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010B1 - 보안봉투 - Google Patents

보안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010B1
KR101594010B1 KR1020140167634A KR20140167634A KR101594010B1 KR 101594010 B1 KR101594010 B1 KR 101594010B1 KR 1020140167634 A KR1020140167634 A KR 1020140167634A KR 20140167634 A KR20140167634 A KR 20140167634A KR 101594010 B1 KR101594010 B1 KR 10159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security
present
lay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강수
임호진
Original Assignee
(주)태백보안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백보안컨설팅 filed Critical (주)태백보안컨설팅
Priority to KR102014016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010B1/ko
Priority to PCT/KR2015/012802 priority patent/WO2016085278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04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apertures or windows for view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4Windows or other apertures, e.g. for view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을 요하는 장소에서도 핸드폰이나 타블렛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의 통신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봉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상기 봉투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면에는 투명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부는 홀로그램층을 포함하여 육안으로는 내부를 볼 수 있으나 내부의 카메라로는 외부가 촬영이 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봉투{Security Bag}
본 발명은 보안 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을 요하는 장소에서도 핸드폰이나 타블렛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의 통신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봉투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다양한 휴대폰은 본래의 통신 수단 이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며 점차 부가 기능들의 중요도 및 활용성이 커지고 있으며, 인터넷이나 SNS 등을 통해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게 외부에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이외의 다른 휴대용 기기들에도 촬영기능과 인터넷 연결 기능이 부가되어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용이해지며 또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의 전파력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안시설에서는 이와 같이 촬영이 가능한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용기기의 반입을 금지하도록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핸드폰 등 통신 기기는 중요한 연락이 올 수 있어, 이를 반입하지 못하고 보안시설등에 출입하게 되면 방문자 등은 긴급 연락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공보 KR 10-2006-0004738 (2006년01월16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이나 타블렛 PC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들의 통신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카메라 촬영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봉투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면에는 투명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부는 홀로그램층을 포함하여 육안으로는 내부를 볼 수 있으나 내부의 카메라로는 외부가 촬영이 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부는 홀로그램층/ PET / 인쇄층(선택층) / PE층 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층은 홀로그램 디자인에 실버 증착을 한 홀로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는 핸드폰이나 타블렛PC 를 포함하는 통신 또는 인터넷 기능과 촬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기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휴대용기기를 넣은 후 다시 떼어낸 후 부착시 인쇄부분에 표시되는 보안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테이프의 점착층의 점착력(gf/in)을 잔류형은 650~750 gf/in로서 하고 그리고 비잔류형은 300~300 gf/in 로 하면서 상기 점착층의 후면에는 소정의 이형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핸드폰이나 타블렛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내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소정의 창을 통해서 상기 휴대용 기기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제조된 것으로, 육안으로 스마트폰 등의 문자나 SNS 기능등을 확인 할 수 있고 번호를 눌러 통화를 할 수 도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의 렌즈로 촬영시 촬영을 방해하여 보안 시설들을 촬영할 수 없도록 한 봉투이다.
즉, 본 발명의 보안봉투내의 카메라 등으로 자료를 복사촬영하거나, 주위시설을 촬영시 해상도가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봉투에 스마트폰 등을 넣고 밀봉 한 후 보안 시설에 입장하면 보안 시설내에서 전화나 문자등 스마트폰 등의 통신기능을 확인 할 수 있으나 시설물이나 보안 사항들을 촬영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퇴장시 본 봉투의 밀봉 여부를 확인 하여 밀봉 상태가 유지된 것이면 봉투에서 스마트폰을 꺼내어 가져갈 수 있도록 하고 밀봉이 제거되었던 사항이 확인 되면 스마트폰을 수거하여 촬영 여부 등의 보안 위배 사항을 확인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안 봉투는 군사시설이나 보안이 문제되면서도 오랜 기간 머물러야 하는 곳에서 특히 장점을 갖는다.
또한 개인의 사생활 보호차원에서 통제된 구역에서 스마트폰 등을 보관함에 두고 들어 들어가지 않고 본 발명의 보안봉투에 넣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추후 나올때 보안봉투를 사용하는 출입자가 기타 지역에서 임의로 개봉한 것을 보안을 통제하는 자가 쉽게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봉투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핸드폰이나 타블렛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내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등의 카메라의 렌즈로 촬영시 촬영이 되지 않도록 하여 보안 시설들을 촬영할 수 없도록 한 봉투이다. 즉, 본 발명의 봉투는 일면 표면에 내부 보관물품인 스마트폰 등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촬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투명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투의 투명부는 일반 투명부와 달리 특수 처리되어 육안 식별은 가능하면서도 동영상을 포함한 카메라 촬영이 불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안봉투(100)는 일면에 투명부(110)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보안봉투(100)는 보안테이프(20)로 밀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핸드폰이나 타블렛 등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를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되므로, 그 크기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휴대성이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투명부 이외의 부분은 불투명 재질로서 이루어지면 특별히 재질도 제한되지 않는다.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봉투 등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100)는 스마트폰 등 보관할 대상물을 그 내부에 완전히 밀봉할 수 있도록 된 불투명의 모든 종류의 봉투에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부(110)를 만들고 상기 투명부(110)를 육안으로는 내부를 볼 수 있으나 내부에서 카메라로 촬영이 불가능하도록 특별한 창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안봉투(100)에 스마트폰과 같은 보관대상물을 넣고 밀봉한 후 나중에 보안봉투(100)에서 보관대상물을 꺼낼 때 밀봉이 해제된 적이 있는지만 확인하면 상기 보안봉투(100)내의 스마트폰으로 촬영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봉이 중요한 데, 이를 위해 특별히 한번이라도 떼었다 다시 붙이는 경우 표시가 되는 특수한 밀봉테이프로 밀봉하거나 아니면 밀봉하는 사람의 고유의 밀봉을 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에 보안테이프(20)로서는 떼었다 붙였을 때 흔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보안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본 발명의 보안봉투에서 사용되는 투명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투명부는 그 휘도가 6~10칸델라 범위에서 헤이즈는 1 - 2 % 범위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1.4-1.8 % 범위, 창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투명 필름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어느정도 휨이나 탄성이 있는 것이 좋으므로 유리와 같은 딱딱한 재질보다는 유연성 있는 필름이 더 좋다.
본 발명의 투명부는 투명필름이나 투명유리 등의 일반 투명부의 일면에 홀로(HOLO)처리를 하여 만들어진 투명부를 의미한다. 여기서 홀로처리란 일반 홀로그램 디자인에 실버 증착을 한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투명부는 holo처리 / PET / 인쇄 (색상 5도) / PE 재질로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만든 투명부는 육안으로 내용물은 확인이 가능하나 카메라로 외부를 촬영시 형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여기서 본 투명부의 전체 두께는 약 50-80미크론 바람직하게는 60미크론 내외 정도로서, PET 및 PE 의 두께가 90-99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쇄는 보안 문구나 촬영시 방해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holo처리 / PET / PE 재질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홀로처리에 사용되는 홀로그램은 열경화성 수지를 녹여 soft하게 하여 압력으로 홀로그램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열경화성 수지로 코팅하는 것보다는 UV 수지를 먼저 코팅한후 빛으로 경화시켜서 홀로그램을 입히는 기술이유리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광학적인 상을 각 SHELL마다 방향별로 나타난 프리즘 효과로 인하여 카메라로 촬영시 잘 안보이게 된다. 또한 uv 코팅의 기술적인 잔상 처리가 프리즘 효과를 극대화해서 사물의 판단을 흐리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투명부로서의 홀로그램 필름(UV PET FILM)은 빛의 간섭효과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나타내는 일종의 시각효과(프리즘)를 이용한 필름이다. 영상기술 분야와 산업 포장재 제조에 적용이 되여지는 것과 같이 본 보안봉투에 적용되는 투명부는 홀로그램처리는 UV수지를 이용한 PET 필름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필름 표면에 UV 코팅하여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강화하면서 소정의 디자인 패턴을 코팅면에 스며들게 하는 것이다. 이 후 이미지를 좀 더 흐리게 부각시키는 특수 코팅을 추가하면 더욱 카메라 촬영을 어렵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디자인 패턴은 일종의 마이크로 패턴으로 빛의 굴절효과를 이용하여 한 면의 시각으로는 가시적인 면과 그렇지 않은 면이 동시에 나타나도록 패턴을 만들어 형성하게 만드는 것이다. 한 셀(CELL)당 각기 다른 방향으로 50 미크론 정도 두께(폭)의 막대가 형성되면 사진촬영시 상이 여러 개로 보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데, 이를 이용한 것이다. 이때 필름의 층 사이에 촬영 금지 등의 보안 문구를 넣어서 바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안봉투를 만드는 방법의 일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두께로서,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PET FILM 에 위에서 설명한 홀로(HOLO) 처리한다. 그 후 5도 정도로서 인쇄를 하게되는데 그라비아 인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시 수십 마이크로 두께 PE에 드라이 라미레이트(합지)를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투명부 필름(원단)을 제조하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투명부 필름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봉투의 불투명 재질의 다른 원단(종이나 필름)과 접합하여 본 발명의 보안봉투를 만든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스마트폰 등의 보관대상물을 수납하고 보안테이프를 부착하여 밀봉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안테이프는 떼었을 때 흔적이 남는 잔류형과 떼어낸 상태에서는 흔적이 없는 비잔류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잔류형과 비 잔류형은 제조방법이 차이가 나는데, 잔류형은 잔류되는 부분에 코팅하는 이형제의 이형력이 틀리며, 점착제 코팅 시 점착제의 점착력과 코팅두께를 달리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봉투에 남는 점착력과 테입부분의 점착력은 동일하게 하며 테이프에서 떨어지는 부분에 이형처리를 할 수 있다.
비잔류형은 또한 떨어지는 부분(예를 들면 경고 문자 부분)에 이형처리를 한다. 비잔류형은 이형처리된 글자 부분이 봉투에 남아있지 않고, 테이프에 남아 있으면서 개봉흔적의 표시가 나야하기 때문에, 개봉금지 글자 모양에 따라 이형 코팅 시 잔류형보다는 이형력을 낮게하고, 점착제 코팅 시 코팅 두께를 조절하여, 개봉금지 이형 글자가 봉투 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즉 점착력(gf/in)을 잔류형의 경우 650~750 gf/in로 하며 비잔류형의 경우에 300~300 gf/in로 하면서 이형처리를 하면 잔류형 비잔류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2 내지 도4의 보안봉투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봉투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먼저 도2는 보안테이프(20)가 보안봉투(100)의 위 개봉면 전체를 테이핑한 것이고, 도3의 보안봉투(100)는 도1의 보안봉투처럼 봉투의 덥는 부분을 덥고 일부만 보안테이프(20)로 밀봉하는 보안봉투를 도시한다.
도4의 보안봉투는 봉투 전체가 투명부(110)의 재질로 되어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 봉투안에 보관대상물을 넣고 보안테이프(20)를 밀봉 테이프로서 밀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안봉투는 투명부(110)가 소정의 크기 이상 있으면 충분하며 전체를 투명부 필름 재질로도 만들어 사용이 가능하다.
100 : 보안봉투
110 : 투명부
20 : 보안테이프

Claims (4)

  1. 봉투에 있어서,
    상기 봉투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면에는 투명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투명부는 홀로그램층을 포함하여 육안으로는 내부를 볼 수 있으나 내부의 카메라로는 외부가 촬영이 되지 못하도록, 홀로그램층/ PET / 인쇄층 / PE층, 또는 홀로그램층/ PET / PE층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층은 홀로그램 디자인에 실버 증착을 한 홀로처리가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봉투는 핸드폰이나 타블렛PC 를 포함하는 통신 또는 인터넷 기능과 촬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기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휴대용기기를 넣은 후 다시 떼어낸 후 부착시 인쇄부분에 표시되는 보안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봉투.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7634A 2014-11-27 2014-11-27 보안봉투 KR101594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34A KR101594010B1 (ko) 2014-11-27 2014-11-27 보안봉투
PCT/KR2015/012802 WO2016085278A2 (ko) 2014-11-27 2015-11-26 보안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634A KR101594010B1 (ko) 2014-11-27 2014-11-27 보안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010B1 true KR101594010B1 (ko) 2016-02-12

Family

ID=5535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634A KR101594010B1 (ko) 2014-11-27 2014-11-27 보안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09B1 (ko) * 2016-12-08 2017-09-27 주식회사 유니피에스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관리용 비닐팩
WO2021054503A1 (ko) * 2019-09-19 2021-03-25 (주)티피엘테크놀로지 스마트폰용 보안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884A (ja) * 1999-01-08 2000-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裏貼り用ホログラムラベルおよびホログラム積層体
KR200379262Y1 (ko) * 2004-12-23 2005-03-18 장창오 보안 필름
KR20060004738A (ko) 2004-07-06 2006-01-16 이윤실 촬영 방지용 보안 봉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884A (ja) * 1999-01-08 2000-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裏貼り用ホログラムラベルおよびホログラム積層体
KR20060004738A (ko) 2004-07-06 2006-01-16 이윤실 촬영 방지용 보안 봉투
KR200379262Y1 (ko) * 2004-12-23 2005-03-18 장창오 보안 필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809B1 (ko) * 2016-12-08 2017-09-27 주식회사 유니피에스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관리용 비닐팩
WO2021054503A1 (ko) * 2019-09-19 2021-03-25 (주)티피엘테크놀로지 스마트폰용 보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3203B2 (ja) 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及び撮影防止用セキュリティシール供給シート
RU2566261C2 (ru) Способ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и/или идентификации защищенного изделия
US10241377B1 (en) Self-healing 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s
CN100570413C (zh) 设置有印刷图像的反向反射片
CN105144198B (zh) 用于便笺识别的系统和方法
CN107071244A (zh) 一种适用于移动终端设备的前置摄像头隐藏技术
KR101594010B1 (ko) 보안봉투
CN108614982A (zh) 显示模组及其使用方法
CN205754629U (zh) 显示设备
KR20190135754A (ko) 광결정 소재를 포함하는 위변조 방지용 큐알 코드 및 이의 활용방법
KR101684376B1 (ko) 보안테이프
CN107040707A (zh) 一种电子设备、摄像头组件及其保护镜片
US20160344907A1 (en) Flexible Apparatus Including Photographing Module
CN102404496A (zh) 影像处理方法及应用该方法的影像处理系统
CN105204283A (zh) 可穿透及反射的光学投影膜、其制造方法及投影荧幕
JP2017072694A (ja) ホログラム構造体
JP6658547B2 (ja) 回折構造と調光素子とを備えた表示媒体
US20130236645A1 (en) Method for locally forming smooth surface on frosted glass
WO2016085278A2 (ko) 보안봉투
CA3020770A1 (en) Skin tone enhancement for ghost images
KR102476337B1 (ko) 다층구조를 갖는 입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KR101781809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보안관리용 비닐팩
JP2008204415A (ja) 被スキャン用シート
CN216141478U (zh) 一种防伪胶带及基于防伪胶带的识别系统
CN204856428U (zh) 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