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02B1 -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02B1
KR101594902B1 KR1020120100709A KR20120100709A KR101594902B1 KR 101594902 B1 KR101594902 B1 KR 101594902B1 KR 1020120100709 A KR1020120100709 A KR 1020120100709A KR 20120100709 A KR20120100709 A KR 20120100709A KR 101594902 B1 KR101594902 B1 KR 10159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salt
unit
heat
heating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363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로의 스키드빔을 냉각토록, 상기 스키드빔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혼합염 순환부 및 상기 혼합염 순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키드빔으로부터 회수된 열을 동력으로 전환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염 순환부는, 상기 발전부로 열을 전달토록, 상기 발전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혼합염의 혼합비율 변화를 조정토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스키드빔사이에 연결되는 혼합염 공급부와 혼합염 배출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의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로의 스키드빔의 냉각효율 및 열회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로의 열회수장치{Apparatus for heat recovery of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을 이용하여 열을 회수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산업 분야의 철강 공정에서 사용되는 가열로는 철강 슬라브(Steel Slab)를 열연 판재, 코일로 압연할 수 있도록 대략 1100~1250℃ 정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가열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 본체(9)에 다수개의 버너(3)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슬라브(S)들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슬라브(S)는 가열로(1)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를 지지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스키드빔(5)이라고 한다.
상기 스키드빔(5)은 통상 고정빔 스키드와 이동빔 스키드 등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이 가열로(1)내에 장입된 슬라브(S)를 이동시키도록 사용된다. 즉, 고정빔 스키드가 슬라브(S)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이동빔 스키드가 슬라브(S)를 들어서 상승시키고, 전진시키며, 다시 고정빔 스키드상에 하강시키고, 이동빔 스키드는 최초의 위치로 후퇴하는 이송 사이클로서 동작하여 슬라브(S)를 가열로(1)의 입구(4a)측으로 부터 출구(4b)측으로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로(1)는 그 내부에서 버너(3)에 의한 연소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연소용 공기를 본체(9)의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는 구동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어 가열로(1)의 본체(9) 내부로 연소용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스키드빔(5)은 가열로(1)가 슬라브(S)의 온도 상승을 위해 가열될 때, 가열로(1)내의 고온 분위기로 인해 열응력을 받아 열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열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키드빔(5)은 보호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키드빔(5)은 그 보호수단으로서 외주면에 내화물을 부착하여 가열로(1)의 고온이 직접 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보호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키드빔(5)은 그 외주면을 세라믹 울(Ceramic Wools)과 같은 단열재가 완전히 감싸고, 상기 단열재의 외주면에는 부정형 내화물인 캐스타블이 시공되어 있어, 가열과정에서 스키드빔(5)이 열화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키드빔(5)은 대략 1300℃ 정도의 고온 분위기 속에서 슬라브(S)를 지지하여야 하므로 강도유지와 함께 노내에서의 용융 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시스템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냉각수 시스템은 스키드빔(5)을 통과하여 열을 함유한 냉각수를 지역난방용으로 일부 이용하거나 냉각탑을 거쳐 냉각수조에 보내어 다시 스키드빔(5)으로 유입시켜 재순환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냉각수(water)의 경우 녹는점이 0℃ 정도이고 끓는점이 100℃이므로, 실제 회수될 수 있는 열은 냉각수의 열적 특성에 따라 주로 100℃미만에서만 가능하다. 물론 기체상태의 냉각수 형태로도 열을 회수할 수 있으나, 기체상태의 경우 액체상태에 비해 질량이 크게 적으므로 높은 온도의 열을 보유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보유한 열량 자체는 작으므로 활용도는 미미하다. 따라서 난방 등의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회수된 열을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의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로의 스키드빔의 냉각효율 및 열회수율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가열로의 열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로의 스키드빔을 냉각토록, 상기 스키드빔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혼합염 순환부 및 상기 혼합염 순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키드빔으로부터 회수된 열을 동력으로 전환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염 순환부는, 상기 발전부로 열을 전달토록, 상기 발전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혼합염의 혼합비율 변화를 조정토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스키드빔사이에 연결되는 혼합염 공급부와 혼합염 배출부를 포함한다.
삭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혼합염 순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혼합염을 가열하는 혼합염 가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혼합염 순환부는 상기 혼합염의 온도를 측정하는 혼합염 온도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혼합염 가열부는 상기 혼합염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혼합염의 온도에 따라 작동되되, 상기 혼합염 가열부는, 가열유체 가열부 및 상기 가열유체를 상기 혼합염과 열교환토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혼합염 순환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로의 배기부와 상기 발전부간에 제3 열교환부로 연결되며, 배가스로부터 회수된 열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배가스 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배가스와 상기 가열유체간에 열교환토록, 상기 혼합염 가열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4 열교환부 및 상기 제4 열교환부로 흐르는 배가스의 유동을 조절토록, 상기 배가스 유입부와 상기 제3 열교환부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혼합염은 KNO3, NaNO3, LiNO3 가 각각 52% : 18% : 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 또는 KNO3, NaNO3 가 각각 60% : 4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일 실시예는 용융상태의 다양한 NO3계 염의 혼합비율을 조정하여 녹는점과 끓는점을 변화시킴으로서, 통상의 냉각수에 비해 넓은 온도범위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스키드빔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합염 가열부를 구성하여 NO3계 혼합염의 온도가 열회수 과정 중 녹는점 이하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열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열로의 배기구에 연결되는 배가스 순환부를 구성하여 스키드빔의 냉각과정 중에 발생된 열뿐만 아니라, 가열로에서 배가스에 함유되며 배출되는 열도 회수하도록 하여 열회수율을 항샹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냉각수를 이용한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의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로의 스키드빔의 냉각효율 및 열회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일 실시예는 가열로(70)의 스키드빔(73)과 연결되는 혼합염 순환부(20), 발전부(30), 혼합염 가열부(40) 및 상기 가열로(70)의 배기구(76)와 연결되는 배가스 순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열로(70)는 제철산업에서 철강 공정에 사용되는 가열로일 수 있으며, 철강 슬라브를 열연 판재로 압연할 수 있도록 약 1200℃까지 가열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상기 가열로(70)는 슬라브 유입구(71)를 통해 슬라브(S)를 투입시키고, 본체(79)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버너(75)를 통해 슬라브(S)를 목표 온도까지 가열한 후, 슬라브 배출구(72)를 통해 다음 단계인 압연공정으로 슬라브(S)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브(S)는 가열로(7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키드빔(73)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스키드빔(73)은 이동빔 스키드와 고정빔 스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빔 스키드가 슬라브(S)를 지지해주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빔 스키드가 슬라브(S)를 슬라브 유입구(71)에서 슬라브 배출구(72)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스키드빔(73)은 고온의 슬라브(S)로 인해 열화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키드빔(73)은 내화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본 발명인 가열로 열회수장치와 연결되며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로(70)는 버너(75) 또는 고온의 슬라브(S)에 의해 가열된 배가스를 가열로(70) 상단부에 위치하는 배기구(76)를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가열로(70)의 구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혼합염 순환부(20)는 상기 가열로(70)의 스키드빔(73)에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염 순환부(20)는 저온 혼합염 저장부(25), 고온 혼합염 저장부(26), 혼합염 공급부(23)와 혼합염 배출부(24), 제1 열교환부(21) 및 혼합염 온도측정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혼합염 공급부(23)는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을 공급토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염 배출부(24)는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을 배출토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운용중인 혼합염의 혼합비율을 변경하기 위해 우선 상기 혼합염 배출부(24)에서 기존의 혼합염을 배출하고, 상기 혼합염 공급부(23)에서 새로운 혼합비율을 가진 혼합염을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용되는 혼합염의 혼합비율을 조정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혼합염의 혼합비율이나 혼합되는 염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 녹는점, 끓는점 및 열용량 등이 변경되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혼합염을 냉각매체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염 공급부(23)를 통해 공급된 혼합염은 상기 저온 혼합염 저장부(25)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펌프(P2)의 구동에 의해 밸브(V2)를 지나 상기 스키드빔(73)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스키드빔(73)으로 유입된 혼합염은 상기 스키드빔(73)의 내부를 지나는 동안 고온 슬라브(S)로 인해 가열된 상기 스키드빔(73)의 열을 함유하게 되고, 밸브(V1)를 지나 상기 고온 혼합염 저장부(26)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고온 혼합염 저장부(26)에 일시 저장된 혼합염은 펌브(P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열교환부(21)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1 열교환부(21)로 유입된 혼합염은 상기 제1 열교환부(21)에서 상기 발전부(30)와 열교환을 하며 상기 스키드빔(73)으로부터 회수한 열을 동력 생산에 활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1 열교환부(21)에서 상기 발전부(30)로 열을 전달한 혼합염은 혼합염 온도측정부(22)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혼합염 온도측정부(22)는 상기 제1 열교환부(21)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해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하까지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1 열교환부(21)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해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하까지 떨어졌다면 혼합염은 고체상태가 될 것이고, 이 경우 혼합염을 순환시키는 것은 어렵게 된다.
따라서, 혼합염의 온도를 측정하여 녹는점 이상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며, 또한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하일 때는 상기 혼합염 가열부(40)를 통해 혼합염의 온도를 다시 녹는점 이상으로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염 가열부(40)는 가열유체 가열부(41), 가열유체 온도측정부(42) 및 제2 열교환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는 혼합염과 열교환하는 가열유체를 목표 온도까지 가열토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는 상기 발전부(30)와 연결되며 동력을 전달받아 가열유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열유체는 에틸렌 글리콜 등이 혼화된 물, 동일한 또는 상이한 혼합비율을 가지는 NO3계 혼합염 등일 수 있으며, 또는 100℃이상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하는 기타 순수물질 또는 혼합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는 상기 가열유체 온도측정부(42)에서 적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이는 가열유체의 온도가 혼합염의 온도보다는 높아야 혼합염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가열유체의 온도가 혼합염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가열유체 온도측정부(42)는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에 신호를 주어 가열유체를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토록 한다.
반대로 가열유체의 온도가 혼합염의 온도보다 훨씬 높거나,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상일 때에는 불필요한 동력낭비를 방지토록 상기 가열유체 온도측정부(42)는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에 신호를 주어 가열유체를 가열하는 온도를 낮추거나 가열하는 것을 중단토록 한다.
이후 상기 가열유체 온도측정부(42)를 통과한 가열유체는 상기 제2 열교환부(43)에서 상기 혼합염과 열교환을 통해 상기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가스 순환부(50)는 가열로(70)의 배기구(76)에 연결되며, 배가스로부터 열을 회수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가스 순환부(50)는 배가스 유입구(56), 배가스 배출구(55), 제3 열교환부(51), 제4 열교환부(53) 및 바이패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배가스 유입구(56)는 가열로(70)의 배기구(76)에 연결되며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가스 유입구(56)를 통해 배가스가 우회되게 된다. 우회된 배가스는 밸브(V6)를 지나 상기 제3 열교환부(51)로 흐르게 된다.
가열로(70) 내부의 열을 함유한 배가스는 상기 제3 열교환부(51)에서 상기 발전부(30)와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후 열을 빼앗기 배가스는 밸브(V5)를 지나 상기 배가스 배출구(55)를 통해 다시 가열로(70)의 배기구(76)로 유입되어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가열유체의 가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배가스 순환부(50)는 상기 혼합염 가열부(40)와 연결되며 설치될 수 있다. 즉 밸브(V6)와 밸브(V7) 사이에는 상기 바이패스밸브(52)에 의해 상기 배가스 순환부(50)와 상기 혼합염 가열부(40)를 연결하는 상기 제4 열교환부(53)가 설치되는 바이패스라인(L)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혼합염 가열부(40)의 가열효율을 높이기 위해 밸브(V7)를 닫고 상기 바이패스밸브(52)로 배가스를 우회시킨다. 상기 바이패스밸브(52)로 우회된 배가스는 상기 제4 열교환부(53)로 유입되고, 상기 제4 열교환부(53)에서 상기 가열유체 가열부(41)를 통과한 가열유체를 다시 한번 열전달을 통해 가열하게 된다.
물론 가열유체가 함유한 열량이나 온도가 배가스가 함유한 열량이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반대로 가열유체에서 배가스로 열이 이동할 것이나, 이때에도 상기 제3 열교환부(51)에서 상기 발전부(30)로 다시 회수될 것이므로, 전체적인 열손실은 적게 된다.
이후 상기 바이패스라인(L)를 통과한 배가스는 상기 제3 열교환부(51)로 유입되며 상기 발전부(30)로 남은 열을 전달하고 상기 배가스 배출구(55)를 통해 가열로(70)의 배기구(76)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발전부(30)는 통상의 랭킨사이클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3 열교환부(21,51)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터빈(T)를 작동시켜 동력을 생산하고, 응축기(C)에서 응축된 후 다시 펌프(P3)에 의해 순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발전부(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발전부(30)에서 혼합염과의 열교환에 의해 생산된 동력은 종래의 냉각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생산된 동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것이다. 종래 냉각수의 경우에는 녹는점이 0℃ 정도이고, 끓는점이 100℃ 정도임에 따라 액체상태에서 함유할 수 있는 열이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NO3계 혼합염의 경우 혼합비율에 따라 녹는점과 끓는점 및 보유가능 열량이 제각각이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 열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혼합염은 KNO3 : NaNO3 : LiNO3 가 1 : 0.33 ~ 0.35 : 0.56 ~ 0.59 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 또는 KNO3 : NaNO3 가 1 : 0.65 ~ 0.68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염이 KNO3 : NaNO3 : LiNO3 가 1 : 0.33 ~ 0.35 : 0.56 ~ 0.59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경우에는 문헌 Russ. J. Inorg. Chem. vol9(6), 1964, p771~773 를 참고하면, 녹는점은 120℃ 정도가 되며, 열용량은 2.32J/g.K 가 되고, 밀도는 1.72g/cc 인 물성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KNO3 : NaNO3 : LiNO3 가 1 : 0.34 : 0.57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염이 KNO3 : NaNO3 가 각각 1 : 0.65 ~ 0.68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인 경우에는 집중식 태양열 발전(CSP ; Concentrating solar power)에 사용될 수 있는 작동유체로서, 녹는점은 220℃ 정도가 되며, 열용량은 1.54J/g.K 가 되고, 밀도는 1.75g/cc 인 물성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KNO3 : NaNO3 가 1 : 0.67의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염들은 끓는점은 대략 800℃ ~ 1000℃이므로 실제 용융상태에서 열을 회수할 수 있는 범위는 굉장히 넓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냉각수의 경우에는 함유된 열이 100℃를 넘을 때에는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가 일어나고, 기체상태의 경우 액체상태에 비해 질량이 크게 적으므로, 100℃이상의 온도의 열을 보유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보유한 열량 자체는 작으므로, 회수될 수 있는 열량은 미미하게 된다.
이에 비해 상기 혼합염들은 용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가 굉장히 넓으므로, 대략 100℃ ~ 1000℃에 해당하는 범위의 열을 보유하면서도 용융상태를 유지하므로, 실제 회수되는 열량은 상당히 높게 된다.
본 발명인 가열로의 열회수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용융상태의 NO3계 혼합염의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로의 스키드빔의 냉각효율 및 열회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가열로의 열회수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혼합염 순환부 21...제1 열교환부
22...혼합염 온도측정부 30...발전부
40...혼합염 가열부 41...가열유체 가열부
42...가열유체 온도측정부 43...제2 열교환부
50...배가스 순환부 51...제3 열교환부
52...바이패스밸브 53...제4 열교환부
70...가열로 73...스키드빔
76...가열로 배기구

Claims (8)

  1. 삭제
  2. 가열로의 스키드빔을 냉각토록, 상기 스키드빔과 연결되며 배치되는 혼합염 순환부; 및 상기 혼합염 순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키드빔으로부터 회수된 열을 동력으로 전환하는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염 순환부는,
    상기 발전부로 열을 전달토록, 상기 발전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1 열교환부; 및
    상기 혼합염의 혼합비율 변경토록, 상기 제1 열교환부와 상기 스키드빔사이에 연결되는 혼합염 공급부와 혼합염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염의 온도가 녹는점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혼합염 순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혼합염을 가열하는 혼합염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염 순환부는 상기 혼합염의 온도를 측정하는 혼합염 온도측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혼합염 가열부는 상기 혼합염 온도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혼합염의 온도에 따라 작동되되,
    상기 혼합염 가열부는, 가열유체 가열부; 및 상기 가열유체를 상기 혼합염과 열교환토록, 상기 가열부와 상기 혼합염 순환부간에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2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배기부와 상기 발전부간에 제3 열교환부로 연결되며, 배가스로부터 회수된 열을 상기 발전부로 전달하는 배가스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순환부는,
    상기 배가스와 상기 가열유체간에 열교환토록, 상기 혼합염 가열부와 연결되며 배치되는 제4 열교환부; 및
    상기 제4 열교환부로 흐르는 배가스의 유동을 조절토록, 배가스 유입구와 상기 제3 열교환부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패스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염은 KNO3 : NaNO3 : LiNO3 가 1 : 0.33 ~ 0.35 : 0.56 ~ 0.59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염은 KNO3 : NaNO3 가 1 : 0.65 ~ 0.68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KR1020120100709A 2012-09-11 2012-09-11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KR10159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09A KR101594902B1 (ko) 2012-09-11 2012-09-11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709A KR101594902B1 (ko) 2012-09-11 2012-09-11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63A KR20140036363A (ko) 2014-03-26
KR101594902B1 true KR101594902B1 (ko) 2016-02-29

Family

ID=5064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709A KR101594902B1 (ko) 2012-09-11 2012-09-11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86B1 (ko) * 2014-12-15 2016-12-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소로의 열회수장치
KR102372660B1 (ko) * 2015-06-08 2022-03-1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스키드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열로
FR3053105B1 (fr) * 2016-06-27 2018-06-15 Fives Stein Installation de recuperation d'energie calorifique sur un four a longerons tubulaires et de conversion de celle-ci en electricite au moyen d'une turbine produisant de l'electricite par la mise en oeuvre d'un cycle de rankine
SE541522C2 (en) * 2018-02-05 2019-10-29 Climeon Ab System and method for waste heat recovery in steel production facilities
KR102227825B1 (ko) * 2019-04-19 2021-03-15 주식회사 포스코 현열 회수 설비 및 현열 회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234A (ja) 1998-11-30 2000-06-13 Kawasaki Steel Corp スキッドパイプの冷却用空気の回収方法
JP2009074116A (ja) 2007-09-19 2009-04-09 Jfe Steel Kk 加熱炉のスキッドパイプ冷却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板の製造方法
JP2011017449A (ja) * 2006-12-08 2011-01-27 United Technologies Corp <Utc> タービンシステム、超臨界二酸化炭素タービンにエネルギを供給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2367A (ko) * 2004-12-23 2006-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234A (ja) 1998-11-30 2000-06-13 Kawasaki Steel Corp スキッドパイプの冷却用空気の回収方法
JP2011017449A (ja) * 2006-12-08 2011-01-27 United Technologies Corp <Utc> タービンシステム、超臨界二酸化炭素タービンにエネルギを供給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074116A (ja) 2007-09-19 2009-04-09 Jfe Steel Kk 加熱炉のスキッドパイプ冷却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金属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363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902B1 (ko) 가열로의 열회수장치
DK1351328T3 (da) Fast højpolymer-brændstofcelle-energifremstillingsapparat
JP2010176939A (ja) 電力貯蔵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CN202066385U (zh) 一种新型余热回收利用装置
JP6458026B2 (ja) 燃料電池排熱による発電システム
CN104310434A (zh) 一种用于处理废盐的装置和工艺
CN201439949U (zh) 冷灰器
EP2662459A2 (en) Integrated gas cooling system for electric arc furnace
CN101261008B (zh) 液相中间媒质换热式换热器
CN103933916A (zh) 一种以熔盐为载热体的加热冷却方法和系统
CN101476716B (zh) 一种工业锅炉排渣余热利用装置
CN103438743A (zh) 一种加热炉烟气相变-间壁式组合换热系统及方法
TW20120243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energy downstream of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CN205871679U (zh) 一种储热式相变暖风系统
CN107270374A (zh) 一种熔盐储热式集中供暖系统
KR101191739B1 (ko) 고효율, 저 NOx 가열시스템
CN201206829Y (zh) 液相中间媒质换热式换热器
CA26998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ing heat
KR101684486B1 (ko) 연소로의 열회수장치
KR20100073732A (ko) 가열로의 배열회수용 열교환 시스템
KR101688277B1 (ko) 가열로의 폐열 회수장치 및 방법
CN210426131U (zh) 一种烟气循环系统
Nicholson Recuperative and regenerative techniques at high temperature
KR102192076B1 (ko) 폐열을 이용한 냉수생산시스템
CN108139170A (zh) 具有用于充能模式并用于放能模式的共同的主动流体运动装置的热交换系统和通过使用热交换系统用于交换热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