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646B1 -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646B1
KR101594646B1 KR1020130096049A KR20130096049A KR101594646B1 KR 101594646 B1 KR101594646 B1 KR 101594646B1 KR 1020130096049 A KR1020130096049 A KR 1020130096049A KR 20130096049 A KR20130096049 A KR 20130096049A KR 101594646 B1 KR101594646 B1 KR 101594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peripheral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397A (ko
Inventor
오형석
홍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9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6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The Method of Using Service Providing Contents Based On Shared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by NFC Tagging, and Terminal}
아래 실시예들은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 기술 중 하나로 단말기끼리 접촉하지 않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통신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NFC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단말기 간의 NFC 태깅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선물하거나 받을 수 있다. 단말기 간에 NFC를 태깅을 하면, 상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고, 상대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정보가 수신된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13-0031526호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는 단말기와 다른 단말기가 태깅을 하여 근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다른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의 발급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서, 양 단말기 모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정보 및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기초로, 주 단말기를 결정하여 서비스 이용권의 중복 발급을 방지한다.
일 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이상이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의 버전은 4.1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을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미만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통신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상기 주변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는 NFC 채널을 통한 정보 자동 전송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기의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의 발급을 제어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아서, 양 단말기 모두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 정보 및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기초로, 주 단말기를 결정하여 서비스 이용권의 중복 발급을 방지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과 운영체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일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단말기는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로 상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안드로이드 버전이 4. 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 단말기는 버전이 4.1미만인 경우와 달리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 단말기 간에 NFC 태깅(Tagging)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기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Android)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1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20). 여기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는 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 회원 ID와 같은 가입자 번호, 가입한 서비스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 받을 수 있다.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공중파(예를 들어, KBS, SBS, MBC) 실시간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컨텐츠, 케이블(예를 들어, TvN) 실시간 방송 및 VOD 컨텐츠, 및 유튜브(YouTube) 동영상, 인기 동영상 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항일 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 시청 서비스는 전술한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130).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중 가입 서비스의 내용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의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인 경우, 주변 단말기는 서비스 이용권(예를 들어, 하루권) 발급의 대상이 아니다.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는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이므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월 정액은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월 단위로 해당 서비스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로 주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에 대한 쿼리(query)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response)을 수신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140). 예를 들어,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통해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의 가입자이지만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예를 들어, 결제를 해야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가입자 또는 표준 월 정액 이외의 월 정액 가입자),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주변 단말기로 상기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150). 이 경우, 단말기의 화면에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인 경우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는 서버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주변 단말기로 상기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150)에서,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과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가 결정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 또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한다.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 단말기가 결정되면, 주 단말기는 단말기 또는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인 단말기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면(210)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화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NFC 태깅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려면 NF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화면(220)은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된 경우를 보여준다.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이상이므로,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되어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 전송되지 않는다.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4.1이상인 경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자동 전송되지 않는다.
화면(230)은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전송" 확인 창(231)을 디스플레이한 단말기의 화면이다. 확인 창(231)에 대한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는 확인 창(231)을 탭하여 주변 단말기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의 버전이 4.1이상인 경우, 주변 단말기의 화면에도 "전송" 확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확인 창에 대한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도 단말기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 1이상이고 ,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미만일 때,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태깅>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의 정보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이상과 운영체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3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320). 여기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Customer Telephone Number, CTN),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컨텐츠 시청 서비스 가입 정보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했는지 여부, 회원 ID와 같은 가입자 번호, 가입한 서비스의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330).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단말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340).
<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 1미만이고 ,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이상일 때,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태깅>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버전이 4.0인 단말기의 정보가 안드로이드 버전이 4.1인 단말기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NFC 태깅을 하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지만,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주변 단말기는 수신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단말기로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버전이 4. 1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
안드로이드 단말기에서, 안드로이드 버전이 4.1 미만인 단말기 간에 NFC 태깅(Tagging)을 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정보가 전송되고,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자동으로 정보가 수신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단말기의 운영 체제 버전이 4.1미만인 단말기 간의 태깅을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41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20).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 이용 방법은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Primary) 단말기를 결정할 수 있다(430). 주 단말기의 결정은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될 수 있다. 수신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는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숫자형 데이터로 전환하여,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가 큰 단말기가 주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숫자형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단말기가 주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주 단말기이고, 단말기의 사용자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라고 가정하자.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표준 월 정액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월 정액은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월 단위로 해당 서비스 이용 요금을 지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단말기의 사용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로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단말기로 서비스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모두가 표준 월 정액 가입자가 아닌 경우,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가 서비스 이용권을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주 단말기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단말기 및 주변 단말기로 서비스 이용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태깅(Tagg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면(510)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된 화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NFC 태깅을 이용하여 주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주변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려면 NFC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화면(520)은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된 경우를 보여준다.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4.1미만이므로, 단말기와 주변 단말기가 태깅되는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는 주변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된다. 또한,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로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600)는 통신부(610), 판단부(620), 요청부(630), 및 전송부(64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62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단말기로부터 주변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로 주변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 컨텐츠 시청 서비스에 대한 쿼리(query)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주변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요청부(630)는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전송부(640)는 주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단말기의 사용자 확인 입력에 따라 주변 단말기로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640)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에 대한 사용자 확인을 위한 확인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주변 단말기는 단말기가 컨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서버로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이고, 버전은 4.1 이상이다.
도 6에 도시된 각 블록들에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 사용자를 위해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에게 요청하되,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가 정액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액 서비스에 미가입된 사용자를 위해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 각각을 숫자형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숫자형 데이터 각각의 크기를 비교하여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액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정액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이 아니라고 확인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단말기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의 구성을 기초로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의 구성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9. 제1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제2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 사용자를 위해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사이에 형성된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제2 단말기 사용자의 상기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고, 제1 단말기 정보 및 제2 단말기 정보가 공유되며, 상기 제1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요청하는 주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결정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가 정액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액 서비스에 미가입된 사용자를 위해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이용 방법.
  10. 단말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주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기초로 단말기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중에서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이 아닌 사용자를 위해 서비스 이용권을 서버에게 요청하되,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가 정액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액 서비스에 미가입된 사용자를 위해 상기 서비스 이용권을 상기 서버로 요청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주변 단말기의 전화번호 각각을 숫자형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숫자형 데이터 각각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주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말기.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정액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정액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를 상기 서비스 이용권 발급 대상이 아니라고 확인하는,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변 단말기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의 구성을 기초로 상기 주변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주변 단말기 정보를 자동으로 수신하는,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상기 주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기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특정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의 구성을 기초로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하는,
    단말기.

KR1020130096049A 2013-08-13 2013-08-13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KR101594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ko) 2013-08-13 2013-08-13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ko) 2013-08-13 2013-08-13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397A KR20150020397A (ko) 2015-02-26
KR101594646B1 true KR101594646B1 (ko) 2016-02-29

Family

ID=5257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049A KR101594646B1 (ko) 2013-08-13 2013-08-13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0547B2 (en) 2020-01-02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56B1 (ko) *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Nfc 기반의 기기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862A1 (en) * 2006-04-05 2009-11-05 Faith, Inc. Content providing system
KR101434354B1 (ko) * 2007-11-07 2014-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Drm 권한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419984B1 (ko) * 2011-08-26 2014-07-15 주식회사 팬택 클라우드 환경에서 nfc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656B1 (ko) * 2011-03-15 2011-05-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Nfc 기반의 기기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0547B2 (en) 2020-01-02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928252B2 (en) 2020-01-02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397A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5519A1 (en) Sharing wireless traffic
US20110289537A1 (en) Temporary authorization for a user device to remotely access a video on-demand service
CN102934454A (zh) 用于将部分观看的vod节目从第一位置转移到第二位置的系统和方法
KR101707549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757854B2 (en) Secure stream buffer on network attached storage
EP3020206B1 (en) Clou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unused resources of non-dedicated devices
US201602050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screen onboarding and interaction
EP2633669B1 (en) Systems and methods to share access to placeshifting devices
KR101953090B1 (ko)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212483B2 (en) Clou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distributed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8966239B2 (en) Digital content access control having improved transmission bandwidth
KR101594646B1 (ko) Nfc 태깅으로 공유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 및 단말기
CN105791963A (zh) 订购的处理方法、装置、电视和智能服务器
CN106575423B (zh) 基于云端流媒体的广播链接服务、广播链接服务客户端设备、触发器内容提供服务器
TWI499288B (zh) 允許多個行動通信裝置控制同一影片解碼器的影片播放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KR20220118143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단말 장치
TWI467985B (zh) 支援群組基礎計費制的影片播放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CN106254955A (zh) 一种显示评论信息的方法及装置
KR20210119198A (ko) 캡티브 포털을 이용한 웹 페이지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701116B1 (ko) Ars 인증 서비스 제공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KR102385407B1 (ko) 방송 연출 정보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TW200926818A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ommunicate authorized programming between a receiving device and a mobile device
KR102342519B1 (ko) Vod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88937B1 (ko) 방송 엔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6398A (ko) 유무선망을 통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