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14B1 -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4914B1 KR101594914B1 KR1020140187153A KR20140187153A KR101594914B1 KR 101594914 B1 KR101594914 B1 KR 101594914B1 KR 1020140187153 A KR1020140187153 A KR 1020140187153A KR 20140187153 A KR20140187153 A KR 20140187153A KR 101594914 B1 KR101594914 B1 KR 101594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keyboard
- key
- hankyoreh
- standar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글자판를 포함하고, 상기 글자판의 한글 자모 배열은 한글선택을 위한 글자판의 왼쪽과 오른쪽에 중간을 기준으로 가로로 오른쪽 첫 번째단과 세번째 단에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자소가 배열되고, 또한 글자판의 왼쪽과 오른쪽에 중간을 기준으로 가로로 오른쪽 첫 번째단과 세번째 단에는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ㅜ", "ㅠ","ㅡ", "ㅣ"(10자소)와 "ㅐ", "ㅔ","ㅘ", "ㅝ"자소가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새로운 미래 통일 시대에 도입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준자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남·북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농경사회를 거처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처음에는 손짓이나 몸짓과 같은 방식으로 의사를 소통하다가 말하기, 글자, 인쇄 방식을 차례로 발전시켰고, 최근에는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전화, TV, FAX, 컴퓨터와 같은 정보 통신 기기로 발전시켜 왔다. 말하기 단계에서 문자 단계로 옮아가면서 인류는 선사 시대에서 역사 문명 시대로 전환되었으며 인쇄 문화를 개발하면서 찬란한 문명의 꽃을 피워 나갔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데스크톱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PDA, 네비게이션, MP3, 휴대폰, 스마트폰 등 각종 단말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각종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북에서도 다른 입력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우리 민족은 유일한 분단국가로서 전국민이 통일을 염원하며, 통일이 되면, 남·북 국민 모두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통일 전이라도 남·북이 공동으로 사용해야할 컴퓨터가 존재한다면 이를 위해 표준 자판이 필요하다.
즉, 서로 다른 남·북의 운영체제(OS) 하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안)」을 양측이 서로 제안하고, 제안된 범주 안에서 한글 자모배열을 수학적인 통계적인 모델로 검증하고, 분석하여, 제3의 새로운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새로운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이 미래 통일 시대에 도입되도록 하기 위해 남의 한글 2벌식 표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 한글 자판을 대신할 수 있는 이 두 한글 표준자판과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기술적인 우월성을 갖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남의 한글 표준자판은 물론. 북의 조선국규인 한글 글자판를 비롯한 이제까지의 발명된 여려가지 한글 글자판의 성능을 비교검토 하고, 신속 정확한 처리를 위한 효율성과 새로운 시장에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제성도 함께 비교 검토하여 이론적으로나 실험적으로 그 타당성을 다음과 같이 충분하게 검증될 수 있도록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 효율성
속도가 빠를 것.
오타발생이 적을 것.
누구나 쉽게 조작하여 간편하게 글자를 배열할 것.
나. 경제성
생산가격이 저렴하여 손쉽게 구입할 수 있게, 원가를 낮출 것.
내구성이 강해 유지비가 적게 들것.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 운영체제나, 리눅스(linux) 운영체제를 쉽고, 가볍고, 간단한 조정만으로 연동이 가능하게 설계할 것.
본 발명은 가.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요인과 나. 피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다. 학습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해서 한글 자소를 한글 글자판 글쇠에 배열해야한다.
가.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요인
한글 자모의 출현빈도와 각 손가락의 부담률이 운지거리와 일치하는가?
윗글자쇠(shift-key)의 출현으로 불규칙한 리-듬은 일어나지 않는가?
한 손가락의 연속 입력으로 리-듬이 깨어져 속도가 느린 경우는 없는가?
심리적으로 한글 자모가 글자판 글쇠에 잘못 배열되어 기억력 부족으로 운지거리를 가늠하는데 부담을 주지는 않는가?
손가락의 합리적인 운지거리를 감안하여, 자모를 적절한 글쇠에 배열했는가?
기타 도깨비불같은 현상이 s/w상에서 일어나지 않게 배열했는가?
나. 피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각 손가락의 태핑(tapping)의 능력과, 작업분담율의 불일치로 인한 어느 특정 글쇠에 손가락의 분담률이 높지는 않는가?
왼쪽손과 오른쪽손의 분담률의 불균형으로 인해 어느 한쪽손의 손가락을 과도하게 사용하도록 자모를 배열하지는 않았는가?
다. 학습기간에 미치는 요인
글자판 조작의 복잡성이 없는가?
글자판에 배열된 자모의 종류와 수의, 양에 따르는 기억력 부담은 없는가?
또한,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반드시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절차를 밟아 통일 시대에 맞도록 적절하게 도입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반드시 한글 표준이 지녀야할 성질로부터 고쳐야 할 정확한 근거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남의 한글 표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인 한글 표준자판을 변경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행 남의 한글 표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 한글 자판을 새롭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업무를 처리하는 사용자들에게 입력속도가 빠르면서, 정신적이고 육제적인 피로를 줄여가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글자판를 포함하고, 상기 글자판의 한글 글자판은,
한글표현은 글자판 전체에서 넉줄로 구성된 글쇠들 중 제일 윗줄인 네 번째 줄의 글쇠(숫자와 부호)들를 제외하고, 첫 번째 단에서부터, 세 번째 단으로 구성된 글쇠에 한글자모를 배열을 하고, 첫 번째 단 중간에는 왼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1>글쇠를 배열하고, 반대로 오른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2> 글쇠를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하고,
첫 번째 단과 세 번째 단 왼쪽에는 왼쪽손으로 글쇠를 입력할 수 있게 한글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자소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하여 자음영역을 형성하되
첫 번째 단과 세 번째 단 오른쪽에는 오른쪽 손으로 글쇠를 입력할 수 있게 한글 모음인"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0자소)와 "ㅐ", "ㅔ", "ㅘ", "ㅝ"자소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결과에 따라 배열하여 모음의 영역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넉줄로 구성된 글쇠를 중심으로 왼쪽손이 담당하는 자음 배열중 첫 번 째 단 중간에는 왼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1>글쇠를 배열하고, 잣기조사의 출현 빈도에 따라 왼쪽으로 부터 자음 "ㅋ", "ㅌ", "ㅍ", "ㅊ",자소와 <기능1>글쇠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하고, 기준자리가 있는 두 번째 단에는 왼쪽으로부터 자음 "ㅈ", "ㄱ", "ㅇ", "ㄴ", "ㅅ"자소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고,
세 번째 단에는 자음 "ㅂ","ㅁ","ㄷ","ㄹ","ㅎ"자소를 잣기조사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하였고,
특히, 넉줄로 구성된 글자판 가로 중심에서 오른쪽손이 담당하는 모음 배열 중 첫번째 단 중간에 오른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게 <기능2>글쇠를 배열하였고, 중간에서부터 오른쪽손이 모음을 담당할 수 있도록 모음 "ㅑ", "ㅛ", "ㅠ", "ㅝ"자소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한다.
기준자리(Home Position)가 있는 두 번째 단 중간에서 오른쪽으로 모음 "ㅗ", "ㅓ", "ㅏ", "l", "ㅘ"자소를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 하였고,
세 번째 단에는 모음 "ㅕ", "ㅜ", "ㅡ", "ㅐ", "ㅔ"자소를 잣기조사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하여 모음영역을 이루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글자판를 포함하고, 상기 글자판의 한글 자모 배열을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입력부의 한글 글자판에 대응하는 손가락의 배열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0은 엄지, 1은 검지, 2는 중지, 3은 약지, 4는 소지를 나타내며, 왼쪽과 오른쪽은 각각 왼쪽손과 오른쪽손이 담당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입력부의 한글 글자판에서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자소는 오른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2>글쇠를 누른 다음 해당 자음("ㄱ", "ㄷ", "ㅂ", "ㅅ", "ㅈ")자소을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의 한글자판에서, 겹모음인 "ㅒ", "ㅖ", "ㅚ", "ㅢ", "ㅙ","ㅞ"자소는 각기 모음 "ㅑ", "ㅕ", "ㅗ", "ㅜ", "ㅡ", "ㅘ", "ㅟ"자소는 왼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1>글쇠를 누른 다음 이들 자모가 배열된 글쇠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글자판 및 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글자판 및 한글 자모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마우스로 상기 자모중 임의로 자모를 상기 해당 글자판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저장하기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글자판에 글쇠에 배열된 자모를 해당 글자판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글자판 및 마우스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글자판 및 한글 자모를 표시하고,
B,N 글쇠은 토글 방식으로 동작하며,
B글쇠를 누른상태에서 나타나는 자모열은 실제동작상으로 글쇠을 누르고 해당글쇠을 병타할 때 출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며, N글쇠 역시 B글쇠와 기능은 마찬가지이고,
B글쇠 또는 N글쇠에 해당한 자모들을 배치하려면 B 또는 N글쇠 중에서 어느 한 개의 글쇠을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로 B 또는 N글쇠에 대응되는 글자판위치에 자모들을 배열하고,
글자판에 자모기능을 지워버리려면 해당 글자판 위치에 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자모배열을 다시 진행하려면 Reset 버튼을 누르고, 매글 글쇠에 할당된 자모배열 정보를 보관하려면 Save 버튼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새로운 「한겨레 통일 표준 글자판」이 미래 통일 시대에 도입되도록 하기 위해 남의 한글 2벌식 표준자판으로 지정된 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로 지정된 한글 표준자판을 대신할 수 있는 이 두 한글 글자판과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기술적인 우월성을 갖는한겨레 통일 표준자판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남의 한글 표준자판은 물론. 북의 조선국규인 한글 글자판를 비롯한 이제까지의 발명된 여러 종류의 한글 컴퓨터 글자판의 성능을 비교검토 하고, 신속 하고, 정확한 처리를 위한 효율성과 새로운 시장에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경제성도 함께 비교 검토하여 이론적으로나 실험적으로 그 타당성을 다음과 같이 충분하게 검중될 수 있도록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가. 효율성
속도가 빠를 것.
오타발생이 적을 것.
누구나 손쉽게 조작하기 간편하게 글자를 배열할 것.
나. 경제성
생산가격이 저렴하여 손쉽게 구입할 수 있게, 원가를 낮출 것.
내구성이 강해 유지비가 적게 들것.
마이크로 소프트(microsoft) 운영체제나, 리눅스(linux) 운영체제를 쉽고, 가볍고 간단한 조정만으로 연동이 가능하게 설계할 것.
본 발명은 가.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요인과, 나. 피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다. 학습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연구해서 한글 자모를 배열해야한다.
가.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요인
한글 자모의 출현빈도와 한 손가락의 부담률과 운지거리가 일치하는가?
빈번한 윗글자쇠(shift-key)의 동작으로 불규칙한 리듬은 일어나지 않는가?
한 손가락의 연속 입력으로 리-듬이 깨어져 속도가 느린 경우는 없는가?
심리적으로 한글 자모가 글자판 글쇠에 잘못 배열되어 기억력 부족으로 운지거리를 가늠하는데 부담을 주지는 않는가?
양쪽손 손가락의 합리적인 운지거리를 감안하여, 자모를 적절한 위치에 있는 글쇠에 배열했는가?
기타 도깨비불같은 현상이 s/w상에서 일어나지 않게 배열했는가?
나. 피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각 손가락의 태핑(tapping)의 능력과, 작업분담율의 불일치로 인한 어느 특정 글쇠에 손가락의 분담률이 높지는 않는가?
왼쪽손과 오른쪽손의 분담률의 불균형으로 인해 어느 한쪽손을 과도하게 사용하도록 자모를 배열하지는 않았는가?
다. 학습기간에 미치는 요인
글자판 조작의 복잡성은 없는가?
글자판에 배열된 자모의 종류와 수의, 양에 따르는 기억력 부담은 없는가?
또한,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반드시 사회적 인정을 받기 위한 절차를 밟아 통일 시대에 맞도록 적절하게 도입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한겨레 통일표준자판」이 지녀야할 성질로부터 고쳐야 할 정확한 근거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남의 한글 표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인 한글 표준자판을 변경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행 남의 한글 표준자판이나, 북의 조선국규 한글 표준자판을 새롭게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업무를 처리하는 사용자들에게 입력속도가 빠르면서, 정신적이고 육제적인 피로를 줄여가는 건강한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만이 가지는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에서 입력부가 글자판일 경우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배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에서 입력부가 글자판일 경우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배열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경우에는,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경우의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경우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휴대폰, 컴퓨터, PDA,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전자수첩, 전자사전 등일 수 있고 이외에도 문자를 입력하고 처리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표시부(350), 타이머(320), 입력부(360), 저장부(340), 제어부(310), 통신부(330)를 포함한다.
저장부(340)는 정보를 저장하며,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글쇠입력에 대응하는 문자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입력부(360)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으며, 구체적으로 글쇠입력을 받는다. 글자판 형태 또는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의 형태일 수도 있다.
입력부(360)는 남·북의 주민 모두가 빠르고 편안하게 입력을 할 수 있는 건강한 글자판 구조를 가진다.
입력부(360)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 배열은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입력부(360)는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자소의 자음은 오른쪽손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2>글쇠를 누른 다음 해당 쌍자음의 자음("ㄱ", "ㄷ", "ㅂ", "ㅅ", "ㅈ")자소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360)는, 겹모음인 "ㅒ", "ㅖ", "ㅚ", "ㅢ", "ㅙ", "ㅞ"자소는 각기 모음 "ㅑ", "ㅕ", "ㅗ", "ㅜ", "ㅡ", "ㅘ", "ㅟ"자소들를 왼손으로 <기능 1>글쇠를 누른 다음 이들 자모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부(350)는 정보를 표시한다. 타이머(320)는 시간을 측정한다.
통신부(330)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외부의 다른 단말기 또는 장치와 통신을 한다.
제어부(310)는 상기 입력부(360)(360)의 입력에 따라 처리를 하고, 상기 표시부(350)에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이러한 입력부(360)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입력효율을 중시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 발명의 설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할 데이터가 있다. 그것은 한글 자모출현빈도 조사 결과로서 그 지표는 방대하고 객관적으로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가 준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신의 과학적 데이터 수집방법과 시간적으로 비교적 최신의 데이터인 고려대학교의 심리학분실에서 실시한 표 1의 한글 빈도 조사의 것을 이용했고 북의 평양 교육성 교육정보쎈타의 데이터인 자모출현빈도조사 결과를 평가 자료로 활용하였다.
표 1의 한글의 자모 빈도표 (모음을 15개로 한 경우)에서는 남에서 진행한 자모출현빈도 조사결과를 나타낸다(표본자소 : 74782944, 자음(59.81%), 모음(40.19%)
그리고 북에서 진행한 자모출현빈도조사 결과는 표 2와 같다.
(자음, 모음, 받침=총수: 2,491,134)
또한, 또 다른 조사에서 남에서 진행한 자모출현빈도조사결과(표본자소 : 74243439)는 표 3과 같다.
그리고 또 다른 조사결과에서 북에서 진행한 자모출현빈도 조사결과(자음, 모음, 받침 총자모수: 2491,134)는 표 4와 같다.
그리고, 글자판에서 손가락의 운지거리 능률치에 대해 실험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글자판 설계단계에서 중요한 하나의 데이터는 글자판 사용자의 양쪽손의 손가락의 입력 능률를 수치화하기 위한 일본 컴퓨터 글자판 국가표준규격(JIS)을 만들기 위해 Richo연구소에 의뢰하여 실시한 것으로 일본인 여성 18명을 실제 실험을 통해서 얻은 입력자료를 입수, 「한겨레 통일 표준판」 설계를 위한 데이터로 사용함에 있어 문제가 될 것이 없다. 구체적인 것은 아래와 같다.
일본여성 남녀에 의한 입력 실험치는 표 5와 같다.
표 5에서 는 각 손가락이 다른 손가락과 어울려서 입력할 수 있는 평균적 글쇠 입력능력(strokes/15초)을 나타내며 Tki는 기준자리(home position)상의 입력시간 를 나타낸다.
글쇠입력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손가락 운지능력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실험 분석 결과 손가락 가운데서 검지와 중지가 속도가 빠르고 약지, 소지는 속도가 늦다. 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결론적으로 마무리 한 것이 표 6 내지 표 8이다.
표 6을 참조하여 검지를 1로 하면 소지는 0.75이상이며 1930년데 계측한 데이터(표 7)와 차이가 있는 것은 글자판의 글쇠가 가벼워진 탓이기도 하다. 따라서 표 6과 같이 전체로서는 오른쪽이 10%정도 빠르므로 글자판은 왼쪽손과 오른쪽손을 같게 하거나, 오른쪽손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은 검지를 많이 사용하도록 약지와 사용빈도는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손가락의 피로 정도는 속도면에서 검증할 수 없으나 글자에 자모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약지와 소지가 피로를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구현하였으며,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의 규격은 정보처리용 자료 입력 장치에서 공통적으로 수용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부분의 배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대하여 규정한다.
현재 남·북이 사용하는 한글 자모의 자소 수는 다음과 같다.
(1) 남: 닿소리-(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자(14자소)
홀소리-(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0자소)
=합계 24자소.
(2) 북: 닿소리-(자음)"ㄱ", "ㄴ", "ㄷ", "ㄹ",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13),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5자소)를 합해서
=합계18자소
홀소리-(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0자소) 이고, 겹모음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11자소)=합계 21자소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표준 자판이 수용하는 한글 자모 자소중 기본적으로 수용하는 문자는 다음의 39자소로 한다.
즉, 남-자음 14자소, 모음 10자소,
북-자음 쌍자음 5자소("ㄲ". "ㄸ", "ㅃ", "ㅆ", ㅉ),
모음 겹모음 10자소 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영문 대문자중 다음의 26 자소를 수용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영문 소문자를 수용할 경우에는 다음의 26자소를 수용한다.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숫자 및 부호중 숫자는 다음의 10자소를 수용한다.
1 2 3 4 5 6 7 8 9 0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부호는 다음의 32자소를 수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SP)글자와 글자 사이 빈자리 기호
! 느낌표
" 따옴표
# 번호기호(달라)
$ 통화 단기
% 백분율 부호
& (space)"And" 부호
' 어포스트로피
( 여는 작은 부호
) 닫는 작은 부호
* 별표 부호, 곱셈부호
+ (Plus) 종 부호, 덧셈부호
, (comma)쉼표
- 부 부호, 뺄셈 부호
. (Period) 마침표
/ 빗금 부호, 나눗셈 부호
: 콜론 부호
; 세미콜론 부호
< 부동호(보다 작은)
= 등호
> 부동호(보다 큰)
? 물음표
@ 단가 부호
[ 여는 대괄호
\ 통화 단위 부호(원)
] 닫는 대괄호
` 상향 화살촉, 악상실 코프렉스
__ 밑줄 부호
' 악상 그라부
{ 여는 중괄호
ㅣ 세로줄 부호
} 닫는 중괄호
- 윗줄 부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수용하는 기능 글자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글자판 배열에서, 한글 기본 자모 24자소(자음 14자소, 모음 10자소 및 복모음 4자소("ㅐ","ㅔ","ㅝ","ㅘ")는 도 2 또는 도 3의 배열에 따른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글자판의 한글 자판 배열은 「한겨레 통일표준자판」을 위한 첫 번째단을 포함하되,
첫 번째단 중간에는 <기능1>와 <기능2>글쇠가 배열되고,
글자판 왼쪽에 첫 번째 단에서 세 번째 단에 걸처 자음인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자소가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되어 자음 영역을 이루고,
글자판 가로 중심에서 부터 첫 번째 단에서 세 번째단에 걸처 모음인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10자)와 "ㅐ", "ㅔ", "ㅘ", "ㅝ"자소가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배열되어 모음영역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세 번째 단에서는 (자음) "ㅂ", "ㅁ", "ㄷ", "ㄹ", "ㅎ", (모음)"ㅕ", "ㅜ", "ㅡ", "ㅐ","ㅔ"자음과 모음이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되었고,
두 번째 단에서는 (자음) "ㅈ", "ㄱ", "ㅇ", "ㄴ", "ㅅ", (모음)"ㅗ", "ㅓ", "ㅏ", "l", "ㅘ" 자음과 모음의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되고 "ㅛ", "ㅜ",
첫 번째 단에서는 (자음) "ㅋ", "ㅌ","ㅍ", "ㅊ",자소와 <기능1>, <기능2>글쇠가, (모음) "ㅑ", "ㅛ", ,"ㅠ", "ㅝ"자음과 모음의 잣기조사의 출현빈도 결과에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다.
글자판은 한글. 숫자 및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한글 전용과, 영문 알파벳, 숫자 및 부호를 입력할 수 있는 한영 겸용으로 구분한다.
한·영겸용 글자판에서는 한글/영문 모드, 지정글쇠을 두어서 한글 자모와 영문 알파벳 등을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글자판에서의 자모배열의 위치는 행 기호와 열 번호로 표시한다.
필요에 따라 영문 알파벳 및 한글 자모의 배열은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에서 한글 기본 자모 24자소(자음 14, 모음 10자소)와 겹모음 4자소 "ㅐ", "ㅔ", "ㅝ", "ㅘ" 를 우선적으로 수용하였는바, 겹모음 "ㅐ", "ㅔ", "ㅝ", "ㅘ"자소를 수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용빈도가 높다.
빈도수가 높은 겹모음은 한 글쇠로 입력하도록 하여 해당 글쇠의 입력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한글 겹모음의 입력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의 가장 큰 특징중 하나는 <기능1>글쇠와 <기능2>글쇠가 있는 것이다.
첫번째 이 소프트웨어적인 <기능 1>글쇠와 , <기능 2> 글쇠는 왼쪽손과 오른쪽손 엄지손가락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왼쪽손으로 입력하는 모음 "ㅠ"자소와 오른손으로 입력해야 하는 모음 "ㅛ"자소의 자모가 배열된 글쇠의 위치를 옮긴다.
두번째,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의 자음은 오른쪽손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2>글쇠를 누른 다음 입력한다.
세번째, 겹모음 2개로 입력해야할 모음인 "ㅘ"자소, 모음 "ㅝ"자소는 오른쪽손 손가락으로 입력하도록 배열한다. 겹모음인 "ㅟ"자소보다 겹모음 "ㅢ"자소의 출현빈도가 높지만 위에 지적된 7개의 겹모음을 연속적으로 모음을 입력하여 겹모음을 완성하는데 통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겹모음 "ㅢ"자소가 아니라 겹모음 'ㅝ"자소를 선정하여 배열하였다.
네 번째, 그 밖에 겹모음인긴 하나 출현빈도가 낮은 겹모음인 "ㅒ", "ㅖ", "ㅚ", "ㅢ", "ㅙ", "ㅞ"자소는 각기 모음 "ㅑ", "ㅕ", "ㅗ", "ㅜ", "ㅡ", "ㅘ", "ㅟ"자소는 왼손으로 <기능 1>글쇠를 누른 다음 이들 자모를 입력하면 된다.
다섯번째, 이러한 경우는 <기능> 글쇠가 아닌 일반글쇠도 오른쪽과 왼쪽 자음과 모음 한 글쇠씩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왼쪽과 오른쪽 동작이 함께 동시에 입력할 경우에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증명할 수도 있다.
동작연구가 길브레드에 따르면 왼쪽과 오른쪽 교차 연속입력이 속도가 빠른 것은 독립적인 한손가락으로 2동작으로 연속 입력하는것 보다 오른쪽 손과 왼쪽손 양손 교타로 입력하면 컴비네이션 리-듬을 형성하기 때문에 빠르다고한다. 한글의 특성상 이 컴비네이션 자모 입력으로 물흐르듯하는 일정한 리듬이 이루어지면 처음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 기초를 배우는 초보 훈련자들도 한손가락으로 연속 글쇠를 입력하는것 보다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속도가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섯번째, 종래의 자모 26개의 범주를 벗어난 글쇠 중에서 ≪";(세미코론 부호)",(comma-부호),"/(빗금 부호,나눗셈 부호)", ".(period)"≫의 5개 부호의 배열은 윗글자쇠(shift key)를 사용하거나, 다른 동작으로 입력모드를 변환하지 않고 입력하기 위해서는 오른손으로 동작하는 <기능 2>글쇠를 눌러서 동시에 입력한다.
이때 <기능 2>글쇠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서 부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콜론 부호)", "< (부동호 보다작은), ">(부동호 보다큰)","?"(물음표),》4개의 부호는 윗글자쇠(shift key)를 누른다음에 해당 글쇠를 입력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IEM상에서 2벌식 입력과 함께 소프트웨어적인 3벌식 입력방식을 다른 동작으로 변환하지 않고 화면에서 필요한 모델을 모니터 화면에 불러올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그리고 2벌식 글자판에서는 받침을 자음과 마찬가지로 왼손으로 입력한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3벌식 입력에서는 받침과 자음을 오른손으로 입력하되, 자음과 받침을 한개의 글쇠로 입력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은 다음과 같은 글자판의 기본설계사상이 담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 배열은 현제 남·북이 사용하는 표준자판이나 국규에 배열되어 있는 글자판 배열을 될수록 변경시켜 배열하지 않으면서 입력의 속도를 높이고 피로도를 낮추어 사용자가 건강하게 사용하도록 배열하였다.
첫번째, 되도록 이면 글자판 입력에 불필요한 동작을 줄이고,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가면서 입력하는 컴비네이션동작의 리-듬을 유지하도록 자모를 배열하였다. 한글의 특성인 즉, 왼쪽손과 오른쪽손으로 입력하는 글쇠가 각각 15개씩 글쇠로 이루어져 완전한 컴비네이션 동작이 이루어저 물흐르듯한 리-듬을 유지하도록 배열하였는데, 예를 들면, 남의 2벌식 표준자판 첫 번째단에 배열되어 있는 모음"ㅠ" 글쇠를 왼쪽손으로 입력하는 것은 표준글자판 방법에서는 입력방법이 어긋나는 일이므로 이같은 불규칙한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자모의 수를 줄여 배열한 것이 특징이다.
두번째, 한글 입력에 있어서 짧은 운지거리로 글쇠를 입력하도록 자모를 배열하였다. 한글 입력이 글자판전체가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글쇠의 수는 30개이다. 이들 자모를 30개의 글쇠 범주안에 배열하면서 운지거리를 줄여 입력하게 하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안)」은 불필요한 군동작을 줄여서 운지거리를 짧게 글쇠를 입력하도록 최대한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자모수를 배열하도록 하였다.
세번째, 출현 빈도가 높은 자모는 소프트웨어적인 구현(implementation)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고, 불필요한 두 번의 동작으로 입력할 필요성이 있을 때는 윗글자쇠나 기능글쇠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왼쪽손과 오른쪽손의 집계손가락 동작으로 입력하기가 불편하던 BO5, BO6의 범주안에 있는 글쇠를 엄지손가락으로 일정한 리듬을 유지한다면 입력하기에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위치다.
종전에 출현 빈도수가 높아, 글쇠를 입력하는 데에는 사용하지 않고 사이띄우기판(space bar)만 눌러서 입력하던 왼쪽손과 오른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1>글쇠와 <기능 2>글쇠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출현 빈도가 높게 설계하였다.
영문 단어처럼 한손가락 동작만으로 연속 해당 글쇠를 입력하는 것은, 불규칙한 리듬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자모를 배열 할 때 남·북이 함께 조사한 한글 잣기조사 출현빈도 결과를 통해 왼쪽손이나 오른쪽손으로 번갈아가며 양손 교대로 글쇠를 입력하는 컴비네이션 리듬을 형성하여 자음과 겹모음을 한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네번째, 남·북이 조사한 잣기조사 출현빈도결과를 바탕으로 자모배열을 불규칙한 동작이나 반복동작이 입력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 속도의 능력이 줄어들지 않도록 배열하였다.
모음의 6%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 9개의 겹모음 범주안에 해당하는 각 자모를 2개씩 같은 글쇠에 배열하여 한동작으로 글쇠를 입력하면 4%의 입력회수를 줄이도록 글자판의 글쇠에 자모를 배열하였다.
두자모를 한동작으로 입력한 것으로 계산하는 경우, 받침이 없는 조립글자의 입력은 40%정도의 입력회수를 줄이는 셈이 된다.
다섯번째, 한글의 원리인 모아 입력하기의 용이성, 받침이 없는 399개의 조립글자의 출현빈도 결과를 분석한 결과 96%이상이 기능글쇠로 입력하지 않은 두 개의 자모를 왼쪽손과 오른쪽손의 한동작으로 글쇠를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한글 자모 이면서 훈민정음 원리에 따라, 음절글자인 한글의 모아입력하기에 용이하게 자모를 배열한 글자판을 왼쪽손가락과 오른쪽손의 손가락으로 번갈아가며 교타 입력하는데 컴비네이션 리듬이 유지되도록 배열한 것은 빠른 속도로 글쇠를 입력하는데 획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여섯번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안)」에 <기능 1>글쇠와 <기능 2>글쇠를 추가하여 자음, 겹자음, 모음, 겹모음, 받침의 글쇠를 입력하는데 두 동작을 한동작으로 줄여 입력하여 속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자모를 배열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높은 사용빈도 출현으로 여러번 입력해야 하는 자모를 <기능 1>글쇠와 <기능 2>글쇠를 추가로 글자판에 배열하여 자모를 쉽게 한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글자판에 <기능 1>글쇠와 <기능 2>글쇠의 추가로 <기능>글쇠와 함께 훈민정음에서 발표한 "△"을 비롯한 옛글자를 비롯한 그 밖의 글자가 입력되도록 글자판에 배열 할 수 있다.
쌍받침은 "ㄶ", "ㄺ", "ㅄ"자소를 <기능 2>글쇠를 이용해 <"ㄴ", "ㄹ", "ㅂ">자소를 함께 입력하고 "ㄵ", "ㄻ", "ㄾ", "ㄿ", "ㅀ"자소를 <기능 2>글쇠와 <"ㅈ", "ㅁ", "ㅌ", "ㅍ", "ㅎ">자소를 함께 입력하면 두 번의 손가락의 동작을, 한번의 손가락 동작으로 줄여서 입력하고 출현빈도가 극히 낮은 쌍받침"ㄳ", "ㄺ", "ㄼ"자소도 한동작으로 연속 입력할 수 있게 배열하였다.
일곱번째,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의 특징은 왼쪽손보다 오른쪽손을 많이 사용하도록 자모를 배열하였다.
소프트웨어적인 3벌식 입력시스템을 도입하면 종전과는 반대로 높은 빈도율을 가진 자모를 배열한 글쇠가 나타나 오른쪽 손 운지능력에 60%이상을 입력부(360)담을 줄 수 있다.
여덟번째, 3벌식 입력시스템이 도입되면 종전과는 반대로 한글이 훈민정음 원리인 모아 입력에 맞는 입력시스템의 모델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받침이 없는 조립글자를 한 동작으로 한글을 모아 입력한 다음 다시 왼쪽으로 되돌아가는 불규칙한 별다른 군손동작 없이 오른쪽 손으로 받침입력을 즉시 입력하는 것은 종전의 남의 2벌식 표준글자판이나, 북의 국규글자판에서 받침을 입력하는 것 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배열 한 것이 특징이다.
아홉 번째, 종전의 남의 KS X 5002 표준자판과 북의 국규9256글자판과 비슷한 정신에서 자모배열은 했으나 글자판의 한글자모가 배열된 글쇠의 위치가 다르다.
보충된 한글 자모가 배열된 두 개의 글쇠를 제외한 나머지 24개의 글쇠는, 한글의 범주안이기 때문에 글자판전체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나, 남·북 양측에서 각자의 나름대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남의 표준글자판이나 북의 국가규격인 표준글자판을 가지고는 통일 이전이나 통일 이후에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으로 사용하기는 부담이 되기 때문에, 현존하는 남·북 어느 한 표준 글자판으로 표준을 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결정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조정이 가능하다.
조정이 필요하면, 입력부(360)로 조작을 선택하고, 제어부(310)는 도 4와 같은 상태의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자모를 마우스로 끌기하여 해당 글쇠 위치에 갖다놓는다. 즉, B, N글쇠 관계되지 않는 글쇠를 배열하자면, N글쇠을 선택하지않은상태에서 배열하려는 자모를 선택하고 해당글쇠까지 마우스끌기로 한다.
B, N글쇠은 <기능1>글쇠와 <기능2>글쇠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머지 글쇠는 위치만 다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동일한 입력방식을 이용한다.
허나 필요에 따라서 B,N 글쇠는 토글 방식으로 동작한다.
B글쇠을 누른상태에서 나타나는 자모배치는 실제동작상으로 글쇠을 누르고 해당글쇠을 병타할 때 출력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N글쇠 역시 B글쇠와 기능은 마찬가지이다.
B글쇠 또는 N글쇠에 해당한 자모들을 배치하려면 B 또는 N글쇠 중에서 어느 한글쇠을 선택한 상태에서 B 또는 N글쇠에 대응되는 글쇠위치에 자모들을 배열하면 된다.
여기서 B 또는 N글쇠에 대응되는 글쇠부분들은 도 5와 같다.
글쇠에 자모기능을 지워버리려면 해당 글쇠 위치에 가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늘러서 조작하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모 배열를 다시 진행하려면 Reset 버튼을 누르고 매글쇠에 할당된 자모배열 정보를 보관하려면 Save버튼을 누르면 된다.
변화된 글쇠 배열은 제어부(310)가 저장부(340)에 저장해두며, 글쇠입력을 요구하는 모든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재 기동한 후에 효력이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안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 삭제
- 삭제
-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한글자판를 포함하고, 상기 글자판의 한글자판 배열은 아래와 같으며,
상기 입력부의 한글자판에 대응하는 손가락담당 위치는 다음과 같고,
여기서, 0은 엄지, 1은 검지, 2는 중지, 3은 약지, 4는 소지를 나타내며, 왼쪽과 오른쪽은 각각 왼쪽손과 오른쪽손이 담당하는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입력부의 한글자판에서 5개의 쌍자음("ㄲ", "ㄸ", "ㅃ", "ㅆ", "ㅉ")자소는 오른쪽손 0번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2>글쇠를 누른 다음 해당 쌍자음의 자음("ㄱ", "ㄷ", "ㅂ", "ㅅ", "ㅈ")자소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부의 한글자판에서, 겹모음인 "ㅒ", "ㅖ", "ㅚ", "ㅢ", "ㅙ","ㅞ"자소는 각기 모음 "ㅑ", "ㅕ", "ㅗ", "ㅜ", "ㅡ", "ㅘ", "ㅟ"자소를 왼쪽손 0번 손가락인 엄지손가락으로 <기능 1>글쇠를 누른다음 이들 자모를 눌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153A KR101594914B1 (ko) | 2014-12-23 | 2014-12-23 |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7153A KR101594914B1 (ko) | 2014-12-23 | 2014-12-23 |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4914B1 true KR101594914B1 (ko) | 2016-02-17 |
Family
ID=5545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7153A KR101594914B1 (ko) | 2014-12-23 | 2014-12-23 |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491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6700A (ko) * | 2002-12-24 | 2004-07-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 |
KR101236169B1 (ko) | 2011-03-16 | 2013-02-27 | 전세일 |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 |
KR20140123406A (ko) * | 2013-04-13 | 2014-10-22 | 김규리 |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12-23 KR KR1020140187153A patent/KR101594914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6700A (ko) * | 2002-12-24 | 2004-07-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소프트웨어 키보드와 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키 입력 방법 |
KR101236169B1 (ko) | 2011-03-16 | 2013-02-27 | 전세일 | 일본어 로마자 입력 키보드 자판 |
KR20140123406A (ko) * | 2013-04-13 | 2014-10-22 | 김규리 |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ndlater et al. | Personalized input: improving ten-finger touchscreen typing through automatic adaptation | |
Nesbat | A system for fast, full-text entry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 |
Bi et al. | Multilingual touchscreen keyboard design and optimization | |
Dunlop et al. | Towards high quality text entry on smartwatches | |
Green et al. | A reduced QWERTY keyboard for mobile text entry | |
JP2000035857A (ja) |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 |
Kim et al. | Thumbtext: Text entry for wearable devices using a miniature ring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Arif et al. |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 |
Mattheiss et al. | EdgeBraille: Braille-based text input for touch devices | |
Dobosz et al. | Onehandbraille: An alternative virtual keyboard for blind people | |
Polacek et al. | Humsher: A predictive keyboard operated by humming | |
Ye et al. | QB-Gest: qwerty bimanual gestural input for eyes-free smartphone text input | |
Lottridge et al. | Ally: understanding text messaging to build a better onscreen keyboard for blind people | |
KR101594914B1 (ko) | 한겨레 통일 표준자판을 갖는 단말기 | |
Felzer et al. | OnScreenDualScribe: a computer operation tool for users with a neuromuscular disease | |
CN201142054Y (zh) | 计算机键盘 | |
WO2014146140A9 (en) | A mnemonic relative position international keyboard system set on new focus field platform | |
KR20130069363A (ko) |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 |
Felzer et al. | DualScribe: A keyboard replacement for those with Friedreich’s Ataxia and related diseases | |
AbuHmed et al. | UOIT keyboard: A constructive keyboard for small touchscreen devices | |
Shahid et al. | A Review of Smartphone's Text Entry for Visually Impaired | |
Ishii et al. | Flickey: Flick-based QWERTY software keyboard for ultra-small touch screen devices | |
KR20110105227A (ko) | 한글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 |
Wu et al. | The input efficiency of chord keyboar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2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225 Effective date: 20170327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500012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71108 Effective date: 2018022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