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794B1 -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 Google Patents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794B1
KR101593794B1 KR1020140057286A KR20140057286A KR101593794B1 KR 101593794 B1 KR101593794 B1 KR 101593794B1 KR 1020140057286 A KR1020140057286 A KR 1020140057286A KR 20140057286 A KR20140057286 A KR 20140057286A KR 101593794 B1 KR101593794 B1 KR 10159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evacuation
section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0629A (en
Inventor
신성욱
강영균
박준서
김지훈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794B1/en
Publication of KR2015013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7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대피안내 시스템은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er for guiding a evacuation method to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the fire, the position of the fire,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occurred, and using the second information, information on how to escape from the fire by the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o.

Description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본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시스템 및 안내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차량의 동작상태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대피방법을 알리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guidance method for guiding a evacuation method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nd more particularly, And informs the evacuation method.

경제규모가 커지고 교통수단의 보급이 급증함과 더불어 도로교통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교통수요를 충족하기 위하여 기존 도로의 개선 및 신규 도로의 신설이 매우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Demand for road traffic is rapidly increasing as the economy grows and traffic spreads increase. In order to meet such road traffic demands, improvement of existing roads and establishment of new roads are actively promoted.

또한 교통수단의 고급화와 고속화가 이루어지면서 도로교통의 수요자인 시민들은 보다 빠른 교통체계를 요구하고 있다.In addition, with the advancement and speeding up of transportation, citizens who are demanders of road traffic are demanding faster transportation system.

이에 따라 최근 추진되는 도로 건설은 도로망을 격자화하여 구성하고 격자화된 도로는 가능한한 직선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로망의 격자화 및 직선화는 도로건설의 효과를 전국에 고루 미치도록 함으로서 전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유도할 뿐만아니라 도로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As a result, the recent road construction is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the grid of the road network and straightening the latticed road as much as possible. Gridization and straightening of the road network are very important to smooth the flow of road traffic as well as inducing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whole country by making the effect of road construction even throughout the country.

한편, 전국토의 70% 이상이 산악지대를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위와 같이 도로건설을 격자화하고 직선화하기 위해서는 그 지형적 특성상 필연적으로 터널과 교량의 수가 급증하게 된다. 특히 자연 환경보전에 대한 시민의식이 높아지면서 자연생태계의 흐름을 차단하는 지상도로에 비해 자연생태계를 보호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터널 건설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1980년대 국내 도로건설이 급증하기 시작한 이후부터 터널의 건설 증가율은 도로의 건설 증가율에 비해 훨씬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향후 더욱 가파르게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On the other hand, in Korea, where more than 70% of the nation's land is mountainous, the number of tunnels and bridges inevitably increases due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grasp and straighten road construction. Especially, as the citizens' consciousness about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creases,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of a tunnel which is perceived to be more advantageous to protect the natural ecosystem compared with the ground road which blocks the flow of the natural ecosystem is getting bigger. As a result, since the construction of domestic roads started to increase rapidly in the 1980s, the growth rate of the tunnel construction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road construction,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more steeply in the future.

또한 건설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나타나고 있는 터널의 건설의 특징적인 양상은 단순히 터널 건설의 양적인 증가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터널의 장대화를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터널의 장대화는 터널의 직선화에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교통 소통의 원활에 크게 이바지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with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is not merely a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but the tunnel of the tunnel. Tunnel field conversation has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straightening of the tunnel, thus contributing to smooth traffic communication.

그러나 이는 터널 내 교통사고의 증가를 불러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교통사고의 다양화와 복합화라는 어려운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 장대화된 터널 내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터널 내부는 극히 제한된 통로로 인하여 쉽게 외부와 차단된다. 따라서 폐쇄된 터널 공간 내부에서 사고는 단순히 하나의 사고에 그치지 않고 여러 가지 복합적인 상황으로 전이다.However, this not only leads to an increase in traffic accidents in the tunnel, but also causes difficult problems such as diversification and complexity of traffic accidents. If an accident occurs in a tunnel, the inside of the tunnel is easily blocked from the outside due to extremely limited passage. Inside the closed tunnel space, therefore, the accident is not merely an accident but a transition to multiple complex situations.

특히 대부분의 교통수단이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근래의 교통 환경 하에서는 교통사고의 많은 부분이 화재로 이어지는 경향이 높다. 터널 내 화재는 발화점 부근의 내부온도를 100~1000℃까지 급격하게 상승시켜 위험도를 증가 시키며, 특히 폐쇄공간의 특성상 발생되는 연기는 빠른 속도로 퍼지게 되고 이로 인한 사망자중 연기에의한 질식사가 70%이상을 차지한다.Especially in the recent traffic environment where most transportation means use fossil fuel as a main energy source, a lot of traffic accidents tend to lead to fire. In tunnel fire, the internal temperature near the ignition point is rapidly increased to 100 ~ 1000 ℃ to increase the risk. In particular, the smoke generated by the nature of the closed space spreads rapidly, resulting in 70% Or more.

장대형 터널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비록 작은 사고일지라도 사고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여 빠르게 수습하지 않으면 공간적으로 폐쇄된 터널 내부에 고립되어 있는 사람들은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처럼 위험 상황은 터널의 길이가 길수록 그 길이에 비례하여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터널 내 사고발생시 1차사고에 대한 적절한 대응조치가 신속하게 있을 경우 생존가능 시간인 골든타임을 지킬 수 있으며,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f an accident occurs in a large tunnel, even if it is a small accident, it is highly likely that people who are isolated inside a spatially closed tunnel will be in a very dangerous situation if the accident situation can not be quickly identified and quickly resolved. The danger is that the longer the tunnel, the larger the length of the tunnel in proportion to its length. Also, in case of an accident in a tunnel, if there is a quick response to the first acciden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Golden Time, which is the time of survival, and prevent further accidents.

위와 같은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터널 내 안전 대책이 요구됨에 따라 다방면으로 안전대책이 마련되고는 있으나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안전 대책은 매우 단편적이고 원시적인 형태에 머무르고 있다.As the above-mentioned practical needs require safety measures in the tunnel, safety measures are prepared in various aspects. However, most of the safety measures currently implemented are in a fragmentary and primitive form.

터널 내에 예비 환풍시설을 다수 개 설치하고 특별한 상황이 발생되어 환기에 문제가 생기면 예비 환풍시설을 가동하여 환풍의 효율을 높이고 터널의 필요한 개소에 다수의 비상전화를 설치하고 사고를 인지한 터널내의 사람이 이를 이용하여 터널 내의 사고 상황을 터널관리자에게 알린다.If a number of preliminary ventil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the tunnel and a ventilation problem arises due to a special situation, the preliminary ventilation facility is opera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In addition, a number of emergency telephones are installed in necessary places of the tunnel, This is used to inform the tunnel manager of the accident situation in the tunnel.

또한, 터널내에 CCTV를 설치하고 CCTV에서 전송되어 온 신호를 관리실에서 관리자가 육안으로 감시하고 기록하고 이를 인지한 관리자가 사고의 발생을 즉시 유관기관에 알려 사후 처리에 참여하도록 한다.In addition, CCTV is installed in the tunnel,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CTV is monitored and recorded by the manager in the management room. The manager who recognizes the incident informs the concerned organization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and participates in the post-processing.

그러나 위와 같은 모든 안전수단은 터널내에서 발생된 사고의 여부만을 단편적으로 전달하고 있을 뿐 터널내의 위험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알려주거나 정확한 사고의 내용 및 진행상황을 알려주지는 못하기 때문에 사고의 신속한 인지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정확한 사고의 내용 및 진행상황을 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하지 못함으로서 작은 사고를 대형 사고로 확산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all of the safety measures mentioned above are only a partial transmission of the accidents occurring in the tunnel, and they can not predict the danger situation in the tunnel or inform the contents of the accident and the progress of the accident. There is a problem and there is a problem of spreading small accidents to large accidents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exact contents and progress of the accidents and can not take appropriate follow-up promptly.

특히 위와 같은 각각의 안전 수단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재장치들이 개별적으로 가설되어 운용됨에 따라 이를 통일적으로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실효성있는 방재가 어렵고 특히 대형사고 발생시 체계적인 재난구조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each of the above-mentioned safety measures has a problem that the disaster prevention devices performing the respective functions are individually installed and operated,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m uniformly so that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is difficult and in particular, .

따라서 터널 내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과 발생한 화재로부터 차량 탑승자를 대피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대피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ystem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fire occurs in a tunnel, a system for evacuating a vehicle occupant from a fire, and a method for evacuat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with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구체적으로,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들을 대피시켜 화재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lower the mortality rate caused by fire by evacuating the vehicle occupants when a fire occurs in the tunnel.

또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asp the exact accident location by using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또한, 차량의 위치로부터 피난통로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차량에서 하차하여 대피하는 방법과 운전하여 대피하는 방법 중 최선의 방법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안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select and guide the best method out of the method of getting off the vehicle and evacuating by calculating the time from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th.

또한, 터널 외부의 차량에도 화재의 발생여부 및 대피방법을 알림으로써 다중 충돌을 예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multiple collisions by informing the vehicle outside the tunnel of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a method of evacu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서버는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서버에 있어서,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evacuation guidance server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a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ner section of the tunnel corresponding to the guiding section, Wherein the first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The first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secon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degree of the fire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has occurre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ow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evacuates from the fire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Comprising: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group the second vehicle, and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e section.

또한, 상기 터널은 복수의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복수의 피난통로 중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있는 가장 가까운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the method of evacuating the second vehicle occupant further includes a step of evacuating the fire from the second one of the plurality of evacuation paths It may be evacuating toward the nearest evacuation pass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it occurred.

또한,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우회경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갓길에 정차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re is a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evacuates toward the detour path, If there is no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may be to stop at the shoulder of the road on which the second vehicle is traveling.

또한, 상기 터널은 복수의 차량용 피난통로 및 대인용 피난통로를 구비하고,Further, the tunne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hicle evacuation routes and a evacuation route for the passengers,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상기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 및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제 2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s a first evacuation method in which an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gets off and evacuates to the evacuation passage for a vehicle or the evacuation route for a prize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in which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drives the second vehicle and evacuates to the vehicle evacuation passage.

또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Further, 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the predetermined walking spee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and the second time is calculated from the second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a predetermined speed of the second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차량은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기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OBD(On-Board Diagnosis),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에 의해 생성된 터널 내 발생한 화재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Meanwhile, a vehicle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that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n OBD (On-Board Diagnosis)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second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to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2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fire generated in a tunnel generated by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and the third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fire that is evacuated from the fire Information about the method.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시스템은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며, 복수의 차량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기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OBD(On-Board Diagnosis),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터널 내 발생한 화재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 및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system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evacuation methods for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erv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includ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 OBD (On-Board Diagnosis)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The fir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from the server, information about a fire generated in the tunnel generated by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a method of evacuating from the fire,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Wherein the server receives first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that is a vehicle that has entered a first section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And a second information generating unit generating secon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degree of fire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has occurred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e section, the third information being information on how a passenger of a second vehicle, which is a vehicle in the guide section, evacuates from the fire; 3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대피안내 방법은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은 안내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vacuation guidance method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guiding a evacuation method to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ner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a first section as an inner section of the tunnel and a second section a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correspond to a guidance section, and the first section, which is a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A first step of receiving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and a position of a vehicle, a first step of receiving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vehicle, A second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d a second step of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ow the passenger of the second vehicle, which is the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And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Lt; / RTI >

또한, 상기 터널은 복수의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있는 피난통로 중 가장 가까운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the method of evacuating the second vehicle occupant is carried ou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occurs from the second vehicle Or evacuate to the nearest evacuation channel of the evacuation channel.

또한,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우회경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고,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갓길에 정차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re is a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evacuates toward the detour path, If there is no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may be to stop at the shoulder of the road on which the second vehicle is traveling.

또한, 상기 터널은 복수의 차량용 피난통로 및 대인용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상기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 및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제 2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the third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 passenger of the second vehicle gets of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evacuation path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for evacuating the passenger or the second evacuation passageway to the passageway or the evacuation passageway for the passenger,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for the passenger of the second vehicle to drive the second vehicle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passageway.

또한,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Further, 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the predetermined walking spee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and the second time is calculated from the second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a predetermined speed of the second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차량의 대피방법 수신방법은 차량의 위치정보 및 상기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에 의해 생성된 터널 내 발생한 화재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evacuation method receiving method including a first step of receiving positional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a first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ositional information and the operating state,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a third step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second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from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thir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wherein the second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a fire generated in the tunnel generated by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and the third information is a method of evacuating from the fire Lt; / RTI >

한편,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대피방법 안내 방법은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이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정보 및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차량이 상기 제 1 정보를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상기 제 1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널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에 위치하는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제 3 정보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상기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guiding the evacuation method related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guiding a evacuation method to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the tunnel corresponding to the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the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step in which a first vehicle, which is a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receives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vehicle, To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uses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vehic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ire in the tunnel occurs, 2 information from the fire,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uses the second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which is the vehicle located in the guiding section, A fourth step of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about a method of avoiding the vehicle, a fifth step of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And a sixth step of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ethod guide server,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

본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구체적으로,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들을 대피시켜 화재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can be evacuated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caused by the fire.

또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curate accident location can be grasped.

또한, 차량의 위치로부터 피난통로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차량에서 하차하여 대피하는 방법과 운전하여 대피하는 방법 중 최선의 방법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다.Further, by calculating the time from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the best method among the method of getting off the vehicle and evacuating the vehicle and the method of evacuating by driving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guided.

또한, 터널 외부의 차량에도 화재의 발생여부 및 대피방법을 알림으로써 다중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multiple collisions can be prevented by informing the vehicle outside the tunnel of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the method of evacu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터널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대피하기 위한 피난통로를 두고 있는 터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의 차량에 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의 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에서 차량이 GPS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GPS송신기가 구비된 터널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대한 터널 외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가 제 2 정보 및 제 3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in which an evacuation passage for evacuating an accident occurs in a tunnel.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for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of a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guidance method using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in which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GPS transmitter for receiving GPS signals in a tu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tate of a vehicle located outside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a screen o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vehicle outputs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로 및 철도교통의 고속화로인해 산악지대가 많은 지역에서는 다수의 장대터널(5km이상) 구간을 건설해야 한다. 이러한 장대터널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이어지는 경향이 매우 높다. 터널은 폐쇄된 공간으로서 화재로 인한 화염 및 연기 등에 의해 터널 내 차량 탑승자의 사망률이 매우 높다. 특히, 터널사고의 특성상 초기대응 미흡으로 인해 차량 내무 빛 발화지점 210m 이내에서 사망률이 90%에 이른다. 이러한 화재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터널에는 도 1 과 같이 피난통로를 마련하고 있다.Roads and railways Due to the high speed of traffic, a large number of pole tunnels (over 5 km) must be constructed in many mountainous areas. In such a tunnel, traffic accidents tend to lead to fire. The tunnel is a closed space, and the mortality rate of the vehicle occupants in the tunnel is very high due to the fire and smoke caused by the fire.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tunnel accident, the initial response is insufficient, and the mortality rate reaches 90% within 210m of the ignition point of the vehicle interior light. To prepare for such a fire accident, an evacuation passage is provided in the tunnel as shown in Fig.

도 1 은 터널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대피하기 위한 피난통로를 두고 있는 터널의 일례를 나타낸다.1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in which an evacuation passage for evacuating an accident occurs in a tunnel.

차량 탑승자들이 대피방법을 신속하게 파악하지 못하면 이러한 피난통로를 백분 활용하기가 힘들고 종래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한 대피안내 방법은 신속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If the vehicle occupants can not quickly grasp the evacu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fully utilize the evacuation pathwa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vacuation guidance method by the conventional system manager is not quick.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사고를 파악하고 대피방법을 알리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system to detect fire accidents and inform the evacuation method using vehicle inform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does not unduly limi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ntire structur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essential as 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의 차량에 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을 나타낸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for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대피안내 시스템의 차량은 OBD(On-board Diagnosis)(110), 무선 통신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차량이 구현될 수도 있다.The vehicle of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may include an OBD (On-board Diagnosis)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 memory 140, a control unit 150, and the like.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and a vehicle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먼저, OBD(On-board Diagnosis)(110)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으로서, OBD(110)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는 정보로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온도, 에어백 동작여부 및 브레이크 동작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First, OBD (On-Board Diagnosis) 110 is a system for diagnosing the operating state of a vehicle.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using the OBD 110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speed, acceleration, temperature, Whether or not it is in operation, and the like, and information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무선 통신부(120)는 차량과 서버 사이 또는 차량과 차량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121), 무선 인터넷 모듈(122), 근거리 통신 모듈(123) 및 위치정보 모듈(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erver or between the vehicle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vehicle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1, a wireless Internet module 122,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23,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4, and the like.

이동통신 모듈(12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1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12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2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in a vehicle.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technology of the wireless Internet.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12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Als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23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 정보 모듈(12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24)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24)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24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24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a trigonometric method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string of latitude, longitud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At present, a method of calculating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calculated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Also, the GPS module 124 can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in real time.

다음으로, 출력부(13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음향 출력 모듈(132) 등이 포함될 수 있다.Next, the output unit 130 generates an output related to visual or auditory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31, an audio output module 132,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31)는 차량이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화재에 관한 정보 및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1 outputs information received by the vehicle from the server.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fire and information about the evacuation method can be output.

한편,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And a flexible display.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2)은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32)은 서버로부터 수신한 화재에 관한 정보 및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와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3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or stored in the memory 140. [ The sound output module 132 also outputs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information on the fire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method. The audio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메모리(140)는 제어부(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4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The memory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5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The memory 140 may also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data.

상기와 같은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such as SD or XD memory, ),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제어부(controller)(150)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5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의 서버에 대한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을 나타낸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of a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의 서버는 메모리(210), 통신부(220), 수신부(230), 정보처리부(240) 및 송신부(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서버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er of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may include a memory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reception unit 230,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and a transmission unit 250. 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nd a server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먼저 메모리(210)는 정보처리부(2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First, the memory 21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and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또한 메모리(210)는 터널의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대인용 피난통로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10 may also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evacuation passage or the escape route of the tunnel.

상기와 같은 메모리(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1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 memory, a magnetic disk, or an optical disk.

다음으로, 통신부(220)는 대피안내 서버와 차량 사이 또는 대피안내 서버와 대피안내 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유선통신 모듈(221), 무선 인터넷 모듈(222), 근거리 통신 모듈(2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evacuation guidance server and the vehicle or between the evacuation guidance server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evacuation guidance server is located.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221, a wireless Internet module 222,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23, and the like.

먼저 유선통신 모듈(221)은 전기 또는 광신호로 변환한 정보를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등의 통신 선로를 전송 매체로 하기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ASD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FTTO(Fiber To The Office) 등이 이용될 수 있다.First, 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221 refers to a module for converting information converted into electric or optical signals into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pair cable, a coaxial cable, an optical fiber cable, and the like. The module includes a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VDSL), Very High-Rate Digital Subscriber Line (VDSL), Fiber To The Home (FTTH), and Fiber To The Office (FTTO).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22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무선 인터넷의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2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technology of the wireless Internet.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22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의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23 is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한편, 수신부(230)는 터널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unit 23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and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vehicle entering the tunnel.

수신부(230)가 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통신부(220)의 일부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unit 230 receives the information, some modules of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used.

다음으로, 정보처리부(240)는 수신부(230)가 수신한 차량의 동작상태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내부 및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Nex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 severity of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230, Thereby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vehicle occupant located within the tunnel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from the entrance of the tunnel.

먼저, 정보처리부(240)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터널 내에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can u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o generat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the tunnel,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occurred.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가속도는 음의 값을 가지며, 차량의 온도가 상승한다면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뿐만 아니라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vehicle speed drops sharply, the acceleration has a negative value,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rises,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tunnel. In addition to these example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 fire can be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또한, 정보처리부(240)는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 fire occurrence position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정보처리부(240)는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내부구간 및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에 위치하는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는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Next,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vehicle occupant located in the interval from the entrance of the tunnel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o the preset loc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degree and position of the fire can do.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method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다음으로, 송신부(250)는 정보처리부(240)가 생성한 정보를 터널 내부구간 및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 내에 있는 차량 탑승자 및 시스템 운영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Next, the transmission unit 25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40 to the vehicle occupant and the system operator within the interval from the tunnel inner section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송신부(250)가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를 송신할 때에는 통신부(220)의 각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transmitting unit 250 transmits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each module of the communication unit 220 can be used.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들을 기초로 도 4를 참조하여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안내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guidance method using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터널의 내부구간을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을 제 2 구간이라 하고 제 1 구간 및 제 2 구간을 시스템의 안내구간으로 설정한다.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are set as a second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respectively, as a guide section of the system.

먼저,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이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 및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한다(S100).First, the vehicle entering the first section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S100).

차량이 위치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GPS모듈(124)가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폐쇄된 구조로 인해 인공위성의 GPS신호가 전달될 수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터널 내에서 차량이 GPS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GPS송신기가 구비된 터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와 같이 터널 내에 GPS 송신기가 설치된다면, 차량은 터널 내에서는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차량은 GPS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는 터널 진입구의 위치로부터 차량에 내장된 주행거리 측정기를 이용하여 터널 내에서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GPS module 124 may be used when the vehicle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Generally, the tunnel can not transmit the GPS signal of the satellite due to the closed structure. 5 shows an example of a tunnel in which a vehicle is equipped with a GPS transmitter for receiving GPS signals in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GPS transmitter is installed in the tunnel as shown in FIG. 5,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addition, the vehicle can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tunnel by using the travel distance measuring device built in the vehicle from the position of the tunnel entrance where the GPS signal can be directly received.

또한,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OBD(On-Board Diagnosis)(11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OBD(110)가 수신하는 정보로는 차량의 속도, 가속도, 타이어의 기압, 차량의 온도, 에어백의 동작여부 및 브레이크의 동작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차량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BD (On-Board Diagnosis) 110 can be used whe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BD 110 may include the speed an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he pressure of the tire,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whether the airbag is operating, whether the brake is operated,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차량이 상기 제 1 정보를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 송신한다(S200).Next, the vehicle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S200).

차량이 제 1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때에는 무선 통신부(120)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서버가 제 1 정보를 수신할 때에는 통신부(220)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used when the vehicle transmits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one or more of the modules of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be used when the server receives the first information.

차량은 서버로 제 1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로 제 1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vehicle can transmit the first information directly to the server as well as the first information to the server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다음으로,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한다(S300).Next,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uses the fir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o generate secon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and degree of the fire in the tunnel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S300).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고, 가속도는 음의 값을 가지며, 차량의 온도가 상승한다면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뿐만 아니라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의 발생여부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vehicle speed drops sharply, the acceleration has a negative value,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rises,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tunnel. In addition to these example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a fire can be generated us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다음으로,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구간에 위치하는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제 3 정보를 생성한다(S400).Next,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uses the second information to generate third information about how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located in the guiding section escapes from the fire (S400).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thir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한 차량의 탑승자는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여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방법, 차량의 차량이 터널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면 상기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있는 피난통로 중 가장 가까운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 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ssenger of a vehicle in which a fire occurs can be escaped from the vehicle to evacuate toward the evacuation passage. If the vehicle is located inside the tunnel, the vehicle occupant's evacuation method is per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vacuate to the nearest evacuation channel of the evacuation channel in.

또한, 차량이 터널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면 차량이 우회경로를 지나쳤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대피방법을 나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대한 터널 외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후방의 차량과 같이 차량이 우회경로에 진입할 수 있다면 대피방법은 상기 우회경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고, 전방의 차량의 경우 갓길에 정차하는 것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vehicle is located outside the tunnel, it can be divided on the basis of whether the vehicle has crossed the bypass route. FIG. 6 shows a state of a vehicle located outside a tun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hicle can enter a detour path like a vehicle behind it, the evacuation method is to evacuate toward the detour path, The vehicle can be stopped on the shoulder.

한편, 차량이 터널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과 차량을 운전하여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 모두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located inside the tunnel, the first evacuation method in which the occupant of the vehicle gets off and evacuates to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vehicle or the evacuation route for the passenger, and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for driving the vehicle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path for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또한, 제 3 정보는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시간은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제 2 시간은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third information may include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the distance from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evacuation method, Can be calculated using the speed.

다음으로, 대피방법 안내 서버가 상기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안내구간에 위치하는 차량으로 송신한다(S500).Next,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vehicle located in the guiding section (S500).

이후, 차량이 상기 대피방법 안내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S600).Thereafter, the vehicle outputs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vacuation method guide server (S6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가 제 2 정보 및 제 3정보를 출력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차량의 디스플레이는 화재에 관한 정보 및 대피방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Fig. 7 shows a screen on which the display unit of the vehicle outputs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vehicle can output information on the fire and information on the evacua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발명은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안내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ith an evacuation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구체적으로,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들을 대피시켜 화재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can be evacuated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caused by the fire.

또한, 차량의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정확한 사고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Further, by using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accurate accident location can be grasped.

또한, 차량의 위치로부터 피난통로까지의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차량에서 하차하여 대피하는 방법과 운전하여 대피하는 방법 중 최선의 방법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안내할 수 있다.Further, by calculating the time from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evacuation passage, the best method among the method of getting off the vehicle and evacuating the vehicle and the method of evacuating by driving can be automatically selected and guided.

또한, 터널 외부의 차량에도 화재의 발생여부 및 대피방법을 알림으로써 다중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multiple collisions can be prevented by informing the vehicle outside the tunnel of the occurrence of the fire and the method of evacu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Claims (14)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터널은 복수의 차량용 피난통로 및 대인용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상기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 및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제 2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방법 안내 서버.
A server for guiding a evacuation method for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that is a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The first information is used to generate secon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has occurre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ow a passenger of the vehicle evacuates from the fire;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The third information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Wherein the tunnel has a plurality of vehicle evacuation routes and a evacuation route for a ship,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s a first evacuation method in which an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gets off and evacuates to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vehicle or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second evacuation passage and the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drives the second vehicle,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of evacuating the vehicle,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Wherein said first time is calculated using a distance from said second vehicle to an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said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predetermined walking speed of said second vehicle occupant, The distance to the evacuation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set in adv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복수의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복수의 피난통로 중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있는 가장 가까운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방법 안내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nnel has a plurality of evacuation paths,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evacuates from the second vehicle toward the nearest evacuation passag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occur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우회경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갓길에 정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방법 안내 서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section,
If there is a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evacuates towards the detour path,
Wherein the second vehicle occupant's evacuation method stops at a shoulder of the road on which the second vehicle travels when there is no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며, 복수의 차량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량 각각은,
상기 차량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기 차량의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OBD(On-Board Diagnosis);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동작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1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버에 의해 생성된 상기 터널 내 발생한 화재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 및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 2 정보 및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차량 중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정보처리부;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은 복수의 차량용 피난통로 및 대인용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상기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 및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제 2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대피방법 안내 시스템.
A system for guiding a evacuation method for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compris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 OBD (On-Board Diagnosis)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The firs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tate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from the server, information about a fire generated in the tunnel generated by th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ow to evacuate from the fire; And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t least one of the received second information and third information,
The server comprises:
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ng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that is a first one of the plurality of vehicles;
Generating secon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degree of fire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the third information being information on how a passenger of a second vehicle, which is a vehicle, evacuates from the fire; And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Wherein the tunnel has a plurality of vehicle evacuation routes and a evacuation route for a ship,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s a first evacuation method in which an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gets off and evacuates to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vehicle or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second evacuation passage and the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drives the second vehicle,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of evacuating the vehicle,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Wherein said first time is calculated using a distance from said second vehicle to an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said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predetermined walking speed of said second vehicle occupant, The distance to the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안내구간에 해당하는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에 대해 대피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내부구간인 제 1 구간 및 상기 터널의 입구로부터 기 설정된 위치까지의 구간인 제 2 구간은 안내 구간에 해당하고,
상기 제 1 구간에 진입한 차량인 제 1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동작상태와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간 내 화재의 발생여부, 정도 및 상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관한 정보인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구간 내 차량인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화재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인 제 3 정보를 생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정보 및 상기 제 3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 2 차량으로 송신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안내구간에서 상기 제 2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상기 터널은 복수의 차량용 피난통로 및 대인용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 또는 상기 대인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1 피난방법 및 상기 제 2 차량의 탑승자가 상기 제 2 차량을 운전하여 상기 차량용 피난통로로 대피하는 제 2 피난방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정보는 상기 제 1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피난방법을 이용하여 대피하는 시간인 제 2 시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보행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고, 상기 제 2 시간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2 피난방법에 따른 피난통로까지의 거리 및 기 설정된 상기 제 2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내 화재발생시 차량정보를 이용한 대피방법 안내 방법.
A method of guiding a evacuation method for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ternal section of a tunnel corresponding to a guiding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n entrance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 second section, which is a section from a first section, which is an inner section of the tunnel to a predetermined section, corresponds to a guidance section,
A first step of receiving firs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and a position of the first vehicle, from a first vehicle which is a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first section;
A second step of generating secon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degree of the fire in the first section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using the first information;
A third step of generating third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ow a passenger of a second vehicle, which is a vehicle in the guiding section, evacuates from the fire using the second information; And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formation and the third information to the second vehicle,
The third information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vehicle in the guidance section,
Wherein the tunnel has a plurality of vehicle evacuation routes and a evacuation route for a ship,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s a first evacuation method in which an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gets off and evacuates to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vehicle or the evacuation passage for the second evacuation passage and the occupant of the second vehicle drives the second vehicle, And a second evacuation method of evacuating the vehicle,
Wherein the third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second time which is a time for evacuation using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Wherein said first time is calculated using a distance from said second vehicle to an evacuation passage according to said first evacuation method and a predetermined walking speed of said second vehicle occupant, The distance to the evacuation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evacuation method, and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set in advan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은 복수의 피난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으로부터 상기 화재가 발생한 방향의 반대방향에 있는 피난통로 중 가장 가까운 피난통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방법 안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unnel has a plurality of evacuation paths,
When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is to evacuate from the second vehicle toward the nearest evacuation passag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e occurr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량이 상기 제 2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있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우회경로를 향해 대피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차량과 상기 터널의 입구 사이에 우회경로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차량 탑승자의 대피방법은 상기 제 2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갓길에 정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피방법 안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vehicle is located in the second section,
If there is a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vacuation method of the second vehicle occupant evacuates towards the detour path,
Wherein the second vehicle occupant's evacuation method stops at a shoulder of the road on which the second vehicle travels when there is no detour path between the second vehicle and the entrance of the tu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57286A 2014-05-13 2014-05-13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KR101593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86A KR101593794B1 (en) 2014-05-13 2014-05-13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286A KR101593794B1 (en) 2014-05-13 2014-05-13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29A KR20150130629A (en) 2015-11-24
KR101593794B1 true KR101593794B1 (en) 2016-02-15

Family

ID=5484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286A KR101593794B1 (en) 2014-05-13 2014-05-13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7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326A (en) 2017-04-19 2018-10-29 (주)에스알디코리아 Tunnel exit shaft smart g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5412A (en) * 2016-06-29 2018-01-11 株式会社東芝 Evacu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and evacuation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모터트렌드 매거진 기사(2013. 2월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326A (en) 2017-04-19 2018-10-29 (주)에스알디코리아 Tunnel exit shaft smart 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29A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6854B1 (en) GPS assisted, radio-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uman or machine operated vehicle
US108181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trip inspection of a tractor-trailer
US11265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vehicle alert geofence
US20210276594A1 (en) Vehicle trajectory prediction near or at traffic signal
KR101871826B1 (en) Apparatus and metnod for controlling a traffic based on unmanned air vehcle
CN106104653B (en)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system of traffic congestion warning
US20160363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network equipment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6549699A (en)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transmission SOS in the vehicle of unmanned vehicle
KR102208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ponse disaster situations in mountain area using UAS
CN102938215B (en) One commands method and system of dealing with emergencies and dangerous situations
CN102081855A (e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vehicle-mounted terminal
US20200029233A1 (en) Interference-aware applications for connected vehicles
KR101593794B1 (en) A development of tunnel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vehicle OBD information when a fire breaks out
KR101776750B1 (en) Server,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all enable information of driver
KR102165158B1 (en) Disaster response robot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s thereof for first response
JP2006318003A (en) Earthquake alarm device for vehicle and program
JP2014048297A (en) Route calculation method using central station
KR101403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scene of terminal in vehicle
US2021040482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mobile unit and method for emitting a piece of hazard information
US10906534B2 (en) Automatic stop device and automatic stop method
US202201039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tealth mode of emergency vehicle
CN115523938A (en) Traffic navigation metho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826607A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ldfire evacuation support
KR20100004326A (en) Server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thereof for navigation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thereof from server of providing information
TWM472235U (en) Safe guiding system and its ser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