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172B1 -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172B1
KR101593172B1 KR1020140103901A KR20140103901A KR101593172B1 KR 101593172 B1 KR101593172 B1 KR 101593172B1 KR 1020140103901 A KR1020140103901 A KR 1020140103901A KR 20140103901 A KR20140103901 A KR 20140103901A KR 101593172 B1 KR101593172 B1 KR 10159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ylinder
changer
clamping
sw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호
Original Assignee
(주)성호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호하이텍 filed Critical (주)성호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0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0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a single gri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유압모터(10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보디(1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한 스윙보디(2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한 체인저암(40)과; 상기 스윙보디(20) 상하부에 복동으로 설치되어 상기 체인저암(40)을 회동하는 선회용실린더(5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실린더로드(301)를 상기 스윙보디(2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상기 스윙보디(20)를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3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의 클램핑을 위한 체인저암(40)의 인-아웃이 가능케 하는 인아웃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크기와 중량은 콤팩트하면서도 강한 이송력을 발휘하여 공구의 견고하고 정밀하며 신속한 클램핑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작기계의 헤드 그립부 위치에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공구 교환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Automatic tool changer for machine tool assembly tool change}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한 구조와 강한 이송력으로 구동 속도와 효율성이 우수하며, 공구 교환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작기계의 헤드 그립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공구 장착이 가능케 한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CNC 공작기계(CNC Machine Tool)는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하면서 밀링가공, 드릴링가공, 보링가공, 태핑가공, 리밍가공 등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수치제어 공작기계이다. NC 밀링과 CNC 밀링의 구분은 공구를 자동으로 교환할 수 있는 장치인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의 유무로 구분한다.
자동공구교환장치(ATC)는 CNC 공작기계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일련의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공구를 별도로 소정의 장소에 집합시켜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목적하는 공구를 간편하게 교환하고, 정확히 주축에 세팅시키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CNC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구성은 크게 공구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공구의 번호 또는 포트(pot)의 번호를 지정하여 필요한 공구를 교환 위치로 위치시켜주는 매거진(Magazine)과, 공구교환 어셈블리(Tool change assembly)와, 매거진과 공구교환 어셈블리 간을 연결하여 공구교환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Ass'y)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공구를 클램핑하고 교체하는 체인저 암(CHANGER ARM)과, 매거진에 형성된 툴 포트(Tool Pot)와 주축 헤드에 공구를 착탈하는 인아웃실린더와, 공구를 클램핑한 체인저암의 위치를 변경하는 선회용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어 매거진에 장착된 다수의 공구 중에서 지정된 공구를 탈착하여 주축 헤드에 장착하거나, 주축 헤드에 장착된 후 작업을 마친 공구를 탈착하여 다시 매거진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특1997-0014917호 특허공보 특1993-000483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서 공구를 클램핑하고 교체하는 상기 체인저 암은 매거진에 장착된 공구를 클램핑하여 이송한 후 주축 헤드에 장착하거나, 주축 헤드에 장착된 공구를 탈착하여 다시 매거진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구의 정밀한 클램핑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빠른 클램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 있어서 체인저 암의 단부에 형성된 클램핑부는 공구가 투입되는 요입부 내측에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가압장치를 설치하여 체인저 암이 이동하여 요입부 내측으로 공구를 강제 투입하면, 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가압장치가 요입부에 투입된 공구를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공구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클램핑부에 형성된 가압장치는 코일스프링의 탄성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에 코일스프링의 탄성 강도가 약해지면서 공구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저하되어 클램핑부에 클램핑된 공구가 체인저 암의 클램핑 과정이나 공구 이송 과정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클램핑부에서 임의로 이탈한 공구가 동작중인 공작기계 내부에 떨어지는 경우에 고가인 공작기계의 손상이나 심각한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주요부 구동 수단으로서 정밀한 동작을 가능케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서보모터는 가격이 비싸고, 피드백 회로를 안정화하기 위한 튜닝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보호회로와 엔코더 등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여 고장 빈도가 높아 빈번한 수리를 요하며, 내구 수명이 짧고 최대 회전력에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체인저 암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서는 크기가 큰 서보모터를 사용해야 함으로써 증가한 서보모터의 중량으로 인하여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전체 하중이 증가함으로써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구동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필요한 공구를 교환 위치로 위치시켜주는 매거진(M)과; 상기 매거진(M)에 형성된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고 교체하는 공구교환 어셈블리(T)와; 상기 매거진(M)과 공구교환 어셈블리(T) 간을 연결하여 공구교환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G)로 구성되는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에 있어서,
유압모터(10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보디(1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한 스윙보디(2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실린더로드(301)를 상기 스윙보디(2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상기 스윙보디(20)를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3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한 체인저암(40)과;
상기 스윙보디(20) 상하부에 복동으로 설치되어 상기 체인저암(40)을 회동시키는 선회용실린더(5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의 클램핑을 위한 체인저암(40)의 인-아웃이 가능케 하는 인아웃실린더(6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크기와 중량은 콤팩트하면서도 강한 이송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여 공구의 견고하고 정밀하며 신속한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공작기계의 헤드 그립부 위치에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공구 교환이 가능케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전체 크기와 중량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어 급속 정지 제어가 가능하고, 소형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이송력을 발휘하여 구동 속도와 효율성이 우수하며, 광범위한 무단변속이 가능함으로써 공구 교환 속도가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구 고정력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더욱 빠르고 안정적이며 정밀한 공구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내외 표준화된 공구 중량보다 저 무거운 공구의 착탈 및 교환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으며, 공구가 공작기계의 헤드 그립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장착되는 어떤 경우에라도 공구를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윙바디의 수직 상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윙바디의 수평 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저암의 클램핑부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저암의 클램핑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인아웃실린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필요한 공구를 교환 위치로 위치시켜주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형성된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고 교체하는 공구교환 어셈블리(Tool change assembly)와; 상기 매거진과 공구교환 어셈블리 간을 연결하여 공구교환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Guide Rail Ass'y)로 구성되는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압모터(10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보디(1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한 스윙보디(2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한 체인저암(40)과; 상기 스윙보디(20) 상하부에 복동으로 설치되어 상기 체인저암(40)을 회동하는 선회용실린더(5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실린더로드(301)를 상기 스윙보디(2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상기 스윙보디(20)를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3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의 클램핑을 위한 체인저암(40)의 인-아웃이 가능케 하는 인아웃실린더(6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보디(10)의 내측면 하부에는 유압모터(101)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롤러(102)를 설치하고, 내측면 상부에는 상기 구동롤러(102)와 대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롤러(103)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롤러(102)와 가이드롤러(103) 사이로 가이드레일이 투입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단부 내외측면에는 구동롤러(102)가 접하고, 가이드레일의 상단부 내외측면에는 공회전하는 가이드롤러(103)가 접하도록 설치하여 유압모터(10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02)에 의해 슬라이딩보디(10)가 가이드롤러(103)를 따라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단부에는 회전축(104)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104)에 스윙보디(20)의 회동부(201)를 힌지 결합하여 스윙보디(20)의 회동이 가능케 하고,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브라켓에 틸팅실린더(30)를 회동 가능케 설치한 후, 상기 틸팅실린더(30)의 실린더로드(301)를 상기 스윙보디(20)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함으로써 틸팅실린더(30)에서 실린더로드(301)가 인출되면, 스윙보디(20)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실린더로드(301)가 인입되면 스윙보디(20)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전면에 위치한다.
상기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하여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는 체인저암(40)의 중심부에는 체인저암(4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402)을 설치하고, 그 구동축(402)에는 피니언(403)은 결합하여 상기 피니언(403)을 상기 스윙보디(20) 내부에 삽입 설치한다.
그리하여 상기 스윙보디(20) 상하부에 복동으로 설치한 선회용실린더(50)의 실린더로드에 랙(501)을 설치하여 상기 랙(501)이 스윙보디(20) 내부에 삽입 설치된 체인저암(40)을 회전시키는 구동축(402)의 피니언(403)과 치합함으로써 선회용실린더(50)의 실린더로드의 승강에 따라서 체인저암(40)이 회전한다.
상기 체인저암(40)의 클램핑부(401)는 체인저암(40)의 양단부에서 상하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대향하게 설치한 핑거(401a)와; 상기 체인저암(40) 내부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핑거(401a)의 내측 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핑거(401a)의 내측 단부에 외향으로 탄성 압력을 전달하는 코일스프링(401b)과; 상기 체인저암(40)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되고, 유압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핑거(401a)의 내측 단부를 외향으로 밀어서 고정하는 유압실린더(401c)를 구비하여 코일스프링(401b)은 공구의 신속하고 원활한 클램핑을 가능케 하고, 유압실린더(401c)를 클램핑부(401)에 장착된 공구의 이탈을 방지하고,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의 클램핑을 위한 체인저암(40)의 인-아웃이 가능케 하는 인아웃실린더(60)는 실린더샤프트(601) 상하부에 한 쌍의 가이드홈(602)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샤프트(601)가 투입되는 실린더하우징(603)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602)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키(604)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실린더하우징(603)에서 상기 실린더샤프트(601)가 공구 교환을 위해 인-아웃할 때 유격에 의한 흔들림과 백래쉬를 최소화하여 더욱 정밀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필요한 공구를 교환 위치로 위치시켜주는 매거진에서 필요한 공구를 클램핑하기 위해서 유압모터(101)에 의해 구동롤러(102)가 구동하면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매거진으로 이동한다.
매거진에 도착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매거진에서 필요한 공구가 장착 위치에 도착하면 선회실린더에 의해 체인저암(40)이 회전하여 체인저암(40)의 양단부에 형성된 클램핑부(401) 중에서 공구가 장착되지 않은 클램핑부(401)가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클램핑 위치에서 준비하고, 인아웃실린더(60)에 의해 체인저암(40)이 매거진의 툴 포트로 접근하면서 툴 포트에 수납된 공구가 체인저암(40)의 클램핑부(40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부(401)의 핑거(401a)는 한 쌍이 상하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핑거(401a) 사이로 공구가 강제 투입되면 코일스프링(401b)의 탄성 압력이 작용하는 핑거(401a)의 내측 단부 는 오므라들고, 공구가 투입되는 핑거(401a)의 외측 단부는 벌어지면서 공구가 투입된 후 코일스프링(401b)의 탄성 압력에 의해 핑거(401a)의 내측 단부가 벌어지면서 공구가 투입된 핑거(401a)의 외측 단부가 오므라들기 때문에 코일스프링(401b)의 탄성 압력에 의한 탄력적인 공구의 클램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핑거(401a) 사이로 공구가 투입되어 클램핑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체인저암(40)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되고, 유압에 따라 이동하는 유압실린더(401c)에 유압을 가하면, 코일스프링(401b)의 탄성 압력에 의해 벌어진 핑거(401a)의 내측 단부 사이로 유압실린더(401c)가 투입되면서 핑거(401a)의 위치를 고정하여 핑거(401a)가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클램핑부(401)에 클램핑된 공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견고한 공구의 클램핑이 이루어짐으로써 공구를 클램핑 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고, 무거운 공구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매거진에 필요한 공구의 장착을 완료한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주축으로 이동한 후 주축 헤드에 공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인아웃실린더(60)가 체인저암(40)을 주축 헤드 쪽으로 이동시키면 체인저암(40)의 클램핑부(401)에 클램핑된 공구가 주축 헤드의 그립부에 강제 투입되어 고정된다.
그리하여 주축 헤드에 공구의 장착이 완료되면, 체인저암(40)의 유압실린더(401c)에 가해진 유압을 해소함으로써 클램핑부(401)에 장착된 공구를 견고하게 고정한 고정력이 해소됨에 따라서 인아웃실린더(60)에 의해 체인저암(40)이 주축 헤드에서 멀어지면 체인저암(40)의 클램핑부(401)에 장착되어 있던 공구는 주축 헤드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체인저암(40)과 공구가 분리됨으로써 주축 헤드의 공구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는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한 체인저암(40)의 구동축(402)을 지지하는 스윙보디(20)는 슬라이딩보디(10)에 설치된 틸팅실린더(30)에 의해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므로 매거진에서의 공구의 공급 방향 또는 공구를 장착하는 주축 헤드의 작동 방향에 따라서 스윙보디(20)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공구 장착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자동공구교환장치 M: 매거진
T: 공구교환 어셈블리 G: 가이드레일
10: 슬라이딩보디 101: 유압모터
102: 구동롤러 103: 가이드롤러
104: 회전축 20: 스윙보디
201: 회동부 30: 틸팅실린더
301: 실린더로드 40: 체인저암
401: 클램핑부 401a: 핑거
401b: 코일스프링 401c: 유압실린더
402: 구동축 403: 피니언
50: 선회용실린더 501: 랙
60: 인아웃실린더 601: 실린더샤프트
602: 가이드홈 603: 실린더하우징
604: 가이드키

Claims (3)

  1. 다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필요한 공구를 교환 위치로 위치시켜주는 매거진(M)과, 상기 매거진(M)에 형성된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고 교체하는 공구교환 어셈블리(T)와, 상기 매거진(M)과 공구교환 어셈블리(T) 간을 연결하여 공구교환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G)로 포함하되,
    유압모터(101)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보디(1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케 설치한 스윙보디(20)와; 상기 슬라이딩보디(10)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실린더로드(301)를 상기 스윙보디(20)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여 상기 스윙보디(20)를 회동시키는 틸팅실린더(3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회동 가능케 설치하고, 상기 툴 포트와 주축 헤드에서 공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부(401)를 양단부에 형성한 체인저암(40)과; 상기 스윙보디(20) 상하부에 복동으로 설치되어 상기 체인저암(40)을 회동시키는 선회용실린더(50)와; 상기 스윙보디(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공구의 클램핑을 위한 체인저암(40)의 인-아웃이 가능케 하는 인아웃실린더(60)를 포함하여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를 구성하고;
    상기 체인저암(40)의 클램핑부(401)는, 체인저암(40)의 양단부에서 상하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대향하게 설치한 핑거(401a)와;
    상기 체인저암(40) 내부에 설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핑거(401a)의 내측 단부에 각각 밀착되어 핑거(401a)의 내측 단부에 외향으로 탄성 압력을 전달하는 코일스프링(401b)과;
    상기 체인저암(40) 내부에 코일스프링으로 탄설되고, 유압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핑거(401a)의 내측 단부를 외향으로 밀어서 고정하는 유압실린더(401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아웃실린더(60)의 실린더샤프트(601) 상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홈(602)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샤프트(601)가 투입되는 실린더하우징(603)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홈(602)에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키(60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3. 삭제
KR1020140103901A 2014-08-11 2014-08-11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KR10159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01A KR101593172B1 (ko) 2014-08-11 2014-08-11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901A KR101593172B1 (ko) 2014-08-11 2014-08-11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172B1 true KR101593172B1 (ko) 2016-02-12

Family

ID=5535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01A KR101593172B1 (ko) 2014-08-11 2014-08-11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1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37A (ko) 1991-08-26 1993-03-23 키요하라 마사코 유체 제어기
KR970014917A (ko) 1995-09-15 1997-04-28 김정국 공작기계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JP2001009658A (ja) * 1999-06-24 2001-01-16 Howa Mach Ltd マシニングセンタの予備工具交換装置
KR20080058589A (ko) * 2006-12-22 2008-06-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머시닝 센터의 자동공구 교환장치
KR20080093802A (ko) * 2007-04-18 2008-10-22 (주)삼익테크 공작기계용 공구 자동 교환장치
KR20090130484A (ko) * 2008-06-16 2009-12-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자동 공구교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37A (ko) 1991-08-26 1993-03-23 키요하라 마사코 유체 제어기
KR970014917A (ko) 1995-09-15 1997-04-28 김정국 공작기계의 자동 공구 교환장치
JP2001009658A (ja) * 1999-06-24 2001-01-16 Howa Mach Ltd マシニングセンタの予備工具交換装置
KR20080058589A (ko) * 2006-12-22 2008-06-26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머시닝 센터의 자동공구 교환장치
KR20080093802A (ko) * 2007-04-18 2008-10-22 (주)삼익테크 공작기계용 공구 자동 교환장치
KR20090130484A (ko) * 2008-06-16 2009-12-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자동 공구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20850U (zh) 一种自动对头钻床
CN203044952U (zh) 全自动高速数控打孔机
CN104259876A (zh) 一种自定心夹具
WO2016106679A1 (zh) 数控机床及数控机床的快速换刀方法
KR102071436B1 (ko) 심공 드릴링용 직선 홈형 드릴 비트를 교환하기 위한 장치
KR101593172B1 (ko) 공작기계용 자동공구교환장치의 공구교환 어셈블리
CN203390552U (zh) 一种金属加工中心机
CN205817402U (zh) 数控钻攻中心机床
JP5327476B2 (ja) 工作機械
CN111716131A (zh) 多刀具换刀刀库装置及其控制方法
CN217253165U (zh) 一种数控机床用刀架进给装置
CN115741158A (zh) 一种同轴嵌套的钻头卡箍夹具及其卡固方法
KR101660184B1 (ko) 슬라이드형 공구 교환장치
CN210387681U (zh) 一种凸轮式车床及其钻孔机构
CN211540420U (zh) 深孔钻自动换刀结构
CN209424677U (zh) 一种离合器压盘销孔加工辅助装置
CN210880075U (zh) 用于调整铰链槽加工位置的控制装置
CN210255306U (zh) 一种新型数控机床换刀装置
JPH07185986A (ja) 工具交換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CN211639145U (zh) 一种数控车床换刀装置
CN219188638U (zh) 一种镗床主轴
CN210360475U (zh) 自动换刀装置及钥匙加工机
JP2015199178A (ja) 工作機械における芯出し振れ止め装置
CN217344623U (zh) 一种双刀自动换刀机构
CN215144971U (zh) 一种双面夹紧全自动中心定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