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12B1 -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 Google Patents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12B1
KR101592912B1 KR1020140115466A KR20140115466A KR101592912B1 KR 101592912 B1 KR101592912 B1 KR 101592912B1 KR 1020140115466 A KR1020140115466 A KR 1020140115466A KR 20140115466 A KR20140115466 A KR 20140115466A KR 101592912 B1 KR101592912 B1 KR 101592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ridge
unit
pipeline
brid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목
김명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는, 레그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선체의 측벽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이 배치되는 데릭이 있는 캔틸레버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텍사스 블록; 텍사스 블록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텍사스 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이 통과하는 브릿지유닛; 및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BRIDGE SYSTEM OF TEXAS DECK, JACK UP RIG INCLUDING THE SAME, AND ALIGNMENT METHOD OF PIPE LINE FOR DRILLING BY THE SAME}
본 발명은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에 지지되는 선체에 대해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해양에 위치 고정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저에 지지되는 레그가 승강 가능하게 탑재된 특수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선박의 대표적인 예로는 시추용 드릴을 구비한 잭업 리그선이 있다.
이러한 잭업 리그선은 선미 측에 시추를 위한 시추용 파이프라인이 배치되는 데릭이 탑재되며 선수 측에 헬리데크가 설치되는 삼각형상의 선체와, 선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잭업레그유닛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잭업 리그선은, 레그가 평상 시에 해저면으로부터 유격되어 선체로 상승되어 있으며, 작업을 위해 선체의 위치 고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저로 하강하여 해저에 지지된다. 이때 레그의 하단에는 다양한 해저지형에 지지될 수 있도록 스퍼드캔(spudcan)이 마련된다.
한편 잭업 리그선의 데릭에는, 시추를 위한 드릴유닛과, 드릴유닛과 연결되어 드릴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들로 구성된 파이프라인이 설치된다. 이러한 드릴유닛과 파이프라인은 시추를 위한 시추공으로 배치된다.
이때 데릭은, 선체의 선미 측으로 돌출되어 배치 가능한 캔틸레버블록 상에 탑재된다. 선체의 선미 측에는,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조절 가능케 해주어 위치를 고정 및 정렬시킬 수 있도록 브릿지유닛이 설치되는 텍사스 블록이 배치된다.
이러한 텍사스 블록에 의해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선미 측에 설치되는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는데, 데릭에서 캔틸레버블록을 통해 파이프라인를 설치하는 동안 텍사스블록에 의해 위치를 정렬하는 경우, 크레인의 리프팅라인을 텍사스블록의 브릿지유닛에 연결하여 브릿지블록을 이동시켜 작업을 진행한다.
그런데, 이때에는 캔틸레버블록에 인접하여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텍사스 블록 상에 캔틸레버블록이 위치하게 되므로, 크레인의 리프팅라인이 캔틸레버블록에 간섭되어 브릿지유닛을 이동시켜 파이프라인을 정렬시키는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하기에는 상당한 제한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104640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시추용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 블록의 브릿지유닛을 크레인에 의해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크레인과 캔틸레버블록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텍사스 블록에서 자체적으로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브릿지유닛에 의한 파이프라인의 위지정렬작업을 기존에 비해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레그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선체의 측벽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이 배치되는 데릭이 있는 캔틸레버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텍사스 블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텍사스 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이 통과하는 브릿지유닛; 및 상기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1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와이어라인이 인출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이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유닛은, 에어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호이스트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텍사스 블록에는, 상기 브릿지유닛이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서는 상기 브릿지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리니어모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데릭이 탑재되는 캔티레버블록이 중앙부에서 선미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에 탑재되는 잭업레그유닛; 및 전술한 상기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잭업레그유닛의 레그를 해저면에 지지시켜 선체를 시추 위치로 위치 고정하는 단계; 파이프라인의 설치를 위한 데릭이 탑재되어 있는 캔틸레버블록을 상기 선체의 선미 측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릭을 통해 시추를 위한 상기 파이프라인을 연결 배치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라인을 연결 배치 시에, 상기 캔틸레버블록의 하부로 상기 파이프라인를 위치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블록을 상기 캔틸레버블록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텍사스 블록의 브릿지유닛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을 시추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1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으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추용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 블록의 브릿지유닛을 크레인에 의해 움직이지 않아 크레인과 캔틸레버블록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텍사스 블록에서 자체적으로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브릿지유닛에 의한 파이프라인의 위지정렬작업을 기존에 비해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잭업 리그선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캔틸레버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의 제1, 2 와이어라인의 개략적인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 도시된 크레인은, 실질적으로 크레인의 작업반경영역으로서, 크레인은 이러한 작업반경영역 상에 배치된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는, 레그(105)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선체(100)의 측벽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107)이 배치되는 데릭이 있는 캔틸레버블록(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텍사스 블록(130)과, 텍사스 블록(130)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텍사스 블록(13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파이프라인(107)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107)이 통과하는 브릿지유닛(135)과, 브릿지유닛(13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텍사스 블록(130)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는,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107)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 블록(130)의 브릿지유닛(135)을 크레인(125)에 의해 움직이지 않아도 되므로 크레인(125)작업에 따른 크레인(125)과 캔틸레버블록(12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텍사스 블록(130)에서 브릿지유닛(13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브릿지유닛(135)에 의한 파이프라인(107)의 위지정렬작업을 기존에 비해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텍사스 블록(130)에는, 파이프라인(107)의 위치 정렬 시에 사용되도록 파이프라인(107)이 통과하여 파이프라인(107)을 이동시킬 수 있는 브릿지유닛(135)이 탑재된다.
이러한 브릿지유닛(135)에는, 실질적으로 캔틸레버데크에 해당되는 캔틸레버블록(120) 상에 탑재되는 데릭을 통해 설치되는 파이프라인(107)이 통과하도록 통로가 마련되는데, 브릿지유닛(135)의 이동 시에 파이프라인(107)이 위치하는 통로가 함께 이동되면서 파이프라인(107)이 이동되어 파이프라인(107)이 시추를 위한 위치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의 파이프라인(107)은 데릭을 통해 해저의 시추공으로 배치되는 파이프들의 연결라인 혹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이프에 해당한다.
브릿지유닛(135)은, 기존에는 캔틸레버블록(120)에 인접하여 선체(100) 상에 배치되는 크레인(125)에 의해 움직일 수 있었으나 크레인(125)에 의한 이동작업 시에 캔틸레버블록(120)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파이프라인(107)의 시추 위치로의 정렬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브릿지 이동유닛(140)에 의해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텍사스 블록(130)에 위치하여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브릿지유닛(135)을 이동시켜 파이프라인(107)을 이동시키고 위치 고정하는 작업이 기존에 비해 상당히 수월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브릿지유닛(135)을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브릿지유닛(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141)과, 브릿지유닛(135)을 텍사스 블록(130)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브릿지유닛(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142)과, 제1 와이어라인(141) 및 제2 와이어라인(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호이스트유닛(145)에 의해 제1 와이어라인(141)이 감기면서 브릿지유닛(135)이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 즉 선체(100)의 선미(101) 측으로 인접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혹은 제2 와이어라인(142)이 당겨지면서 브릿지유닛(135)이 텍사스 블록(130)의 타단부 즉 선체(100)의 선미(101)로부터 이격되게 반대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브릿지유닛(135)은 이동은 선미(101) 측에서 텍사스 블록(130)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라인을 따른다. 이에 따라 브릿지유닛(135)은, 텍사스 블록(130)의 이동에 의해 선미(101)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선미(10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유닛(135)은, 선미(101) 측에 가상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직교좌표계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브릿지유닛(135)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라인(107)은 이러한 직교좌표계에서 위치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제1 와이어라인(141)이 인출되어 배치되도록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151)와, 제2 와이어라인(142)이 텍사스 블록(130)의 타단부의 외곽을 따라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텍사스 블록(130)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라인(141)은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151)를 따라 안내되면서 당겨질 수 있으며, 제2 와이어라인(142)은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152)를 따라 안내되면서 당겨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호이스트유닛(145)은, 에어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호이스트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호이스트유닛(145)은, 선체(1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에어에 의해 작동되면서 제1 와이어라인(141) 혹은 제2 와이어라인(142)을 당겨 감을 수 있다.
이때 호이스트유닛(145)은, 제1 와이어라인(141)과 제2 와이어라인(142)에 대응하여 각각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호이스트유닛(145)이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제1 와이어라인(141)과 제2 와이어라인(142)은, 브릿지유닛(135)의 이동 방향에 따라 교대로 호이스트유닛(145)에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블록(130)에는, 브릿지유닛(135)이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가이드(155)가 마련되며, 리니어 가이드(155)를 따라서는 브릿지유닛(135)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홀(156)들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릿지유닛(135)은, 텍사스블록(130)의 이동방향에 교차하게 배치되는 리니어 가이드(155)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선형 이동될 수 있으며, 선형 이동된 후에는 볼팅홀(156)들 중 어느 하나에 볼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브릿지유닛(135)유에는 볼팅홀(156)에 대응하는 볼팅홀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브릿지유닛(135)의 볼팅홀(156)에 의한 위치 고정은, 위치 고정을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브릿지유닛(135)의 위치 고정을 위해서 다른 방식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볼팅홀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브릿지유닛(135)이 이동 가능하도록 텍사스 블록(130)에 마련되는 리니어모터(157)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에 따르면 브릿지유닛(135)의 이동은 윈치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니어모터(157)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의 리니어모터(157)는 전술한 리니어가이드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유압모터와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리드스크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리드스크류는 전술한 리니어 가이드(155)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르면, 데릭이 탑재되는 캔틸레버블록(120)이 중앙부에서 선미(101)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체(100)와, 선체(1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선체(100)에 탑재되는 잭업레그유닛(110)과, 전술한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잭업 리그선은, 브릿지유닛(135)의 이동이 선체(100) 상의 크레인(125)에 의한 작업이 불필요하며 전술한 브릿지 이동유닛(140)에 의해 텍사스 블록(130)에서 자체적으로 해결되므로, 브릿지유닛(135)에 의한 파이프라인(107)의 정렬작업이 수월하여 시추 시에 파이프라인(107)의 설치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하며 안전사고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은, 잭업레그유닛(110)의 레그(105)를 해저면에 지지시켜 선체(100)를 시추 위치로 위치 고정하는 단계와, 파이프라인(107)의 설치를 위한 데릭이 탑재되어 있는 캔틸레버블록(120)을 선체(100)의 선미(101) 측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와, 데릭을 통해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107)을 연결 배치하는 단계와, 파이프라인(107)을 연결 배치 시에, 캔틸레버블록(120)의 하부로 파이프라인(107)를 위치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블록을 캔틸레버블록(120)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텍사스 블록(130)의 브릿지유닛(135)에 의해 파이프라인(107)을 시추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와, 브릿지유닛(13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텍사스 블록(130)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140)에 의해 브릿지유닛(135)을 텍사스 블록(130)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파이프라인(107)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에 의하면,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107)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 블록(130)의 브릿지유닛(135)을 크레인(125)에 의해 움직이지 않아도 되므로 크레인(125)작업에 따른 크레인(125)과 캔틸레버블록(12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텍사스 블록(130)에서 브릿지유닛(135)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구성하여 브릿지유닛(135)에 의한 파이프라인(107)의 위지정렬작업을 기존에 비해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이때의 본 실시 예에 따른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에서 브릿지 이동유닛(140)은, 브릿지유닛(135)을 텍사스 블록(13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브릿지유닛(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141)과, 브릿지유닛(135)을 텍사스 블록(130)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브릿지유닛(135)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142)과, 제1 와이어라인(141) 및 제2 와이어라인(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145)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선체 101: 선미
105: 레그 107: 파이프라인
110: 잭업레그유닛
120: 캔틸레버블록 125: 크레인
130: 텍사스 블록 135: 브릿지유닛
140: 브릿지 이동유닛 141: 제1 와이어라인
142: 제2 와이어라인 145: 호이스트유닛
151: 제1 가이드롤러 152: 제2 가이드롤러
155: 리니어 가이드 156: 볼팅홀
157: 리니어모터

Claims (9)

  1. 레그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선체의 측벽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시추를 위한 파이프라인이 배치되는 데릭이 있는 캔틸레버블록의 하부에 배치되는 텍사스 블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텍사스 블록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이 통과하는 브릿지유닛; 및
    상기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1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을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와이어라인이 인출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이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의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의 외곽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유닛은, 에어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호이스트유닛으로 마련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텍사스 블록에는, 상기 브릿지유닛이 이동 가능하도록 리니어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서는 상기 브릿지유닛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홀들이 마련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리니어모터로 마련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7. 데릭이 탑재되는 캔티레버블록이 중앙부에서 선미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선체;
    상기 선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선체에 탑재되는 잭업레그유닛; 및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8. 잭업레그유닛의 레그를 해저면에 지지시켜 선체를 시추 위치로 위치 고정하는 단계;
    파이프라인의 설치를 위한 데릭이 탑재되어 있는 캔틸레버블록을 상기 선체의 선미 측으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릭을 통해 시추를 위한 상기 파이프라인을 연결 배치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라인을 연결 배치 시에, 상기 캔틸레버블록의 하부로 상기 파이프라인를 위치 정렬시킬 수 있는 텍사스블록을 상기 캔틸레버블록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텍사스 블록의 브릿지유닛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을 시추 위치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브릿지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텍사스 블록에 마련되는 브릿지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파이프라인의 위치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이동유닛은,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라인;
    상기 브릿지유닛을 상기 텍사스 블록의 타단부에서 일단부로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유닛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1 와이어라인 및 상기 제2 와이어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당기도록 마련되는 호이스트유닛으로 마련하는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KR1020140115466A 2014-09-01 2014-09-01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KR10159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66A KR101592912B1 (ko) 2014-09-01 2014-09-01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466A KR101592912B1 (ko) 2014-09-01 2014-09-01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912B1 true KR101592912B1 (ko) 2016-02-12

Family

ID=5535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466A KR101592912B1 (ko) 2014-09-01 2014-09-01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00A (ko) * 2018-05-16 2019-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및 이의 브릿지 설치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1531B1 (en) * 1999-08-09 2003-08-05 Bouygues Offshore Floating support including a central cavity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KR20120104640A (ko) 2008-05-02 2012-09-21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고도로 결합된 인덕터
KR101368800B1 (ko) * 2012-07-20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시추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1531B1 (en) * 1999-08-09 2003-08-05 Bouygues Offshore Floating support including a central cavity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KR20120104640A (ko) 2008-05-02 2012-09-21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고도로 결합된 인덕터
KR101368800B1 (ko) * 2012-07-20 2014-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원유시추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300A (ko) * 2018-05-16 2019-1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구조물 및 이의 브릿지 설치 방법
KR102128938B1 (ko) * 2018-05-16 2020-07-01 삼성중공업(주) 해양구조물 및 이의 브릿지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421B2 (en) Offshore vessel
US7328811B2 (en) Even reeving system
CN104350231B (zh) 海上作业船和所述海上作业船的操作方法
KR102051366B1 (ko) 크레인선
WO2014108541A3 (en) Drilling rig
US11339615B2 (en) Drilling rig hoisting system
KR101592912B1 (ko) 텍사스 데크의 브릿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선 그리고 이에 의한 파이프라인 시추정렬방법
KR20150054035A (ko) 잭업 리그 시스템
RU2672362C2 (ru) Монтаж и демонтаж гибкой линии
NL2014726B1 (en) Cantilever system for an offshore platform.
US20200247648A1 (en) Crane system for a cantilever
BRPI0710006A2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um guincho para puxar um tubo ascendente para uma instalação fora da costa fixa ou flutuante
US102404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ine intervention in a subsea well from a floating vessel
KR101824559B1 (ko) 해양 구조물 및 그 운용방법
GB2519997A (en) Multi-cable subsea lifting system
KR101721706B1 (ko) 부유형 또는 고정형 구조물상에서 해상작업을 위한 해양석유굴착장치의 브릿지 운반배치장치
KR101863824B1 (ko) 부유식 구조물
RU2645837C1 (ru) Цент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10024704A (ja) さく井工事用の作業装置
KR20140028863A (ko) 드로워크 유지보수를 위한 드럼 샤프트 인양방법
CN108071101B (zh) 导管架起吊装置及利用该装置起吊导管架的方法
KR101750746B1 (ko) 크레인 시스템
KR20200000020U (ko) 호이스팅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973375B1 (ko) 해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장치
SU1109504A1 (ru) Подводный аппарат дл заглублени в грунт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уложенных на дно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