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278B1 -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278B1
KR101593278B1 KR1020130164386A KR20130164386A KR101593278B1 KR 101593278 B1 KR101593278 B1 KR 101593278B1 KR 1020130164386 A KR1020130164386 A KR 1020130164386A KR 20130164386 A KR20130164386 A KR 20130164386A KR 101593278 B1 KR101593278 B1 KR 10159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eanut harvester
motor
shaft
pea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6384A (en
Inventor
강영선
소진환
남요상
이병용
김기홍
안희명
홍이수
이은상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278B1/en
Publication of KR2015007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3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9/00Harvesters for pea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7/00Digging machines with sieving and conveying mech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수확기에 부착되어 흙을 털기 위한 채형태의 선별판(10)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땅콩수확기에서 선별판(10)은 전방축(10) 및 후방축(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부(40)에는 상기 전방축(12)이 수납되어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한 장공(42)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의 회전력은 제1링크(22)를 회동시키고, 제2링크(24)도 같이 움직여서, 선별판(10)의 전단부분을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센서(110)는 땅콩수확기의 수평상태를 감지하고, 포텐셔미터(30)는 제1링크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평센서에서 감지되는 기울기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20)를 구동시켜 제1링크를 회동시키고, 상기 포텐셔미터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링크를 제어하게 된다. 제1링크 및 제2링크가 선별판의 일측을 승하강시킴으로써, 땅콩수확기가 기운 경우에도 이를 보상하여 선별판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holding a sorting plate 10 horizontally attached to a peanut harvester to remove soil. In the peanut harvester, the sorting plate 10 is supported by the front shaft 10 and the rear shaft 13. The support portion 40 is formed with a slot 42 in which the front shaft 12 is received and movable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rotates the first link 22 and the second link 24 also moves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late 10 can be lifted or lowered. The horizontal sensor 110 senses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eanut harvester, and the potentiometer 30 senses the rotational angle of the first link. The control unit 100 drives the motor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tilt value sensed by the horizontal sensor to rotate the first link and controls the first link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potentiometer. By mov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up and down one side of the sorting plate, even when the peanut harvester is tilted, the sorting plate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by compensating.

Description

땅콩 수확기의 선별체 수평유지장치{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keeping a peanut harvester,

본 발명은 땅콩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겨져 있던 흙에서 채취되어 분리된 땅콩에 붙어 있는 흙을 털어내기 위한 선별판이 수평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흙털기 과정의 효율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anut harv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peanut harvester for a peanut harvesting machine,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of a sorting plate for removing soil adhered to a peanut, To a sorting plate leveling device of a peanut harvester.

일반적인 땅콩 수확기가 도시되어 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땅콩수확기는, 엔진에서의 구동력에 의하여 주행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전방에 설치되어 땅속의 뿌리를 굴취하면서 줄기를 잡아서 수확하는 굴취 및 수확부(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s shown in Fig. 1, in which a general peanut harvester is shown, a peanut harvester includes a main body 2 running on the basis of a driving force from an engine, and a main body 2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2, And a culling and harvesting section 4 for catching and harvesting.

상기 본체(2)는, 구동원이라고 할 수 있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회전하는 크롤러(7)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굴취 및 수확부(4)는 본체(2)의 주행과 같이, 땅속에 있는 뿌리를 파기 위한 굴취부와 상기 굴취부에 의하여 흙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의 땅콩 줄기를 잡아서 당김으로써 수확하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The main body 2 includes an engine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driving source and a crawler 7 which rotates based on an output from the engine. And the harvesting and harvesting section 4 is a harvesting and harvesting section for harvesting crops by pulling and pulling a peanut stem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soil by the gullible section, .

이렇게 수확된 땅콩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흙털기 장치에 의하여 1차적으로 뿌리 부분에 붙어 있던 흙이 털어진 상태에서 선별판(6)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6)은 땅콩과 뿌리에 포함되어 있는 흙을 다시 털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선별판(6)이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땅콩 수확기의 일반적인 구동원리를 보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판(6)의 선단 및 후단부에는 각각 전방축(6a) 및 후방축(6b)이 설치되어 있다. The thus-harvested peanuts are transported to the sorting plate 6 in a state in which the soil attached to the root portion is primarily shaved by an earth shaker, though not shown. The sorting plate 6 functions to remove the soil contained in the peanuts and roots, and this function is achieved by the rocking of the sorting plate 6. [ As shown in FIG. 2 showing the general driving principle of the peanut harvester, a front shaft 6a and a rear shaft 6b are provid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orting plate 6,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전방축(6a)은 본체(2)에 고정되어 있는 부재(M)의 장공(Ma)에 삽입되어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축(6b)은 풀리(P)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축(6b)은 풀리(P)의 중심(C)이 아닌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에서의 동력이 벨트(B)를 통하여 전달되어 풀리(P)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후방축(6b)은 편심된 거리에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하게 된다. The front shaft 6a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Ma of the member M fixed to the main body 2 and is supported to be movable at constant intervals and the rear shaft 6b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pulley P It is connected. And the rear shaft 6b is connected to an eccentric position other than the center C of the pulley P. [ Therefore, when the power in the engine is transmitted through the belt B and the pulley P is rotated, the rear shaft 6b performs circular motion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eccentric distance.

따라서 선별판(6)의 우측단부가 원운동을 하게 되고, 좌측단부는 일정 거리 내에서 그에 대응하는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선별판(6)은 요동하게 된다. 이러한 선별판(6)의 요동에 의하여 땅콩 및 뿌리에 붙어 있던 흙이 분리되어, 상기 선별판(6)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선별판(6)은 일종의 채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흙이 그를 통하여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right end of the sorting plate 6 performs the circular motion, and the left end thereof performs the linear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within a certain distance, and as a result, the discriminating plate 6 swings. The soil attached to the peanut and the root is separated by the rocking motion of the sorting plate 6 and falls downwardly of the separating plate 6. The sorting plate 6 has a shape of a kind of poles, so that the soil can be dropped downward through i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상기 선별판(6)은 본체(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2)의 주행 중에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선별판(6)의 상부에 있는 뿌리 및 땅콩 등이 일측으로 쏠리게 된다. 이렇게 뿌리 및 땅콩 등이 일측에 집중되면 선별판(6)의 요동에 의한 흙털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아주 높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plate 6 remains fixed to the main body 2. Therefore, when the main body 2 is tilted forward or backward while the main body 2 is running, roots and peanut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rting plate 6 are tilted to one side. When the roots and peanuts are concentrated on one sid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oil is not properly formed due to the rocking motion of the plate 6.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땅콩 수확기의 선별판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요동에 의한 흙털기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anut harvester having a sorting plate which is always kept in a horizontal state, so that the peeling of the soil caused by rocking can be most efficiently achiev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땅콩수확기에 부착되어 흙을 털기 위한 채형태의 선별판이 전방축과 후방축에 의하여 지지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전방축이 수납되어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한 장공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후방축을 지지하는 후방축 지지수단; 그리고 상기 모터에서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전방축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후방축 지지수단은, 땅콩수확기의 엔진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풀리와 후방축을 연결하여, 후방축이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공전되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rting plate horizontal holding device for a peanut harvester, the sorting plate of which is attached to a peanut harvester and is used to remove soil, is supported by a front shaft and a rear shaft; A motor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support portion having a long hole in which the front shaft is accommodated and movable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 rear shaft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rear shaft; And a front axle mov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 the motor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the support portion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rear axle support means comprises a pulley which is rotated by the power in the engine of the peanut harvester and a pulley which connects the pulley and the rear ax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pulley so that the rear axle revolves And a connecting means.

그리고 전방축 이동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단부가 땅콩수확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한 제1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ront axle moving means, the lower link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peanut harvester and the first link is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he lower link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링크는 제1링크와 연결되는 링크하부와 지지부와 연결되는 링크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상부와 링크하부는 나사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nk is composed of a lower link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an upper link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the upper link and the lower link are screw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땅콩수확기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센서와, 상기 제1링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셔미터, 그리고 상기 수평센서에서 감지되는 기울기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제1링크를 회동시키고, 상기 포텐셔미터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링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anut harvester comprising: a horizontal sensor for detecting a horizontal state of a peanut harvester; a potentiomete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irst link; and a motor for driving the motor to correspond to a tilt value sensed by the horizontal sensor And a control unit for turning the first link and controlling the first link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potentiome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링크의 하단부는 땅콩수확기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서의 회전력은 워엄 및 워엄기어를 통하여 상기 지지축에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link is connected to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peanut harvester,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Axis.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하면서 땅콩을 수확하는 경우, 땅콩수확기가 지면에 따라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선별판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선별판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땅콩 및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을 효율적으로 털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peanut is harvested while traveling, even if the peanut harvester is inclined along the grou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plate can be maintain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Therefore, when the invention is applied, the sorting plate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action effect that the soil attached to the peanut and the root can be effectively shaken out.

도 1은 일반적인 땅콩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선별판의 구동원리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별판 주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유지장치의 요부를 예시한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유지장치의 후방 부분의 배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peanut harvester.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driving principle of a conventional sorting pl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rimeter of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rear portion of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하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선별판(10)은 망 또는 채와 같이 흙이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좌우 양측에는 지지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선별판(10)의 선단에는 전방축(12)이 설치되어 있고, 후단에는 후방축(13)(도 5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screening plate 10 shown in FIG. 3 is formed so that the soil can be dropped downwardly like a net or a frame, and at leas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re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14. A front shaft 1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sorting plate 10, and a rear shaft 13 (see FIG. 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상기 전방축(12) 및 후방축(13)은, 실질적으로 선별판(10)의 선단 및 후단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전방축(12) 및 후방축(13)의 움직임은 선별판(10)의 움직임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축(12) 또는 후방축(13)의 어느 일측이 일정 구간 내에서 상하 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선별판(10)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흙털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It can be said that the front shaft 12 and the rear shaft 13 substantially suppor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iscriminating plate 10 and the movement of the front shaft 12 and the rear shaft 13 is the sam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late 12 or the rear plate 13 is adjusted so that one side of the front plate 12 or the rear plate 13 can move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y enabling the plate 10 to be kept horizontal at all times, .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축(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후방축(13)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편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원운동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선별판(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 선별판(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축(12)이 상하 운동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shaft 12 is vertically movable. The rear shaft 13 is eccentrically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by inducing a constant circular movement, 10) can perform up and down movement within a certain range. Next, a structure for moving the front shaft 12 installed in front of the sorting plate 10 up and down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평유지장치는, 구동원으로써의 모터(20)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1링크(22), 그리고 상기 제1링크(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26), 그리고 상기 제2링크(26) 상에서 지지되는 지지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링크(22)는 모터(20)에 의하여 지지축(24)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20)는 정역회전 가능하고 제어부에 의하여 회전수 제어 가능한 모터이다. 4,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20 as a driving source, a first link 22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and a second link 22 that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22 A second link 26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6, and a support 40 supported on the second link 26. The first link 22 is rotated by the motor 20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bout the support shaft 24. The motor 20 is a motor rotatable in both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capable of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상기 모터(20)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1링크(22)가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에서는 많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20)가 직접 상기 지지축(24)을 회동시키도록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모터(20)가 상기 지지축(24)과 직각 관계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워엄 및 워임기어를 이용하여 지지축(24)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There may be many embodiments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link 22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about the support shaft 24 based on the output of the motor 20. [ For example, the motor 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rotate the support shaft 24, and the motor 20 may be installed such that the motor 20 is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shaft 24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the support shaft 24 using a worm and a worm gear.

예를 들면 상기 모터(20)의 출력축에는 워엄을 장착하고, 상기 지지축(24)에는 워엄기어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20)에서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축(24)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그외에도 상기 모터(20)에서의 회전력을 지지축(24)에 전달하여 상기 제1링크(22)를 회전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기어 또는 링크 등과 같은 공지된 동력 전달요소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20 to the support shaft 24 by mounting a worm on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20 and mounting a worm gear on the support shaft 24 .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rotation force from the motor 20 to the support shaft 24 to rotate the first link 22 through a known power transmission element such as a gear or a link Of course.

상기 지지축(24)은 제1링크(22)와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지지프레임(2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1)은 땅콩수확기의 본체에 지지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축(24)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The support shaft 24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2 so as to be interlocked,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21. Here, the support frame 21 is supported by the body of the peanut harvester, so that the support shaft 24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제1링크(22)의 상단부는 제2링크(26)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핀(p)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링크(22)와 제2링크(26)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26)의 상단부는 지지부(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0)는 상술한 전방축(1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축(12)이 수납되어 지지되면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장공(42)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공(42)은 후방이 열려 있어서 전방축(12)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nk (2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link (26). The first link 22 and the second link 26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pin p,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26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0. The support portion 40 is for supporting the front shaft 12. The support portion 40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hole 42 so that the front shaft 12 can be accommodated and linearly moved within a certain rang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longated hole 42 is open at the rear so that the front shaft 12 can be easily coupled.

그리고 상기 제1링크(22)와 제2링크(26)는, 선별판(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로 구성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 4개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링크(22,26)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40)와 정확하게 연결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링크가 정확한 치수를 가져야하고,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40)와 용접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치수관리가 더욱 엄격해진다. The first link 22 and the second link 26 are formed of a number of four in order to more reliably support the plate 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a plurality of links 22 and 26 are us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e accurate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0, each link must have an accurate dimension. For example, when the support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0 by welding or the like Such dimensional control becomes more seve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26)는, 링크상부(26a)와 링크하부(26b)로 구성되며 서로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링크상부(26a)는 외주면에 나사가공되고 링크하부(26b)는 상기 링크상부(26a)의 나사가공된 외측면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내부에 가공된 파이프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상부(26a)에는 고정을 위한 너트(26c)가 결합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nk 26 is composed of a link upper portion 26a and a link lower portion 26b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can be screwed together. That is, the link upper portion 26a is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link portion 26b is formed into a pipe shape in which a female screw thread is machined so that the threaded outer side of the link upper portion 26a can be screwed. A nut 26c for fixing is coupled to the link upper portion 26a.

따라서 조립전에 상기 링크상부(26a)와 링크하부(26b)의 나사 결합부분을 이용하여 모든 제2링크(26)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조절하고 너트(26c)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제2링크(26)를 제1링크(22) 및 지지부(40)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26)도 지지부(4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링크(26)의 상단부에 판상의 브라켓(2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판상의 브라켓(27)을 지지부(4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판상의 브라켓(27)과 지지부(40)의 하부는 핀 연결 등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before assembly, the lengths of all the second links 26 are adjusted to be equal to each other by using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link upper portion 26a and the link lower portion 26b, fixed with the nuts 26c, 26 to the first link 22 and the support 40. The second link 2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ate-shaped bracket 27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26, And the bracket 2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40. [ The plate-like bracket 27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4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hrough a pin connection or the like.

이와 같은 구조에서, 모터(20)가 구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는 시계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전하게 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제1링크(22)와 제2링크(26)는 직선에 가깝게 변형될 것이고, 지지부(40)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40)는 하강하게 될 것이다. In this structure, when the motor 20 is driven to rotate in one direction, the first link will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irst link 22 and the second link 26 are rotat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upport portion 40 is raised. When the motor 2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upporting part 40 will be lowered.

다음에는 선별판(10)의 후방축(13)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별판(10)은, 전방에서는 상술한 전방축(12)에 의하여 지지되고, 후방에서는 후방축(13)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선별판(10)은 전방축(12) 및 후방축(13)의 운동에 대응하여 요동운동을 하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Next, the rear shaft 13 of the discriminating plat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As shown in Fig. 3, the sorting plate 10 is supported by the front shaft 12 at the front and by the rear shaft 13 at the rear. Therefore, the sorting plate 10 performs the oscillating mo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s of the front shaft 12 and the rear shaft 13 as described above.

도 5에는 선별판(1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축(13)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방축(13)은 풀리(50)의 중심축(52)와는 이격된, 즉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52)과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축(13)은 풀리의 중심축(52)와 연결부재(5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데, 실질적으로 후방축(13)은 중심축(52)에 대하여 일정 거리(예를 들면 150mm) 편심된 위치에 지지되고 있다. 5, the rear shaft 13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sorting plate 10 is shown in more detail. The rear shaft 13 is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shaft 52 of the pulley 50 a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shaft 52 at an eccentric position. The rear shaft 13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haft 52 of the pulley by a connecting member 56. The rear shaft 13 is substantially spaced from the center shaft 5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50 mm).

그리고 상기 풀리(50)에는 도 2에 도시한 벨트(54)가 걸려 있어서, 엔진의 출력이 전달되는 벨트(54)를 통하여 풀리(5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풀리(50)의 회전운동은 연결부재(56)를 통하여 후방축(13)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축(13)은 상술한 편심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를 두고 회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은 실질적으로 편심거리에 대응하는 반지름을 가지는 공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belt 54 shown in FIG. 2 is attached to the pulley 50, and the pulley 50 is rotated through the belt 54 to which the output of the engine is transmitte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lley 50 is transmitted to the rear axle 13 via the connecting member 56. Accordingly, the rear shaft 13 rotates at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eccentric distance described above, and this rotation can be regarded as a revolution having a radius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eccentric distance.

다음에는 도 5를 같이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수평유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땅콩수확기에는 수평센서(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센서(110)는 땅콩수확기 본체가 주행하는 도중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는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땅콩 수확기가 행하면서 땅콩을 수확하는 과정에서 전방으로 일정각도(예를 들면 10도)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수평센서(110)는 이를 감지하여, 전방으로 10도 기울어졌다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센서는 땅콩수확기 본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선별판(1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rst, a horizontal sensor 110 is installed in the peanut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ensor 110 senses whether or not the peanut harvester main body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uring traveling. For example, when the peanut harvester is in the process of harvesting the peanut, the horizontal sensor 110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peanut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0 degrees) (100). Such a horizontal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peanut harvester main body, or may be installed in the sorting plate 10. [

그리고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2) 주변에는 제1링크(22)의 각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링크위치 검출센서(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검출센서는 포텐셔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센서(30)는 상기 제1링크(22)가 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할 때 회전하는 정도를 검출하여 그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달하게 된다. 3, a link position detecting sensor 30 capable of detecting the angular position of the first link 22 is provided around the first link 22. This detecting sensor is constituted by a potentiometer . The detection sensor 30 detects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link 22 when the first link 22 is rotated by the motor 20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100.

상기 수평센서(110)에서 땅콩수확기의 기울기 값을 전달받는 제어부(100)는 그에 대응하여 상기 선별판(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의 신호에 따라서 모터(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링크(22)는 전방축(12)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 예를 들면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00 receiving the tilt value of the peanut harvester in the horizontal sensor 110 may rotate the motor 20 forward or reverse so as to maintain the plate 10 in a horizontal state, do. When the motor 20 rotates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100, the first link 22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haft 12 can be moved upward, for example, Thereby rotating about the support shaft 24.

이때 상기 링크위치 검출센서(30)는 제1링크(22)의 각위치를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전송하게 되고, 땅콩수확기의 기울어진 정도에 대응하는, 즉 기울어진 정도를 보상하여 선별판(1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제1링크(22)가 이동하게 되면, 상기 검출센서(30)에서의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모터(2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nk position detection sensor 30 detects each position of the first link 22 and transmits the detected position to the control unit 100, and compensates for the degree of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peanut harvester, The control unit 100 stops the driving of the motor 20 based on the position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30 when the first link 22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link 22 can be held horizontally do.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선별판(10)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은, 상기 수평센서(110)에서 본체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이러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모터(20)를 구동하고 링크위치 검출센서(30)에서 감지되는 현재의 제1링크(22)의 위치값에 기초하여 모터(20)의 구동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땅콩수확기의 주행시 자동으로 선별판(10)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inclination of the main body is sensed by the horizontal sensor 110,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motor 20 to be driven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20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rst link 22 sensed by the link position detecting sensor 30 so that the discriminating plate 10 can be automatical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20)가 링크기구(22,26)을 이용하여 선별판(10)의 경사진 단부를 보정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링크기구를 대신하여 기어 등과 같은 다른 동력전달 요소를 이용하여 선별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랙과 피니언 등의 기계요소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고, 그 외에도 모터의 회전력을 수직방향으로의 직선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otor 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by correcting the inclined end portion of the discriminating plate 10 by using the link mechanisms 22 and 26. It will be appreciated, however, that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power transmission elements, such as gears, in place of the link mechanism described above to maintain the leveling of the sorting plate. For example, a mechanical element such as a rack and a pinion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vice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linear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땅콩수확기의 주행시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기울어짐에 의하여 선별판이 기울어지면 흙을 털어내는 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여 선별판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anut harvester is tilted when traveling, the efficiency of shaking off the soil is lowered when the sorting plate is tilted due to such tilting, so that the discriminating plate can be held horizont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idea is to d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선별판
12 ..... 전방축
13 ..... 후방축
14 ..... 지지프레임
20 ..... 모터
21 ..... 지지프레임
22 ..... 제1링크
26 ..... 제2링크
27 .... 브라켓
26a ..... 링크상부
26b ..... 링크하부
26c ..... 너트
30 ..... 링크위치 검출센서
40 ..... 지지부
42 ..... 장공
100 ..... 제어부
110 ..... 수평센서
10 ..... Selection board
12 ..... front axle
13 ..... rear axle
14 ..... Support frame
20 ..... motor
21 ..... support frame
22 ..... first link
26 ..... second link
27 .... Bracket
26a ..... link top
26b ..... link lower part
26c ..... nut
30 ..... Link position detection sensor
40 ..... support
42 ..... Slots
100 ..... controller
110 ..... Horizontal sensor

Claims (6)

땅콩수확기에 부착되어 흙을 털기 위한 채형태의 선별판(10)이 전방축(12)과 후방축(13)에 의하여 지지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로써;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20)와;
상기 전방축(12)이 수납되어 일정 구간 이동 가능한 장공(42)을 구비하는 지지부(40);
땅콩수확기의 엔진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풀리(50);
상기 풀리의 중심축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풀리와 후방축을 연결하여, 후방축이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여 공전되도록 하는 연결수단; 그리고
상기 모터(20)에서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는 전방축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
A sorting plate horizontal holding device of a peanut harvester attached to a peanut harvester and supported by a front shaft (12) and a rear shaft (13), the sorting plate (10)
A motor (20)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support portion 40 having an elongated hole 42 in which the front shaft 12 is accommodated and movable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A power-driven pulley 50 at the engine of the peanut harvester;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pulley and the rear axl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pulley such that the rear axle revolves corresponding to the spaced distance; And
And a front axle mov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20) into a linear motion and moving the support portion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축 이동수단은;
하단부가 땅콩수확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한 제1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axle moving means comprises:
A first link rotatably supported by the peanut harvester at a lower end thereof and rotatabl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ased on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second link rotatably support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first link and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제1링크와 연결되는 링크하부(26b)와 지지부와 연결되는 링크상부(26a)로 구성되고, 상기 링크상부(26a)와 링크하부(26b)는 나사 연결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link comprises a link lower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a link upper portion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Separate plate leveling device with connected length adjustable peanut harvester.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땅콩수확기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센서와;
상기 제1링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포텐셔미터; 그리고
상기 수평센서에서 감지되는 기울기값에 대응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제1링크를 회동시키고, 상기 포텐셔미터에 의하여 감지되는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링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4,
A horizontal sensor for detect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eanut harvester;
A potentiometer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first link;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link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potentiometer while driving the motor to rotate the first link so as to correspond to a tilt value sensed by the horizontal sensor Screening plate level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의 하단부는 땅콩수확기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에서의 회전력은 워엄 및 워엄기어를 통하여 상기 지지축에 전달되는 땅콩수확기의 선별판 수평유지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a lower end of the first link is connected to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peanut harvester, and a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shaft through a worm and a worm gear Screening plate leveling device of peanut harvester.






KR1020130164386A 2013-12-26 2013-12-26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KR101593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86A KR101593278B1 (en) 2013-12-26 2013-12-26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86A KR101593278B1 (en) 2013-12-26 2013-12-26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84A KR20150076384A (en) 2015-07-07
KR101593278B1 true KR101593278B1 (en) 2016-02-15

Family

ID=5378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386A KR101593278B1 (en) 2013-12-26 2013-12-26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2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1906A (en) * 2016-08-20 2016-12-14 卢亚东 One cultivates peanut picks up the broken seedling rice seedling feeding device gathering in the crops combine
KR102280731B1 (en) * 2019-06-28 2021-07-22 엘앤에스(주) Electric operation vehicle with caterpillar which can be harvest bulb p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667Y1 (en) * 2000-12-27 2001-06-01 김완수 Combiend using machine as a seedbed soil pulverizer and thresher
JP2011229445A (en) 2010-04-27 2011-11-17 Iseki & Co Ltd Root vegetable harvester
JP2012044966A (en) 2010-08-30 2012-03-08 Iseki & Co Ltd Root vegetable harve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667Y1 (en) * 2000-12-27 2001-06-01 김완수 Combiend using machine as a seedbed soil pulverizer and thresher
JP2011229445A (en) 2010-04-27 2011-11-17 Iseki & Co Ltd Root vegetable harvester
JP2012044966A (en) 2010-08-30 2012-03-08 Iseki & Co Ltd Root vegetable harv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84A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413B2 (en) Combine posture detection device and combine posture control device
KR101593278B1 (en) Device for keeping selective plate being horizontally for peanut havesting machine
CN110667695B (en) Rice transplanter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field boundary
JP6425713B2 (en) Mechanism and method for sorting parts, part feeding system
JP3197986U (en) Aquarium cleaning device
KR101926246B1 (en) Nozzle reciprocating motion system for infectious diseaseprevention
CN109479488B (en) Vibrating unmanned potato harvester
JP4280763B2 (en) Work vehicle attitude detection device and work vehicle attitude control device
JP6796946B2 (en) Rice transplanter
CN102523815A (en) Cutting table of peanut combine
CN201976444U (en) Cutting table of peanut combine harvester
US120638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eeds
FR2666252A2 (en) Low mobile grain-cleaning machine with a vibrating table and screw brush for sizing (sorting) fodder peas and cereals
CN207517097U (en) For financial system coin lifting device
CN209554711U (en) A kind of intelligent elevated clamping device for field mobile platform
KR20170081898A (en) Slope land type of solar tracker
CN210900385U (en) Plant tuber harvesting device
CN102487651A (en) Header of peanut combine
CN210900383U (en) Plant tuber harvesting device
CN212705354U (en) Automatic screw locking equipment of robot
CN208894611U (en) A kind of jarring formula vibrating sieving machine
CN210900384U (en) Plant tuber harvesting device
JP2603763B2 (en) Rice transplanter
JP2007089520A (en) Combine harvester
RU2090998C1 (en) Vibratory root extrac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