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431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431B1
KR101595431B1 KR1020147018911A KR20147018911A KR101595431B1 KR 101595431 B1 KR101595431 B1 KR 101595431B1 KR 1020147018911 A KR1020147018911 A KR 1020147018911A KR 20147018911 A KR20147018911 A KR 20147018911A KR 101595431 B1 KR101595431 B1 KR 10159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data path
prose
handov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4824A (ko
Inventor
김현숙
김재현
김래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1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 H04W36/033Reselecting a link using a direct mode connection in pre-organis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캠프 온 되어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장치(device)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ProSe는 서로 근접한 장치들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탐색(discover)하고, 궁극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관련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작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상업,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ProSe가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ProSe는 장치-대-장치(Device-to-Device; D2D) 통신이라고 칭하여질 수도 있다. 즉, 복수개의 장치(예를 들어, 단말(User Equipment; UE))들 간에 직접적인 링크를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를 장치 간에 직접 주고 받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ProSe 통신은 단말-대-단말(UE-to-UE) 통신, 피어-대-피어(Peer-to-Peer) 통신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roSe 통신 방식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따라서, ProSe는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따른 기지국의 부담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고려되고 있다. 또한, ProSe를 도입함으로써, 기지국의 절차 감소, ProSe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소비 전력 감소, 데이터 전송 속도 증가, 네트워크의 수용 능력 증가, 부하 분산, 셀 커버리지 확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roSe의 도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지만, ProSe를 지원 및 제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평면(plane)의 시그널링, 네트워크의 노드/기지국의 제어 하에 상호간에 직접 데이터 경로를 생성하고 그 결과 및 ProSe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알려주는 제어 메커니즘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기지국이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직접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둘 이상의 단말들 간의 지리적 위치 혹은 논리적 위치 (예를 들어 물리적인 이동이 없더라도 신호세기에 따른 상대적인 위치)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의 제어방법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캠프 온 되어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캠프 온 되어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추적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의 전/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해 상기 ProSe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하나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로컬 기지국을 경유하는 직접 데이터 경로로 전환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 결정시,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의 가입자 정보, 상기 둘 이상의 단말 및 타겟 기지국의 능력 정보, 상기 능력 정보의 활성/비활성 정보, 홈/로컬 오퍼레이터 정책, 선호도 정보, 네트워크에 미리 설정된 정보, 기지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책/선호도 정보, 네트워크/기지국의 혼잡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의 결정은, 세션 혹은 플로우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환하기로 결정된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전환 결정을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연결을 유지하고 있던 경우,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생성은 베어러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갖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의 식별자,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컨텍스트 정보, 히스토리 정보, QoS(Quality of Service) 또는 과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ProSe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roSe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의 ProSe 지원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기지국이 요청 받은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roSe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접 데이터 경로/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단말들의 지리적 위치 혹은 논리적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경로 제어를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ProSe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EPS에서 두 UE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locally-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roSe 관련 제어 시그널링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roSe 관련 제어 방안을 통해 직접 데이터 경로가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변경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ProSe 관련 제어 방안을 통해 직접 데이터 경로가 유지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계열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의 3 세대(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 EPS(Evolved Packet System): IP 기반의 packet switched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 UTRAN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eNodeB: LTE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UE는 LTE와 같은 3GPP 스펙트럼(spectrum) 및/또는 WiFi, 공공 안전(Public Safety) 용 스펙트럼과 같은 비-3GPP 스펙트럼으로 통신이 가능한 UE이다.
-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s 또는 Proximity-based Services; ProSe): 물리적으로 근접한 장치 사이의 탐색(discovery), 및 상호 직접적인 통신/기지국을 통한 통신/제 3의 장치를 통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이때 사용자 평면 데이터(user plane data)는 3GPP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EPC)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경로(direct data path)를 통해 교환된다.
- 근접성(Proximity): 어떤 UE가 다른 UE와 근접한 것인지 여부는 소정의 근접성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근접성 기준은 ProSe 탐색(discovery) 및 ProSe 통신(communication)에 대해서 상이하게 주어질 수도 있다. 또한, 근접성 기준은 사업자의 제어 대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 근접 서비스 탐색(ProSe Discovery): E-UTRA를 사용하여 어떤 UE가 다른 UE에 근접한 것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과정.
- 근접 서비스 통신(ProSe Communication): UE들 간에 형성된(established) 통신 경로를 통하여 수행되는 근접한 UE들 간의 통신. 상기 통신 경로는 UE들 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로컬 기지국(eNodeB)(들)을 통하여 라우팅될 수도 있다.
- 근접 서비스-가능 UE(ProSe-enabled UE): ProSe 탐색 및/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UE.
- 근접 서비스-가능 네트워크(ProSe-enabled Network): ProSe 탐색 및/또는 ProS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 RAN(Radio Access Network):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HSS는 설정 저장(configuration storage), 아이덴티티 관리(identity management), 사용자 상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RANAP(RAN Application Part): RAN과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MSC(Mobiles Switching Center)) 사이의 인터페이스.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 NAS(Non-Access Stratum): UMTS 프로토콜 스택에서 UE와 코어 네트워크간의 시그널링, 트래픽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적인 계층. UE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UE와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간의 IP 연결을 형성(establish) 및 유지(maintain)하는 세션 관리 절차(procedure)를 지원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 HNB(Home NodeB):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25.467을 참조할 수 있다.
- HeNB(Home eNodeB): E-UTRAN(Evolved-UTRAN)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36.300을 참조할 수 있다.
- CSG(Closed Subscriber Group): H(e)NB의 CSG의 구성원으로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하나 이상의 CSG 셀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 가입자 그룹.
- LIPA(Local IP Access): IP 기능을 가진(IP capable) UE가 H(e)NB를 경유하여 동일한 주거(residential)/기업(enterprise) IP 네트워크 내의 다른 IP 기능을 가진 개체에 대한 액세스. LIPA 트래픽은 이동 사업자(operator) 네트워크를 지나지 않는다. 3GPP 릴리즈-10 시스템에서는, H(e)NB를 경유하여 로컬 네트워크(즉, 고객(customer)의 집 또는 회사 구내에 위치한 네트워크) 상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3GPP 릴리즈-10 시스템에서는 사업자가 EPC 네트워크에서 UE에 물리적으로 가까이 존재하는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래픽을 넘기는 것을 지원한다.
-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 하나의 IP 주소(하나의 IPv4 주소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리픽스)로 표현되는 UE와 APN(Access Point Name)으로 표현되는 PDN 간의 논리적인 연결.
EPC(Evolved Packet Core)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며, 패킷-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능력(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과 단말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end-to-end) IP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이 eNodeB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을 가지는 단말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Figure 112014064104206-pct00001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액세스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근접 서비스(ProSe)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
본 발명에서는 3GPP EPS(Evolved Packet System)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ProSe) 또는 D2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의 증가로 인해,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사용자들/장치들 사이의 인지/탐색(discovery)및 특별한 애플리케이션/서비스(즉, 근접성-기반 애플리케이션/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3GPP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도 이러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ProSe에 대한 가능한 용례(use case) 및 시나리오와, 가능한 서비스 요건(service requirement)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다.
ProSe의 가능한 용례는 상업적/소셜 서비스, 네트워크 오프로드, 공공 안전(Public Safety), 기존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서비스의 통합(이는 도달성(reachability) 및 이동성(mobility) 측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E-UTRAN 커버리지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서의 공공 안전(이 경우, 특정 지역의 규제 및 사업자 정책에 부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공공-안전을 위해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 및 특정 단말들로 제한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에 대한 용례들 및 가능한 요건이 논의 중이다.
특히 3GPP에서 진행중인 ProSe에 대한 논의의 범위는, 근접성-기반 애플리케이션/서비스는 LTE 또는 WLAN을 경유하여 제공되고, 사업자/네트워크의 제어를 받아서 장치들 간의 탐색 및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도 2는 EPS에서 두 UE가 통신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default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2는 UE-1과 UE-2 사이의 ProSe가 적용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의 UE-1과 UE-2 간의 데이터 경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기본적인 경로는 기지국(즉,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즉, EPC 또는 사업자 망)를 거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UE-1과 UE-2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에, UE-1으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1, S-GW/P-GW, eNodeB-2를 거쳐서 UE-2에게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UE-2로부터의 데이터는 eNodeB-2, S-GW/P-GW, eNodeB-1을 거쳐 UE-1에게 전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UE-1과 UE-2가 서로 다른 eNodeB에 캠프-온(camp-on) 한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동일한 eNodeB에 캠프-온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두 UE가 동일한 S-GW 및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으나, 다양한 조합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즉, 동일한 S-GW 그리고 서로 다른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S-GW 그리고 동일한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른 GW 그리고 서로 다른 P-GW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본적인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즉, infrastructure path 또는 infrastructure data path 또는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path)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쳐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인프라스트럭쳐 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3은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직접 모드 데이터 경로 (direct mode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직접 모드 통신 경로는 기지국(즉, eNodeB 또는 Home eNodeB) 및 게이트웨이 노드들(즉, EPC)를 거치지 않는다.
도 3(a)는 UE-1과 UE-2가 각각 다른 eNodeB(즉, eNodeB-1 및 eNodeB-2)에 캠프-온(camp-on) 하고 있으면서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동일한 eNodeB(즉, eNodeB-1)에 캠프-온 하고 있는 UE-1과 UE-2가 직접 모드 통신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한편,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이나 게이트웨이 노드를 거치지 않고 UE 간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지만, 제어 평면 경로는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를 거쳐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어 평면 경로를 통하여 교환되는 제어 정보는, 세션 관리, 인증 (authentication), 권한검증(authorization), 보안, 과금 등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도 3(a)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이한 eNodeB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UE-1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고, UE-2에 대한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2를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도 3(b)의 예시에서와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ProSe 통신의 경우에,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도 4는 ProSe에 기반한 두 UE 간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locally-routed data path)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예시에서와 같이 UE-1과 UE-2 간의 ProSe 통신 데이터 경로는 eNodeB-1을 거쳐서 형성되지만, 사업자가 운영하는 게이트웨이 노드(즉, EPC)를 거치지는 않는다. 한편, 제어 평면 경로는, 도 4와 같이 동일한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의 로컬 라우팅 방식 데이터 경로가 구성되는 경우에, UE-1 및 UE-2에 대한 제어 정보는 eNodeB-1을 거쳐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 노드(예를 들어, MME)와 교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통신 경로를 직접 데이터 경로, ProSe를 위한 데이터 경로, ProSe 기반 데이터 경로, 또는 ProSe 통신 경로라고 칭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접 데이터 경로를 통한 통신을, 직접 통신, ProSe 통신, 또는 ProSe 기반 통신이라고 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아직까지 ProSe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GPP 네트워크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논의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사업자/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 평면(plane)의 시그널링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단말(UE/user/subscriber)이 ProSe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상대 단말을 인지/탐색(discovery)하고 직접 데이터 경로를 원할 때, 네트워크의 노드/기지국의 제어 하에 상호간에 직접 데이터 경로를 생성하고 그 결과 및 ProSe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알려주는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기지국이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직접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둘 이상의 단말들 간의 지리적 혹은 논리적 위치 변동(예를 들어,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서빙 기지국 셀 영역 내에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등)이 있는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의 제어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둘 이상의 단말들이 ProSe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5의 단계 S501에서, 단말은 ProSe 서비스를 위해 상대 단말을 인지/탐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들은 ProSe 능력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단계 S502에서, 단말의 능력 및/또는 능력 활성/비활성 상태 정보와 함께 ProSe를 위한 제어 또는 허가 요청을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 ProSe를 위한 제어 또는 허가 요청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직접 데이터 경로 구성에 대한 요청을 함축적 또는 직접적으로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직접 데이터 경로 구성 시 하나 이상의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단말이 포함될 지 여부에 대한 선호도, 거부 또는 허용을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 구성에 따라 단말의 추가적인 능력이 필요하다면, 해당 능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능력의 활성/비활성 상태 정보도 전송 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단말로부터 어태치 요청(attach request)와 같은 제어신호를 받은 기지국은, 자신이 추가할 수 있는 ProSe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켜 S1AP (기지국과 MME사이의 protocol)를 사용하여 MME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하는 제어 신호 혹은 S1AP 메시지는 어태치 요청뿐만 아니라, TAU/RAU, Handover 등 기존의 여러가지 제어 신호가 사용되거나, 새로 정의된 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지국에서 추가할 수 있는 ProSe와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이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기지국이 해당 단말이 요청한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란 물리적 또는 논리적 기능(functionality)이 될 수 있다. ProSe를 위한 직접 데이터 (경로) 통신의 셋업시 및/또는 실제 데이터 전송시에 기지국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해당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ProSe 사용이 가능한 다른 단말을 탐색하는 것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해당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직/간접적인 개입에는 직접 데이터 경로 상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이 존재 할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기지국 또는 하나 이상의 단말을 경유하는 직접 데이터 경로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지국의 기능은 미리 설정 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홈/로컬 오퍼레이터의 의지(사업자 정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기능의 유무와 별개로 상기 기지국 기능이 활성화/비활성화 될 수 있는 조건도 미리 설정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업자 또는 네트워크는 상황에 따라 (예를 들어, 특정 조건 또는 단말/또 다른 기지국을 포함한 다른 코어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해당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켜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해당 단말이 요청한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이에 대한 판단의 기준은 다음 표 2의 여러 가지 상황들 중 하나 이상과 기지국의 능력 및 미리 설정되어 있는 능력 임계치(threshold)등을 비교하여 결정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능력은 사업자의 정책에 의해 정적 또는 동적으로 변경 될 수 있다.
Figure 112014064104206-pct00002
단계 S504에서, MME는 단말로부터 ProSe에 대한 제어 또는 허가 요청을 받아들일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MME는 HSS 또는 ProSe를 위한 제3의 물리적/논리적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해당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단말/네트워크의 능력, 해당 능력의 활성/비활성 상태, 홈/로컬 오퍼레이터 정책, 단말의 선호도, 네트워크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바탕으로 단말의 요청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MME는 단말에게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셋업하고 이를 전달해 줄 수 있다. MME가 단말에 대해 ProSe에 대한 제어 또는 허가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MME는 기지국에게 이를 알리는 지시 정보(예를 들어, 'ProSe Service Operation Possible=Possible' )를 포함시켜 단말이 단계 S502에서 보낸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 컨텍스트에 저장하고, 단말을 위해 ProSe에 대한 제어를 수행해야 함을 인식한다. 이러한 제어는 ProSe의 사용이 가능한 다른 단말 탐색, 및/또는 직접 데이터 경로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및/또는 직접 데이터 경로 통신과 인프라스트럭처 통신간의 핸드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기지국은 ProSe와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둘 이상의 단말의 움직임을 추적(trace)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계 S505에서 수신한 지시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에 대해 ProSe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은 단계 S503, S504 및 단계 S505가 생략되더라도 해당 단말에 대한 ProSe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506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움직임을 추적하다가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서빙 기지국 셀 영역 내에서 거리 (물리적 거리 혹은 논리적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 S507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계들에 의한 직접 데이터 경로의 핸들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려고 하는 상황 또는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상이한 타겟 기지국으로 이동하려는 상황, ii)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둘 이상의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같은 타겟 기지국으로 옮겨가려고 하는 상황 또는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를 벗어 나게 되더라도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할 수 있는 근접 거리로 판단되는 상황, iii)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둘 이상의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같은 타겟 기지국으로 옮겨가려고 하는 상황 또는 두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리 위치하게 되는 상황, iv)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는 제1 단말과 인프라스트럭처통신을 유지하고 있던 새로운 제2 단말이 제1 단말이 속한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으로 캠프 온 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각 경우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실시예 2-1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려고 하는 상황 또는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상이한 타겟 기지국으로 이동하려는 상황에서,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둘 이상인 경우에,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의 예시로써 UE-1(110), UE-2(120)의 두 단말을 상정한다.
단계 S601에서, 기지국(200)는 UE-1(110) 또는 UE-2(120)로부터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s) 및/또는 다른 기지국(도면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음), MME(300), 제 3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HSS 또는 ProSe를 위한 특정 서버)(6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i) UE-1(110), UE-2(120)의 가입자 정보, ii) 해당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단말/네트워크의 능력 및/또는 해당 능력의 활성/비활성(enable/disable) 상태, iii) 홈/로컬 오퍼레이터 정책(home/local operator policy), iv) 단말의 선호도, 네트워크의 미리 설정된 정보(NW pre-configuration information), v) 코어 네트워크 혼잡 상황 및/또는 기지국 혼잡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요청에 의해 받거나, 또는 요청 없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종래기술에 의한 과정 중에 전달 받거나, 본 발명을 위한 새로운 단계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단계 S602에서 기지국(200)은 둘 이상의 단말이 통신 중이던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정은 반드시 기지국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이 단말에게 위와 같은 상황을 알려주어 단말이 경로 전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이 위와 같은 상황을 MME에게 알려주어 MME가 경로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즉, 네트워크 기반 솔루션 중 코어 네트워크 노드 기반 솔루션). MME에서 결정되는 경우 어태치 요청시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한 판단과정과 유사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의 전환의 결정시 다음 표 3과 같은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만약, 경로 전환의 결정이 단말이나 MME 등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 표 3의 정보가 미리 또는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판단 주체가 미리 갖고 있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14064104206-pct00003
단계 S603에서,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지국/단말/MME 등이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생성하기로 결정하면, 그 결과가 MME(30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MME(300)는 기지국(200)로부터의 결정 사항, 즉, UE-1(110)과 UE-2(120) 사이의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 하기로 한 결정사항을 수락할지 검토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는 MME가 이를 수락한 경우를 전제한다. MME(300)에서의 판단의 기준은 상기 단계 S602에서의 판단 기준과 동일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MME(300)는 네트워크 트리거 서비스 요청 절차(network triggered service request procedure)와 비슷한 과정을 수행(즉, 하향링크 데이터 통지(notification)를 받은 것과 같은 상황으로 인식)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단말이 또 다른 서비스를 위해 이미 해당 PDN과 연결을 유지하고 있었다면, 베어러 단위의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 생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존의 베어러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베어러를 추가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 필요한 기타 정보(예를 들어, APN, QoS parameter 등)에 대해서는 기존의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위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가 생성된 후, 그 수행 결과는 해당 단말(UE-1(110), UE-2(120)), 기지국(200), MME(300) 또는 제3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HSS 또는 ProSe 서비스를 위한 특정 서버 등)에 전달 될 수 있으며, 이전에 직접 데이터 경로 설정 상황 등을 기록해 두었다면 그 기록을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더 이상 두 단말 사이에 직접 데이터 경로가 없음으로 셋업). 상기 과정은 여러 과정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반드시 UE-1(110) 또는 UE-2(120)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200), MME(300) 등 네트워크 노드에서 시작 되어 전달 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두 경로 사이의 동기를 맞추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후, 기존의 직접 데이터 경로/자원 해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UE-1과 UE-2가 동일한 기지국에 캠프 온하고 있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기지국에 캠프 온하여 직접 통신을 하다가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으로 전환되는 경우, 동일한 기지국에 캠프 온하여 직접 통신을 하다가 서로 다른 기지국에 캠프 온함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으로 전환되는 경우, 서로 다른 기지국에 캠프 온하여 직접 통신을 하다가 동일한 기지국에 캠프 온함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처 통신으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실시예 2-2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둘 이상의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같은 타겟 기지국으로 옮겨가려고 하는 상황 또는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되더라도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 할 수 있는 근접 거리로 판단되는 상황인 경우,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하나인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언급된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은 X2 인터페이스가 있는 상황을 가정하였으나, S1 기반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 종래의 MME와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기지국(200)는 UE-1(110) 또는 UE-2(120)로부터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s) 및/또는 다른 기지국(도면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음), MME(300), 제 3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HSS 또는 ProSe를 위한 특정 서버)(6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i) UE-1(110), UE-2(120)의 가입자 정보, ii) 해당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단말/네트워크의 능력 및/또는 해당 능력의 활성/비활성(enable/disable) 상태, iii) 홈/로컬 오퍼레이터 정책(home/local operator policy), iv) 단말의 선호도, 네트워크의 미리 설정된 정보(NW pre-configuration information), v) 코어 네트워크 혼잡 상황 및/또는 기지국 혼잡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요청에 의해 받거나, 또는 요청 없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들은 종래기술에 의한 과정 중에 전달 받거나, 본 발명을 위한 새로운 단계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단계 S702에서, 기지국은 둘 이상의 단말이 통신 중이던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정은 반드시 기지국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기지국이 단말에게 위와 같은 상황을 알려주어 단말이 경로 유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이 위와 같은 상황을 MME에게 알려주어 MME가 경로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MME에서 결정되는 경우 어태치 요청시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한 판단과정과 유사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유지 여부 결정시 앞서 기술된 표 3과 같은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이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만약, 경로 전환의 결정이 단말이나 MME 등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표 3의 정보가 미리 또는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기지국에서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의 능력 및 네트워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LTE/LTE-A의 핸드오버 요청(HO request) 메시지와 유사한 메시지로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direct data path handover request)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기존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새로운 필드가 추가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일 수도 있다.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는, i) 직접 데이터 경로 관계의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인지할 수 있는 식별자(ID) 정보, ii) 직접 데이터 경로 컨텍스트, 즉, 어떤 세션/플로우(session/flow)에 대해 직접 데이터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정보, iii) 과금(Charging) 목적으로 누적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해당 요소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 등 통계적인 정보, v) 유지되어야 하는 QoS 또는 과금 관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타켓 기지국은 현재 자신의 능력 및 네트워크 상황에 맞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direct data path handover message)을 전송한다. 상술한 도 5의 단계 S503의, 기지국에서 추가할 수 있는 ProSe와 관련된 정보들이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시 판단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기지국은 타켓 기지국으로부터 긍정적인 응답을 받았다면, 상기 둘 이상 단말 사이의 ProSe와 관련된 컨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계 S706에서, 이를 수신한 타겟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 유지에 필요한 ProSe와 관련된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기지국에서 필요한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타겟 기지국(220)과 UE-1(110) 또는 UE-2(120) 및 MME와의 직접 데이터 경로 셋업에 필요했던 정보 및 요청들을 교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계들과 달리, 위 기지국이 ProSe와 관계없는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경우, 기존 LTE/LTE-A의 핸드오버 절차가 병행 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MME로 경로 전환 요청(path switch request) 및 사용자 평면 업데이트 요청(user plane update request)을 수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ProSe와 관련된 새로운 상황에 대한 피드백 정보가 MME로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이 피드백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들에 저장되어 있는 직접 데이터 경로 설정 상황 등을 업데이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핸드오버 절차 중에 수행 결과에 대한 업데이트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UE-1(110)과 UE-2(120) 사이의 PreSe와 관련된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정보가 UE-1(110) 또는 UE-2(120), 기지국(210 또는 220), MME(300) 또는 제 3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HSS 또는 ProSe를 위한 특정 서버)(600)등에 전달 될 수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 설정 상황 등을 기록해 뒀다면 그 기록을 갱신 시킬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를 타켓 기지국으로 넘긴 후, 해당 컨텍스트 및 관련 자원을 해제시킬 수 있다. 데이터 중복 등의 이슈에 의해 필요에 따라 직접 데이터 경로와 유지된 직접 데이터 경로 사이의 동기를 맞추는 작업이 수행 될 수 있다.
실시예 2-3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고, ProSe가 가능한 관계를 가진 둘 이상의 단말 모두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 같은 타겟 기지국으로 옮겨가려고 하는 상황 또는 두 단말이 기지국 커버리지를 벗어나지 않더라도 일정 거리 이상으로 멀리 위치하게 되는 상황에서, 기지국은 직접 데이터 경로를 로컬 기지국을 경유하는 형태의 'locally routed' 직접 데이터 경로 또는 릴레이 역할(multihop path)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또 다른 단말을 경유하는 형태의 직접 데이터 경로로 전환 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들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2-2의 내용들이 준용될 수 있다.
실시예 2-4
기지국에 캠프 온 하고 있는 제1 단말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고 있던 새로운 제2 단말이 제1 단말과 같은 기지국으로 캠프 온 하였음 인지한 경우, 기지국은 인프라스터럭처 경로를 직접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의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s) 및 또는 제3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또 다른 기지국, MME, S-GW/P-GW 또는 별도의 서버) 등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앞서 언급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 통신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전환에 대한 결정은 서빙 기지국 또는 MME가 주체가 될 수 있다. 기지국에서 결정되는 경우 도 5의 단계 S503의, 기지국에서 추가할 수 있는 ProSe와 관련된 정보가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MME에서 결정되는 경우, 어태치 요청시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한 판단 과정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들에서는 동일한 기지국이 커버하고 있는 셀에 캠프 온 하고 있는 단말 들간의 상황을 설명했으나, 만약 서로 다른 기지국이 커버하고 있는 셀들에 캠프 온 한 단말들간에도 서로 직접 데이터 경로로 통신이 가능하다면, 기지국 간 및/또는 MME간의 협업을 통해 상술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roSe를 위한 직접 통신 제어 방법에서의 앞서 설명된 단계 S501 ~ S506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메시지 (Attach Request/Attach Accept/Attach Complete, TAU Request/TAU Accept, Service Request, Extended Service Request, PDN connectivity request 등)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을 위해 새롭게 정의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기존의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새로운 필드/파라미터를 정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기존의 필드/파라미터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LTE/EPC망에 국한되지 않고 3GPP 접속망 (예, UTRAN/GERAN/E-UTRAN) 및 non-3GPP 접속망 (예, WLAN 등)을 모두 포함하는 UMTS/EPS 이동통신 시스템 전반에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그 외 네트워크의 제어가 적용되는 환경에서 기타 모든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적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노드가 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MME, SGSN 같은 이동성 관리 노드, AAA server/AAA proxy, Proximity Service를 위한 서버, HSS, ANDSF, 기지국, P-GW와 같은 게이트웨이 노드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810)는, 송수신모듈(811), 프로세서(812) 및 메모리(81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811)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81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12)는 단말 장치(8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81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13)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810)는 ProSe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12)는, 상술한 실시예들이 적용되기 위해 필요한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 장치(820, 특히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서빙 셀인 기지국 또는 타겟 기지국)는, 송수신모듈(821), 프로세서(822) 및 메모리(823)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821)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장치(82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8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장치(82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823)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 장치(820)는 단말(810)의 ProSe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상술한 실시예들이 적용되기 위해 필요한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단말 장치(810) 및 네트워크 장치(8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캠프 온 되어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추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상이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상이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동일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ProSe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ProSe 제어 또는 허가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또는 허가 요청에 대해 상기 ProSe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시켜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하는, ProSe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하는, ProSe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하나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기로 결정하는, ProSe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로컬 기지국을 경유하는 직접 데이터 경로로 전환하기로 결정하는, ProSe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전부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이며 타겟 기지국이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로 전환시키기로 결정하는, ProSe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 결정시,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의 가입자 정보, 상기 둘 이상의 단말 및 타겟 기지국의 능력 정보, 상기 능력 정보의 활성/비활성 정보, 홈/로컬 오퍼레이터 정책, 선호도 정보, 네트워크에 미리 설정된 정보, 기지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정책/선호도 정보, 네트워크/기지국의 혼잡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는, ProSe 제어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의 결정은, 세션 또는 플로우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ProSe 제어방법.
  10. 제3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하기로 결정된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전환 결정을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연결을 유지하고 있던 경우,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데이터 경로의 생성은 베어러 단위로 이루어지는, ProSe 제어방법.
  12.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위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를 갖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의 식별자,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컨텍스트 정보, 히스토리 정보, QoS(Quality of Service) 또는 과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ProSe에 관련된 컨텍스트를 전송하는, ProSe 제어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roSe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의 ProSe 지원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또는 상기 기지국이 요청 받은 ProSe를 지원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ProSe 제어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근접 서비스(proximity service; ProSe)를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송수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에 캠프 온 되어 있으며, 직접 데이터 경로의 ProSe 관계에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에 대해 추적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하나 이상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경우 또는 상기 둘 이상의 단말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상기 직접 데이터 경로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상이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상이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 이후에도 상기 둘 이상의 단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큰 경우, 상기 둘 이상의 단말은 사용자 평면의 데이터 경로와 제어 평면의 제어정보 경로가 동일한 상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KR1020147018911A 2012-01-16 2013-0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954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7123P 2012-01-16 2012-01-16
US61/587,123 2012-01-16
US201261602604P 2012-02-24 2012-02-24
US61/602,604 2012-02-24
US201261683695P 2012-08-15 2012-08-15
US61/683,695 2012-08-15
PCT/KR2013/000318 WO2013109040A1 (ko) 2012-01-16 2013-0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824A KR20140114824A (ko) 2014-09-29
KR101595431B1 true KR101595431B1 (ko) 2016-02-18

Family

ID=4879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911A KR101595431B1 (ko) 2012-01-16 2013-01-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16691B2 (ko)
KR (1) KR101595431B1 (ko)
WO (1) WO2013109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615B2 (en) 2012-02-14 2019-09-03 Airwatch, Llc Controlling distribution of resources on a network
US9680763B2 (en) 2012-02-14 2017-06-13 Airwatch, Llc Controlling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a network
US20140280955A1 (en) 2013-03-14 2014-09-18 Sky Socket, Llc Controlling Electronically Communicated Resources
US9219741B2 (en) 2013-05-02 2015-12-22 Airwatch, Llc Time-based configuration policy toggling
US9832597B2 (en) 2013-08-04 2017-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device-to-device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98119B1 (ko) * 2013-09-02 2020-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경로 전환 방법 및 장치
KR102376050B1 (ko) 2013-10-30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4368B1 (ko) 2013-10-31 2021-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D2D(device to device) 통신에서의 과금 정보 기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379378B (zh) * 2013-11-01 2019-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近距离业务注册方法及装置
WO2015072782A1 (en) * 2013-11-14 2015-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scheme
KR102088848B1 (ko) * 2014-01-13 2020-03-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ProSe그룹 통신 또는 공공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 방안 및 시스템
WO2015105401A1 (ko) * 2014-01-13 2015-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에서 prose그룹 통신 또는 공공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 방안 및 시스템
CN111641998B (zh) * 2014-03-14 2022-09-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支持ue接入控制的方法
KR20150114401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5170690A1 (ja) * 2014-05-09 2015-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170023027A (ko) 2014-07-02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인터워킹을 보조하기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US9883426B2 (en) 2014-07-31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hanced reporting for handover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EP4027227A1 (en) 2014-09-02 2022-07-13 Apple Inc. Reduced-size interfaces for managing alerts
CN106797592B (zh) * 2014-10-07 2020-09-08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终端、控制设备及其方法
KR101630276B1 (ko) * 2014-10-21 2016-06-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470090B2 (en) * 2014-11-14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Data compression techniques for handover and radio link failure recovery
WO2016096047A1 (en) * 2014-12-19 2016-06-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roximity services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rvices control
US9584964B2 (en) 2014-12-22 2017-02-28 Airwatch Llc Enforcement of proximity based policies
US9413754B2 (en) 2014-12-23 2016-08-09 Airwatch Llc Authenticator device facilitating file security
KR102030520B1 (ko) * 2015-01-13 2019-10-1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국 및 단말기
US9338627B1 (en) 2015-01-28 2016-05-10 Arati P Singh Portable device for indicating emergency events
US20160224973A1 (en) * 2015-02-01 2016-08-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20180007622A1 (en) * 2015-02-02 2018-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whereby terminal selects plm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6190618A1 (ko) * 2015-05-22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4678B1 (ko) * 2015-06-24 2022-07-22 인텔 코포레이션 차량 대 사물(V2X) 통신을 위한 향상된 근접 서비스(ProSe) 프로토콜
CN106612489A (zh) * 2015-10-26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近距离通信的发现方法、系统及装置
MY194638A (en) * 2015-10-30 2022-12-08 Huawei Tech Co Ltd Control plane gateway, user plane gateway and gateway configuration method
EP3223575B1 (en) 2015-11-19 2019-06-12 ASUSTek Computer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interfa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89872A1 (en) * 2015-11-27 2017-06-01 Nokia Technologies Oy Handover with postponed path switch
WO2017171514A1 (ko) * 2016-04-01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ue의 연결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566309B (zh) * 2017-01-26 2019-08-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目标小区的方法以及设备
US10863351B2 (en) * 2017-07-31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ion network support
CN114071589B (zh) * 2020-07-30 2023-04-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链路切换指示方法、设备、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668A1 (en) * 2009-03-12 2010-09-16 Nokia Siemens Networks O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1109027A1 (en) 2010-03-05 2011-09-09 Nokia Corporation Handover of direct peer to pee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90510A (en) * 2002-07-05 2004-01-07 Nokia Corp Direct mode communication between mobiles
KR20050101692A (ko) 2004-04-19 2005-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US8259699B2 (en) * 2009-01-09 2012-09-0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arget positioning and tracking in cooperative relay networks
US8213360B2 (en) * 2009-04-29 2012-07-0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lexible switching betwe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ode and cellular communication mode
EP2264642B1 (en) 2009-06-02 2014-02-26 Vodafone Holding GmbH Data exchange with a man-machine-device using short range radio communication
US8666403B2 (en) * 2009-10-23 2014-03-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establishment
US8885507B2 (en) * 2009-12-11 2014-11-1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12349B2 (en) * 2010-07-27 2014-08-19 Cellco Partnership Charging for data offloading
US9237590B2 (en) * 2011-02-25 2016-01-12 Blackberry Limited Inter-device session connectivity enhancement
US9497672B2 (en) * 2011-05-16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access system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12161549A2 (ko) * 2011-05-25 2012-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기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접속시스템에서 동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30046821A1 (en) * 2011-08-15 2013-02-21 Renasas Mobile Corporation Advanced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US9554406B2 (en) * 2012-03-19 2017-01-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control node using the same
US9485794B2 (en) * 2012-05-2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to support IMS based ser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2668A1 (en) * 2009-03-12 2010-09-16 Nokia Siemens Networks O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1109027A1 (en) 2010-03-05 2011-09-09 Nokia Corporation Handover of direct peer to peer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6691B2 (en) 2016-12-06
KR20140114824A (ko) 2014-09-29
US20150004984A1 (en) 2015-01-01
WO2013109040A1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43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13865B2 (en) Network-initiate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KR101549029B1 (ko)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61632B1 (ko) 근접 서비스 기반의 무선 접속 방식 변경 방법 및 장치
EP299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rvice discovery to provide proximity service
US10484838B2 (en) Group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JP6159012B2 (ja) 近接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201401108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150373A1 (en) Relay control method for proximity service and device therefor
KR20150120348A (ko)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JP2016521514A (ja) 近接サービス実行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201401164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우선순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401289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310585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related to nbifo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051848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영역 갱신 방법 및 장치
US10003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proximity service so as to provide proximity service
KR10140755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