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409B1 -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09B1
KR101592409B1 KR1020140060780A KR20140060780A KR101592409B1 KR 101592409 B1 KR101592409 B1 KR 101592409B1 KR 1020140060780 A KR1020140060780 A KR 1020140060780A KR 20140060780 A KR20140060780 A KR 20140060780A KR 101592409 B1 KR101592409 B1 KR 10159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zrf
area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019A (ko
Inventor
최학림
Original Assignee
(주)엠시스
최학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시스, 최학림 filed Critical (주)엠시스
Priority to KR102014006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09B1/ko
Priority to US15/310,446 priority patent/US20170085765A1/en
Priority to PCT/KR2014/006672 priority patent/WO2015178536A1/ko
Publication of KR2015013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18Function characteristic adaptive optics, e.g. wavefront corr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6Normally white display, i.e. the off state being wh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2209/04Picture signal generators
    • H04N2209/041Picture signal generators using solid-stat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에 조사하도록 투과시키고, 다수로 구획되는 영역마다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상기 ZRF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하는 ZRF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화면 내에서 영역별 광포화 또는 광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할 경우,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에 의해 부분별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선명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Picture quality enhancement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the same and picture quality enhanc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화면 내에서 영역별 광포화 또는 광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하더라도, 선명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이 아닌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인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에 영상을 투사하여 촬영하며, 메모리 카드 등의 디지털 방식의 저장 매체에 사진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센서에 맺는 면에서 광의 과도한 밝기로 인한 광포화 또는 그 반대로 광의 과도한 부족으로 인한 광부족 현상이 있을 경우,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 AWB) 기능을 화면 전체에 부여하여, 이를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영역별 광의 포화나 부족현상으로 화면의 선명도와 색재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가시광영역과 센서감도영역에 차이가 발생한 경우, 하나의 화면 전체영역에서 실제 가시광영역 이외의 광이 노이즈로 작용하므로,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파장대역을 투과하도록 하고, 원치않는 파장대역을 적절히 조절하여 광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화면의 선명도를 증가시키고, 컬러를 배분하는 방법으로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서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1-0002331호의 "광차단층으로서 적층된 칼라필터를 갖는 씨모스이미지센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78463호의 "이미지 센서 노이즈 저감 장치 및 방법" 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시, 하나의 화면 내에서 광포화나 광부족 현상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할 경우, 촬영 영상의 선명도와 색재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화면 내에서 영역별 광포화 또는 광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할 경우,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에 의해 부분별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선명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에 조사하도록 투과시키고, 픽셀방식으로 구성되며, 액티브 어레이(active array)를 두어 단위 셀 구동에 의해, 다수로 구획되는 영역마다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상기 ZRF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하는 ZRF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질 개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ZRF는, 상기 렌즈유닛과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IR 컷 필터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ZRF는, 노멀리 화이트(nomally white)로 구성되는 ECD(Electrochromic display)로 이루어지고, 상기 ZRF제어부는,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차가 정상 범위 내인 경우, 상기 ECD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의 제어를 최소 단계로 하거나, 광투과율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ECD는,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다수의 픽셀을 하나의 단위로서 대응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ECD는, 픽셀을 이루는 공간이 다수로 구획되는 기판; 및 상기 공간마다 채워지는 전기변색성염료(electrochromic dy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ZRF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영역 중에서 전체 밝기에 비하여 정해진 밝기차를 벗어나는 영역으로서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영역 중에서 상기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ZRF의 영역 중에서 상기 보정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으로서 추출하며, 상기 조절영역의 광투과율을 상기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이 입사되는 렌즈유닛; 상기 렌즈유닛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상기 이미지센서에 조사되는 광투과율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화질개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질개선부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인, 디지털 촬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지털 촬영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CCTV용 카메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 웹 카메라, 비젼검사기의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의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이 렌즈유닛과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이미지센서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상기 ZRF에서 다수로 구획되는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질 개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ZRF는, ECD(Electrochromic display)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ZRF는, 픽셀을 이루는 공간이 다수로 구획되는 기판; 및 상기 공간마다 각각 채워지는 전기변색성염료(electrochromic dy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의 영역 중에서 전체 밝기에 비하여 정해진 밝기차를 벗어나는 영역으로서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영역 중에서 상기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을 추출하며, 상기 ZRF의 영역 중에서 상기 보정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으로서 추출하며, 상기 조절영역의 광투과율을 상기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화면 내에서 영역별 광포화 또는 광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할 경우,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에 의해 부분별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선명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화면 밝기차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분해능 저감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ZRF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 ZRF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200)는 렌즈유닛(210), 이미지센서(220), 메인제어부(240) 및 화질개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CCTV용 카메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 웹 카메라, 비젼검사기의 카메라모듈, 블랙박스의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를 비롯하여, 다양한 디지털 촬영장치가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 형태에 따라 카메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케이싱, 디스플레이부, 조작부, 배터리 등을 비롯하여, 필요한 부가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DSLR(Digital Single Lens Reflex) 카메라, 미러리스 카메라를 비롯하여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디지털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유닛(210)은 이미지센서(120)에 상이 맺히도록 광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단일 또는 다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220)는 렌즈유닛(210)의 후방에 설치되고,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칩 면에 초점을 맺은 영상이 개개의 요소상에 전하 패킷으로 축적되고, 이들 패킷이 출력되어 영상으로 변환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이미지센서(220)의 전방에는 렌즈유닛(2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IR 컷 필터(IR cut fillter; 2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IR 컷 필터(230)는 이미지센서가 가시광선 뿐만 아니라, 적외선도 광으로 인식하여 반응하게 됨으로써, 눈으로 인식하는 색감과 다른 색감으로 나타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적외선을 차단하도록 하는 필터이다.
메인제어부(240)는 조작부에 의한 조작신호나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메모리부(250)에 데이터로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외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질개선부는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이미지센서(220)에 조사되는 광투과율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화질개선부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100)로 대신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100)는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 영상처리부(120) 및 ZRF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ZRF는 렌즈유닛(210)과 이미지센서(220) 사이에 설치되어, 렌즈유닛(210)을 통과한 광을 이미지센서(220)에 조사하도록 투과시키고, 픽셀(pixel)방식으로 구성되며, 액티브 어레이(active array)를 두어 단위 셀 구동에 의해 다수로 구획되는 영역마다 광투과율이 조절된다. ZRF는 투과율이 조절되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티브 어레이는 ZRF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며, 단일 또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 각각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일 수 있는데, 단위 셀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전압의 인가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ZRF는 픽셀의 광투광율이 ZRF제어부(13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 전압의 인가시간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예컨대 ECD(Electrochromic display; 11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수로 구획되는 각각의 영역마다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LCD를 비롯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ECD(110)는 전류를 가하면 색상이 변하는 성질을 가지는 소자를 이용하는데, 전류의 공급시간이나 크기 등에 따라 픽셀 각각에 대한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ECD(110)에서 영역은 ZRF제어부(130)에 의해 광투과율이 조절되는 하나의 단위일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고, ZRF제어부(130)에 의해 그 구획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ZRF, 예컨대 ECD(110)는 렌즈유닛(210)과 이미지센서(220) 사이에 IR 컷 필터(230)가 부가되는 경우, IR 컷 필터(230)와 이미지센서(220) 사이에서 이미지센서(220) 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ECD(110)는 픽셀(pixel)을 이루는 공간(111a)이 다수로 구획되는 기판(111)과, 공간(111a)마다 채워지는 전기변색성염료(electrochromic dye; 11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에는 공간(111a) 각각에 채워진 전기변색성염료(112)에 ZRF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도전성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패턴은 광투과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ECD(110)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는데, 각 픽셀은 기판(111)의 공간(111a)에 채워지는 전기변색성염료(112)일 수 있으며, ZRF제어부(1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인가시간, 크기 등에 의해 광투과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ECD(110)는 ZRF제어부(130)에 의한 광투과율 조절의 단위를 이루는 영역이, 일례로 단일 공간(111a)의 전기변색염료(1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다수의 공간(111a) 각각에 채워지는 전기변색염료(112)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ECD(110)에서의 각 영역은 이미지센서(220)에서 다수의 픽셀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미지센서(220)에서 단일 픽셀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다수로 구획된 영역마다 밝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로 처리하고, 이를 ZRF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ZRF제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ZRF, 예컨대 ECD(110)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한다.
한편 ZRF, 예컨대 ECD(110)는 노멀리 화이트(nomally white)로 구성됨으로써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광이 투과하여 최대 휘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ZRF제어부(130)는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에서 임의의 설정에 의해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차가 정상 범위, 예컨대 화질 저하를 고려하지 않을 정도의 밝기차 범위 내인 경우, ECD(110)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의 제어를 최소 단계로 하거나, 광투과율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단계는 ECD(110)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다수의 단계로 설정할 경우, 광투과율의 변화를 최소로 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한 영상에서 영역간 밝기차를 발생시키는 영역에 대응되는 ECD(110)의 영역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다.
ZRF제어부(130)는 예컨대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의 영역 중에서 전체 밝기에 비하여 정해진 밝기차를 벗어나는 영역으로서,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이미지센서(220)의 영역 중에서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을 추출하며, ZRF, 예컨대 ECD(110)의 영역 중에서 보정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으로서 추출하며, 조절영역의 광투과율을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밝기란 영상의 전체에 대한 밝기를 등급이나 수치별로 정한 것이거나, 영상의 영역별 밝기 정도를 등급이나 수치별로 정하여 이를 평균한 것이거나, 그 밖에 밝기차를 산출 및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밝기차란 일부 또는 전체 영역과 어느 하나의 영역간 밝기차의 허용 범위를 등급이나 수치로 나타낼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ZRF제어부(130)는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의 영역 중에서, 예컨대 강한 광을 발산하는 피사체로 인해 전체 밝기에 비하여 과도하게 밝은 영역으로서 광포화에 해당하는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이미지센서(220)의 영역(221,222) 중에서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222)을 추출하며, ECD(110)의 영역(113,114) 중에서 보정영역(222)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114)으로서 추출하며, 조절영역(114)의 광투과율을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따라 설정된 비율로 낮추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광불량영역, 보정영역(222), 조절영역(114)은 해당하는 대상에서 설정에 의해 구획된 영역 중에서 단일 영역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보정영역(222)이 4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며, 조절영역(114)이 1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ZRF제어부(130)는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의 영역 중에서, 예컨대 역광으로 인한 어두운 피사체로 인해 전체 밝기에 비하여 과도하게 어두운 영역으로서 광부족에 해당하는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이미지센서(220)의 영역(221,222) 중에서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222)을 추출하며, ECD(110)의 영역(113,114) 중에서 보정영역(222)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114)으로서 추출하며, 조절영역(114)의 광투과율을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따라 설정된 비율로 높이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100)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앞서 설명한 화질 개선 장치(100)의 ZRF, ECD(110), 영상처리부(120) 및 ZRF제어부(130) 등에 대한 구성과 그 실시례들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은 광이 렌즈유닛(210)과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 예컨대 ECD(Electrochromic display; 11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이미지센서(220)로부터 영상을 획득한다(S11). 그런 다음,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데이터로 처리한다(S12).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ZRF제어부(130)가 산출하도록 한다(S13). CFR제어부(130)는 영상의 영역별 밝기를 산출하면,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ZRF, 예컨대 ECD(110)에서 다수로 구획되는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한다(S14).
광투과율을 조절하는 단계(S14)는 ZRF제어부(130)에 의해,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획득한 영상의 영역 중에서 전체 밝기에 비하여 정해진 밝기차를 벗어나는 영역으로서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이미지센서(220)의 영역 중에서 광불량영역의 형성에 기여하는 영역으로서 보정영역을 추출하며, ZRF, 예컨대 ECD(110)의 영역 중에서 보정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으로서 추출하며, 조절영역의 광투과율을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한 단계(S11~S14)를 모두 마치면, 이미지센서(220)에 의해 영상을 재차 획득할 수 있고, 그 전에 ECD(110)에 의해 광투과율이 미리 보정됨으로써 광포화나 광부족 등과 같은 상황에서도, 선명하면서도 색재현성이 뛰어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화질 개선 방법은, 일례로 사용자의 조작이나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화질 개선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촬영의 사전 절차로서, 오토 포커싱과 동시 또는 오토 포커싱 이후의 절차로서 수행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조작이나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촬영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수신받아 촬영 전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화면 내에서 영역별 광포화 또는 광부족으로 인해 과도한 밝기차가 존재할 경우,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된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에 의해 부분별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선명도와 색재현성이 우수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ECD 111 : 기판
111a : 공간 112 : 전기변색성염료
113,114 : 영역 120 : 영상처리부
130 : ZRF제어부 210 : 렌즈유닛
220 : 이미지센서 221,222 : 영역
230 : IR 컷 필터 240 : 메인제어부
250 : 메모리부

Claims (12)

  1. 렌즈유닛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되는 IR 컷 필터와 상기 이미지센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유닛을 통과한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에 조사하도록 투과시키고, 픽셀방식으로 구성되며, 액티브 어레이(active array)의 구동에 의해 단일 또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지는 단위 셀마다 광투과율이 조절되며, 노멀리 화이트(normally white)로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센서에서 다수의 픽셀을 하나의 단위로서 대응하는 영역을 가지는 ECD(Electrochromic display)로 이루어지는 ZRF(Zone collected Reduction Filter);
    상기 이미지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데이터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상에서 다수로 구획된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에서 영역간의 밝기차를 줄이도록 상기 ZRF의 영역에 대한 광투과율을 제어하는 ZRF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ECD는,
    픽셀을 이루는 공간이 다수로 구획되는 기판; 및
    상기 공간마다 채워지는 전기변색성염료(electrochromic dye)를 포함하며,
    상기 ZRF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영역 중에서 전체 밝기에 비하여 정해진 밝기차를 벗어나는 영역으로서 광불량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영역중에서 상기 광불량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을 보정영역으로 추출하며, 상기 ECD의 영역 중에서 상기 보정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영역을 조절영역으로서 추출하며, 상기 조절영역의 광투과율을 상기 광불량영역의 밝기에 반비례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개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60780A 2014-05-21 2014-05-21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KR10159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80A KR101592409B1 (ko) 2014-05-21 2014-05-21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US15/310,446 US20170085765A1 (en) 2014-05-21 2014-07-23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digital photography apparatus having same, and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PCT/KR2014/006672 WO2015178536A1 (ko) 2014-05-21 2014-07-23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80A KR101592409B1 (ko) 2014-05-21 2014-05-21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01A Division KR101613434B1 (ko) 2015-11-25 2015-11-25 디지털 촬영장치의 화질 개선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019A KR20150134019A (ko) 2015-12-01
KR101592409B1 true KR101592409B1 (ko) 2016-02-05

Family

ID=5455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780A KR101592409B1 (ko) 2014-05-21 2014-05-21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85765A1 (ko)
KR (1) KR101592409B1 (ko)
WO (1) WO2015178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857B1 (ko) * 2014-11-27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
US10048696B2 (en) 2015-12-22 2018-08-14 Uber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lens masking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1256013B2 (en) 2019-03-27 2022-02-22 Uatc, Llc Dynamic matrix filter for vehicle image sensor
CN111736401B (zh) * 2020-06-30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光学面板、图像采集设备及图像采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163A (ja) * 2003-10-02 2005-04-21 Olympus Corp カメラ
JP2005167465A (ja) * 2003-12-01 2005-06-23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
KR100708938B1 (ko) * 2005-11-07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광량 조절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097B1 (ko) * 2012-05-11 2013-1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163A (ja) * 2003-10-02 2005-04-21 Olympus Corp カメラ
JP2005167465A (ja) * 2003-12-01 2005-06-23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撮像方法
KR100708938B1 (ko) * 2005-11-07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 광량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액정광량 조절장치를 이용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536A1 (ko) 2015-11-26
KR20150134019A (ko) 2015-12-01
US20170085765A1 (en)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138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mage captur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3343911B1 (en)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6186900B2 (ja) 固体撮像装置、電子機器、レンズ制御方法、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EP2806629B1 (en) Electron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791640B2 (en) Electronic camera and image generating apparatus generating stereo image
US20070177004A1 (en) Image creating method and imaging device
US20130057724A1 (en) Imaging element and imaging apparatus
US20160316132A1 (en) Electronic apparatus
US105821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04620569A (zh) 成像控制器以及成像控制方法和程序
US10638037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20140071318A1 (en) Imaging apparatus
US10566358B2 (en) Image sensor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1592409B1 (ko)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US201200196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image sensors
CN110830697A (zh) 控制方法、电子装置和存储介质
US940784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for preventing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EP3522528B1 (en) Image white balance corr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592407B1 (ko) 화질 개선 장치, 이를 가지는 디지털 촬영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KR101613434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화질 개선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KR101613433B1 (ko) 디지털 촬영장치의 화질 개선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CN105338264B (zh) 图像传感器和包括该图像传感器的图像拾取设备
JP4622510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72922B2 (ja) 撮像装置
US20170026579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