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653B1 - 초소형 가스터빈 - Google Patents

초소형 가스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653B1
KR101595653B1 KR1020140073474A KR20140073474A KR101595653B1 KR 101595653 B1 KR101595653 B1 KR 101595653B1 KR 1020140073474 A KR1020140073474 A KR 1020140073474A KR 20140073474 A KR20140073474 A KR 20140073474A KR 101595653 B1 KR101595653 B1 KR 10159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combustor
discharge pipe
gas
press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856A (ko
Inventor
방제성
최범석
박무룡
황순찬
서정민
임형수
윤의수
박준영
유일수
최원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65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0Mounting or supporting of plant; Accommodating heat expansion or cre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4Heat or noise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가스터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은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며,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이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압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및 상기 고압 가스를 연소하여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화기; 상기 연소기에서 공급되는 고온 고압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터빈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소기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터빈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을 신축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초소형 가스터빈{Micro Gas Turbine}
본 발명은 초소형 가스터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 등의 구성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중형의 대형발전소와 달리, 분산형 전원으로서 연료전지나 초소형 가스터빈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초소형 가스터빈은 동일한 출력을 가진 왕복동식 엔진에 비해 초기투자비가 낮고 소형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비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기기에는 리튬 2차 전지가 주로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상용 2차 전지는 연속 사용시간이 짧고 충전하는데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에너지 밀도도 이론 한계치에 근접하여 있는 상태여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고성능화가 기존 2차 전지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까지 진행되고 있다. 최근 애완용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및 군사용 로봇과 같이 장시간 사용가능한 휴대용 동력원을 필요로 하는 제품들이 상용화 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새로운 마이크로 동력공급장치의 필요성과 시급성이 매우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마이크로 동력발생 장치는 기본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기존의 동력원보다 높아야 개발의 당위성이 보장되며, 출력과 에너지 밀도가 높은 동력발생장치로 초소형 가스 터빈(Ultra micro gas turbine,UMGT)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 엔진은 일종의 회전식 내연기관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와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고압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연소기와, 연소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연소가스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초소형 가스터빈은 연소기에서의 온도가 다른 구성에 비하여 매우 높으며, 연소기에서의 높은 온도에 의해 인접하는 구성은 열응력을 받게 된다. 열응력으로 인하여 장치 등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온도 상승에 따른 장치의 변형은 특히 상대적으로 장치 크기가 작은 초소형 가스터빈의 경우에는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을 신축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며,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이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압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및 상기 고압 가스를 연소하여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화기; 상기 연소기에서 공급되는 고온 고압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터빈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소기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터빈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초소형 가스터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로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빈의 일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배관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배관의 일단과 상기 터빈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터빈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배관의 일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빈에는 상기 제1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소기에는 상기 점화기가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점화기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은 가변적인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점화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배관은 신축 가능하게 소정간격 신축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연소기에 인접하는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초소형 가스터빈이 제공된다.
또한, 터빈의 일단부는 배출배관에 삽입되되, 배출배관의 일단과 터빈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열응력에 의한 장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빈의 일단과 배출배관의 일단은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열응력에 의한 장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화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공이 가변적인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소형 가스터빈의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초소형 가스터빈의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은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을 신축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100)은 압축기(110)와, 압축기(110)로부터 고압의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기(120)와, 연소기(120)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관(미도시)과, 연소기(120)에 설치되는 점화기(130)와, 연소기(120)로부터 고온·고압의 가스를 공급받는 터빈(140) 및 터빈(14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배출배관(150)을 포함한다.
압축기(110)는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압축기(110)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초기에 구동이 되며,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압축하여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외부로부터 압축기(110)에 공급되어 압축된 가스는 약 200℃ 정도의 온도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100)은 자가구동 초소형 가스터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초기에 모터(미도시)로 구동하여 압축기(110)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급된 공기를 압축기(110)에서 고압, 연소기(120)에서 고온으로 만들어 고온·고압의 에너지가 터빈(140)에 전달되며, 이 후,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연료의 힘으로만 구동한다. 따라서, 초소형 가스터빈(100)이 자가구동이 된 후에는 압축기(110)에 별도로 외부가스가 공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연소기(120)는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받은 고압의 가스로부터 고온·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연소기(120)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며,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미도시)이 연통되고, 점화기(130)가 설치된다. 즉, 연소기(120)는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받은 고압의 가스와 연료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점화기(130)를 통하여 점화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연소기(120)에서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가스가 연소되는 경우, 연소기(120)의 온도는 매우 높으며, 본 실시예에서 연소기(120)의 온도는 1000℃ 정도이다. 이러한 고온에 의하여 초소형 가스터빈(100)에 열응력이 가해되며, 이는 장치 변형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때, 10℃가 상승하는 경우 100mm 당 1㎛ 정도의 장치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상대적으로 장치의 크기가 작은 초소형 가스터빈(100)의 경우에는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한편, 연소기(120)에는 점화기(130)가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에는 점화기 하우징(131)이 설치된다.
점화기 하우징(131)은 연소기(120)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며 점화기(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점화기 하우징(131)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점화기(130)가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삽입공은 가변적인 직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즉, 점화기 하우징(131)은 삽입공의 직경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삽입공의 직경 변화에 의하여, 점화기(130)의 삽입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점화기(130)의 직경과 삽입공의 직경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제작되어야 장치에 문제가 없으나, 장치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점화기(130)의 직경이 삽입공의 직경보다 미세하게 크게 제작되는 경우에는 점화기(13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장치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기(130)의 직경이 삽입공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되더라도, 신축가능한 삽입공을 갖는 점화기 하우징(131)에 의하여 점화기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공의 직경 변화에 의하여, 고온의 연소기(120)에 의한 열응력의 영향이 거의 없다. 고온의 연소기에 의하여 열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삽입공의 직경이 소정간격 신축됨으로써, 장치의 변형이 방지된다.
터빈(140)은 연소기(120)에서 발생한 고온·고압의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이다. 터빈(140)은 배출배관(150)에 연결되는데, 이때 터빈(140)의 일단부는 직경이 배출배관(150)보다 작게 마련되어 터빈(140)의 일부는 배출배관(150) 내부에 삽입된다.
배출배관(150)은 터빈(14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초소형 가스터빈(1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소기(120)에 삽입되며, 터빈(14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도 2는 도 1의 초소형 가스터빈의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출배관(150)은 신축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배관(150)은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 형태로 마련되어 신축가능하다. 터빈(14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소정의 열이 다른 구성에 흡수되어 약 600~700℃의 온도를 갖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기(120) 내부의 온도는 약 1000℃ 이므로 배출배관(150)과 연소기(120) 사이에는 큰 온도차가 발생하며, 연소기(120) 측의 압력이 배기가스 측의 압력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배출배관(150)에는 열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배출배관(150)은 소정간격 신축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소정간격 신축되어 장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초기에 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압축기(110)가 회전하면, 압축기(110)로 유입된 외부 가스는 압축되어 고압의 가스가 된다. 이때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가스의 온도는 약 200℃ 정도이다.
압축기(110)에서 압축된 가스는 연소기(120) 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연소기(120)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관(미도시)으로부터 연소기(120) 내부에는 연료가 유입되며, 압축된 고압상태의 가스와 연료가 혼합된다. 이후, 점화기(130)에 의하여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고온·고압 상태의 가스가 된다. 이때 연소기(120) 내부의 온도는 약 1000℃ 정도이다.
연소기(120)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가스는 터빈(140)에 공급되어 에너지를 전달하며, 이 후 터빈(140)은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한다. 터빈(14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출배관(1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1000℃ 정도의 높은 온도를 갖는 연소기(120)에 의하여 배출배관(150) 및 점화기(130)에 열응력이 가해진다. 배출배관(150)은 적어도 일부가 신축가능하도록 벨로우즈 형태로 마련되므로, 열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소정간격 신축하여 장치가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점화기(130)의 경우에도 점화기 하우징(131)의 삽입공이 가변적인 직경을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열응력에 의한 장치 변형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1실시예와 달리 배출배관의 단부에 소정의 경사가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은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을 신축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가스터빈(200)은 압축기(110)와, 압축기(110)로부터 고압의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기(120)와, 연소기(120)와 연통되는 연료 공급관(미도시)과, 연소기(120)에 설치되는 점화기(130)와, 연소기(120)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를 공급받는 터빈(240) 및 터빈(24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배출배관(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축기(110)와, 연소기(120)와, 연료 공급관(미도시) 및 점화기(13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터빈(240)은 연소기에서 발생한 고온·고압의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성이다. 터빈(240)은 배출배관(250)에 연결되는데, 이때 터빈(240)의 일단부는 직경이 배출배관(250)보다 작게 마련되어 터빈(240)의 일부는 배출배관(250) 내부에 삽입된다. 한편, 배출배관(250)에 삽입되는 터빈(240)의 일단부의 일영역에는 소정의 경사가 형성되는 제2경사부(24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배관(250)에 삽입되지 않는 영역과 배출배관(250)에 삽입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는 배출배관(250)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제2경사부(241)가 형성된다.
배출배관(250)은 터빈(240)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초소형 가스터빈(2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공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소기(120)에 삽입되며, 터빈(240)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도 4는 도 3의 초소형 가스터빈의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출배관(250)은 신축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배관(250)은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 형태로 마련되어 신축가능하다. 터빈(24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소정의 열이 다른 구성에 흡수되어 약 600~700℃의 온도를 갖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소기(120) 내부의 온도는 약1000℃ 이므로 배출배관(250)과 연소기(120) 사이에는 큰 온도차가 발생하며, 연소기(120) 측의 압력이 배기가스 측의 압력보다 크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배출배관(250)에는 열응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배출배관(250)은 소정간격 신축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소정간격 신축되어 장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터빈(240)과 연결되는 배출배관(250)의 일단에는 터빈(240)에 형성된 제2경사부(241)와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제1경사부(251)가 형성된다. 또한, 배출배관(250)의 단부는 터빈(24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출배관(250) 내부에 삽입되지 않는 터빈(240)의 부분으로부터 배출배관(250)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배출배관(250)에 열응력이 가해지면 벨로우즈의 신축에 의하여 배출배관(25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때 제1경사부(251) 및 터빈(240)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배출배관(250)의 일단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열응력에 의한 장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의 가스가 발생하는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기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배출배관을 신축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배출배관에 열응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치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등이 향상되는 초소형 가스터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초소형 가스터빈 110 : 압축기
120 : 연소기 130 : 점화기
131 : 점화기 하우징 140 : 터빈
141 : 제2경사부 150 : 배출배관
151 : 제1경사부

Claims (5)

  1. 외부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압축기;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며,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 공급관이 연통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고압 가스를 공급받는 연소기;
    상기 연소기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 및 상기 고압 가스를 연소하여 고온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는 점화기;
    상기 연소기에서 공급되는 고온 고압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신축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터빈의 일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소기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터빈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터빈의 일부는 상기 배출배관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배관에 삽입되며, 상기 배출배관의 일단과 상기 터빈은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에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터빈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배관의 일단부는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터빈에는 상기 제1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경사부가 형성되는 초소형 가스터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벨로우즈로 마련되어 신축가능한 초소형 가스터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에는 상기 점화기가 설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며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점화기가 삽입되고, 상기 삽입공은 가변적인 직경을 갖도록 마련되는 점화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초소형 가스터빈.
KR1020140073474A 2014-06-17 2014-06-17 초소형 가스터빈 KR10159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74A KR101595653B1 (ko) 2014-06-17 2014-06-17 초소형 가스터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74A KR101595653B1 (ko) 2014-06-17 2014-06-17 초소형 가스터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56A KR20150144856A (ko) 2015-12-29
KR101595653B1 true KR101595653B1 (ko) 2016-02-19

Family

ID=5508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74A KR101595653B1 (ko) 2014-06-17 2014-06-17 초소형 가스터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6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8533A1 (en) * 2008-10-21 2010-04-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urbine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a turbine housing
JP2011007430A (ja) * 2009-06-26 2011-01-13 Ihi Corp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JP2011163287A (ja) * 2010-02-12 2011-08-25 Niigata Power Systems Co Ltd 再生サイクルガスタービ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8533A1 (en) * 2008-10-21 2010-04-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Turbine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a turbine housing
JP2011007430A (ja) * 2009-06-26 2011-01-13 Ihi Corp マイクロ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JP2011163287A (ja) * 2010-02-12 2011-08-25 Niigata Power Systems Co Ltd 再生サイクルガスタービ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56A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0289A1 (en) Turbine engine assembly including a rotating detonation combustor
US8164208B2 (en) Systems involving multi-spool generators and variable speed electrical generators
US9989254B2 (en) Combustor leakage control system
US10221763B2 (en) Combustor for rotating detonation engin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860982B1 (ko) 가스터빈의 연소기 지지장치
US11543131B2 (en) Nozzle assembly, combustor, and gas turbine having same
US20210190320A1 (en) Turbine engine assembly including a rotating detonation combustor
US10962227B2 (en) Combustor and gas turbine including the same
US20180179961A1 (en) Turbine engine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US20180298766A1 (en) Gas turbine blade assembly having retainer assembling structure, and gas turbine having same
RU2731141C2 (ru) Сменное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аровой трубы камер сгорани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KR101595653B1 (ko) 초소형 가스터빈
RU2563079C1 (ru) Малоразмерный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с регенерацией тепла
EP3205886A1 (en) Thermal and thrust management in dynamic pressure exchangers
JP6679233B2 (ja) 多段燃焼器
CN103277212A (zh) 一种超临界内燃直流蒸汽发动机组
US20220243599A1 (en) Rotary machine, gas turbine including same, and rotary machine assembly method
KR101634876B1 (ko) 열응력으로 인한 손상 방지구조를 갖는 초소형 가스터빈
US10526965B2 (en) Ignition system for constant volume combustor
RU2724378C2 (ru)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содержащий кожух с охлаждающими ребрами
KR101660644B1 (ko) 가스터빈의 트랜지션피스 결합장치
US20130084160A1 (en) Turbine Shroud Impingement System with Bellows
US20170370582A1 (en) Transition part assembly and combustor including the same
US20180179951A1 (en) Rotating detonation engine including supplemental combust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4194665B1 (en) Sealing assembly and turbomachin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