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843B1 -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843B1
KR101594843B1 KR1020140089371A KR20140089371A KR101594843B1 KR 101594843 B1 KR101594843 B1 KR 101594843B1 KR 1020140089371 A KR1020140089371 A KR 1020140089371A KR 20140089371 A KR20140089371 A KR 20140089371A KR 101594843 B1 KR101594843 B1 KR 10159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unit
storage solution
settling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482A (ko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ublication of KR2015009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8Ai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4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24B1/1902Supplying combustion-air in combination with provisions for heating air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24B5/021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combustion-air circulation
    • F24B5/023Supply of primary air for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난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난방장치는: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와, 연소부에 일측이 연결되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와, 연결관로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티와 오염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이 내측에 저장된 침전부와, 침전부로 저장용액을 공급하는 보충부 및 침전부에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티와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키면서도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장치는 연료를 직접 연소시켜서 난방을 하는 소규모의 난로와, 실내에 방열기(放熱器)를 설치되는 동시에 실외에 보일러가 설치되어 증기 또는 온수를 통하여 난방을 수행하도록 하는 증기난방 또는 온수난방이 있다.
또는 열(熱)가스·증기·온수·전열(電熱) 등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게 하여 실내에 토출되도록 하는 온풍난방과, 벽·바닥·천장 속에 설치된 파이프 내부로 온수 또는 열풍 등이 통과되도록 하여 벽·바닥·천장의 표면온도를 높여서 난방하는 복사난방(輻射煖房) 및 태양열 등을 이용한 여러 가지 난방방법이 있다.
종래에는 나무나 석탄 등을 연소시켜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가 연도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연도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어 대기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난로에서 발생된 열기가 연도를 통해 바로 실외로 배출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며, 난방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물의 공급이 수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26782호(2013.11.21 공개, 발명의 명칭: 보일러형 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티와 오염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키면서도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난방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와, 연소부에 일측이 연결되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와, 연결관로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티와 오염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이 내측에 저장된 침전부와, 침전부에 설치되며 저장용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수위측정부와, 수위측정부의 측정값에 의해 동작되어 침전부로 저장용액을 공급하는 보충부 및 침전부에 연결되어 침전부를 통과한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침전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내측에 수납되는 수거부 및 연소부의 하측으로 이동된 수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부는, 도어부재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는 연소몸체부와, 연소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료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받침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연소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로부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관로를 형성되며, 연소부와 침전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로부에 설치되며, 연결관로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부는 연결관로부와 배출관로부가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보충부를 통해 저장용액이 공급되는 침전몸체와, 침전몸체의 상측에 연결되며 설정된 수위를 넘어선 저장용액을 침전몸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위조절관로부와, 침전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침전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부 및 경사안내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침전된 오염물질을 수거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몸체는, 연결관로부와 보충부와 배출관로부가 연결되는 상판부재 및 상판부재와 저장용액 사이에서 연소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위측정부는, 침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장용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스위치몸체에 의해 저장용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충부는, 침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저장용액을 공급받는 보충탱크와, 보충탱크와 침전부를 연결하여 저장용액을 이동시키는 보충관로 및 보충관로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저장용액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충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는 나무나 석탄 등을 연소시켜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가 침전부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에는 불티가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충부를 통하여 난방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저장용액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침전부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에는 오염물질이 거의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대기오염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부에서 발생된 열기가 실외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연결관로부와 침전부와 배출관로부를 거치면서 대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부와 배출관로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장작을 원료로 하는 난방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부와 배출관로부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1)는, 연료(10)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30)와, 연소부(30)에 일측이 연결되며 연소부(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40)와, 연결관로부(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연소가스(12)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연소가스(12)에 포함된 불티(14)와 오염물질(16)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55)이 내측에 저장된 침전부(50)와, 침전부(50)에 설치되며 저장용액(55)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95)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수위측정부(90)와, 수위측정부(90)의 측정값에 의해 동작되어 침전부(50)로 저장용액(55)을 공급하는 보충부(60)와, 침전부(50)에 연결되어 침전부(50)를 통과한 연소가스(12)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로부(70)를 포함한다.
연소부(30)의 내측에 투입되는 연료(10)는 장작을 사용하기도 하며, 장작 외에도 석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땔감이 연료(10)로 사용될 수 있다. 연료(10)를 연소시키면 연소가스(12)가 발생되며, 연소가스(12)와 함께 불티(14)와 오염물질(16)이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이동된다.
연소부(30)와 침전부(5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는 연소부(30)와 침전부(50)의 하부를 지지한다. 프레임부(20)는 연소부(30)와 침전부(50)를 지면의 상측에 설치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는 철재빔을 사용하여 설치되며, 프레임부(20)와 연소부(30)가 설정된 거리로 지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연소부(30)는 연료(10)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부(30)는 연소몸체부(32), 도어부재(34), 받침부(36), 저장부(38)를 포함한다.
연소몸체부(32)는 도어부재(34)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며, 내측에는 연료(10)가 연소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몸체부(3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부재(34)가 전면에 힌지 연결되어 연소몸체부(32)의 입구를 개폐한다.
연소몸체부(32)의 측면에는 지지바(33)가 돌출되며, 도어부재(34)에는 잠금고리(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도어부재(34)가 연소몸체부(32)의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잠금고리(35)가 지지바(33)에 걸려서 도어부재(34)의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받침부(36)는 연소몸체부(32)의 내측에 설치되며, 연료(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연료(1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36)는 연료(10)로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 개의 통기공(37)을 구비하므로 연료(10)의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36)는 금속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받침부(36)에 구비된 통기공(37)은 받침부(36)의 전면적에 걸쳐서 설치된다.
저장부(38)는 받침부(36)를 지지하며 받침부(36)의 하부에 위치한다. 저장부(38)는 받침부(36)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연소물(39)을 저장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8)는 받침부(36)가 설치된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설치되며, 통기공(37)을 통하여 하측으로 낙하되는 연료(10)의 연소물(39)이 저장부(38)의 내측에 쌓인다.
연결관로부(40)는 연소부(30)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며, 연소부(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12)의 이동을 침전부(50)로 안내한다. 연소부(30)에서 연료(10)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가열된 공기와 연소가스(12) 등은 연결관로부(40)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연결관로부(40)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로부(40)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이나 "U"자 형상의 관로를 형성하며, 연소부(30)와 침전부(50)의 상측에 위치한다. 연결관로부(40)의 개구된 일측은 연소부(30)의 상측에 연결되며, 연결관로부(40)의 개구된 타측은 침전부(50)의 상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소부(3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12)는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침전부(50)로 이동하면서 연결관로부(40)를 가열하며, 연결관로부(40)는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을 하며 공기를 가열한다.
침전부(50)는 연결관로부(40)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와 연소가스(12)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가열된 공기와 연소가스(12)에 포함된 불티(14)와 오염물질(16)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55)이 내측에 저장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부(50)는, 수위조절관로부(51)와 침전몸체(52)와 경사안내부(57)와 배출밸브(59)를 포함한다.
침전몸체(52)는 연결관로부(40)와 배출관로부(70)가 연결되어 연소가스(12)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보충부(60)를 통해 저장용액(55)이 공급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몸체(52)는 상판부재(53)와 이동공간부(54)와 저장용액(55)을 포함한다.
침전몸체(52)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침전몸체(5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재(53)에는 연결관로부(40)와 배출관로부(70)와 보충부(60)가 연결된다. 침전몸체(52)의 내측에는 저장용액(55)이 저장되며, 저장용액(55)과 상판부재(53)의 사이에는 연소가스(12)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54)가 구비된다.
경사안내부(57)는 침전몸체(52)의 하측에 연결되며,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16)의 침전을 안내한다. 경사안내부(57)와 침전몸체(52)의 일부에 저장용액(55)이 저장되며, 저장용액(55)의 상측을 이동하는 공기와 연소가스(12)에 포함된 불티(14)와 이물질은 저장용액(55)의 하측으로 침전되어 경사안내부(57)의 내측에 쌓인다. 경사안내부(57)의 하측은 좁고 상측은 넓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경사안내부(57)를 따라 침전되는 불티(14)와 이물질이 배출밸브(59)가 설치된 경사안내부(57)의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수위조절관로부(51)는 침전몸체(52)의 상측에 연결되며, 설정된 수위를 넘어선 저장용액(55)을 침전몸체(52)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관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관로부(51)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침전몸체(52)의 상측 측벽에 설치된다. 저장용액(55)의 설정수위는 이동공간부(54)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수위조절관로부(51)의 일측은 침전몸체(52)의 측벽에 연결되며, 수위조절관로부(51)의 타측은 침전몸체(52)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설정된 수위를 넘어서 침전몸체(52)의 내측에 과공급된 저장용액(55)은 수위조절관로부(51)를 통해 침전몸체(52)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배출밸브(59)는 경사안내부(57)의 하측에 설치되어 침전된 오염물질(16)을 수거부(97)로 배출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밸브(59)는 수동으로 조작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경사안내부(57)에 연결된 관로를 개폐한다. 또는 제어부(95)의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자동식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연료(10)로 사용되는 장작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불티(14)는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침전부(5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저장용액(55)에 접하면서 소멸되어 불티(14)로 인한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액(55)은 물을 사용하며, 물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저장용액(55)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충부(60)는 침전부(50)와 연결되며, 침전부(50)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이 부족할 경우 보충부(60)가 동작되어 침전부(50)로 저장용액(55)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충부(60)는, 보충탱크(62), 표시창(64), 보충관로(66), 보충밸브(68)를 포함한다.
보충탱크(62)는 침전부(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부로 부터 저장용액(55)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보충탱크(62)의 내측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의 수위를 관찰하기 위해 보충탱크(62)의 측면에 표시창(64)이 구비된다. 또한 보충탱크(62)의 내측에 별도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보충탱크(62)에 저장된 저장용액(55)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보충관로(66)는 보충탱크(62)와 침전부(50)를 연결하며, 보충탱크(62)의 저장용액(55)을 침전부(50)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충밸브(68)는 보충관로(66)에 설치되어 저장용액(55)의 이동을 제어한다. 보충밸브(68)는 제어신호로 동작되는 자동식밸브와,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수동식밸브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충밸브(68)는 보충관로(66)에 설치되며, 제어부(95)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저장용액(55)의 이동을 제어한다.
배출관로부(70)는 침전부(50)에 연결되어 연소가스(12)의 배출을 안내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관로부(70)의 일측은 상판부재(53)의 상측에 연결되며, 배출관로부(70)의 타측은 실외로 연장되어 연소가스(12)의 배출을 안내한다.
연결관로부(40)에 설치되는 밸브부(80)는, 연결관로부(4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12)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80)는, 회전판(82), 손잡이부재(84), 스토퍼(86), 회전부재(88)를 포함한다.
회전판(82)은 연결관로부(4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동작에 의해 연결관로부(40)의 내측을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82)의 일측에는 손잡이부재(84)가 연결되며, 회전판(82)의 타측에는 회전부재(88)가 연결된다. 손잡이부재(84)는 회전판(82)에서 연결관로부(4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판(82)의 타측에 연결된 회전부재(88)는 연결관로부(40)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판(8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연결관로부(40)의 외측에는 회전부재(88)의 이동경로에 스토퍼(86)가 고정된다. 스토퍼(86)는 회전부재(88)와 회전판(82)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을 구속하여 회전판(82)의 열림과 닫힘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회전판(82)의 열림과 닫힘 동작이 비교적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밸브부(80)의 동작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위측정부(90)는 침전부(5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장용액(55)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95)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측정부(90)는 스위치몸체(92)와 고정부재(94)를 포함한다.
고정부재(94)는 침전몸체(52)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어부(9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을 전달한다. 스위치몸체(92)는 침전몸체(52)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장용액(55)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저장용액(55)의 수위를 측정한다. 스위치몸체(92)는 고정부재(94)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며 저장용액(55)에 뜨는 재질로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위측정부(90)는 전자식, 비접촉식, 접촉식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95)는 수위측정부(90)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보충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배출밸브(59)와 밸브부(80)가 전자개폐식 밸브를 사용할 경우, 배출밸브(59)와 밸브부(80)의 동작도 추가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거부(97)는 침전부(50)의 하측에 설치되며, 침전부(50)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16)이 내측에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수거부(97)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랍방식으로 인출과 수납동작이 이루어진다.
건조지지부(100)는 연소부의 하측으로 이동된 수거부(97)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지지부(100)는 레일부재(102)와 레일스토퍼(104)를 포함한다.
침전부(50)의 하측으로 낙하된 오염물질(16)은 물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수거부(97)에 수납된 오염물질(16)이 설정된 양에 도달하면, 침전부(50)의 하측에 있는 수거부(97)를 건조지지부(100)로 이동시켜 연소부(30)의 열기에 의해 수거부(97)에 있는 오염물질(16)을 건조시킨다. 오염물질(16)의 건조로 오염물질(16)의 부피가 감소하여 오염물질(16)의 폐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일부재(102)는 연소부(30)의 하측에 구비된 프레임부(20)에 설치되며,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레일부재(102)의 일측에는 레일부재(102)의 외측으로 돌출된 레일스토퍼(104)가 설치된다. 따라서 레일부재(10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 수거부(97)가 레일스토퍼(104)에 접하여 이동이 구속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부(80)를 동작시켜 연결관로부(40)의 관로를 개방한 후, 받침부(36)의 위에 연료(10)를 놓고 불을 붙인다. 연료(10)의 점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손잡이부재(84)를 조작하여 회전판(82)의 위치를 조절한다. 연료(10)가 연소되기 전에는 연결관로부(40)의 내측관로를 최대한 개방하고, 연료(10)의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면 연결관로부(40)의 내측관로를 좁혀서 열손실을 방지한다.
연료(10)의 연소로 연소부(30)가 가열되면서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하면서 주위의 공기를 가열시킨다. 연료(10)의 연소로 발생된 가열공기와 연소가스(12)와 불티(14)와 오염물질(16) 등은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침전부(50)로 이동된다. 연소가스(12) 등이 이동되면서 가열된 연결관로에 의해 난방장치(1) 주위의 공기가 가열된다.
연결관로부(40)를 통해 침전부(50)로 이동된 가열공기와 연소가스(12) 등으로 인해 저장용액(55)이 가열되어 수증기를 발생한다. 즉, 침전부(50)로 전달된 열기에 의해 저장용액(55)이 가열되면서 침전몸체(52)가 가열되어 침전몸체(52)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한 침전용액이 가열되면서 발생된 수증기도 침전몸체(52)와 배출관로부(70)를 가열시키므로 침전몸체(52)와 배출관로부(70)에 접한 공기도 가열된다.
한편, 연소가스(12)와 함께 이동된 불티(14)와 오염물질(16) 등은 침전부(50) 내측에 구비된 이동공간부(54)를 이동하면서 저장용액(55)에 침전된다. 오염물질(16)은 침전부(50)의 배출밸브(59)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어 수거부(97)의 내측에 쌓이게 된다.
수분을 포함한 오염물질(16)을 건조시키기 위해, 수거부(97)를 연소부(30)의 하측에 위치한 레일부재(102)를 따라 이동시켜 연소부(30)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연소부(30)의 열기로 인하여 건조지지부(100)에 놓인 수거부(97)의 오염물질(16)이 건조되므로 오염물질(16)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침전몸체(52)에 설정된 수위로 저장용액(55)이 저장되지 않고 부족한 경우, 저장용액(55)의 수위에 따라 스위치몸체(92)가 이동되므로 수위측정부(90)는 제어부(95)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제어부(95)는 보충밸브(68)를 개방시켜 침전몸체(52)의 내측으로 저장용액(55)을 공급한다.
침전몸체(52)에 설정된 수위로 저장용액(55)이 공급되면, 수위측정부(90)가 이를 측정하여 제어부(95)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보충밸브(68)가 동작되어 저장용액(55)의 흐름을 차단한다.
만약 수위측정부(90)가 고장난 경우, 침전몸체(52)로 과공급된 저장용액(55)은 수위조절관로부(51)를 통해 침전몸체(52)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장치(1)는 연소된 열기를 바로 실외로 배출시키지 않고 연결관로부(40)와 침전부(50)와 배출관로부(70)를 차례로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키므로, 기존 대비 열효율이 향상되며 연료(10)의 소모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충부(60)를 통하여 난방장치(1)의 가동에 필요한 저장용액(55)의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을 저장용액(55)으로 사용하는 침전부(50)의 설치로, 연료(10)의 연소시 발생되는 그으름 등의 오염물질(16)이 배출되지 않고 수증기와 함께 적은 열기만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나 석탄 등을 연소시켜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티(14)가 침전부(50)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70)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12)에는 불티(14)가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16)이 침전부(50)의 침전용액에 침전되며, 배출관로부(70)를 통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연소가스(12)에는 오염물질(16)이 거의 포함되지 아니하므로 대기오염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부(30)에서 발생된 열기가 실외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연결관로부(40)와 침전부(50)와 배출관로부(70)를 거치면서 대기와 열교환을 하기 위한 시간이 증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장작을 원료로 하는 난방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석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원료가 본 발명에 의한 난방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난방장치 10: 연료
12: 연소가스 14: 불티
16: 오염물질 20: 프레임부
30: 연소부 32: 연소몸체부
33: 지지바 34: 도어부재
35: 잠금고리 36: 받침부
37: 통기공 38: 저장부
39: 연소물 40: 연결관로부
50: 침전부 51: 수위조절관로부
52: 침전몸체 53: 상판부재
54: 이동공간부 55: 저장용액
57: 경사안내부 59: 배출밸브
60: 보충부 62: 보충탱크
64: 표시창 66: 보충관로
68: 보충밸브 70: 배출관로부
80: 밸브부 82: 회전판
84: 손잡이부재 86: 스토퍼
88: 회전부재 90: 수위측정부
92: 스위치몸체 94: 고정부재
95: 제어부 97: 수거부
100: 건조지지부 102: 레일부재
104: 스토퍼

Claims (9)

  1.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부;
    상기 연소부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결관로부;
    상기 연결관로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연소가스에 포함된 불티와 오염물질의 침전이 이루어지는 저장용액이 내측에 저장된 침전부;
    상기 침전부에 설치되며, 저장용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수위측정부;
    상기 수위측정부의 측정값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침전부로 저장용액을 공급하는 보충부; 및
    상기 침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침전부를 통과한 연소가스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관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부는 상기 연결관로부와 상기 배출관로부가 연결되어 연소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충부를 통해 저장용액이 공급되는 침전몸체;
    상기 침전몸체의 상측에 연결되며, 설정된 수위를 넘어선 저장용액을 상기 침전몸체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수위조절관로부;
    상기 침전몸체의 하측에 연결되며,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침전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부; 및
    상기 경사안내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침전된 오염물질을 수거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내측에 수납되는 수거부; 및
    상기 연소부의 하측으로 이동된 상기 수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도어부재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는 연소몸체부;
    상기 연소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받침부에서 하부로 낙하되는 연소물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부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관로를 형성되며, 상기 연소부와 상기 침전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로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로부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몸체는, 상기 연결관로부와 상기 보충부와 상기 배출관로부가 연결되는 상판부재; 및
    상기 상판부재와 저장용액 사이에서 연소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부는, 상기 침전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저장용액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스위치몸체에 의해 저장용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부는, 상기 침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저장용액을 공급받는 보충탱크;
    상기 보충탱크와 상기 침전부를 연결하여 저장용액을 이동시키는 보충관로; 및
    상기 보충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로 동작되어 저장용액의 이동을 제어하는 보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장치.
KR1020140089371A 2014-02-11 2014-07-15 난방장치 KR101594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5743 2014-02-11
KR1020140015743 2014-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82A KR20150094482A (ko) 2015-08-19
KR101594843B1 true KR101594843B1 (ko) 2016-02-17

Family

ID=5405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371A KR101594843B1 (ko) 2014-02-11 2014-07-15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22B1 (ko) * 2016-04-29 2017-09-28 (주)규원테크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 난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884B2 (ja) 1992-08-14 2000-09-25 日本真空技術株式会社 真空処理装置
KR100334031B1 (en) 2001-07-25 2002-04-25 & Co Inc Cooling device for incinerator
KR100958327B1 (ko) 2009-11-13 2010-05-17 극동환경화학 주식회사 연소가스의 이산화탄소 제거 시스템
KR101178515B1 (ko) 2009-10-28 2012-08-30 서울특별시 관악구 매연포집부를 가진 소각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0845B2 (ja) * 1989-09-06 1999-03-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ホログラ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884B2 (ja) 1992-08-14 2000-09-25 日本真空技術株式会社 真空処理装置
KR100334031B1 (en) 2001-07-25 2002-04-25 & Co Inc Cooling device for incinerator
KR101178515B1 (ko) 2009-10-28 2012-08-30 서울특별시 관악구 매연포집부를 가진 소각로
KR100958327B1 (ko) 2009-11-13 2010-05-17 극동환경화학 주식회사 연소가스의 이산화탄소 제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22B1 (ko) * 2016-04-29 2017-09-28 (주)규원테크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 난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82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694B1 (ko) 화목보일러
KR20120096459A (ko) 폐열 보일러가 정지된 동안 코크스로 챔버의 열을 유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363689B1 (ko) 펠릿보일러
KR20150060137A (ko) 공기 순환식 난로
DE202005004244U1 (de) Mobiler Komfort-Ofen
KR101594843B1 (ko) 난방장치
US11175047B2 (en) Pellet stove
JP2007147105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JP2007147104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KR200482766Y1 (ko) 나무 겸용 연탄 보일러
RU2363888C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KR101682316B1 (ko) 보일러장치
NO179116B (no) Anordning for regulering av trekk i oppvarmingsanordninger
KR101958092B1 (ko) 수직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1369605B1 (ko) 보일러
EP2083222A1 (en) Solid fuel heating device
US1222346A (en) Oil-burning heater.
KR20120013505A (ko) 다기능 난방장치
KR101947115B1 (ko) 가스 재순환을 이용한 펠릿 난로
KR1018098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738592B1 (ko) 펠릿 난로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US4485800A (en) Stove construction
US1095903A (en) Oil-burner.
KR20110038433A (ko) 펠릿연료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