갈 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C), 상기 퇴적된 토사 위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D),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발달하고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E) 및 상기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F)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단계(S130)는 위와 같이 구역별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6단계로 분류하고 이를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도 형태로 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도 육역화 방법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하도 육역화 방법의 평가 단계(S130) 이후에 비교 단계(S2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교 단계(S235)는 상기 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단계로서, 상기 육역화 변화는 도 8과 같이 그래프로 도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에 따른 하도의 육역화 변화를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실행시킴으로써 본원발명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정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발명의 사상 및 그 영역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서버 2 : 입력부
3 : 데이터 베이스 100 : 지형 판단부
200 : 식물 판단부 300 : 평가부
400 : 비교부 S110 : 지형 판단단계
S120 : 식물 판단단계 S130 : 평가 단계
S235 : 비교 단계
3 : 데이터 베이스 100 : 지형 판단부
200 : 식물 판단부 300 : 평가부
400 : 비교부 S110 : 지형 판단단계
S120 : 식물 판단단계 S130 : 평가 단계
S235 : 비교 단계
Claims (12)
- 서버, 입력부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지형 판단부;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도에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 및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식물 판단부; 및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식물 판단부 및 지형 판단부에서 확인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가부는 상기 지형 판단부 및 상기 식물 판단부에서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며,
상기 6단계는: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
상기 자갈에 수생식물이 침입하는 식물침입 단계;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어 상기 자갈 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
상기 퇴적된 토사 위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발달하고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 및
상기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
이며, 상기 평가부는 수변식물이 확인될 때 상기 표고가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낮은 경우에는 식물안착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표고가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높은 경우에는 토사안정 단계로 평가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하여 하도의 수표 면적 및 지표 면적을 확인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의 측량자료로부터 하도의 구역별 표고를 계산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에서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정보를 이용하여 하도의 구역별 토사 입경을 확인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판단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으로부터 색상 및 형상을 인식하고 이를 미리 저장된 식물 데이터와 비교하여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계산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판단부는 하도에서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아,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동작되되 상기 평가부를 이용하여 평가된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측량자료, 채취된 토사 시료의 입경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의 지표 면적, 수표 면적, 표고 및 구역별 퇴적 토사의 입경을 확인하는 지형 판단단계;
하도를 촬영한 항공사진, 채취된 식물 샘플 정보를 입력받은 서버가 하도에 구역별로 자생하는 식물의 종류와 분포 면적을 확인하는 식물 판단단계; 및
상기 지형 판단단계 및 상기 식물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도 육역화 평가표에 대입하여 하도의 육역화 정도를 평가하는 평가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평가 단계는 상기 지형 판단단계 및 상기 식물 판단단계에서 확인된 정보에 따라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도를 6단계 중 하나의 단계로 평가하며,
상기 6단계는:
하천 바닥의 자갈 내에 토사가 퇴적되거나 침식되는 순환 단계;
상기 자갈에 수생식물이 침입하는 식물침입 단계;
상기 수생식물에 의해 토사의 침식 작용이 감소되어 상기 자갈 위에 토사가 퇴적되는 토사퇴적 단계;
상기 퇴적된 토사 위에 수변식물이 안착하는 식물안착 단계;
상기 수변식물에 의해 퇴적된 토사가 발달하고 안정되는 토사안정 단계; 및
상기 안정된 토사 위에 식물종간 경쟁이 발생하는 식물경쟁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가 단계는 수변식물이 확인될 때 상기 표고가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낮은 경우에는 식물안착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표고가 미리 저장된 기준 표고보다 높은 경우에는 토사안정 단계로 평가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단계에서 평가된 총 M(M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시점의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하도의 구역별 육역화 변화를 계산하는 비교단계를 상기 평가 단계 이후에 더 포함하는 하도 육역화 평가 방법.
- 제9항 또는 제1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344A KR101597036B1 (ko) | 2014-05-30 | 2014-05-30 |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6344A KR101597036B1 (ko) | 2014-05-30 | 2014-05-30 |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012A KR20150139012A (ko) | 2015-12-11 |
KR101597036B1 true KR101597036B1 (ko) | 2016-02-24 |
Family
ID=5502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6344A KR101597036B1 (ko) | 2014-05-30 | 2014-05-30 |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703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7444B1 (ko) * | 2018-10-23 | 2020-10-1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천 건천화 평가를 위한 건천화 영향요소 정보 표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CN111489092B (zh) * | 2020-04-15 | 2023-01-31 | 云南户外图科技有限公司 | 一种植物栽培种植环境适生区的评估方法及系统 |
KR102390061B1 (ko) * | 2020-10-16 | 2022-04-2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천 건천화 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8790A (ja) * | 2003-11-11 | 2005-06-09 | Hitachi Software Eng Co Ltd | 水上水中物体の監視装置 |
JP2006251914A (ja) * | 2005-03-08 | 2006-09-21 | Takeshi Obata | 構造物診断システム、診断サーバ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619B1 (ko) | 2009-03-31 | 2011-06-09 | 현대건설주식회사 |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
KR100985172B1 (ko) | 2009-08-24 | 2010-10-05 | 현대건설주식회사 | 국부세굴 유도형 하도 육역화 방지공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6344A patent/KR101597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48790A (ja) * | 2003-11-11 | 2005-06-09 | Hitachi Software Eng Co Ltd | 水上水中物体の監視装置 |
JP2006251914A (ja) * | 2005-03-08 | 2006-09-21 | Takeshi Obata | 構造物診断システム、診断サーバ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하천협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9012A (ko) | 2015-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a Cunha et al. | Assessment of current and future land use/cover changes in soil erosion in the Rio da Prata basin (Brazil) | |
Kamaludin et al. |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RUSLE and GIS to model potential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SY) | |
KR20180000619A (ko) | Gis 기반 토사유실 평가 방법 | |
Brainard et al. |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accumulation rates in constructed ponds | |
KR101597036B1 (ko) | 하도 육역화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
Wagh et al. | Assessment of reservoir sedimentation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technique (SRS) | |
Porter et al. | Agricultural Conservation Planning Framework ArcGIS Toolbox User’s Manual Version 3.0 | |
De Doncker et al. | Relation between resistance characteristics due to aquatic weed growth and the hydraulic capacity of the river Aa | |
Srinivas et al. | Assessment of soil eros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in Nagpur district, Maharashtra for prioritisation and delineation of conservation units | |
Mendonça et al. | Temporal and spatial uncertainty of erosion soil loss from an argisol under sugarcane management scenarios | |
Allmanová et al. | Predicting the annual erosion rates on a small stream by the BANCS model. | |
KR101746370B1 (ko) | 친환경 준설을 위한 환경창 지수 산정 방법 | |
Tesfai et al. | Sedimentation rate on spate irrigated fields in Sheeb area, eastern Eritrea | |
CN110188404B (zh) | 一种确定可遏制流域产沙的林草植被覆盖率阈值的方法 | |
Andjelkovic et al. | Genesis of Sediments and Siltation of the accumulation “Duboki Potok” of the Barajevska River Basin, Serbia | |
East et al. | Modern landscape processes affecting archaeological sites along the Colorado River corridor downstream of Glen Canyon Dam, Glen Canyon National Recreation area, Arizona | |
Isha et al. | Composition of particle size at Regency Beach, Port Dickson | |
Greenwood et al. | Assessing hillslope sediment generation potential by tree throw: a preliminary field study along a small river valley in the Jura Mountains, northwest Switzerland | |
Asante-Sasu | Estimation of the rate of sediment transport into the Bui hydropower reservoir | |
Výleta et al. |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water retention measures in agricultural land | |
Zegeye | Extent and impact of gully erosion in a watershed in the sub humid Ethiopian highlands | |
Rasifudi | Simulation of catchment runoff, erosion and sediment transport using a transient numerical model for Mlalazi catchment | |
Gedicks et al. | Ouleout Creek Geomorphic Assessment, Nutrient Load Estimation, and Remediation Recommendations | |
Tibbets et al. | Wetland profile and condition assessment of the Laramie Plains Wetland Complex, Wyoming | |
Archer | Suspended sediment yields in the Nairobi area of Kenya and environmental contro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