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03B1 -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03B1
KR101594403B1 KR1020140028382A KR20140028382A KR101594403B1 KR 101594403 B1 KR101594403 B1 KR 101594403B1 KR 1020140028382 A KR1020140028382 A KR 1020140028382A KR 20140028382 A KR20140028382 A KR 20140028382A KR 101594403 B1 KR101594403 B1 KR 10159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ancer
hsp90α
composi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190A (ko
Inventor
김종선
이샛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SP 90α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HSP 90α는 NK 세포를 직접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구세포/수지상세포유사세포(monocyte/DC like cell, MDC) 또는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의 활성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킨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HSP 90α는 MDC 또는 DC의 간접적 활성에 의하여 T 세포까지 활성화시킬 수 있어 면역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TREATING CANCER OR VIRUS RELATED DISEASE COMPRISING HSP 90α}
본 발명은 HSP 90α가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것에 기반한 항암면역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HSP 90α는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직접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구세포/수지상세포유사세포(monocyte/DC like cell, MDC) 또는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의 활성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킨다는데 특징이 있다. 이러한 HSP 90α는 MDC 또는 DC의 간접적 활성에 의하여 T 세포까지 활성화시킬 수 있어 면역력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다
Heat shock protein (Hsp)은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에서 높게 보존되어 있는 단백질로 일반적 상태에서는 세포질 내에 낮게 발현되고 있다(Csermely et al., 1998). 그러나 열, 중금속, 방사선,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 감염, 염증, 종양, 세포 성장 및 분화 과정과 같은 환경적, 병리적, 물리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질 내 Hsp은 10배 가량 증가한다(Jaattela, 1999; Lindquist and Craig, 1988). Hsp의 주요 기능은 세포 내 chaperone으로서, 단백질 형성 과정 및 스트레스에 의해 misfolding 되거나 unfolding된 단백질의 folding을 도와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여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Multhoff, 2007). 이러한 Hsp는 분자적 크기에 따라 Hsp110, Hsp90, Hsp70, Hsp60 및 small Hsps로 나뉜다(Joly et al., 2010). Hsp은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지만 세포막에 붙어있는 형태나 밖으로 분비 되는 형태로 세포 밖에 존재 할 수 있다. 특히 암 환자의 혈청 내에는 분비형 Hsp (secreted Hsp)가 많이 존재 하고 있다(Barreto et al., 2003;Hightower and Guidon, 1989;Joly et al., 2010;Becker et al., 2004).
Hsp의 다양한 family가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주로 Hsp60과 Hsp70을 통해 이루어 졌다(Wallin et al., 2002). Hsp60과 Hsp70, 그리고 Hsp90 family 멤버 중의 하나인 gp96이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를 활성화 시켜 IL-12, TNF-α, IL-1β, IL-6와 같은 활성화 싸이토카인을 분비시키고, 면역세포를 성숙시킨다는 보고가 있다(Asea et al., 2000; Basu et al., 2000; Chen et al., 1999; Moroi et al., 2000). 이러한 이유로 Hsp를 chaperone 기능과 싸이토카인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Chaperokine”이라 명명하기도 한다(Basu et al., 2000). 또한 Hsp70이 수지상 세포를 활성화 시켜 NKG2D ligand 를 통해 NK 세포에 신호를 전달하여 활성화 시킨다는 보고가 있다(Qiao et al., 2008). 이러한 보고를 기반으로 하여 Hsp70을 암세포 유래 단백의 adjuvant로 사용하는 백신이 개발 되거나(Guo et al., 2011;Zeng et al., 2003), Hsp70을 발현하는 아데노 바이러스를 종양 부위에 처리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등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Ren et al., 2008). 이렇게 Hsp60이나 Hsp70, gp96이 일으키는 면역세포의 활성은 대부분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이루어 졌고, NK 세포에서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의 대부분이 E. coli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을 사용하였고, Hsp이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기전이 내독소에 의한 면역세포의 활성 기전과 동일한 TLR4와 TLR2 경로를 거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Hsp60이나 Hsp70에 의한 영향인지 내독소의 오염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인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였다(Asea et al., 2000;Asea et al., 2002;Tsan and Gao, 2004;Vabulas et al., 2002). 단백질로부터 내독소를 분리하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최근에는 Hsp60이나 Hsp70이 면역세포에 일으키는 현상이 내독소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설치류의 간에서 분리된 Hsp70의 경우 높은 농도를 처리 하여도 수지상 세포의 활성을 관찰 할 수 없었다. 반면에, 내독소에 오염된 Hsp70은 낮은 농도에서도 싸이토카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Wallin et al., 2002). 이 밖에도 내독소를 제거한 Hsp60, Hsp70, gp96의 경우 수지상세포 및 다른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는 보고가 있다(Bausinger et al., 2002;Gao and Tsan, 2003a,b,2004;Reed et al., 2003). 오히려 Hsp10은 강력한 면역억제 분자로 작용한다는 보고도 있다(Jia et al., 2011).
Hsp90α은 암환자에서 발현량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Calderwood et al., 2006;Zou et al., 1998). 종양 세포 내에 축적되어 있는 Hsp90α은 종양세포 신호와 관련하는 kinase를 안정화시키고,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오는 단백질의 변성에 대해 chaperone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종양형성을 촉진시키고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유발한다(Joly et al., 2010). Hsp90α은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지만 세포막에 붙어있는 형태나 밖으로 분비 되는 형태로 세포 밖에 존재 할 수 있다(Barreto et al., 2003;Hightower and Guidon, 1989;Joly et al., 2010). 암 환자의 혈청 내에는 분비형 HSP90α (secreted Hsp90α)가 많이 존재 하고 있다. 외인성 HSP90α (extracellular Hsp90α)는 암세포의 침범과 이주를 돕는다는 보고가 있고, 암 전이 환자에서의 HSP90α의 혈청 내 농도가 비 전이 환자에서보다 높다는 보고가 있다(Becker et al., 2004). 세포막 부착형 HSP90α (membrane bound Hsp90α)의 면역세포 활성 능력은 일부 보고 되었으나, 분비 형 HSP90α가 면역세포의 활성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분비형 HSP90α가 NK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 Hsp90α가 종양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촉진하고 항암 화학 요법에 대한 저항성을 늘리기 때문에 Hsp90α의 억제제를 개발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ao et al., 2010).
NK 세포는 말초혈액단핵세포 (PBMC)내에 5~20% 가량 존재하는 선천 면역계 백혈구세포이다. 사람에서 NK 세포는 CD3/14/19-/CD56+인 세포로 정의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CD56외에 NK 세포를 특정 지을 수 있는 표지자가 없기 때문에 이 세포의 subtype은 CD56 발현의 차이만으로 분석 되고 있다(Karre et al., 1986;Orange, 2008). NK 세포는 말초 혈액에서 90% 이상이 CD56dim이고, CD56brightNK세포는 대부분이 2차 림프기관에 존재 하고 있다(Cooper et al., 2001). CD56dimNK세포는 주로 CD16이 높게 발현되어 있으나 CD56bright의 경우 CD16이 발현되지 않는다(Ferlazzo and Munz, 2004;Jacobs et al., 2001). 최근에는 CD56을 발현하면서 CD3, CD4, CD7 혹은 HLA-DR을 발현하는 다른 종류의 NK 세포가 분석되었고, 이들의 기능 또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Lanier et al., 1986;Milush et al., 2009;Tarle et al., 1993).
NK 세포는 항원에 의한 사전감작 없이도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MHC class |이 결핍된 암세포를 용해시킬 수 있다(Ferlazzo et al., 2004). NK 세포가 암세포를 죽이는 기전은 크게 perforin이나 granzyme을 분비하는 과립분비 기전과 death receptor나 ligand를 통한 기전 그리고 IFN-γ나 산화질소를 분비하는 기전으로 나누어진다(Smyth et al., 2002).
NK 세포는 활성 수용체 및 억제 수용체를 통해 그 기능이 조절되는데 KIR, LIT-2 그리고 NKG2A와 같은 대부분의 억제 수용체의 세포질 도메인 부분에는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inhibitory motif(ITIM)가 존재하고 있다. 이들 억제 수용체가 MHC class I을 인식하면 ITIM motif가 인산화 되고 SHP-1과 SHP-2를 유도하고 활성화 시켜 활성 수용체에서 유래된 신호 중간산물을 탈 인산화 시킴으로 NK 세포를 비활성화 시킨다(Lanier, 2003,2008;Vivier et al., 2004). NK 세포의 활성 수용체의 특징은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ITAM)이 존재하는 FcεRIγ, CD3-ζ 및 DAP12 등의 co-activating receptor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NCR family인 NKp30과 NKp46은 FcεRIγ 및 CD3-ζ와 짝을 이루고, NKp44 는 DAP12와 짝을 이룬다. 이들의 하위 신호전달 경로는 B 세포 및 T 세포와 유사할 것이라 추측되며, ITAM의 tyrosine 잔기는 NK 세포가 풍부하게 가지고 있는 Lck, Fyn, Src, Yes와 같은 Src family에 의해 인산화 된다. NK 세포에 Src family inhibitor를 넣어주면 ITAM과 짝을 이루는 NK 세포의 수용체 활성이 억제된다는 보고가 있다. ITAM이 인산화 된 이후에는 tyrosine kinase Syk와 ZAP-70이 붙게 된다. 이후 MAPK 및 STAT 신호전달 경로에 따라 NK 세포의 주요 활성 기작인 과립 및 싸이토카인 분비기전과 세포 살해기전이 실행된다. 그러나 활성 수용체인 NCR family의 리간드는 밝혀지지 않았다. 또 다른 활성 수용체인 NKG2D는 MICA, B및 ULBP1-4와 같은 리간드와 결합하여 YxxM motif를 가지는 DAP10과 함께 활성화 되어 다음 신호 경로를 수행한다. DAP10은 PI(3)K의 p85 subunit과 Grb2-Vav1-Sos1 복합체에 의해 인산화되고 하위 신호 전달 경로를 거친다(Lanier, 2003,2008;Vivier et al., 2004). 이렇게 활성화된 NK 세포에 의한 과립분비 기전이나 death receptor나 ligand를 통한 기전은 caspase에 의존적이거나 비 의존적 방법으로 세포고사를 유도한다(Kayagaki et al., 1999;Screpanti et al., 2001;Takeda et al., 2001;Trapani et al., 2000). NK 세포가 분비하는 IFN-γ는 바이러스나 다른 병원체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종양의 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Biron et al., 1999;Street et al., 2001). 이렇게 NK 세포는 다양한 기전으로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예방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암 환자에 있어서 NK 세포의 활성은 크게 저하되어 있다(Lin et al., 1987;Piroozmand and Hassan, 2010;Zamai et al., 2007).
우리 몸의 면역세포는 종양세포로부터 유래된 항원, 수용체 및 리간드를 인지하고 다양한 기전을 통해 종양세포를 제거한다. 이와는 반대로 종양세포는 이러한 면역기전을 회피하기 위해 TGF-β, IL-10, Galectin-1이나 indoleamine 2,3-deoxygenase와 같은 다양한 억제성 단백질 및 싸이토카인을 분비한다. 종양으로부터 유래된 inhibitory molecule (억제성 물질)에 의해 면역세포 및 NK 세포의 활성은 저해되고, 암세포의 증식은 빠르게 일어난다(Mapara and Sykes, 2004;Smyth et al., 2002;Vesely et al., 2011).
종양세포 유래 면역 활성 물질 및 억제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앞으로의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표지자 및 표적 물질이 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효과적인 암 치료를 위하여, 종양세포에서 유래된 면역 활성 물질과 면역 억제 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분비된 Hsp70, Hsp60, 그리고 gp96이 면역세포인 수지상 세포 및 대식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많이 연구가 되었으나, 세포의 내, 외부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Hsp90α의 분비형이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잘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분비형 Hsp90α 이 NK 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우리는 순수정제한 재조합 Hsp90α 단백질을 사용하여, Hsp90α이 암세포 및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NK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하였다. 다른 그룹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내독소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특히 Hsp90α의 내독소를 거의 완전히 제거 한 후 사용 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먼저 열 충격 단백질 90α (Heat shock protein 90α, 이하 Hsp90α), 또는 이것과 인터루킨-2 (IL-2)과의 조합에 의하여 NK 세포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항암면역 치료요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sp90α 또는 이것과 IL-2과의 조합에 의한 NK 세포 활성화 작용에 기반한 세포 치료제의 보조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sp90α 또는 이것과IL-2과의 조합에 의한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MDC) 또는 수지상세포(DC) 활성화 작용에 기반한 세포 치료제의 보조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Hsp90α 유전자, 또는 이것과 IL-2 유전자와의 조합에 따른 형질전환체를 포함하는 항암 유전자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Hsp90α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IL-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sp90α는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MDC 또는 DC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백혈명, 비소세포 암종 및 폐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바이러스질환은 에이즈,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질환, 인플루엔자 또는 조류독감 등 일 수 있다.
상기 Hsp90α의 용량은 10~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L-2의 용량은 1~10 ng/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허용 담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 또는 피하와 같은 비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Hsp90α를 포함하는 NK 세포 또는 T 세포 활성화 증진용 보조 제제(adjuvant)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제제는 IL-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sp90α는 MDC 또는 DC를 활성화시킴으로써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간접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제제는 세포 치료용 보조 제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HSP90 α를 투여함으로써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IL-2를 추가적으로 더 투여할 수 있다.
상기 Hsp90α는 T 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MDC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통하여 T 세포를 간접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Hsp90α 유전자의 형질전환체를 포함하는 항암 유전자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치료제는 IL-2 유전자의 형질전환체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Hsp90α가 NK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최초로 밝힘으로써 이러한 메카니즘에 기초하여 인체에서 유용한 다양한 중간물질, 예컨대 NK 세포 이외에도 DC나 T 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및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정제한 재조합 HSP90α 단백질의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전혈에서 HSP90α가 IFN-γ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에서 HSP90α가 IFN-γ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HSP90α가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의 탈과립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HSP90α가 NK92세포의 IFN-γ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의 순도를 유세포 분석기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한 도면이다.
도 7은 CD56+ NK 세포에서 HSP90α가 IFN-γ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a) 및 그래프(b)이다. 도면 (a)는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그림이고, 도면 (b)는 ELISA 결과를 보여준 그래프이다.
도 8은 HLA-DR- NK 세포에서 HSP90α가 IFN-γ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도면(a) 및 그래프(b)이다. 도면 (a)는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그림이고, 도면 (b)는 ELISA 결과를 보여준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암"은 정상의 조절이 상실된 새로운 특성, 예컨대 조절되지 않은 성장, 분화의 결핍, 국소 조직 침습 및 전이를 초래하는 세포의 증식으로서 정의된다. 이의 예로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백혈병, 비-소세포 암종 및 폐암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바이러스 질환”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들로 정의된다. 이의 예로는 에이즈,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질환, 인플루엔자, 조류독감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치료" 란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 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따라서 포유동물에 있어서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 또는 "치료요법" 은 하기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1)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성장을 저해함, 즉, 그 발달을 저지시킴,
(2)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확산을 예방함, 즉, 전이를 예방함,
(3)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을 경감시킴.
(4)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재발을 예방함, 및
(5)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증상을 완화함(palliating)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열 충격 단백질 90α (Heat shock protein 90α, 이하 Hsp90α) 또는 이것과 인터루킨-2 (IL-2)의 조합을 통하여 MDC 또는 DC를 활성화시켜 간접적으로 NK 세포 또는 T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의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본 발명은 Hsp90α 단독 또는 이것과 IL-2의 병용 처리에 의해 NK 세포의 활성이 상승적으로 유도되고 이로 인해 NK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세포 살상능이 효과적으로 증진됨으로써 항암면역 치료요법이나 항바이러스 면역요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Hsp90α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허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로서 혈관, 또는 피하에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IP-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Hsp90α를 포함하는 NK 세포 또는 T 세포 활성화 보조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IL-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세포 치료제의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Hsp90α 유전자의 형질전환체를 포함하는 항암 유전자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IL-2 유전자의 형질전환체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Hsp90α를 전혈에 처리하면 IFN-γ의 분비를 유도하였고, 이를 통해 Hsp90α가 체내에서 NK 세포 및 T 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혈에서 NK 세포를 분리 한 후 Hsp90α를 처리 하였을 때에도 약하게 IFN-γ와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탈과립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Hsp90α 단독 처리에 의한 NK세포의 활성이 약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Hsp90α 자체가 NK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Hsp60 및 Hsp70 역시 면역세포의 활성이 단백질에 오염되어 있는 내독소에 의한 부가적 효과일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고, 실제로 Hsp60 및 Hsp70을 단독으로 처리한 in vivo 실험의 경우 항암 효과가 미약하다는 것에서 본 발명의 결과와 일치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Hsp90α의 경우 내독소를 거의 완벽하게 제거하였기 때문에 다른 Hsp단백질과 마찬가지로 Hsp90α 단독으로서의 효과는 약한 것이라 사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Hsp90α에 의한 NK 세포의 활성은 Hsp90α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도 되는 것이 아니라 CD56dim/HLA-DRbright인 NK 세포의 아형인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를 통해 활성화 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Hsp90α가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뿐만 아니라 전혈 내에서는 전형적 단구세포 및 수지상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이를 통해 NK 세포의 활성 및 T 세포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Hsp90α가 NK 세포 및 T 세포를 항원 제시세포를 통해 활성화시켜 종양세포를 제거 하는 항암 면역 활성 단백(물질)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분비된 Hsp90α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L-2는 휴지기 상태의 NK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NK 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고, perforin과 granzyme을 통한 세포독성능력을 증가시키며, IFN-γ의 분비를 증가 시킨다(Konjevic et al., 1995;Trinchieri et al., 1984). 이러한 이유로 IL-2의 처리를 통한 항암면역치료요법이 개발되어 많은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종양세포에서 발현되는 면역 억제 물질에 의해 IL-2의 면역 활성효과는 기대치만큼 나타나지 않았고, 효과를 보기 위해 IL-2를 고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났다(Penafuerte et al., 2011). 이러한 이유로 IL-2를 단독 처리하는 항암면역치료요법은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Hsp90α와 더불어 낮은 농도의 IL-2를 함께 전혈에서 분리한 NK 세포에 처리 하였다. 그 결과 IFN-γ의 분비는 상승적으로, 유방암세포에 대한 탈과립은 상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IL-2와 Hsp90α의 병용처리를 통해 NK 세포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둘의 병용처리 요법이 각종 암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면역 활성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활성화된 NK 세포는 암세포를 제거 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세포내 기생생물 등을 감염 초기에 죽일 수 있는 면역세포이다(Moretta et al., 2000; Vankayalapati et al., 2002; Warfield et al., 2004; Yokoyama et al., 2004). 그러므로 Hsp90α 및 IL-2의 병용처리에 의해 활성화 된 NK 세포가 암세포의 제거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에 감염된 세포의 제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 임을 당연히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Hsp90α 및 IL-2의 병용처리요법은 NK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암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성질환(에이즈, 결핵 등)의 치료에도 유용한 면역 활성 물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K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메커니즘은 아래 [Scheme 1]에 나타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Scheme 1]
Figure 112014023520393-pat00001

즉, 준비된 Hsp90α는 RosetteSepTM으로 분리 된 NK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CD56dim/HLA-DRbright의 표지자를 가지고 있는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 (MDC)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활성화된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세세포는 NK 세포에 사이토카인 분비 혹은 receptor와 ligand를 통해 활성 신호를 전달하고, NK 세포는 활성화 되어 IFN-γ를 분비하거나 탈과립을 통해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 여기에 NK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사이토카인 IL-2가 더해지면 NK 세포의 IFN-γ의 분비는 상승적으로 큰 폭 증가하게 되고, 탈과립을 통한 암세포의 사멸은 상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재조합 HSP90 α 단백질의 정제
본 실험에 사용한 재조합 Hsp90α는 E. coli (BL21-codonPlus (DE3)-RIPL)에서 과발현 시킨 후 분리 및 정제 하였다. 형질 전환된 박테리아는 LB media에서 0.1 mg/ml ampicillin을 넣고 37°C에서 A600이 0.8이 될 때까지 키우다가 1 mM IPTG를 추가 한 후 27°C에서 16 h동안 추가로 배양 하였다. 배양된 박테리아는 8,000xg에서 20 min동안 원심분리 하여 획득한 후 20 mM Tris (pH 8.0)에 부유하여 초음파 처리를 통해 세포를 용해하였다. 상층액만을 분리 하여 Ni-NTA Agarose (QIAGEN, Germany)에 통과 시키고 20 mM Tris, 200 mM NaCl and 5 mM imidazole (pH 8.0)을 충분히 흘려주었다. 그 후, 붙어 있는 단백질을 20 mM Tris, 200 mM NaCl and 300 mM imidazole (pH 8.0)을 흘려주어 용출시켰다. 단백질을 20 mM Tris (pH 8.0)로 10배 부피로 희석한 후, CM cation-exchange chromatography (GE Healthcare, Sweden)에 흘려주어 통과된 단백질을 Q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GE Healthcare)를 통해 분리 하였다. 모노 Q 레진에 붙어 있는 단백질은 0 M과 0.4M의 NaCl 완충용액을 1.5 mL/min가 되게 linear gradient를 주어 획득하였다. 획득한 단백질은 FPLC gel-filtration column (GE healthcare)을 통해 한 번 더 분리 한 후 Centricon apparatus (Satorius Stedim Biotech, Germany)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분리한 Hsp90 용액의 내독소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1mg/ml의 단백질에 Triton X-114를 1%가 되게 넣어주고 4℃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37 ℃에서 30분간 반응 시키고 20000 x g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취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네 번 반복하였다. 마지막 샘플은 상층액의 70%만 조심스럽게 취하여 20000 x g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의 90%를 취하여 Detergent Removal spin columns (Thermo scientific, USA)을 사용하여 남아있는 Triton X-114를 제거 하고 0.22 ㎛의 filter에 통과시켰다. 내독소 함량은 limulus amebocyte lasate assay kit (Lonza, Walkersville,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후 BCA assay를 통해 단백질 정량을 수행 하였다.
시중에 판매 되고 있는 HSp90α의 순도가 75~90%로 낮아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Hsp90α를 상기 방법으로 직접 분리, 정제 하고 내독소를 제거 하여 사용하였다. 이렇게 정제된 단백질은 SDS-PAGE (도 1A)와 Western blotting (도 1B)을 통해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약 90kDa의 위치에서 순도 높은 Hsp90α가 확인 되었다.
내독소 함량 또한 기준치의 1/10 이하로 매우 낮았다.
전혈에서 HSP90 α가 IFN -γ 분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한 지원자의 전혈을 채취하여 IL-2는 8 ng/ml, Hsp90α는 60 nM, 그리고 IL-2와 Hsp90α를 위와 같은 농도로 단독 혹은 병용처리 하여 RPMI 1640 배지와 1:1의 비율로 충분히 섞어주고 24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획득한 상층액의 IFN-γ 양을 ATgen사(Korea)의 IFN-γ ELISA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Hsp90α가 면역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sp90α와 IL-2를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 한 후 IFN-γ의 분비 정도를 확인 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L-2와 Hsp90α의 처리에 의해 IFN-γ의 분비가 약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하지만 NK 세포의 주요 활성 사이토카인인 IL-2와 Hsp90α를 병용처리 하였을 경우 상승적으로 IFN-γ의 분비가 대폭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Hsp90α는 면역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IL-2와 병용처리 시 상승적으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에서 HSP90 α가 IFN -γ 분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한 지원자의 전혈에서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NK세포를 획득 하였다. 분리한 NK세포는 IL-2는 2 ng/ml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Hsp90α는 20, 30, 60 nM로 처리 하였다. 또한 2 ng/ml의 IL-2에 Hsp90α를 다양한 농도로 병용처리 하였다. NK세포의 배양은 24 well plate에서 5 x 105개/well이 되게 하여 10%의 우혈청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 0.5 ml에서 48 h동안 배양 하였다. 획득한 상층액의 IFN-γ는 ATgen사의 IFN-γ ELISA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Hsp90α가 NK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리한 NK 세포에 Hsp90α와 IL-2를 다양한 농도 조합으로 처리 한 후 IFN-γ의 분비 정도를 확인 하였다 (도 3). 그 결과 IL-2와 Hsp90α에 의해 IFN-γ의 분비가 약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Hsp90α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매우 약하지만 IFN-γ의 분비도 증가 하였다. 또한 IL-2와 Hsp90α를 병용처리 하였을 경우 Hsp90α의 농도에 따라 IFN-γ의 분비가 상승적으로 대폭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해 Hsp90α와 IL-2의 병용처리는 NK 세포의 IFN-γ 분비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도3).
HSP90 α가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의 탈과립에 미치는 영향
RosetteSepTM을 통해 분리 된 NK 세포에 각각 2 ng/ml의 IL-2, 60 nM의 Hsp90α, 그리고 이 둘을 병용처리한 후 각 시료를 48 h동안 배양 한 후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35세포와 혼합하고 4 시간 동안 PE-Cy7 mouse anti-human CD107a와 함께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APC mouse anti-human CD56으로 배양 된 세포를 염색하여 LSR II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을 통해 NK 세포의 탈과립을 측정하였다.
Hsp90α에 의해서 활성화된 NK 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능력을 측정하고자 탈과립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도 4). 그 결과 NK 세포의 MDA-MD-435세포에 대한 탈과립이 IL-2에 의해 많이 증가 되었고, Hsp90α에 의해서는 약하게 증가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IL-2와 Hsp90α의 병용처리에 의해 상가적으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Hsp90α는 NK 세포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능력을 증가시키고 IL-2와 함께 병용처리 시 이러한 효과가 상가적으로 증가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4).
Hsp90 α가 NK -92 세포의 IFN -γ 분비에 미치는 영향
NK-92 세포에 IL-2는 2 ng/ml, Hsp90α는 60 nM, 그리고 IL-2와 Hsp90α를 위와 같은 농도로 병용처리 하였다. 이때 각 시료에는 1 x 105/well의 NK92 세포를 넣어주었고, 0.5 ml의 12.5% FBS, 12.5% horse serum, 0.2 mM myo-inositol, 0.1 mM 2-Mercaptoethanol, 0.02 mM folic acid가 첨가된 α-MEM (Gibco-Invitrogen)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 후 획득한 상층액의 IFN-γ는 ATgen사의 IFN-γ ELISA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NK 세포주인 NK-92세포에 대한 Hsp90α의 영향을 확인한 결과, Hsp90α는 NK-92세포의 IFN-γ의 분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IL-2와 Hsp90α의 병용처리 시에도 primary NK 세포와는 다르게 IFN-γ의 분비에 상승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5). 이 결과를 통해 Hsp90α를 통한 NK 세포의 활성에는 다른 매개체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할 수 있었다. 즉 Hsp90α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NK 세포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NK 세포의 순도 분석
건강한 사람의 전혈에서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NK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NK 세포는 각각 APC mouse anti-human CD56, FITC mouse anti-human CD56, FITC mouse anti-human CD3, PE mouse anti-human CD19, Percp-Cy5.5 mouse anti-human CD14, PE-Cy7 mouse anti-human CD16, FITC mouse anti-human CD1a, FITC mouse anti-human CD20, FITC mouse anti-human CD31, FITC mouse anti-human CD80, FITC mouse anti-human CD83, FITC mouse anti-human HLA-DR으로 염색 한 후 LSRII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분석 하였다.
실시예 5의 결과, NK-92 세포는 Hsp90α, 그리고 IL-2와 Hsp90α의 병용 처리에 의해 활성이 증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primary NK 세포에서 Hsp90α의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 (실시예 2~4의 결과)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NK 세포의 순도를 확인 해 보았다. 그 결과 분리된 NK 세포에는 T 세포와 B 세포는 거의 존재 하지 않았다. 하지만 단구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발현 표지자가 약하게나마 나타났다 (도6a). 좀 더 세부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단구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다양한 표지자를 염색하였다. 이전 보고에 따르면 CD56dim/HLA-DR+세포는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monocyte/DC like cell, MDC)로서 NK의 기능이 아닌 단구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결과 실제로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분리한 NK세포에는 매우 적은 양의 단구세포, 수지상 세포 및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 (MDC)가 존재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6b). CD56dim/HLA-DR+ (MDC)의 경우 CD56을 발현 하고 단구세포 및 수지상 세포의 표지자를 발현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분리가 어렵다. 또한 이전 보고에 따르면 수지상 세포 및 CD56dim/HLA-DR+이 NK 세포에 소량만 존재해도 NK 세포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순수 분리한 CD56 + NK 세포에서 HSP90 α가 IFN -γ 분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한 사람의 전혈에서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NK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NK 세포는 각각 APC mouse anti-human CD56 으로 염색을 한 후 BD ARIA II를 통해 CD56+인 세포만 분리 하였다. 이후 분리된 세포에 FITC mouse anti-human HLA-DR을 염색 하여 순도를 확인 하였다. 분리 된 CD56+세포에 IL-2는 10 ng/ml, Hsp90α는 60 nM로 처리 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농도의 IL-2에 Hsp90α를 병용처리 하였다. NK세포의 배양은 24 well plate에서 5 x 105개/well이 되게 하여 10%의 우혈청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 0.5 ml에서 48 h동안 배양 하였다. 획득한 상층액의 IFN-γ는 ATgen사의 IFN-γ ELISA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단구세포, 수지상세포 및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CD56+NK 세포만을 분리 하여 Hsp90α 및 IL-2와의 병용처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PC mouse anti-human CD56 으로 염색을 한 후 BD ARIA II를 통해 분리 된 CD56+NK 세포는 99.9% 순도였고, HLA-DR+인 세포는 존재하지 않았다 (도 7a). 이 세포에 IL-2, Hsp90α 그리고 이 둘을 병용 처리 한 결과 NK-92 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Hsp90α에 의한 IFN-γ가 분비되지 않았고, IL-2 및 Hsp90α의 병용 처리에 의한 상승적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도 7b). 이러한 결과를 통해 Hsp90α가 NK 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 시키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순수 분리한 HLA - DR - NK 세포에서 HSP90 α가 IFN -γ 분비에 미치는 영향
건강한 사람의 전혈에서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NK 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NK 세포는 각각 APC mouse anti-human HLA-DR 으로 염색을 한 후 BD ARIA II를 통해 HLA-DR- 인 세포만 분리 하였다. 이후 분리된 세포에 FITC mouse anti-human CD56을 염색 하여 순도를 확인 하였다. 분리 된 HLA-DR- 세포에 IL-2는 10 ng/ml, Hsp90α는 60 nM로 처리 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농도의 IL-2에 Hsp90α를 병용처리 하였다. NK세포의 배양은 24 well plate에서 5 x 105개/well이 되게 하여 10%의 우혈청이 첨가된 RPMI 1640 배지 0.5 ml에서 48 h동안 배양 하였다. 획득한 상층액의 IFN-γ는 ATgen사의 IFN-γ ELISA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가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분리된 NK 세포에서 HLA-DR- NK 세포만을 분리 하여 Hsp90α 및 IL-2와의 병용처리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APC mouse anti-human HLA-DR으로 염색을 한 후 BD ARIA III를 통해 분리 된 HLA-DR-이면서 CD56+인 세포는 94%이상이었다. HLA-DR-인 세포는 97% 이상이었다. 이 세포에는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는 존재 하지 않았지만 약간의 다른 세포는 존재 하였다. 이 세포에 IL-2, Hsp90α 그리고 이 둘을 병용 처리 한 결과 NK-92 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Hsp90α에 의한 IFN-γ가 분비되지 않았고, IL-2 및 Hsp90α의 병용 처리에 의한 상승적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도 8b).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혈에서 분리한 NK 세포에서 Hsp90α를 통한 NK 세포의 활성은 CD56dim/HLA-DR+세포가 매개 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sp90α, IL-2 그리고 이 조합을 건강한 사람의 혈액으로부터 RosetteSepTM을 사용하여 분리한 NK 세포(Natural killer cell)에 처리 한 후 인터페론-γ (IFN-γ) 분비와 탈과립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IFN-γ의 분비가 IL-2와 Hsp90α에 의해 각각 약하게 증가되었고, Hsp90α와 IL-2와의 병용처리에 의해 상승적으로 증가 되었다. Hsp90α로 처리한 NK 세포를 유방암 세포주인 MDA-MB-435와 반응시키며 탈과립을 관찰하여 세포독성을 간접적으로 측정였을 때, Hsp90α에 의해 탈과립이 약하게 증가 하였고, IL-2와의 병용처리에 의해 상가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NK 세포주인 NK-92에서는 Hsp90α에 의한 상승효과를 전혀 관찰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기 위해 RosetteSepTM 으로 분리한 NK 세포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NK 세포에는 혈소판(platelet), 단구세포(monocyte),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monocyte/DC like cell, MDC)가 소량 포함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RosetteSepTM으로 분리된 NK 세포에서 CD56+ 세포 혹은 HLA-DR- 세포만을 FACS ARIA II로 한 번 더 분리하여 Hsp90α, IL-2 그리고 이 둘을 병용 처리 한 후 IFN-γ의 분비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CD56+ NK 세포이거나 HLA-DR- NK 세포에서는 NK-92 세포주에서와 마찬가지로 Hsp90α 및 IL-2와의 병용처리에 의한 IFN-γ 분비의 상승효과를 전혀 확인 할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재조합 Hsp90α는 NK 세포를 직접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구세포/수지상세포 유사세포 (MDC)를 활성화 시키는 것을 통하여 NK 세포를 간접적으로 활성화 시키고, 이러한 기전으로 인해 Hsp90α와 IL-2를 함께 처리 해 주면 각각 처리해 주었을 때에 비해 NK 세포의 활성이 상승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 NK 세포는 생체 내에서 암세포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Hsp90α 혹은 Hsp90α와 IL-2 병용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NK 세포는 암세포 및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잘 죽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Hsp90α는 암이나 바이러스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Hsp90α와 IL-2의 병용처리 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8)

  1. Hsp90α 및 IL-2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허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관 또는 피하의 비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피부암,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백혈명, 비소세포 암종 및 폐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질환은 에이즈, 사이토메갈로 바이러스 감염질환, 인플루엔자 및 조류 독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sp90α의 용량은 10~100 nM/mL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L-2의 용량은 1~10 ng/ml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sp90α는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는 단구세포/수시상세포유사세포(MDC) 또는 수지상세포(DC)의 직접적 자극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Hsp90α 및 IL-2를 포함하는 NK 세포 또는 T 세포 활성화 증진을 위한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보조 제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는 단구세포/수지상세포유사세포(MDC) 또는 수지상세포(DC)의 직접적 자극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보조 제제.
  14. 제11항에 따른 보조 제제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세포 치료제.
  15. Hsp90α 유전자의 형질전환체 및 IL-2 유전자의 형질전환체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의 유전자 치료제.
  16. 삭제
  17. 인비트로(in vitro)에서 Hsp90α 및 IL-2를 병용투여함으로써 NK 세포 또는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18. 삭제
KR1020140028382A 2014-03-11 2014-03-11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94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82A KR101594403B1 (ko) 2014-03-11 2014-03-11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382A KR101594403B1 (ko) 2014-03-11 2014-03-11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90A KR20150106190A (ko) 2015-09-21
KR101594403B1 true KR101594403B1 (ko) 2016-02-16

Family

ID=54245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382A KR101594403B1 (ko) 2014-03-11 2014-03-11 HSP 90a 를 포함하는 암 또는 바이러스 질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83A1 (ko) * 2018-02-19 2019-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충격단백질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백신 및 이의 용도
US11446368B2 (en) 2018-02-19 2022-09-20 Aston Sci. Co., Ltd. Vaccine comprising epitope of heat shock protein, and us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4477B1 (en) 1994-09-30 2006-03-15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Immunotherapeutic stress protein-peptide complexes against cancer
US20140065096A1 (en) 2012-09-05 2014-03-06 Regen BioPharma, Inc. Cancer therapy by ex vivo activated autologous immune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4477B1 (en) 1994-09-30 2006-03-15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Immunotherapeutic stress protein-peptide complexes against cancer
US20140065096A1 (en) 2012-09-05 2014-03-06 Regen BioPharma, Inc. Cancer therapy by ex vivo activated autologous immune cell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Immunology. Vol. 190, No. 3, pp. 1360-1371 (2013)*
Zhonghua Zhong Liu Za Zhi. Vol. 21, No. 1, pp. 19-21 (199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83A1 (ko) * 2018-02-19 2019-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충격단백질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백신 및 이의 용도
US11446368B2 (en) 2018-02-19 2022-09-20 Aston Sci. Co., Ltd. Vaccine comprising epitope of heat shock protei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90A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va-Santos et al. γδ T cells: pleiotropic immune effectors with therapeutic potential in cancer
Das et al. Tim‐3 and its role in regulating anti‐tumor immunity
Huang et al. Soluble CD27-pool in humans may contribute to T cell activation and tumor immunity
Elsner et al. The endogenous danger signals HSP70 and MICA cooperate in the activation of cytotoxic effector functions of NK cells
Clayton et al. Human tumor-derived exosomes down-modulate NKG2D expression
Wieckowski et al. Tumor-derived microvesicles promote regulatory T cell expansion and induce apoptosis in tumor-reactive activated CD8+ T lymphocytes
Hettich et al. Checkpoint antibodies but not T cell–recruiting diabodies effectively synergize with TIL-inducing γ-irradiation
Zilberman et al. HLA‐G 1 and HLA‐G 5 active dimers are present in malignant cells and effusions: The influence of the tumor microenvironment
KR102171794B1 (ko) 헬퍼 t 세포의 활성화 방법
Frey Suppression of T cell response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Mehdizadeh et al. Immune checkpoints and cancer development: Therapeutic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Inao et al. Different sensitivities of senescent breast cancer cells to immune cell‐mediated cytotoxicity
Lu et al. Co-inhibition of TIGIT, PD1, and Tim3 reverses dysfunction of Wilms tumor protein-1 (WT1)-specific CD8+ T lymphocytes after dendritic cell vaccination in gastric cancer
Gatti et al. Direct effect of ds RNA mimetics on cancer cells induces endogenous IFN‐β production capable of improving dendritic cell function
CA2865899A1 (en) Dual ox40 agonist/il-2 cancer therapy methods
Nardi et al. Soluble monomers, dimers and HLA‐G‐expressing extracellular vesicles: the three dimensions of structural complexity to use HLA‐G as a clinical biomarker
US20170000850A1 (en) Differentiation therapy with cd137 ligand agonists
EP3426681B1 (en) Hla-b57 open conformers
JP2020521000A (ja) 標的治療免疫調節のためのMHCクラスIb分子及びペプチドの組合せ
Gallegos et al. Immunomodulation of classical and non-classical HLA molecules by ionizing radiation
CN107002073B (zh) 肿瘤抗原肽
Fei et al. Targeting HLA-DR loss in hematologic malignancies with an inhibitory chimeric antigen receptor
Mortara et al. Therapy‐induced antitumor vaccination by targeting tumor necrosis factor‐α to tumor vessels in combination with melphalan
Koya et al. Interferon-α-inducible dendritic cells matured with OK-432 exhibit TRAIL and fas ligand pathway-mediated killer activity
Bühler et al. Target-dependent T-cell activation by coligation with a PSMA× CD3 diabody induces lysis of prostate cance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