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239B1 -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239B1
KR101594239B1 KR1020140033317A KR20140033317A KR101594239B1 KR 101594239 B1 KR101594239 B1 KR 101594239B1 KR 1020140033317 A KR1020140033317 A KR 1020140033317A KR 20140033317 A KR20140033317 A KR 20140033317A KR 101594239 B1 KR101594239 B1 KR 101594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dryer
evaporator
pip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863A (ko
Inventor
정명진
정영수
안영규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239B1/ko
Priority to US14/531,426 priority patent/US9857103B2/en
Priority to CN201410614138.0A priority patent/CN104613707B/zh
Publication of KR2015010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9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상기 드라이어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전환 또는 조절하는 유동 조절부; 상기 유동 조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증발기; 및 상기 드라이어로부터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냉매의 냉각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배관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ry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도록 저장물이 수용되는 다수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상기 음식물을 수납 및 취출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저장실에는, 음식물의 냉동 저장을 위한 냉동실 및 음식물의 냉장 저장을 위한 냉장실이 포함된다.
냉장고에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동시스템이 구동된다. 상기 냉동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 상기 증발기에는, 냉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 증발기 및 냉동실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에 저장된 냉기는 상기 제 1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상기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에 저장된 냉기는 상기 제 2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상기 냉각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는 다수의 저장실이 별개의 증발기를 통하여 독립적인 냉각이 수행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선행특허 등록번호 10-1275184, 등록일자 2013년 6월 10일).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제 1,2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는 팽창장치에 의하여 감압되어 2상 상태, 일례로 건도가 다소 높은 2상 상태로 형성되어 제 1,2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냉매는 냉각 운전모드, 즉 냉장실 또는 냉동실 냉각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증발기 또는 제 2 증발기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운전모드 조건에 따라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량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냉장고의 저장실의 용량을 크게 하여 저장실에 많은 식품을 수납하도록 하는 것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커진 저장실을 효과적으로 냉각하기 위하여 응축기를 크게 제작할 필요가 있으나, 냉장고의 전체크기가 설정범위 내로 제한되는 상황에서 응축기 또한 설정크기 이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제한된다.
결국, 제한된 크기의 응축기가 제공되는 냉장고의 경우, 충분한 응축열량을 확보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운전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전효율이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상기 드라이어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전환 또는 조절하는 유동 조절부; 상기 유동 조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증발기; 및 상기 드라이어로부터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냉매의 냉각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배관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 및 상기 냉매 튜브와 가이드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배관에는, 상기 드라이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냉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 가이드 하는 배관 출구부; 및 상기 드라이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부터 냉각된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로 유입시키는 배관 유입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관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유입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의 냉매 유동을 제한하는 체크밸브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본체;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드라이어로 유입된 액 냉매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에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로팅 부재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어에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구; 및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배출을 가이드 하며, 상기 플로팅 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포함된다.
또한,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본체의 전면부로 가이드 하는 핫라인 배관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핫라인 배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핫라인 배관으로 유입되는 냉매량 또는 냉매의 유입시간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밸브로부터 상기 드라이어로 연장되어,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을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냉장고 본체의 전면부로 가이드 하여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핫라인 배관이 포함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습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인식하여, 상기 핫라인 배관으로 유동되는 냉매량 또는 냉매의 유동시간을 조절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감지된 습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핫라인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핫라인 배관으로의 냉매 유동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된 습도가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핫라인 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핫라인 배관으로의 냉매 유동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응축기의 출구측에 드라이어를 마련하고, 드라이어에 유입된 2상 냉매 중 기상 냉매를 증발기와 열교환 하여 응축시킴으로써, 응축효율을 개선하고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 유입되는 냉매의 건도를 낮춤으로써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개선할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어의 상부에는 배관 출구부가 결합되므로, 드라이어에 유입된 2상 냉매 중 기상 냉매가 증발기 측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라이어의 내부에는, 액 냉매에 의하여 부상하는 플로팅 부재가 포함되고, 액 냉매가 설정량 이상 유입되면 상기 플로팅 부재가 드라이어의 출구부를 개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드라이어의 신뢰성 있는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이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핫 라인의 입구측에 바이패스 밸브를 구비하여, 냉장고 외부의 습도에 따라 상기 핫 라인으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이슬 맺힘을 방지하고 핫 라인에 의하여 냉장고의 내부로 전달되는 열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방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후방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11)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이 포함되며, 일례로, 상기 냉장실(20)은 상기 냉동실(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30)의 위치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격벽(28)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장실(20)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25) 및 상기 냉동실(30)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35)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5)는 상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35)는 서랍 타입으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에는, 냉장고(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2) 및 상기 아우터 케이스(12)의 내측에 배치되고 냉장실(20) 또는 냉동실(30)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3)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20)의 후벽에는, 상기 냉장실(20)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냉장실 냉기토출부(22)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으나, 상기 냉동실(30)의 후벽에는, 상기 냉동실(30)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냉동실 냉기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을 각각 독립 냉각하기 위한 복수의 증발기(150,16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150,160)에는,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제 1 증발기(150) 및 다른 하나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제 2 증발기(1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증발기(150)는 상기 냉장실(20)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 증발기이고, 상기 제 2 증발기(160)는 상기 냉동실(30)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 증발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장실(20)이 상기 냉동실(3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증발기(150)는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150)는 상기 냉장실(20)의 후벽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증발기(160)는 상기 냉동실(30)의 후벽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15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냉기토출부(22)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20)로 공급되며, 상기 제 2 증발기(16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 냉기토출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16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161)와, 상기 냉매 튜브(161)에 결합되어 냉매와 유체의 열교환 면적을 증대하는 핀(162) 및 상기 냉매 튜브(161)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163)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163)은 상기 냉매 튜브(161)의 양측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161)는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163)은 상기 냉매 튜브(161)의 양측부를 고정하여 상기 냉매 튜브(161)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일례로, 상기 냉매 튜브(161)는 상기 고정 브라켓(163)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162)은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매 튜브(161)는 상기 다수 개의 핀(162)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 중 액 냉매를 걸러내어, 제 2 압축기(115)에 기상 냉매를 공급하는 기액 분리기(170)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구성은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구성과 유사하다. 별도의 도면번호를 부여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증발기(150)에는, 위에서 설명한 냉매 튜브, 핀 및 고정 브라켓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일측에는 또 다른 기액 분리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냉장고(10)의 후방 하부, 즉 상기 냉동실(30)의 후방 하부에는 냉장고의 주요 부품이 설치되는 기계실(50)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기계실(50)에는,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된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실(50)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복수의 압축기(111,115) 및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20, 도 6 참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50)에는, 냉매를 상기 제 1 증발기(150) 및 제 2 증발기(160)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동 조절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50)에는, 상기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에 포함된 수분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드라이어(180)가 설치된다. 상기 드라이어(180)는 상기 드라이어(180)로 유입된 액 냉매를 잠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드라이어(180)로부터 상기 제 2 증발기(160) 측으로 연장되어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배관(19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드라이어(180)로부터 상기 기계실(5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고정 브라켓(163)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배관(190)의 양측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16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제 2 증발기(16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튜브(161)의 내부에는 저온의 냉매가 유동하므로,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주변은 저온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배관(190)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 2 증발기(160)에 인접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응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 배관(190)을 유동하는 냉매가 기상 냉매인 경우, 상기 기상 냉매는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주변을 유동하면서 액 냉매로 상변화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라이어(18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어(180)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본체(181)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상부에 형성되어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 즉 2상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181a) 및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하부에 형성되어 액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181b)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81a)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상부에, 상기 배출구(181b)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81a)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필터 부재(182)가 제공된다. 일례로, 상기 필터 부재(182)는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필터 부재(182)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공간 중 적어도 일부를 채우게 된다. 상기 필터 부재(182)는 대략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은 상기 다수의 필터 부재(182)를 거치면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82)는 상기 불순물 또는 수분을 흡착하기 용이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 부재(182)를 지지하는 지지부(183)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필터 부재(182)는 상기 지지부(183)로부터 상기 유입구(181a)에 인접한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3)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83)의 측면부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지지부(183)의 외주면과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주면 사이에 규정되는 제 1 공간부(183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공간부(183a)는 상기 다수의 필터 부재(182)를 통과한 액 냉매가 유동하는 유동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183)의 하측에는, 액 냉매가 저장되는 제 2 공간부(181c)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공간부(181c)에는, 상기 지지부(183)의 하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로팅 부재(185) 및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측면부와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공간부(185a)가 포함된다.
상기 플로팅 부재(185)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뿔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는 액 냉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하부는, 상기 배출구(18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플로팅 부재(185)가 하방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하부는 상기 배출구(181b)를 막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하부는 상기 배출구(181b)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부(185a)는 상기 플로팅 부재(185)와 드라이어 본체(181)의 사이에 규정되는 공간부로서 이해되며, 액 냉매가 상기 제 3 공간부(185a)에 차게 되면 상기 플로팅 부재(185)는 상기 액 냉매의 부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190)의 일측부가 연결되며,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190)의 타측부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는 상기 지지부(183)의 상측에 위치하는 일부분이며, 상기 "하부"는 상기 지지부(183)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배관(190)에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 내에 존재하는 기상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외부로 가이드 하는 배관 출구부(191) 및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증발기(160)와 열교환 된 냉매, 즉 액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배관 유입부(192)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 출구부(191)의 단부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에서, 하방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유입부(192)의 단부는 상기 플로팅 부재(185)에 연결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내부로 냉매를 가이드 한다. 상기 배관 유입부(192)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플로팅 부재(185)를 통하여 상기 배출구(181b)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드라이어(18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후, 2상 냉매는 상기 드라이어(180)의 유입부(181a)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어 본체(181)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매에 포함된 불순물 또는 수분은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182)를 거치면서 필터링 되며 액 냉매는 상기 제 1 공간부(183a)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183)의 하측, 즉 상기 제 2 공간부(181a)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공간부(181a)로 유동하는 액 냉매가 많아질수록, 상기 제 3 공간부(185a)에는 액 냉매가 차게 되며, 상기 플로팅 부재(185)는 상기 액 냉매의 부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하부는 상기 배출구(181b)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부(181a)의 액 냉매는 하방으로 유동하며 상기 배출구(181b)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어(18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181a)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는 상기 배관 출구부(191)를 통하여 상기 드라이어(18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관 출구부(191)의 냉매는 상기 가이드 배관(190)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기상 냉매는 상기 제 2 증발기(160)와 간접적으로 열교환 하게 된다. 즉, 상기 기상 냉매는 저온의 냉매에 의하여 응축되어 액 냉매로 상변화 될 수 있다.
상변화 된 냉매는 상기 가이드 배관(190)을 경유하여 상기 배관 유입부(192)로 유동하며, 상기 드라이어(18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플로팅 부재(185)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냉매는 상기 드라이어(180) 내에 존재하는 액 냉매와 함께 상기 출구부(181b)를 통하여 드라이어(18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B).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10)에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복수의 압축기(111,115)와,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20)와, 상기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다수의 팽창장치(141,143) 및 상기 다수의 팽창장치(141,143)에서 감압된 냉매를 증발하기 위한 다수의 증발기(150,1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 응축기(120), 팽창장치(141,143) 및 증발기(150,160)를 연결하여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냉매배관(100)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에는, 제 1 압축기(111) 및 제 2 압축기(11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가 모두 구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압축기(115)는 저압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1단 압축하는 "저압 압축기"이며, 상기 제 1 압축기(111)는 상기 제 2 압축기(115)에서 압축된 냉매를 더 압축(2단 압축)하는 "고압 압축기"로서 이해된다.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가 모두 구동되면, 상기 냉장실(20) 및 냉동실(30)의 동시 냉각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복수의 압축기(111,115) 중 제 1 압축기(111)만 운전하는 경우, 상기 제 1 증발기(150)가 설치되는 저장실, 일례로 냉장실(20)의 단독 냉각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증발기(150,160)에는, 냉장실(20) 및 냉동실(30) 중 어느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될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제 1 증발기(150) 및 다른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될 냉기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증발기(1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증발기(150)는 상기 냉장실(20)에 공급될 냉기를 생성하며, 상기 냉장실(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증발기(160)는 상기 냉동실(30)에 공급될 냉기를 생성하며, 상기 냉동실(3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30)에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는 상기 냉장실(20)에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냉매 증발압력은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냉매 증발압력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출구측 냉매배관(100)은 상기 제 2 압축기(115)의 입구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16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2 압축기(115)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응축기(12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에 포함된 수분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드라이어(130) 및 상기 드라이어(130)로부터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배관(190)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배관(190)에는, 상기 드라이어(180)의 내부에 존재하는 기상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180)의 외부로 가이드 하는 배관 출구부(191) 및 상기 증발기(160)와 열교환 된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180)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배관 유입부(192)가 포함된다. 즉, 냉매의 유동방향은, 상기 배관 출구부(191)로부터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배관 유입부(192)로부터 상기 드라이어(180)로 유동하도록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배관(190)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190)에서의 냉매 유동방향을 일방향으로 강제하는 체크밸브(19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체크밸브(196)에 의하여, 상기 배관 유입부(192)로부터 상기 제 2 증발기(160)로의 냉매 유동은 제한된다. 일례로, 상기 체크밸브(196)는 상기 배관 유입부(19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라이어(180)의 출구측에는, 유동 조절부(130)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 조절부(130)는 제 1,2 증발기(150,160)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가 운전되도록, 즉 냉매가 상기 제 1,2 증발기(150) 중 어느 하나의 증발기, 또는 상기 제 1,2 증발기(150,160)에 동시에 유입되도록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유동조절부(130)는 냉매가 유입되는 1개의 유입부 및 냉매가 배출되는 2개의 유출부를 가지는 3방변(three-way valve)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조절부(130)의 2개의 유출부에는, 다수의 냉매유로(101,103)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냉매유로(101,103)에는,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입구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증발기(15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냉매유로(101) 및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입구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증발기(160)로의 냉매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2 냉매유로(10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냉매유로(101,103)는 냉매배관(100)의 분지유로로서, 각각 "제 1,2 증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조절부(130)는 상기 제 1,2 냉매유로(101,103)로 분지되는 분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조절부(130)를 통과하는 냉매는 상기 제 1,2 냉매유로(101,103)로 분지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냉매유로(101,103)에 연결되는 유출부를 각각 "제 1 유출부" 및 "제 2 유출부"라 이름한다.
상기 제 1,2 유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유출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유출부가 모두 개방되면, 상기 제 1,2 냉매유로(101,103)를 통하여 냉매가 유동한다. 반면에, 상기 제 1 유출부가 개방되고 제 2 유출부가 폐쇄되면, 상기 제 1 냉매유로(101)를 통하여 냉매가 유동한다.
물론, 상기 제 1 유출부는 폐쇄되고, 제 2 유출부는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 2 냉매유로(103)를 통해서만 냉매가 유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냉매유로(103)에는, 상기 제 2 증발기(160)로 유입될 냉매를 팽창하기 위한 제 2 팽창장치(1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팽창장치(143)에는, 모세관(capillary tube)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160)를 지나는 냉기는 상기 제 1 증발기(150)를 냉기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되어, 상기 냉동실(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열교환기의 일측에 제공되어 공기를 불어주는 송풍팬(125,155,165)이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125,155,165)에는, 상기 응축기(1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응축팬(125),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1 증발팬(155) 및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 2 증발팬(165)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증발팬(155)은 냉장실 팬이고, 상기 제 2 증발팬(165)은 냉동실 팬일 수 있다.
상기 제 1,2 증발팬(155,165)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제 1,2 증발기(150,160)의 열교환 능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증발기(150) 또는 제 2 증발기(160)의 운전에 따른 냉기 발생이 많이 필요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증발팬(155) 또는 제 2 증발기(160)의 회전속도는 증가하며, 냉기가 충분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증발팬(155) 또는 제 2 증발기(160)의 회전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배관(190)이 상기 드라이어(180)로부터 상기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증발기(160)를 유동하는 냉매와 간접적으로, 즉 제 2 증발기(160) 주변의 저온의 공기와 열교환 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제 1 증발기(150)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증발기(150)를 유동하는 냉매와 간접적으로, 즉 제 1 증발기(150) 주변의 저온의 공기와 열교환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제 1 증발기(150) 및 제 2 증발기(160)의 일측으로 분지되어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가이드 배관(190)은 상기 이너 케이스(13)의 후측 공간, 특히 상기 냉장실 냉기토출부(22) 또는 냉동실 냉기토출부의 주변 영역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매 사이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복수의 압축기(111,115), 응축기(120), 유동 조절부(130), 복수의 증발기(150,160), 다수의 팽창장치(141,143) 및 송풍팬(125,155,165)이 포함된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응축기(120)의 출구측에 제공되어 상기 응축기(120)를 통과한 고압의 응축냉매를 본체(11)의 전면측으로 가이드 하는 핫라인 배관(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핫라인 배관(250)은 상기 본체(11)와 냉장실 도어(25)가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3)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50)에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 유동하여 열을 발산할 수 있으며, 발산된 열은 상기 본체(11)의 전면측에 작용하여, 냉장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하여 상기 본체(11)의 전면에 이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50)의 입구측에는,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 또는 냉매의 유입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230)가 제공된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상기 응축기(120)의 출구와 드라이어(180)의 입구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핫라인 배관(250)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로부터 상기 드라이어(180)까지 연장된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로부터 상기 드라이어(180)로 연장되어,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을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232)이 더 포함된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에는, 냉매를 상기 핫라인 배관(250) 및 바이패스 배관(232) 중 적어도 하나의 배관으로 가이드 하는 3방향 밸브가 포함된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냉매를 상기 핫라인 배관(250) 또는 바이패스 배관(232)으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작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온 작동되면,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으로 유동하는 냉매 유로는 차단되어 모든 냉매는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오프 작동되면,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하는 냉매 유로는 차단되어 모든 냉매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온 작동"이라 함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의 "일 방향 제어"로서 이해되며, "오프 작동"이라 함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의 "타 방향 제어"로서 이해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일부의 냉매를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시키고 나머지 냉매를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으로 유동시키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기(120)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로 유입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핫라인 배관(250) 및 바이패스 배관(232) 중 적어도 하나의 배관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조건에 따라 냉장고에 이슬맺힘의 가능성이 큰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되는 냉매량이 많거나 유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반면에, 냉장고에 이슬맺힘의 가능성이 적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되는 냉매량이 적거나 유동시간이 짧아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핫라인 배관(250) 또는 바이패스 배관(232)의 출구측에는, 드라이어(180)가 배치된다. 상기 핫라인 배관(250) 또는 바이패스 배관(232)을 유동한 냉매는 드라이어(180)로 유입된다. 상기 드라이어(180)는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거나, 액 냉매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이드 배관(190) 및 상기 가이드 배관(196)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96)가 포함된다.
상기 드라이어(18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유동 조절부(130)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팽창장치(141) 또는 제 2 팽창장치(143)를 통하여, 상기 제 1 증발기(150) 또는 제 2 증발기(16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냉장고 외부의 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센서(261)와,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의 작동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262) 및 상기 습도센서(261)에서 감지된 습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70)가 포함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냉장고(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습도센서(261)는 냉장고 외부의 습도를 감지한다(S11,S12).
상기 습도센서(261)에서 감지된 습도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가 인식된다. 상기 감지된 습도값이 설정값 이상이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부에 이슬맺힘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 측으로 많이 유동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냉매를 전환하는 밸브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온 작동되어, 상기 응축기(120)를 통과한 모든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온 작동되는 시간은 설정시간 이상의 값, 즉 오프 작동되는 시간값보다 큰 시간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냉매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분배하는 밸브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상기 핫라인 배관(250)을 향하는 냉매 유로의 개도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을 향하는 냉매 유로의 개도보다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S13,S14).
반면에, 상기 감지된 습도값이 설정값 미만이면, 냉장고 본체의 전면부에 이슬맺힘의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 측으로 적게 유동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으로 유동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냉매를 전환하는 밸브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오프 작동되어, 상기 응축기(120)를 통과한 모든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오프 작동되는 시간은 설정시간 이상의 값, 즉 온 작동되는 시간값보다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가 냉매를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분배하는 밸브일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230)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232)을 향하는 냉매 유로의 개도가 상기 핫라인 배관(250)을 향하는 냉매 유로의 개도보다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S15).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냉장고 외부의 습도조건에 따라 바이패스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핫라인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량 또는 냉매 유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핫라인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가 과도하여 냉장고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냉장고 11 : 본체
12 : 아우터 케이스 13 : 이너케이스
111,115 : 제 1,2 압축기 120 : 응축기
130 : 유동 조절부 141 : 제 1 팽창장치
143 : 제 2 팽창장치 150 : 제 1 증발기
160 : 제 2 증발기 170 : 기액 분리기
180 : 드라이어 182 : 필터부재
183 : 지지부 190 : 가이드 배관
191 : 배관 출구부 192 : 배관 유입부
196 : 체크밸브 230 : 바이패스 밸브
232 : 유입배관 250 : 핫라인 배관

Claims (14)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냉매 중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
    상기 드라이어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동을 전환 또는 조절하는 유동 조절부;
    상기 유동 조절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증발기; 및
    상기 드라이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드라이어 내의 냉매를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 가이드 하는 배관 출구부; 및
    상기 드라이어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부터 냉각된 냉매를 상기 드라이어로 유입시키는 배관 유입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 및
    상기 냉매 튜브와 가이드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이 포함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관 유입부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로의 냉매 유동을 제한하는 체크밸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드라이어 본체;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드라이어로 유입된 액 냉매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에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로팅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에는,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구; 및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냉매의 배출을 가이드 하며, 상기 플로팅 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배출구가 포함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본체의 전면부로 가이드 하는 핫라인 배관이 포함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핫라인 배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핫라인 배관으로 유입되는 냉매량 또는 냉매의 유입시간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공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로부터 상기 드라이어로 연장되어, 냉매가 상기 핫라인 배관을 바이패스 하도록 가이드 하는 바이패스 배관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
  12. 드라이어 본체;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상부에 내장되는 필터부재;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공간부; 및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제 2 공간부를 분리시키는 지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와 연통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 중 기상 냉매를 배출하는 지점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하며, 액 냉매를 유입시키는 지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어 본체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플로팅 부재가 더 포함되는 드라이어.
  14. 삭제
KR1020140033317A 2013-11-04 2014-03-21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9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17A KR101594239B1 (ko) 2014-03-21 2014-03-21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4/531,426 US9857103B2 (en) 2013-11-04 2014-11-03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CN201410614138.0A CN104613707B (zh) 2013-11-04 2014-11-04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17A KR101594239B1 (ko) 2014-03-21 2014-03-21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63A KR20150109863A (ko) 2015-10-02
KR101594239B1 true KR101594239B1 (ko) 2016-02-15

Family

ID=54341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17A KR101594239B1 (ko) 2013-11-04 2014-03-21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98569A (zh) * 2020-09-10 2020-11-27 上海海洋大学 可用于箱门防冻的冷藏集装箱制冷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454A (ja) * 1999-10-27 2001-05-1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454A (ja) * 1999-10-27 2001-05-11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63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92224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US1008233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US20070144190A1 (en) Refrigerator
EP3757492B1 (en) Refrigerator
US9777956B2 (en) Refrigerator
US9733009B2 (en) Refrigerator
KR101611699B1 (ko) 냉장고
US1019732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70565B1 (ko) 냉장고
KR2017006755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8930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594239B1 (ko)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65132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201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95155B1 (ko) 냉장고
KR10172328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15305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14446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55294B1 (ko) 냉장고
KR102295156B1 (ko) 냉장고
KR20150053117A (ko) 냉장고
KR20150089824A (ko) 냉장고
KR20030003583A (ko) 자동판매기용 냉동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