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554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7554B1 KR101407554B1 KR1020130020390A KR20130020390A KR101407554B1 KR 101407554 B1 KR101407554 B1 KR 101407554B1 KR 1020130020390 A KR1020130020390 A KR 1020130020390A KR 20130020390 A KR20130020390 A KR 20130020390A KR 101407554 B1 KR101407554 B1 KR 101407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er
- pcrf
- network
- network node
- polic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방법이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상황에서의 베어러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긴급 베어러 상황에서의 기본 베어러 및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베어러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수신하고,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되,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3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가 네트워크 노드의 베어러를 생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어러 생성을 위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PCRF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지원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베어러를 생성을 지원하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베어러 생성을 위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되,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지 않는, PCRF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5 기술적인 측면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베어러를 생성하는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전송하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및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방법이다.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은 상기 긴급 상황에서의 어태치 절차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은 SDP(Service Delivery platform)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전용 베러어는 VoLTE(Voice over LTE)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시, 상기 PCRF로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 수정에 대한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CRF로부터 상기 PCC 룰을 포함하는 IP-CAN 세션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상황의 해제 이후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에 관련된 단말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는 상기 PCRF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서빙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서빙/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긴급 상황에서도 VoLTE 등 특정 품질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들의 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로밍 및 로밍 경우의 EPS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E-UTRAN을 통한 3GPP PDN 연결을 위한 초기 어태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기존의 베어러 생성에 관계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어러 생성에 관계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기존의 긴급 상황 종료 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긴급 상황 종료 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비-로밍 및 로밍 경우의 EPS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E-UTRAN을 통한 3GPP PDN 연결을 위한 초기 어태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기존의 베어러 생성에 관계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베어러 생성에 관계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기존의 긴급 상황 종료 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긴급 상황 종료 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 계열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하여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에 의해서 개발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의 3 세대(Generation) 이동 통신 기술.
- EPS(Evolved Packet System): IP 기반의 packet switched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LTE, UTRAN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성된 네트워크 시스템. UMTS가 진화된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 NodeB: GERAN/UTRAN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eNodeB: LTE의 기지국. 옥외에 설치하며 커버리지는 매크로 셀(macro cell) 규모이다.
- UE(User Equipment): 사용자 기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도 있다. 또한,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고, 또는 PC(Personal Computer),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도 있다.
- RAN(Radio Access Network): 3GPP 네트워크에서 NodeB, eNodeB 및 이들을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단위. UE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 존재하며 코어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제공한다.
-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HSS는 설정 저장(configuration storage), 아이덴티티 관리(identity management), 사용자 상태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RANAP(RAN Application Part): RAN과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를 담당하는 노드(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MSC(Mobiles Switching Center)) 사이의 인터페이스.
-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개인들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별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 NAS(Non-Access Stratum): UMTS 프로토콜 스택에서 UE와 코어 네트워크간의 시그널링, 트래픽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한 기능적인 계층. UE의 이동성을 지원하고, UE와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간의 IP 연결을 수립(establish) 및 유지(maintain)하는 세션 관리 절차(procedure)를 지원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 HNB(Home NodeB):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25.467을 참조할 수 있다.
- HeNB(Home eNodeB): E-UTRAN(Evolved-UTRAN)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36.300을 참조할 수 있다.
- CSG(Closed Subscriber Group): H(e)NB의 CSG의 구성원으로서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의 하나 이상의 CSG 셀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용되는 가입자 그룹.
- CSG ID: CSG 셀 또는 CSG 셀 그룹에 연관된 PLMN 범위 내에서 CSG를 식별하는 고유의 식별자.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표준문서 TS 23.003을 참조할 수 있다.
- LIPA(Local IP Access): IP 기능을 가진(IP capable) UE가 H(e)NB를 경유하여 동일한 주거(residential)/기업(enterprise) IP 네트워크 내의 다른 IP 기능을 가진 개체에 대한 액세스. LIPA 트래픽은 이동 사업자(operator) 네트워크를 지나지 않는다. 3GPP 릴리즈-10 시스템에서는, H(e)NB를 경유하여 로컬 네트워크(즉, 고객(customer)의 집 또는 회사 구내에 위치한 네트워크) 상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 MRA(Managed Remote Access): 홈 기반 네트워크(home based network) 외부에서 CSG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IP 기능을 가진 개체에 대한 액세스. 예를 들어, MRA를 이용하면 로컬 네트워크의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가, 해당 로컬 네트워크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서비스받을 수 있다.
- SIPTO(Selected IP Traffic Offload): 3GPP 릴리즈-10 시스템에서는 사업자가 EPC 네트워크에서 UE에 물리적으로 가까이 존재하는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트래픽을 넘기는 것을 지원한다.
- SIPTO@LN(SIPTO at Local Network): 3GPP 릴리즈-10의 SIPTO의 발전된 기술로서, 사업자가 사용자 트래픽을 고객 구내에 위치하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넘기는 것을 의미한다. SIPTO@LN은, 로컬 네트워크 자체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LIPA와는 달리, 로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는, 로컬 네트워크가 궁극적으로는 원하는 외부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가진다는 가정하에 동작하는 것이다.
- PDN(Packet Data Network) 연결: 하나의 IP 주소(하나의 IPv4 주소 및/또는 하나의 IPv6 프리픽스)로 표현되는 UE와 APN(Access Point Name)으로 표현되는 PDN 간의 논리적인 연결.
- LIPA PDN 연결: H(e)NB에 연결된 UE에 대한 LIPA를 위한 PDN 연결.
- LIPA-Permission: APN이 LIPA를 통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다음 3 가지의 값이 정의되어 있음:
- LIPA-Prohibited: 해당 APN이 LIPA를 통하여 액세스되는 것이 금지됨. 즉, 사용자 평면(user plane) 데이터는 EPC만을 경유하여 액세스할 수 있음.
- LIPA-Only: 해당 APN이 LIPA를 통해서만 액세스될 수 있음.
- LIPA-Conditional: 해당 APN이 비-LIPA 방식으로 (즉, EPC를 경유해서) 액세스될 수도 있고 LIPA를 통해서도 액세스될 수 있음.
이하에서는 위와 같이 정의된 용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EPC(Evolved Packet Core)
도 1은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EPC는 3GPP 기술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SAE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과제에 해당한다. SAE는, 예를 들어, IP 기반으로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고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능력을 제공하는 등의 최적화된 패킷-기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EPC는 3GPP LTE 시스템을 위한 IP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이며, 패킷-기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즉, 2 세대 또는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을 위한 CS(Circuit-Switched) 및 데이터를 위한 PS(Packet-Switched)의 2 개의 구별되는 서브-도메인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이 구현되었다. 그러나, 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진화인 3GPP LTE 시스템에서는, CS 및 PS의 서브-도메인들이 하나의 IP 도메인으로 단일화되었다. 즉, 3GPP LTE 시스템에서는, IP 능력(capability)을 가지는 단말과 단말 간의 연결이, IP 기반의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evolved Node B)), EPC, 애플리케이션 도메인(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EPC는 단-대-단(end-to-end) IP 서비스 구현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EPC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그 중에서 일부에 해당하는, SGW(Serving Gateway),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ing Node),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를 도시한다.
SGW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경계점으로서 동작하고, eNodeB와 PDN GW 사이의 데이터 경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요소이다. 또한, 단말이 eNodeB에 의해서 서빙(serving)되는 영역에 걸쳐 이동하는 경우, SGW는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anchor point)의 역할을 한다. 즉, E-UTRAN (3GPP 릴리즈-8 이후에서 정의되는 Evolved-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내에서의 이동성을 위해서 SGW를 통해서 패킷들이 라우팅될 수 있다. 또한, SGW는 다른 3GPP 네트워크(3GPP 릴리즈-8 전에 정의되는 RAN, 예를 들어, UTRAN 또는 GERAN(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EDGE(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Radio Access Network)와의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PDN GW(또는 P-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향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종료점(termination point)에 해당한다. PDN GW는 정책 집행 특징(policy enforcement features),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과금 지원(charging support)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3GPP 네트워크와 비-3GPP 네트워크 (예를 들어, I-WLAN(Interwork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신뢰되지 않는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나 WiMax와 같은 신뢰되는 네트워크)와의 이동성 관리를 위한 앵커 포인트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네트워크 구조의 예시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도의 게이트웨이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지만, 두 개의 게이트웨이가 단일 게이트웨이 구성 옵션(Single Gateway Configuration Option)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MME는, UE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 트래킹(tracking), 페이징(paging), 로밍(roaming) 및 핸드오버 등을 지원하기 위한 시그널링 및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MME는 가입자 및 세션 관리에 관련된 제어 평면(control plane) 기능들을 제어한다. MME는 수많은 eNodeB들을 관리하고, 다른 2G/3G 네트워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위한 종래의 게이트웨이의 선택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또한, MME는 보안 과정(Security Procedures), 단말-대-네트워크 세션 핸들링(Terminal-to-network Session Handling), 유휴 단말 위치결정 관리(Idle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SGSN은 다른 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GPRS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이동성 관리 및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모든 패킷 데이터를 핸들링한다.
ePDG는 신뢰되지 않는 비-3GPP 네트워크(예를 들어, I-WLAN, WiFi 핫스팟(hotspot) 등)에 대한 보안 노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P 능력을 가지는 단말은, 3GPP 액세스는 물론 비-3GPP 액세스 기반으로도 EPC 내의 다양한 요소들을 경유하여 사업자(즉, 오퍼레이터(operator))가 제공하는 IP 서비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IMS)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예를 들어, S1-U, S1-MME 등)을 도시한다. 3GPP 시스템에서는 E-UTRAN 및 EPC의 상이한 기능 개체(functional entity)들에 존재하는 2 개의 기능을 연결하는 개념적인 링크를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라고 정의한다. 다음의 표 1은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를 정리한 것이다. 표 1의 예시들 외에도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다양한 레퍼런스 포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레퍼런스 포인트 | 설명 |
S1-MME | E-UTRAN와 MME 간의 제어 평면 프로토콜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for the control plane protocol between E-UTRAN and MME) |
S1-U | 핸드오버 동안 eNB 간 경로 스위칭 및 베어러 당 사용자 평면 터널링에 대한 E-UTRAN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 between E-UTRAN and Serving GW for the per bearer user plane tunnelling and inter eNodeB path switching during handover) |
S3 | 유휴(idle) 및/또는 활성화 상태에서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 이동성에 대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MME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PLMN-내 또는 PLMN-간(예를 들어, PLMN-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음) (It enables user and bearer information exchange for inter 3GPP access network mobility in idle 및/또는 active state. This reference point can be used intra-PLMN or inter-PLMN (e.g. in the case of Inter-PLMN HO).) |
S4 | GPRS 코어와 SGW의 3GPP 앵커 기능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SGW와 SGS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또한, 직접 터널이 수립되지 않으면, 사용자 평면 터널링을 제공함(It provides related control and mobility support between GPRS Core and the 3GPP Anchor function of Serving GW. In addition, if Direct Tunnel is not established, it provides the user plane tunnelling.) |
S5 | SGW와 PDN GW 간의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 UE 이동성으로 인해, 그리고 요구되는 PDN 연결성을 위해서 SGW가 함께 위치하지 않은 PDN GW로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SGW 재배치를 위해서 사용됨(It provides user plane tunnelling and tunnel management between Serving GW and PDN GW. It is used for Serving GW relocation due to UE mobility and if the Serving GW needs to connect to a non-collocated PDN GW for the required PDN connectivity.) |
S11 | MME와 SGW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
SGi | PDN GW와 PDN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 PDN은, 오퍼레이터 외부 공용 또는 사설 PDN이거나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오퍼레이터-내 PDN일 수 있음. 이 레퍼런스 포인트는 3GPP 액세스의 Gi에 해당함(It is the reference point between the PDN GW and the packet data network. Packet data network may be an operator external public or private packet data network or an intra operator packet data network, e.g. for provision of IMS services. This reference point corresponds to Gi for 3GPP accesses.) |
도 1에 도시된 레퍼런스 포인트 중에서 S2a 및 S2b는 비-3GPP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S2a는 신뢰되는 비-3GPP 액세스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S2b는 ePDG 및 PDNGW 간의 관련 제어 및 이동성 지원을 사용자 평면에 제공하는 레퍼런스 포인트이다.
도 2는 비-로밍 및 로밍 경우의 EPS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은 HSS 및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개체를 도시하고 있다. HSS는 3GPP 네트워크 내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고, PCRF는 3GPP 네트워크의 정책(policy) 및 서비스품질(QoS)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개체이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레퍼런스 포인트들 중에서 상기 표 1에 포함되지 않은 레퍼런스 포인트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LTE-Uu는 UE와 eNB간의 E-UTRAN의 무선 프로토콜이다. S10은 MME 재배치(relocation) 및 MME-대-MME 정보 전달을 위한 MME들간의 레퍼런스 포인트이며, PLMN-내(intra-PLMN)에서 또는 PLMN-간(inter-PLMN)에 사용될 수 있다. S6a는 MME와 HSS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이며, 가입 및 인증 데이터의 전달을 위해 사용된다. S12는 UTRAN과 SGW간의 레퍼런스 포인트이며, 직접 터널이 수립된 경우에 사용자 평면 터널링을 위해 사용된다. Gx는 PCRF로부터 PDN GW 내의 PCEF(Policy and Charging Enforcement Function)으로 정책 및 과금 규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Rx는 AF(예를 들어,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PCRF 간의 레퍼런스 포인트이며, AF로부터 PCRF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세션 정보 등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서는 사업자 IP 서비스의 예시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IP 기반으로 제공하는 IMS,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한 일-대-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인 패킷 스위칭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PSS(Packet Switch Streaming) 등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사업자 IP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비-로밍(non-roaming)시의 시스템 구조에 해당한다. 도 2(a)에서는 SGW와 PDN GW가 별개의 개체로 도시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게이트웨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b)는 로밍시의 시스템 구조에 해당한다. 로밍은 사용자의 홈(Home) PLMN (즉, HPLMN)이 아니라 사용자가 방문한(visited) PLMN(즉, VPLMN)에서도 EPC를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PLMN을 통하여 사용자의 UE가 EPC에 액세스하고, HPLMN에 존재하는 HSS 및 PCRF에 의하여 가입 및 인증 정보, 정책 및 과금 규칙 등이 적용된다. 추가적으로, VPLMN에 존재하는 V-PCRF에 의하여 정책 및 과금 규칙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방문한 네트워크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PDN에 액세스할 수도 있고, 방문 네트워크 사업자의 IP 서비스를 이용하는 로밍 시나리오도 적용될 수 있다.
PDN 연결
PDN 연결(connection)이란 UE(구체적으로는, UE의 IP 주소)와 PDN과의 논리적인 연결관계를 의미한다. 3GPP 시스템에서 특정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PDN과의 IP 연결성(connectivity)를 가져야 한다.
3GPP는 하나의 UE가 동시에 여러 개의 PDN에 접속할 수 있는, 다중 동시 PDN 연결을 제공한다. 최초의 PDN은 디폴트 APN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디폴트 APN은 일반적으로 사업자의 디폴트 PDN에 해당하고, 디폴트 APN의 지정은 HSS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PDN 연결 요청 메시지에 특정 APN을 포함시켰다면, 해당 APN에 대응하는 PDN으로 접속이 시도된다. 하나의 PDN 연결이 생성된 이후, 단말로부터 추가적인 특정 PDN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항상 해당되는 특정 APN이 포함되어야 한다.
3GPP 릴리즈-10에서 정의하는 EPS에서 가능한 IP PDN 연결성의 몇몇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비-3GPP 액세스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함).
첫 번째는 E-UTRAN을 경유한 3GPP PDN 연결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3GPP에서 형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PDN 연결이다.
두 번째는 H(e)NB를 경유한 3GPP PDN 연결이다. H(e)NB를 경유한 3GPP PDN 연결은, H(e)NB 도입으로 CSG 멤버십에 대한 수락(admission)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하면, PDN 연결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PDN 연결이 형성된다.
세 번째는 LIPA PDN 연결이다. LIPA PDN 연결은, H(e)NB를 경유하여 CSG 멤버십에 기반한 수락 제어뿐만 아니라, LIPA 허용(permission) 여부에 의한 LIPA 수락 제어를 거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위 3 가지 경우의 3GPP PDN 연결을 위한 초기 어태치(initial attach)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는 E-UTRAN을 통한 3GPP PDN 연결을 위한 초기 어태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01 내지 S302에서, UE(10)는 eNB(20)를 경유하여 MME(30)에게 어태치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연결을 원하는 PDN의 APN을 어태치 요청과 함께 보낼 수 있다.
단계 S303 내지 S304에서, MME(30)는 UE(10)의 인증 절차(procedure)를 수행하고, HSS(70)에 UE(10)의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HSS(70)는 UE(10)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MME(30)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단계 S305 내지 S309에서 (단계 S307은 별도로 설명), MME(30)는 EPS 디폴트 베어러 생성을 위해 S-GW(40)로 세션 생성 요청(create session request)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S-GW(40)는 P-GW(50)로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MSISDN(Mobile Subscriber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Number), 제어 평면에 대한 MME TEID(Tunnel Endpoint ID), RAT(Radio Access Technology) 타입, PDN GW 주소, PDN 주소, 디폴트 EPS 베어러 QoS, PDN 타입, 가입된 APN-AMBR(Aggregate Maximum Bit Rate), APN, EPS 베어러 Id, 프로토콜 설정 옵션(Protocol Configuration Options), 핸드오버 지시(Handover Indication), ME 식별정보(Mobile Equipment Identity), 사용자 위치 정보(ECGI), UE 타임 존(UE Time Zone), 사용자 CSG 정보, MS 정보 변경 보고 지원 지시(MS Info Change Reporting support indication), 선택 모드(Selection Mode), 과금 특성(Charging Characteristics), 트레이스 레퍼런스(Trace Reference), 트레이스 타입(Trace Type), 트리거 Id(Trigger Id), OMC 식별정보(Operation Management Controller Identity), 최대 APN 제한(Maximum APN Restriction), 이중 주소 베어러 플래그(Dual Address Bearer Flag)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세션 생성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P-GW(50)는 S-GW(40)에게 세션 생성 응답(create session response)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S-GW(40)는 MME(30)에게 세션 생성 응답을 보낼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S-GW(40)와 P-GW(50) 사이에 서로간의 TEID(Tunnel Endpoint ID)를 교환하며, MME(30)도 S-GW(40) 및 P-GW(50)의 TEID를 인지한다.
단계 S307은 선택적인 절차이며, 필요에 따라서 사업자 정책을 위한 PCRF 상호동작이 P-GW(50)의 PCEF와 PCRF(60)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연결성을 제공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인 IP-CAN(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의 수립(establishment) 및/또는 수정(modification)이 수행될 수 있다. IP-CAN은 다양한 IP-기반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예를 들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인 GPRS나 EDGE 등일 수도 있고, 무선랜(WLAN)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단계 S310에서 MME(30)로부터 어태치 수락(Attach accept) 메시지가 eNB(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향링크 데이터를 위한 S-GW(40)의 TEID가 전달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초기 콘텍스트 셋업(initial context setup)을 요청함으로써, RAN 구간(UE(10)과 eNB(20) 사이)의 무선자원 셋업이 개시되도록 한다.
단계 S311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재설정(connection reconfiguration)이 수행되고, 이에 따라 RAN 구간의 무선자원이 셋업되며, 그 결과가 eNB(2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312에서, eNB(20)는 MME(30)에게 초기 콘텍스트 셋업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선 베어러 셋업(radio bearer setup)에 대한 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313 내지 S314에서, UE(10)로부터의 어태치 완료(Attach complete) 메시지가 eNB(20)를 경유하여 MME(30)로 보내질 수 있다. 이 때 eNB(20)는 하향링크(DL) 데이터를 위한 eNB(20)의 TEID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때부터 eNB(20)를 경유하여 S-GW(40)로 상향링크(UL)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고, UE(10)로부터의 UL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단계 S315 내지 S318에서, MME(30)로부터 S-GW(40)으로 베어러 수정 요청(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고, 이 메시지를 통해서 DL 데이터를 위한 eNB(20)의 TEID가 S-GW(4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316 내지 S317은 선택적인 절차이며, 필요에 따라 S-GW(40)와 P-GW(50) 사이의 베어러가 갱신(update)될 수 있다. 이후, DL 데이터가 eNB(20)를 경유하여 UE(10)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319는 선택적인 절차이며, 필요에 따라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이동성(mobility)를 지원하기 위해서 APN, PDN GW의 ID 등을 HSS(70)에 저장해둬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MME(30)는 통지 요청(Notify Request) 메세지를 통해 HSS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HSS(70)으로부터 통지 응답(Notify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각 단계 중, 베어러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베어러는 초기 어태치 과정에서 생성되는 디폴트(default) 베어러와 네트워크에 의한 전용(dedicate) 베어러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가지 경우를 모두 한꺼번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디폴트 베어러의 경우, 단계 S401에서 단말(UE, 10)이 어태치 요청을 MME(30)에 전송하면, 단계 S402에서 MME(30)는 SPGW(45)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SPGW(45)는 디폴트 베어러의 생성을 위해 PCRF(60)에게 CCR(Credit Control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CCR은 SPGW(45)(특히, PGW)가 HSS로부터 받은 기본 QoS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한편, 전용 베어러의 경우, PCRF(60)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펑션(Application Function)으로부터 받은 SDP(Service Delivery platform)에 기초해 PCC 룰을 생성하여 SPGW(45)(특히, PGW)에게 베어러 생성을 요청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는, SPGW(45)가 PCRF(60)로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 수정에 대한 지시를 전송하면(단계 S411), PCRF(60)가 상기 PCC 룰을 포함하는 IP-CAN 세션의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베어러 생성은, 긴급(emergency) 상황(PCRF(60) 오버로드 발생을 포함)에서는 다소 상이하게 동작된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 긴급상황에서는 SPGW(45)는 PCRF(60)로 CCR을 전송할 수 없다(단계 S503 제외됨). 다시 말해, PCRF(60) 연결을 끊기 때문에 SPGW(45)는 PCRF(60)로부터 PCC 룰을 수신할 수 없고, PGW는 로컬 룰(local rule)로서 신규 어태치를 처리한다. 또한, PCRF(60)와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특정 QoS 등이 요구되는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위한 IP-CAN 세션 수정을 수신할 수 없다(단계 S511 제외됨). 이 전용 베어러는 VoLTE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긴급 상황에서는 서비스의 보장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긴급 상황에서, 초기 어태치에서의 디폴트 베어러와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 되는 전용 베어러를 구별하여, 디폴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RF(60)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고 로컬 룰을 적용하고,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RF(60)로부터의 PCC 룰을 수신할 것을 제안한다.
보다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긴급 상황의 어태치 절차에서 단계 S601에서 단말(UE, 10)은 MME(30)로 어태치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S602에서, 이 신규 어태치 요청에 대해 MME(30)는 SPGW(45)로 세션 생성 요청을 전송한다. SPGW(45)는 PCRF(60)로 PCC 룰 요청을 위한 CCR을 전송하지 않고(즉, PCRF(60)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고), 로컬 룰을 적용하여 베어러를 생성한다. 여기서 로컬 룰이라 함은, PCRF(60)에게 PCC 룰에 대한 문의 없이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로만 베어러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SPGW(45)는 MME(30)에게 베어러 생성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VoLTE 등을 위한 특별한 QoS가 요구되는 전용 베어러의 경우, PCRF(60)는 IP-CAN 세션 수정을 SPGW(45)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611). 즉, 긴급 상황이 아닌 경우 SPGW(45)는 PCRF(60)로부터 IP-CAN 세션 수정을 수신할 수 없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긴급 상황에서도 전용 베어러의 생성을 위해서는 SPGW(45)가 PCRF(60)로부터 IP-CAN 세션 수정을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긴급 상황에서 디폴트 베어러 생성과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들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설정해 줌으로써, VoLTE 등 소정의 품질이 요구되는 서비스에 대한 품질 보장 및 PCRF(60) 오버로드 개선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긴급 상황이 종료된 이후, 그 긴급 상황에서 어태치 한 단말(UE, 10)들이 서비스 요청을 MME(30)에게 전송하는 경우(S701), MME(30)는 서비스 요청을 거절하여(S702), 단말(UE, 10)은 다시 어태치 과정(S703, S704~)을 수행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20 단계 정도의 초기 어태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MME(30)/HSS에 부하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긴급 상황에서 어태치한 단말(UE, 10)에 대해서는 서비스 요청 거절 및 이에 의한 어태치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정 세션 요청/CCR을 진행할 것을 제안한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단말(UE, 10)은 MME(30)에게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다. 이 단말(UE, 10)은 긴급 상황에서 네트워크에 어태치 하였던, 즉 어태치를 통해 기본 정보가 적용된 디폴트 베어러를 갖는 단말(UE, 10)임을 전제한다. 단계 S802에서 MME(30)는 단말(UE, 10)에게 서비스 수락을 전송하고, 단계 S803에서 SPGW(45)로 세션 수정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S804에서 SPGW(45)는 PCRF(60)로 CCR을 전송한다. PCRF(60)는 해당 단말(UE, 10)에 대한 PCC 룰을 확정하고, 단계 S805에서 CCA를 SPGW(45)로 전송한다. 단계 S806에서 SPGW(45)는 이 PCC 룰을 포함하는 세션 수정 응답을 MME(3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긴급 상황에서 네트워크에 어태치 하였던 단말(UE, 10)에 대해 불필요한 초기 어태치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증 재시도에 따른 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송수신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 장치(900)는, 송수신모듈(910), 프로세서(920) 및 메모리(9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모듈(910)은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 장치로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90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920)는 송수신 장치(9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송수신 장치(900)가 외부 장치와 송수신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930)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장치(900)는 앞서 언급된 SPGW, PCRF 등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해당 설명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송수신 장치(9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900 : 송수신장치
910 : 송수신모듈
920 : 프로세서
930 : 메모리
910 : 송수신모듈
920 : 프로세서
930 : 메모리
Claims (2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베어러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기본 정보를 사용하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은 상기 긴급 상황에서의 어태치 절차를 위한 것인,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은 SDP(Service Delivery platform)에 기초하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러어는 VoLTE(Voice over LTE)를 위한 것인,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시,
상기 PCRF로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 수정에 대한 지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CRF로부터 상기 PCC 룰을 포함하는 IP-CAN 세션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의 해제 이후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에 관련된 단말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는 상기 PCRF로 업데이트 되는, 베어러 생성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서빙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서빙/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중 하나인, 베어러 생성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베어러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로부터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수신하고,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되,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기본 정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HSS(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수신한 품질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은 상기 긴급 상황에서의 어태치 절차를 위한 것인,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은 SDP(Service Delivery platform)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러어는 VoLTE(Voice over LTE)를 위한 것인,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베어러 생성시,
상기 PCRF로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 수정에 대한 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PCRF로부터 상기 PCC 룰을 포함하는 IP-CAN 세션의 확인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의 해제 이후 상기 기본 베어러 생성에 관련된 단말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는 상기 PCRF로 업데이트 되는, 네트워크 노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 장치는 서빙 게이트웨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또는 서빙/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중 하나인, 네트워크 노드 장치.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가 네트워크 노드의 베어러 생성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베어러 생성을 위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PCRF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지 않는, 베어러 생성 지원 방법.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베어러 생성을 지원하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베어러 생성을 위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되,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PCC 룰을 전송하지 않는, PCRF 장치.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베어러를 생성하는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로 PCC(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전송하는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및
상기 PCC 룰을 기초로 베어러를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
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긴급 상황에서는, 전용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되 기본 베어러 생성을 위해서는 상기 PCRF로부터 PCC 룰을 수신하지 않는, 코어 네트워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390A KR101407554B1 (ko) | 2013-02-26 | 2013-02-26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390A KR101407554B1 (ko) | 2013-02-26 | 2013-02-26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7554B1 true KR101407554B1 (ko) | 2014-06-13 |
Family
ID=5113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390A KR101407554B1 (ko) | 2013-02-26 | 2013-02-26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75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329B1 (ko) * | 2017-01-20 | 2018-06-11 | 콘텔라 주식회사 | Lte 망 초기 접속 과정에서 lte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정보공유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48161A1 (en) | 2007-04-28 | 2010-02-2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system and apparatuses thereof for realiz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
KR20110003399A (ko) * | 2008-04-07 | 2011-01-11 |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긴급 서비스 정보의 획득 방법, 시스템 및 설비 |
KR20110034943A (ko) * | 2009-09-29 | 2011-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s 망에서 ip-can 세션 변경 장치 및 방법 |
-
2013
- 2013-02-26 KR KR1020130020390A patent/KR1014075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48161A1 (en) | 2007-04-28 | 2010-02-2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system and apparatuses thereof for realizing emergency communication service |
KR20110003399A (ko) * | 2008-04-07 | 2011-01-11 | 다 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 긴급 서비스 정보의 획득 방법, 시스템 및 설비 |
KR20110034943A (ko) * | 2009-09-29 | 2011-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Ims 망에서 ip-can 세션 변경 장치 및 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3GPP 표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1329B1 (ko) * | 2017-01-20 | 2018-06-11 | 콘텔라 주식회사 | Lte 망 초기 접속 과정에서 lte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정보공유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76376B2 (en) | De-registr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EP4114065B1 (en) |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US10716083B2 (en) | Tracking area assignment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
KR10203458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 |
US957209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access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598812A1 (en) | Method for notifying of mobility ev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 |
US947397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QoS gro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64134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packet data network gatew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79497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ximity service | |
US2015013143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14011482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근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
US2014019278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via local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15020828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sipto for each ip flow in local network | |
WO2013051848A2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영역 갱신 방법 및 장치 | |
US1000392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proximity service so as to provide proximity service | |
KR101407554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베어러 생성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
KR101654066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선호 기반 접속 망 결정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