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599B1 - 두부정렬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599B1
KR101596599B1 KR1020140167491A KR20140167491A KR101596599B1 KR 101596599 B1 KR101596599 B1 KR 101596599B1 KR 1020140167491 A KR1020140167491 A KR 1020140167491A KR 20140167491 A KR20140167491 A KR 20140167491A KR 101596599 B1 KR101596599 B1 KR 10159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inear
examinee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율
경민수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599B1/ko
Priority to PCT/KR2015/007859 priority patent/WO201608508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51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에 의해 연동작동부가 연동하여 두부정렬부를 동작시키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할 수 있고, 무빙블록과 가이드블록이 스프링볼트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에 의해 상기 두부정렬부가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진자의 두부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두부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두부정렬장치는, 선형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 소정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이어로드가 연장형성된 두부정렬부; 및 상기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 시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여 작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를 회전시키는 연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두부정렬장치{SYSTEM FOR ARRANGING A EXAMINEE'S HEAD}
본 발명은 두부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에 의해 연동작동부가 연동하여 두부정렬부를 동작시키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할 수 있고, 무빙블록과 가이드블록이 스프링볼트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에 의해 상기 두부정렬부가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진자의 두부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두부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엑스선 영상 장비는 수진자의 치아를 촬영하는 기기로서, 엑스선 조사부에서 수진자의 두부에 엑스선을 조사시키고, 조사부 반대편에 위치한 센서에 두부를 통과한 엑스선이 센싱되도록 구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치과용 엑스선 영상 장비에는 엑스선 촬영 중 수진자의 두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수진자 정렬 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진자 정렬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수진자 정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2' 방향으로 샤프트(72)를 이동시키는 모터(70)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72)는 브래킷(74)에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74)은 제1핀(76)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핀(76)은 완드 샤프트(67A)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70)가 화살표 'A2' 방향으로 샹프트(72)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브래킷(74)이 화살표 'A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브래킷(74)이 핀(76)을 밀어 화살표 'A3' 방향으로 완드 샤프트(67A)를 회전시킴에 따라 완드가 화살표 'A1' 방향, 즉, D1 또는 D2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한 쌍의 완드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진자 정렬 장치는, 수진자의 두부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작자가 상기 모터(7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조작하여 한 쌍의 완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함은 물론 조작자 개개인 마다 조작정도가 달라 일관적인 작동이 어려웠다. 특히, 두부의 크기보다 한 쌍의 완드 사이의 거리를 과도하게 좁힌 경우에는 완드에 의해 두부가 압박되어 수진자가 불편을 호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제8,509,381호(August 13, 2013)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에 의해 연동작동부가 연동하여 두부정렬부를 동작시키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할 수 있고, 무빙블록과 가이드블록이 스프링볼트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에 의해 상기 두부정렬부가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진자의 두부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두부정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부정렬장치는, 선형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 소정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이어로드가 연장형성된 두부정렬부; 및 상기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 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를 회전시키는 연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작동부는, 상기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삽입되고 상기 경사면에 구름접촉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 시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작동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경사면이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두부정렬부는 각각의 경사면에 타측 단부가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동작동부는 각각의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연동작동부에 구비된 한 쌍의 작동축을 상호 탄성적으로 당겨줌에 따라 상기 롤러를 상기 경사면에 접촉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작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스크루; 상기 구동스크루에 축삽입되어 상기 구동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루를 따라 선형 이동하며, 상기 경사면이 상호 대칭으로 구비된 이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구동스크루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너트;
상기 스크루너트와 동축상으로 결합된 무빙블록; 상기 무빙블록과 스프링볼트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상기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 회전수는 기설정된 회전수로 고정설정되고, 상기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두부정렬부의 회전량이 제한되며, 상기 두부정렬부의 제한된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스프링볼트의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무빙블록 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LM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작동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위치 설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초기위치 설정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센싱브라켓; 상기 이동유닛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센싱브라켓을 감지하는 초기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부정렬부는, 베어링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어로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단에 동심축상으로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이어로드가 연장형성된 로드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에 의해 연동작동부가 연동하여 두부정렬부를 동작시키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빙블록과 가이드블록이 스프링볼트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에 의해 상기 두부정렬부가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진자의 두부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진자 정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완충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작동부(100), 두부정렬부(200), 연동작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작동부(100), 두부정렬부(200), 연동작동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형작동부(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형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왕복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134a)이 구비된다.
상기 두부정렬부(200)는 소정의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선(X)의 반경방향으로 이어로드(220a)가 연장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경사면(134a)에 근접한 위치로 연장된다.
상기 연동작동부(300)는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작동부(100)의 선형 이동 시 상기 경사면(134a)에 대응하여 작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2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선형작동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선형작동부(1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P)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형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도 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왕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작동부(100)는, 구동모터(110),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스크루(120), 상기 구동스크루(120)에 축삽입되어 상기 구동스크루(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루(120)를 따라 선형 이동하며, 상기 경사면(134a)이 상호 대칭으로 구비된 이동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스크루(120)는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축에 커플링(110c)을 통해 동축상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구동스크루(120)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스크루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구동스크루(120)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너트(131), 상기 스크루너트(131)와 동축상으로 결합된 무빙블록(132) 및 상기 무빙블록(132)과 스프링볼트(133)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상기 경사면(134a)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블록(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볼트(133)는 상기 무빙블록(132)의 관통홀(h1)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관통홈(h2)에 체결되는 볼트부재(133a)와 상기 볼트부재(133a)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무빙블록(132)과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부재(1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경사면(134a)은 왕복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며, 양측의 경사면(134a)을 동일한 각도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의 경사면(134a)이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무빙블록(132) 또는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LM가이드 수단(1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M가이드 수단(135)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블록(132)에 구비된 LM블록(135a), 가이드블록(134)에 구비된 LM블록(135a), 상기 LM블록(135a)이 선형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BP)에 구비된 LM레일(135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10)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구동스크루(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크루(12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4)이 도 5의 하방으로 선형이동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형작동부(100)는, 상기 이동유닛(130)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위치 설정유닛(1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 설정유닛(136)은,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된 센싱브라켓(136a), 상기 이동유닛(130)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센싱브라켓(136a)을 감지하는 초기위치센서(13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11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4)이 도 5의 하방으로 선형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10)가 역회전하여 상기 구동스크루(120)가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크루(12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4)이 도 5의 상방으로 선형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브라켓(136a)이 상기 초기위치센서(136b)에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형작동부(1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110)의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루(120)가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크루(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무빙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4)이 도 5의 하방 또는 상방으로 선형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부정렬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두부정렬부(200)는 수진자의 두부에 접촉되어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2에 도시된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선(X)의 반경방향으로 이어로드(220a)가 연장형성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경사면(134a)에 근접한 위치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부정렬부(200)는 베이스 플레이트(BP)로 고정설치된 베어링 브라켓(210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어로드 샤프트(210), 상기 이어로드 샤프트(210)의 일측단에 동심축상으로 결합되고 일측 단부에 이어로드(220a)가 연장형성된 로드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두부정렬부(20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이어로드 샤프트(210)가 상기 베어링 브라켓(210a)의 축지지되어 상기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로드몸체(220)도 상기 이어로드 샤프트(21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한 쌍의 로드몸체(22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이어로드(220a)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오므라지거나 간격이 넓어지도록 벌려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작동부(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연동작동부(300)는 상기 두부정렬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이어로드 샤프트(210)의 타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선형작동부(100)의 선형 이동 시 상기 경사면(134a)에 대응하여 작동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이어로드 샤프트(210) 및 로드몸체(2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작동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이어로드 샤프트(210)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선(X)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축(310) 및 상기 작동축(310)에 회전가능하게 축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경사면(134a)에 구름접촉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100)의 선형 이동 시 상기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이어로드 샤프트(210) 및 로드몸체(220)를 회전전시키는 롤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연동작동부(300)에 구비된 한 쌍의 작동축(310)을 상호 탄성적으로 당겨줌에 따라 상기 롤러(320)를 상기 경사면(134a)에 접촉시키는 탄성수단(3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로서,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작동부(100)가 초기위치로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선형작동부(100)의 구동모터(1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스크루(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블록(132)과 상기 가이드블록(134)이 도면의 하방으로 선형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빙블록(132)과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선형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블록(134)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134a)이 상기 연동작동부(300)의 롤러(320)를 'A1'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롤러(320)는 상기 경사면(134a)에 구름접촉하면서 상기 작동축(310)을 'A1'방향으로 밀게 된다.
상기 롤러(320)에 의해 상기 작동축(310)이 'A1'방향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이어로드 샤프트(210) 및 상기 로드몸체(220)가 'A2'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로드몸체(220)에 구비된 한 쌍의 이어로드(220a) 간의 간격이 줄어들어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여 정렬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선형작동부(100)의 구동모터(1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구동스크루(1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무빙블록(132)과 상기 가이드블록(134)이 도면의 상방으로 선형이동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축(310)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호 탄성적으로 당겨지게 되어 'A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롤러(320)는 상기 경사면(134a)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축(310)이 'A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로드몸체(220)에 구비된 한 쌍의 이어로드(220a) 간의 간격이 넓어져 초기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10)의 역방향 회전은 상기 센싱브라켓(136a)이 상기 초기위치센서(136b)에 감지되는 때까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완충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로서,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두부정렬장치의 완충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로드(220a)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에서 수진자의 두부를 상기 이어로드(220a)의 사이로 위치시키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로드(220a)의 사이가 오므라들도록 작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이어로드(22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수진자의 두부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10)는 항상 일정량의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무빙블록(132)은 항상 일정한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 회전수는 기설정된 회전수로 고정설정된다.
하지만, 상기 수진자에 두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어로드(220a)가 일정량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가이드블록(134)은 상기 스프링볼트(133)의 스프링부재(133b)를 압축시키면서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선(X)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두부정렬부(200)의 회전량이 제한되며, 상기 두부정렬부(200)의 제한된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스프링볼트(133)의 스프링부재(133b)가 압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진자의 두부에 의해 이어로드(220a)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상기 스프링볼트(133)의 스프링부재(133b)에 의해 완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선형작동부 110:구동모터
120:구동스크루 130:이동유닛
131:스크루너트 132:무빙블록
133:스프링볼트 134:가이드블록
134a:경사면 135:LM가이드수단
136:초기위치 설정유닛 136a:센싱브라켓
136b:초기위치센서 200:두부정렬부
210:이어로드 샤프트 210a:베어링 브라켓
220:로드몸체 220a:이어로드
300:연동작동부 310:작동축
320:롤러 330:탄성수단

Claims (11)

  1. 선형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된 선형작동부;
    소정의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이어로드가 연장형성된 두부정렬부; 및
    상기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 시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를 회전시키는 연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작동부는,
    상기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선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에 회전가능하게 축삽입되고 상기 경사면에 구름접촉됨에 따라 상기 선형작동부의 선형 이동 시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두부정렬부를 회전시키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작동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경사면이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두부정렬부는 각각의 경사면에 타측 단부가 대응하여 위치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동작동부는 각각의 두부정렬부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어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동작동부에 구비된 한 쌍의 작동축을 상호 탄성적으로 당겨줌에 따라 상기 롤러를 상기 경사면에 접촉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작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구동스크루;
    상기 구동스크루에 축삽입되어 상기 구동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스크루를 따라 선형 이동하며, 상기 경사면이 상호 대칭으로 구비된 이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구동스크루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너트;
    상기 스크루너트와 동축상으로 결합된 무빙블록;
    상기 무빙블록과 스프링볼트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상기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수진자의 두부를 정렬시키기 위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 회전수는 기설정된 회전수로 고정설정되고, 상기 수진자의 두부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두부정렬부의 회전량이 제한되며, 상기 두부정렬부의 제한된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기 스프링볼트의 스프링이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무빙블록 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선형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LM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작동부는,
    상기 이동유닛의 초기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초기위치 설정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 설정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일측에 구비된 센싱브라켓;
    상기 이동유닛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센싱브라켓을 감지하는 초기위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정렬부는,
    베어링 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어로드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단에 동심축상으로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이어로드가 연장형성된 로드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정렬장치.
KR1020140167491A 2014-11-27 2014-11-27 두부정렬장치 KR10159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91A KR101596599B1 (ko) 2014-11-27 2014-11-27 두부정렬장치
PCT/KR2015/007859 WO2016085088A1 (ko) 2014-11-27 2015-07-28 두부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91A KR101596599B1 (ko) 2014-11-27 2014-11-27 두부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599B1 true KR101596599B1 (ko) 2016-02-23

Family

ID=5544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91A KR101596599B1 (ko) 2014-11-27 2014-11-27 두부정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6599B1 (ko)
WO (1) WO201608508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494A (en) * 1991-11-04 1993-11-23 Gendex Corporation Head positioner for cephalometric X-ray
US8509381B2 (en) * 2009-12-15 2013-08-13 Midmark Corporation Patient positioning system for panoramic dental radiation imaging system
KR101425861B1 (ko) * 2012-12-06 2014-08-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 영상 획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2392A (en) * 1994-04-12 1997-06-24 J. Morita Manufacturing Corporation Medical radiographic apparatus and patient's head fixing device
JP3807833B2 (ja) * 1996-12-10 2006-08-09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X線撮影装置
KR20100011301A (ko) * 2008-07-24 2010-02-03 (주)이우테크놀로지 치과용 엑스선촬영장치의 검진자 두부 정렬시스템 및정렬시스템의 제어방법
EP2717778B1 (en) * 2011-06-09 2017-09-27 Trophy Patient head support apparatus for imag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3494A (en) * 1991-11-04 1993-11-23 Gendex Corporation Head positioner for cephalometric X-ray
US8509381B2 (en) * 2009-12-15 2013-08-13 Midmark Corporation Patient positioning system for panoramic dental radiation imaging system
KR101425861B1 (ko) * 2012-12-06 2014-08-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부 영상 획득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등록특허 제8,509,381호(August 13,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088A1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651B1 (ko) 회전 아암과 지지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동력전달체를 포함하는 촬영장치
DE102008059344B4 (de) Stativ, insbesondere Bodenstativ
US8845102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KR101216879B1 (ko) 케이블 압입시험 로봇의 클램핑장치
KR101620331B1 (ko) X선 촬영장치
JP4441341B2 (ja) モータ駆動型移動式c形アームに使用するためのベルト張力付与システム
US11656161B2 (en) Bending apparatus for material testing and micro—CT imaging
EP3922162B1 (de) Endoskop mit schwenkbarer bilderfassungseinrichtung
KR101596599B1 (ko) 두부정렬장치
DE60131666T2 (de) Höhenmessgerät
EP1473473B1 (de) Feststellbremse und medizinisches Deckenstativ mit einer solchen Feststellbremse
WO2007022554A2 (de) Bildgebendes verfahren sowie 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bildern von gelenken
WO2018164109A1 (ja) 運動案内装置用クランパ機構
US10987136B2 (en) System comprising a medical apparatus and a medical device, medical apparatus and surgical method
DE202021103323U1 (de) MR-PET-Gerät mit beweglichem Steckverbindungsteil
US20140368796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572572B2 (ja) X線検査装置
CN213640935U (zh) 超声成像系统中扫描组件的锁定装置及超声成像系统
US10631809B2 (en) Lifting device for compression paddle and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E102007035178A1 (de) Tomographiesystem mit verschiebbarem Patiententisch
DE19902195A1 (de) Elektromagnetische Federdruckbremse
JPS61198206A (ja) ステ−ジの駆動装置
CN218582634U (zh) 一种无损检测用曝光支架
CN108147010B (zh) 一种压紧力可精确控制的摩擦驱动装置及其压紧力控制方法
RU2252740C2 (ru) Аппарат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дых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