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015B1 -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015B1
KR101596015B1 KR1020150047330A KR20150047330A KR101596015B1 KR 101596015 B1 KR101596015 B1 KR 101596015B1 KR 1020150047330 A KR1020150047330 A KR 1020150047330A KR 20150047330 A KR20150047330 A KR 20150047330A KR 101596015 B1 KR101596015 B1 KR 1015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independent building
building
in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구
Original Assignee
(주)성안
강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안, 강종구 filed Critical (주)성안
Priority to KR1020150047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6K9/0022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4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involving reference image or background adaptation with time to compensate for changing conditions, e.g. reference image update on detection of light level ch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침입 감시시스템이 아닌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독립건물 주변에 진입하는 침입자들을 감지하여 스마트기기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며, 일시적으로 모든 조명 제어를 통해 독립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Independent building Intrusion Prevention system using Multiple camera}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침입 감시시스템이 아닌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독립건물 주변에 진입하는 침입자들을 감지하여 스마트기기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며, 일시적으로 모든 조명 제어를 통해 독립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침입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 바, 이 침입 감시 시스템은 이상 신호 전송에만 국한되어 있는 센서 감지신호 통보로 소동물의 이동이나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 등의 오작동으로 불필요한 출동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센서 감지신호시 카메라의 영상을 비교 판단하여 사물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만 이를 통보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침입 감시 시스템 또한 사물의 유형별 판단이 불가능하여 자연 현상에 의한 오작동의 요인은 해결하였지만, 여전히 소동물의 이동시에 발생하는 센서의 오작동은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센서 1대당 카메라 1대의 감시구역 배치로 센서 추가시 카메라도 추가로 설치해야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수많은 센서들의 도입없이 카메라만으로 침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장소에서만 침입을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10-1194167호(2012.10.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침입 감시시스템이 아닌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독립건물 주변에 진입하는 침입자들을 감지하여 스마트기기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며, 일시적으로 모든 조명 제어를 통해 독립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은,
독립건물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CCTV카메라부(100)와;
독립건물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감시할 영역으로 설정된 좌표 범위 내부에 이동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윤곽선 추출을 통해 침입자를 추적하며,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에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스마트기기 혹은 인근 파출소단말기로 최종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와;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탑재된 독립건물침입어플을 통해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은,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침입 감시시스템이 아닌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독립건물 주변에 진입하는 침입자들을 감지하여 스마트기기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며, 일시적으로 모든 조명 제어를 통해 독립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독립건물 주변의 범위 내에서만 감시가 가능하며, 정해진 시간에서만 감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탄력적인 감시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감지선 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CCTV카메라부(100)와;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와;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CCTV카메라부(100)는 독립건물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하게 되며, 해당 감시 영역 내의 영상을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는 독립건물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감시할 영역으로 설정된 좌표 범위 내부에 이동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윤곽선 추출을 통해 침입자를 추적하며,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에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스마트기기 혹은 인근 파출소단말기로 최종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독립건물의 좌표값을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감시할 영역을 설정하게 되면 좌표 범위 내부에 이동하는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윤곽선 추출을 통하여 일정 임계치 범위 내의 물체만을 추적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카메라는 주택의 출입문 주변을, B~D 카메라는 주택 둘레를 따라 각각 감시할 영역으로 설정된 좌표 범위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감시선 내부에 침입할 경우에 한하여 이벤트를 발생하게 되는데,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 모두 침입자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설정하여 감지 시간대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A 카메라의 감지 영역에 설정된 시간에 침입자가 발생하면 출입문까지 윤곽선 추출이 가능하지만, 어느 순간에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출입문을 통해 진입했다는 것으로 인지하게 되어 이벤트 발생 신호를 스마트기기로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는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벤트 정보를 탑재된 독립건물침입어플을 통해 화면에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독립건물의 출입문을 통해 침입이 발생하였습니다라는 메세지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는 영상정보획득부(205)와, 영상별촬영시간설정부(210)와, 영상별촬영좌표설정부(215)와, 건물위치좌표디비(220)와, 이동물체감지부(225)와, 윤곽선추출부(230)와, 침입위치좌표추출부(235)와, 이벤트발생부(240)와, 침입정보제공부(245)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영상정보획득부(205)는 다수의 CCTV카메라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획득된 정보들은 별도의 저장부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상기 영상별촬영시간설정부(210)는 CCTV카메라부별 촬영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A 카메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B,C 카메라를 설정하게 되면 해당 시간에 해당 카메라들이 감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별촬영좌표설정부(215)는 CCTV카메라부별 촬영할 좌표 범위를 설정하게 되는데, 독립건물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좌표 범위를 설정하게 되면 해당 좌표 범위 내에서만 감시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표데이터에 영상을 맵핑하여 실시간 이동체의 이동을 추적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상기 건물위치좌표디비(220)는 독립건물의 위치 좌표값 정보와 건물 부속물 정보와 설정된 좌표 범위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즉, 상기 건물 부속물 정보는 독립건물의 출입문, 창문 등과 같이 건물 내부로 진입이 가능한 곳을 의미하며, 이 또한 위치 좌표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이동물체감지부(225)는 건물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좌표 범위 내에 이동 물체를 감지하게 된다.
즉, 정해진 시간에 이동하는 물체를 감지하되, 정해진 좌표 범위 내에서만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윤곽선추출부(230)는 이동물체감지부에 의해 이동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해당 이동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게 되며, 상기 침입위치좌표추출부(235)는 윤곽선추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출되는 윤곽선 정보가 획득하며, 실시간으로 좌표의 이동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에 즉, 특정 건물 부속물로 진입하였기 때문에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최종 좌표값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벤트발생부(240)는 최종 좌표값이 추출될 경우에 해당 좌표값 정보와 건물 부속물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추출된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입정보제공부(245)는 이벤트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를 미리 설정된 스마트기기 혹은 인근 파출소단말기로 최종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A독립건물의 출입문을 통해 침입이 발생하였습니다'라는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표 정보들을 스마트기기로 제공하여 스마트기기에서 해당 좌표 정보를 분석하여 화면에 침입이 발생한 장소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조명온오프컨트롤부(250)와, 얼굴인식부(25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온오프컨트롤부(250)는 이벤트발생부에 의해 이벤트 발생 신호 발생시, 일시적으로 독립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조명들의 온오프를 조작하여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일시에 집안의 모든 조명을 온오프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깜빡이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벤트를 해제하기 위한 이벤트해제부를 구성하여 알람 해제를 원격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원격조정부를 구성하여 침입이 발생한 카메라를 원격지에서 제어하여 해당 위치의 영상 정보를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얼굴인식부(255)는 출입 가능자의 얼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윤곽선 추출에 의해 추출된 침입자의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 분석하게 된다.
즉, 출입이 가능한 가족이나 친지들의 얼굴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침입자의 얼굴 인식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저장된 얼굴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이벤트 발생 요청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의 스마트기기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CCTV카메라부별 촬영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용시간설정부(310)와,
CCTV카메라부별 촬영할 좌표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어플용좌표설정부(320)와,
상기 설정된 촬영 시간 정보와 좌표 범위 정보를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어플용설정정보송출부(330)와,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어플용이벤트정보표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립건물침입어플(350)를 탑재하게 된다.
상기 어플용시간설정부(310)와 어플용좌표설정부(320)는 서버를 통해 설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하기 위한 독립건물의 이미지 맵 정보와 좌표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어플용설정정보송출부(330)는 설정된 촬영 시간 정보와 좌표 범위 정보를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 송출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어플용이벤트정보표출부(340)는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즉, 자신의 스마트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침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각종 센서들을 이용한 침입 감시시스템이 아닌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독립건물 주변에 진입하는 침입자들을 감지하여 스마트기기로 해당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며, 일시적으로 모든 조명 제어를 통해 독립건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CCTV카메라부
200 :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
300 : 스마트기기

Claims (4)

  1.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독립건물의 주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 구성되는 다수의 CCTV카메라부(100)와;
    독립건물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감시할 영역으로 설정된 좌표 범위 내부에 이동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윤곽선 추출을 통해 침입자를 추적하며,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에 상기 침입자가 출입문이나 창문과 같은 특정 부속건문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여 미리 설정된 스마트기기 혹은 인근 파출소단말기로 최종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와;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탑재된 독립건물침입어플을 통해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는,
    다수의 CCTV카메라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정보획득부(205)와, CCTV카메라부별 촬영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영상별촬영시간설정부(210)와, CCTV카메라부별 촬영할 좌표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별촬영좌표설정부(215)와, 독립건물의 위치 좌표값 정보와 건물 부속물 정보와 설정된 좌표 범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건물위치좌표디비(220)와, 상기 건물위치좌표디비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좌표 범위 내에 이동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물체감지부(225)와, 상기 이동물체감지부에 의해 이동 물체가 감지될 경우에 해당 이동 물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기 위한 윤곽선추출부(230)와, 상기 윤곽선추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출되는 윤곽선 정보가 획득하며, 더 이상의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할 경우의 최종 좌표값을 추출하기 위한 침입위치좌표추출부(235)와, 상기 최종 좌표값이 추출될 경우에 해당 좌표값 정보와 건물 부속물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추출된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이벤트발생부(240)와, 상기 이벤트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발생 신호를 미리 설정된 스마트기기 혹은 인근 파출소단말기로 최종 윤곽선 추출이 불가능한 좌표에 위치한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침입정보제공부(245)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00)는,
    CCTV카메라부별 촬영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용시간설정부(310)와, CCTV카메라부별 촬영할 좌표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어플용좌표설정부(320)와, 상기 설정된 촬영 시간 정보와 좌표 범위 정보를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 송출하기 위한 어플용설정정보송출부(330)와,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로부터 송출되는 건물 부속물의 정보와 독립건물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어플용이벤트정보표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립건물침입어플(350)을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건물침입방지서버(200)는,
    이벤트발생부에 의해 이벤트 발생 신호 발생시, 일시적으로 독립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모든 조명들의 온오프를 조작하여 침입이 발생하였음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명온오프컨트롤부(250)와,
    출입 가능자의 얼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윤곽선 추출에 의해 추출된 침입자의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저장된 출입 가능자의 얼굴 정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얼굴인식부(2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KR1020150047330A 2015-04-03 2015-04-03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KR10159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30A KR101596015B1 (ko) 2015-04-03 2015-04-03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330A KR101596015B1 (ko) 2015-04-03 2015-04-03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015B1 true KR101596015B1 (ko) 2016-02-19

Family

ID=5544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330A KR101596015B1 (ko) 2015-04-03 2015-04-03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50B1 (ko) * 2023-11-16 2024-02-28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아파트 불법 침입자 퇴치를 위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20A (ko) * 2009-05-04 2010-11-12 주식회사 지킴텍 보안 방범망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7235B1 (ko) * 2011-09-09 2011-12-22 (주) 대호아이앤티 독거 노인 안전망 시스템 및 안전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94167B1 (ko) 2012-05-22 2012-10-24 (주)버들시스템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KR20140103859A (ko) * 2013-02-19 2014-08-27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920A (ko) * 2009-05-04 2010-11-12 주식회사 지킴텍 보안 방범망을 이용한 이동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3886A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인터파크에이치엠 보안 서비스 서버 및 스마트 보안 방법
KR101097235B1 (ko) * 2011-09-09 2011-12-22 (주) 대호아이앤티 독거 노인 안전망 시스템 및 안전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94167B1 (ko) 2012-05-22 2012-10-24 (주)버들시스템 소규모 수도시설의 침입감지 및 영상녹화 시스템
KR20140103859A (ko) * 2013-02-19 2014-08-27 (주)파슨텍 앱을 이용한 무인 원격 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050B1 (ko) * 2023-11-16 2024-02-28 주식회사 에스비이엔씨 아파트 불법 침입자 퇴치를 위한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1223B2 (en) Video motion detection, analysis and threa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US9224278B2 (en)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lit cigarette
US8908034B2 (en) Surveillance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recognize, track objects and unusual activities in real time within user defined boundaries in an area
US10424175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based on user feedback
KR101387628B1 (ko) 출입 통제 통합 영상 저장 장치
US20080136934A1 (en) Flame Detecting Method And Device
KR100962529B1 (ko) 객체 추적 방법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US92929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07126839A3 (en) Security alarm system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JP6336709B2 (ja) 警備装置、警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93721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20190044867A (ko) 독거 세대 관제 장치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181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Human Detection with Pet Immunity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TWI713368B (zh) 影像式小偷偵測裝置及方法
KR102233679B1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US10609342B1 (en) Multi-channel sensing system with embedded processing
KR101046819B1 (ko) 소프트웨어 휀스에 의한 침입감시방법 및 침입감시시스템
CN103152558A (zh) 基于场景识别的入侵检测方法
KR20180081645A (ko) 지하철 스크린도어에서 안전 이상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임베디드 비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96015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독립건물 침입방지 시스템
AU2021103548A4 (en) Smart home surveillance system using iot application with warning of intruder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