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279B1 -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 Google Patents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279B1
KR101592279B1 KR1020140134391A KR20140134391A KR101592279B1 KR 101592279 B1 KR101592279 B1 KR 101592279B1 KR 1020140134391 A KR1020140134391 A KR 1020140134391A KR 20140134391 A KR20140134391 A KR 20140134391A KR 101592279 B1 KR101592279 B1 KR 10159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eadrest
guide hole
c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4013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apparatus for a headrest of a vehicle, which comprises: a body unit fixedly installed in a vehicle seat, wherein a first guide hole into which a pole of a headrest for a vehicle is inserted is provided on one side; a guide unit provided in an upper side of the body unit, wherein a second guide hole into which the pole penetrates is provided on one side, and a third guide hole is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hole on the other side for a locking unit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 both directions; the locking unit insert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third guide hole to restrict the pol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unit; and a cap unit detachably provided in the body unit in an external side of the guide unit and the locking unit, and supporting the elastic member, thereby supporting two poles with the same product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FMVSS regulations in North America.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guid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에 형성된 노치를 구속하여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 조절과 별개로 헤드레스트를 탈거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for restricting a notch formed on a pawl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remove the headrest separately from height adjustment.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 상부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한다. 특히, 후방 추돌 시 탑승자의 목 상해를 저감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서의 의의를 가진다.Generally, a headrest for a vehic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seat to support a rear portion of a head of a passenger. Particularly, it has significance as a safety means for reducing the neck injury of the passenger in the rear-end collision.

최근, 차량의 안전 법규의 강화추세의 일환으로 FMVSS 북미 법규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그 요건 중 하나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시 헤드레스트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즉,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과 별도로 헤드레스트가 탈거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In recent years, as part of the strengthening of vehicle safety regulations,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are strengthening the headrest requirements. One of the requirements is that the headrest should not be released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That is, the head rest should be removed separately from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 rest.

이를 만족하기 위해 헤드레스트의 일측에 두 개의 폴이 구비되되, 제 1 폴에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용 노치(이에 더하여, 하단에 탈거감지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가 형성되고, 제 2 폴에는 하단에 탈거감지용 노치가 형성된 구조를 도입하는 추세이다.In order to satisfy this requirement, two pawl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rest, an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notches (in addition, a notch for detachment detect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are formed on the first pawl, There is a tendency to introduce a structure in which a detachment notch is formed at the lower end.

이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은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로 제 1 폴을 구속 및 해제하여 수행하고, 헤드레스트의 탈거는 제 2 폴을 구속 및 해제하여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headrest is performed by restraining and releasing the first pole with the headrest guide device, and the detachment of the headrest is performed by restraining and releasing the second pole.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In this connec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몸체부(1), 헤드부(2), 잠금부(3), 및 탄성부재(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 conventional headrest guid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 body part 1, a head part 2, a locking part 3, and an elastic member 4.

이 경우, 몸체부(1)와 헤드부(2)는 일체로 사출성형되고, 탄성스프링(4)는 잠금부(3)에 설치된다. 아울러, 잠금부(3)를 몸체부(1) 및 헤드부(2)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한 후 헤드레스트의 폴을 조립함으로써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가 작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body part 1 and the head part 2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and the elastic spring 4 is provided to the locking part 3. [ In addition, the headrest guide device is operated by inserting the lock portion 3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body portion 1 and the head portion 2 and assembling the pole of the headrest.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의 경우, 헤드레스트와 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제 1 폴 및 제 2 폴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eadrest guiding device for a vehicle, since the headrest and the pawls generally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the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devices for supporting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individually As shown in FIG.

아울러, 잠금부(3)를 조립하는 경우에 탄성스프링(4)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elastic spring 4 at an accurate position when assembling the lock portion 3. [

한편,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0125619호(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으나, 스프링이 원주방향으로 탄성변형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스프링이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25619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but the spring has an elastic deformation forc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ring can be deform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10-0125619호Korea Patent No. 2010-0125619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편 동일 제품으로 두 개의 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사양으로 조립 가능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satisfy two requirements of the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and which can support two pawls with the same product.

또한, 탄성부재를 별도의 캡부에 설치하여 조립 용이성을 확보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guiding device for a vehicle that secures ease of assembly by providing an elastic member on a separate cap.

아울러, 다른 부분의 설계 변경 없이도 캡부의 외관 변형만으로 미려한 외관확보가 가능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only by external deformation of the cap portion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other portions.

더 나아가, 2중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탈거를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which enables stable adjustment and detachment of a headrest through a double sliding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일측에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폴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차량 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 일측에 폴이 관통하는 제 2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를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 3 가이드홀이 제 2 가이드홀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제 3 가이드홀의 어느 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제 1 가이드홀에 삽입된 폴을 구속하는 잠금부, 잠금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가이드부 및 잠금부의 외측으로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부를 포함한다.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first guide hole into which a pole of a headrest for a vehic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vehicle seat, a second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pole passes, And a third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guide hol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abl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other side, and inserted in one of the guide part and the third guide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part, A locking portion for locking the pawl inserted in the hole,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ortion, and a cap portion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main body portion outside the guide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이 경우, 캡부의 하부에 본체부의 상부와 후크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가이드부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본체부의 상부에는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p portion, and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이 때, 수용홀은 잠금부가 반대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 캡부 또한 반대 방향에 조립할 수 있도록 대칭적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hole is provided symmetrically so that the cap portion can be assemb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잠금부의 저면에 구비되고 수용홀의 내측벽에 부딪쳐 잠금부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and stopping the locking portion from colliding with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hole.

한편, 잠금부는 제 3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폴의 일측에 형성된 노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로크부, 및 로크부 일측에 구비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캡부에 부딪쳐 로크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 portion includes a lock portion provided slidably in the third guide hole and provided to be engaged with a no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pawl by an elastic member, and a lock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ck portion, And a button portion for limiting the movement distance.

이 경우, 잠금부는 로크부와 버튼부 사이에 개재되고 캡부 및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ck portion and the button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slidably provided on the cap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한편, 탄성부재는 캡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is prefer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cap portion.

한편, 본체부와 가이드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편 동일 제품으로 두 개의 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사양으로 조립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into two specifications so as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and to support two pawls with the same product.

또한, 탄성부재를 별도의 캡부에 설치함으로써 조립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the elastic member on a separate cap portion, ease of assembly can be ensured.

아울러, 다른 부분의 설계 변경 없이도 캡부의 외관 변형만으로 미려한 외관확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other parts,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autiful appearance only by the external deformation of the cap part.

더 나아가, 2중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탈거가 가능하다.
Furthermore,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and removed more stably through the double slid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캡부와 탄성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less guid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shown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cap portion and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clarity, and descriptive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be.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며, 도 6은 캡부와 탄성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rest for a vehicle shown in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ap and the elastic member.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본체부(10), 가이드부(20), 잠금부(30), 탄성부재(40), 및 캡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6,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guide portion 20, a lock portion 30, an elastic member 40, and a cap portion 50 ).

본체부(10)는 차량 시트에 고정 설치된다. 즉, 차량 시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폴을 매개로 헤드레스트를 지지하게 된다.The main body 10 is fixed to the vehicle seat. That is,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seat to support the headrest via the pawl.

이 경우, 본체부(10)는 그 일측에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폴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홀(11)이 구비된다. 폴은 제 1 가이드홀(1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hole 11 into which a pole of a headrest for a vehicle is inserted. The pawl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s 11 and slid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또한, 본체부(10)의 상부(20)에는 후술할 캡부(50)의 체결돌기(51)를 수용하는 수용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캡부(50)에 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The upper portion 20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13 for receiving the fastening protrusion 51 of the cap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ap portion 50.

아울러, 본체부(10)의 상부(12)는 제 1 가이드홀(11)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평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홀(11)을 형성하는 부분은 차량 시트 내부로 삽입되므로 부피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상부(12)는 본체부(10)를 차량 시트와 접촉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12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in a plan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guide hole 11.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volume because the portion forming the first guide hole 1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seat. The upper portion 12 has a predetermined area to secure the main body portion 10 in contact with the vehicle seat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cur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와 폴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으므로, 본체부(10)의 상부(11)와 제 1 가이드홀(11) 또한 같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headrest and the pawls generally form a predetermined angl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guide hole 11 may be formed at the same predetermined angle. have.

가이드부(20)는 일측에 제 2 가이홀(21)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 3 가이드홀(22)이 구비된다.The guide portion 20 has a second guiding hole 21 on one side and a third guide hole 22 on the other side.

이 경우, 폴은 제 2 가이드홀(21)을 관통하여 본체부(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2 가이드홀(21)은 제 1 가이드홀(21)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awl passes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21 an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guide hole 21 i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first guide hole 21.

한편, 제 3 가이드홀(22)은 후술할 잠금부(30)가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의 경우, 잠금부(30)가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 3 가이드홀(2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guide hole 22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lock portion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Particularly, in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guide hole 22 is formed such that the lock portion 3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 both directions.

이를 통해, 잠금부(30) 삽입되는 방향에 따라 두 개의 사양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폴에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용 노치(이에 더하여, 하단에 탈거감지용 노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가 형성되고, 제 2 폴에는 하단에 탈거감지용 노치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헤드레스트의 경우, 동일한 제품을 두 개의 사양으로 사용하여 각각 제 1 폴 및 제 2 폴을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게 된다. Thereby, two specifications are possibl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30 is inserted. That is, in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notches (in addition, a notch for detaching detect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are formed on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detachment notch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 same product is used as two specifications to support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respectively. In addition,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will meet the requirements.

한편, 제 3 가이드홀(22)은 제 2 가이드홀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본체부(10)의 상측에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guide hole 22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guide hole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이 경우, 제조 과정 상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본체부(10)와 가이드부(20)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guide portion 20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so as to save time and cos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잠금부(30)는 폴을 구속한다. 즉, 제 2 가이드홀(21)을 관통하여 제 1 가이드홀(11)에 삽입된 폴을 구속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The locking portion 30 restrains the pawl.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kept constant by restricting the pawl inserted through the second guide hole 21 and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11.

잠금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가이드홀(22)의 어느 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조립되고, 후술할 탄성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The lock portion 30 is inserted and assembled in one direction of the third guide hole 22 as described above, and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잠금부(30)는 로크부(31) 및 버튼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ck portion 30 may include a lock portion 31 and a button portion 32.

먼저, 로크부(31)는 제 3 가이드홀(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울러, 후술할 탄성부재(4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폴의 일측에 형성된 노치에 걸리도록 구비된다.First, the lock portion 31 is slidably provided in the third guide hole 22.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be caught by a no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pawl.

버튼부(32)는 로크부(31) 일측에 구비된다. 탑승자는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또는 탈거를 위해 버튼부(32)를 눌러 외력을 가한다.The button portion (32)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ck portion (31). The passenger applies an external force by pressing the button portion 32 to adjust or remove the height of the headrest.

이 때, 버튼부(32)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후술할 캡부(50)에 부딪쳐 로크부(3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노치에 걸려 폴을 구속하던 로크부(31)가 이동되어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정도로 가압력을 제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button portion 32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lock portion 31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ap portion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lock portion 31, which is caught by the notch and restrains the pawl, may be moved to limit the pressing force to such an extent that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parts can be assured.

한편, 잠금부(30)는 캡부(50) 및 본체부(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portion 30 may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50 and a connection portion 33 slid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portion 10.

이를 통해, 잠금부(30)는 로크부(30) 및 연결부(33) 모두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2중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탈거가 가능해진다.
As a result, both the lock portion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 slide through the lock portion 3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stably adjust and remove the height of the headrest through the double sliding structure.

탄성부재(40)는 잠금부(30)를 탄성지지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40)는 스프링뿐만 아니라 고무 등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40)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 portion (30).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40 may include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as well as a spring.

또한, 탄성부재(40)는 후술할 캡부(5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는, 캡부(50)에 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The elastic member 40 is preferably fixed to one side of the cap portion 50 to be described late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conjun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cap portion 50.

캡부(50)는 가이드부(20) 및 잠금부(30)의 외측에 구비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아울러, 캡부(50)는 본체부(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부재(40)를 지지한다.The cap portion 5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guide portion 20 and the lock portion 30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In addition, the cap portion 5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supports the elastic member 40.

이 때, 캡부(50)에는 폴이 삽입 관통하는 제 4 가이드홀(53)이 구비된다. 따라서, 제 4 가이드홀(53)은 제 2 가이드홀(21) 및 제 1 가이드홀(21)과 동축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ap portion 50 is provided with a fourth guide hole 53 through which the pole is inser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th guide hole 53 i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second guide hole 21 and the first guide hole 21.

이 경우, 캡부(50)의 하부에 본체부(10)의 상부(12)와 후크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가이드부(20)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도 2 내지 도 6에는 3개의 체결돌기(51)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후크결합 이외의 결합 또한 가능하다.In this case,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uide portion 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p portion 50 to be hooked to the upper portion 12 of the body portion 10. Therefore, although three fastening protrusions 51 are shown in Figs. 2 to 6,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may be provided more than three. In addition, coupling other than hook coupling is also possible.

한편, 본체부(10)의 상부(20)에는 체결돌기(51)를 수용하는 수용홀(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수용홀(13)은 잠금부(30)가 반대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 캡부(30) 또한 반대 방향에 조립할 수 있도록 대칭적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portion 20 of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13 for receiving the fastening protrusion 5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hole 13 is symmetrically provided so that the cap portion 30 can be assemb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30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즉, 도2 및 도4을 참조하면, 체결돌기(51)가 수용된 수용홀(13a, 13b, 13c) 이외의 나머지 하나의 수용홀(13d)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잠금부(30)가 반대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 체결돌기(51)는 위치가 바뀌어 본체부(10)의 수용홀(13b, 13c, 13d)에 결합된다.2 and 4, it is preferable that one receiving hole 13d other than the receiving holes 13a, 13b and 13c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are accommodated is further provided. Therefore, when the locking portion 30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astening protrusion 51 is changed in position and is engaged with the receiving holes 13b, 13c, and 13d of the main body portion 10. [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캡부(50)의 일측에 탄성부재(4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캡부(50)에는 탄성부재(40)를 수용하는 수용홈(52)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member 4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p portion 50. In this case, the cap portion 5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52 for receiving the elastic member 4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탄성부재(40)와 잠금부(30)를 별도로 조립 가능하여, 잠금부(30)의 조립 시 탄성부재(4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노력이 요구되지 않아 조립 용이성이 확보된다.As a result,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ly assemble the elastic member 40 and the lock portion 30, so that when the lock portion 30 is assembled, The installation effort is not required and the ease of assembly is ensured.

아울러, 다른 부분의 설계 변경 없이도 캡부의 외관 변형만으로 미려한 외관확보가 가능하다.
In addition, without changing the design of other parts, it is possible to obtain a beautiful appearance only by the external deformation of the cap par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는 스토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60).

스토퍼(60)는 잠금부(30)의 저면에 구비되고, 체결돌기(51)가 수용된 수용홀(13a, 13b, 13c) 이외의 나머지 하나의 수용홀(13d) 내측벽에 부딪쳐 이탈을 저지한다.The stopper 6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 portion 30 and hits against the side wall of the other one of the receiving holes 13d except for the receiving holes 13a, 13b and 13c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s 51 are accommodated .

한편, 스토퍼(60)는 잠금부(30)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eedless to say, the stopper 60 can be injection-molded integrally with the lock portion 30.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FMVSS 북미 법규의 요건을 만족하는 한편 동일 제품으로 두 개의 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사양으로 조립 가능하고, 조립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미려한 외관확보가 가능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 및 탈거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into two specifications so that two pawls can be supported by the same product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FMVSS North American regulations, It is possible to secure a beautiful appearanc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and remove the height of the headrest more stab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on the basis of common knowledge in the art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부품 관련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guide device for a vehicle, and is applicable to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automobile parts.

10: 본체부 11: 제 1 가이드홀
12: 상부 13: 수용홀
20: 가이드부 21: 제 2 가이드홀
22: 제 3 가이드홀
30: 잠금부 31: 로크부
32: 버튼부 33: 연결부
40: 탄성부재
50: 캡부 51: 체결돌기
52: 수용홈 53: 제 4 가이드홀
60: 스토퍼
10: main body part 11: first guide hole
12: upper 13: receiving hole
20: guide portion 21: second guide hole
22: Third guide hole
30: locking part 31: locking part
32: button portion 33: connection portion
40: elastic member
50: cap portion 51: fastening projection
52: receiving groove 53: fourth guide hole
60: Stopper

Claims (8)

일측에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폴이 삽입되는 제 1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차량 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부;
일측에 상기 폴이 관통하는 제 2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타측에 잠금부를 양 방향에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 3 가이드홀이 상기 제 2 가이드홀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
상기 제 3 가이드홀의 어느 한 방향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1 가이드홀에 삽입된 폴을 구속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잠금부의 외측으로 상기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하부에 본체부의 상부와 후크결합되는 체결돌기가 상기 가이드부 측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홀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홀은 상기 잠금부가 반대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 상기 캡부 또한 반대 방향에 조립할 수 있도록 대칭적으로 복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가이드장치.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first guide hole into which a pole of a headrest for a vehicl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vehicle seat;
And a third guid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guide hole so as to be selectively insertabl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other side, and a second guide hol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Guide portion;
A locking portion inserted in one direction of the third guide hole and restricting the pawl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hole;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portion; And
A cap part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part outside the guide part and the lock part, the cap part supporting the elastic part;
Lt; / RTI >
And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p portion,
And a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receiving hole is symmetrically provided so that the cap portion can be assemb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홀의 내측벽에 부딪쳐 상기 잠금부의 이탈을 저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opper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ck portion and stopping the lock portion from colliding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hole;
Further compris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headr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 3 가이드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폴의 일측에 형성된 노치에 걸리도록 구비되는 로크부; 및
로크부 일측에 구비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캡부에 부딪쳐 상기 로크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버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A lock portion provided slidably in the third guide hole and adapted to be engaged with a notch formed on one side of the pawl by the elastic member; And
A button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ck portion and restrict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lock por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ap portion;
The headrest guide device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와 상기 버튼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캡부 및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connectin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ck portion and the button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slidably mounted on the cap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headrest guide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캡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p por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ap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가이드부는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가이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KR1020140134391A 2014-10-06 2014-10-06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KR10159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391A KR101592279B1 (en) 2014-10-06 2014-10-06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391A KR101592279B1 (en) 2014-10-06 2014-10-06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279B1 true KR101592279B1 (en) 2016-02-05

Family

ID=5535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391A KR101592279B1 (en) 2014-10-06 2014-10-06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27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55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le-guide of head-rest
KR20200068295A (en) * 2018-12-05 2020-06-15 진영공업 주식회사 Headrest fixing assembly and manufacutring method of the same
CN112389295A (en) * 2019-08-15 2021-02-23 凯锐光电股份有限公司 Car seat and quick detach formula strutting arrangement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38A (en) * 2001-05-31 2002-12-10 Tachi S Co Ltd Locking mechanism of headrest
KR200429082Y1 (en) *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월드솔루션 Apparatus for fixing headrest of vehicle
KR101393789B1 (en) * 2012-09-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eadrest pole gui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38A (en) * 2001-05-31 2002-12-10 Tachi S Co Ltd Locking mechanism of headrest
KR200429082Y1 (en) *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월드솔루션 Apparatus for fixing headrest of vehicle
KR101393789B1 (en) * 2012-09-06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eadrest pole gui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155A (en) *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le-guide of head-rest
KR102466071B1 (en) 2016-12-16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le-guide of head-rest
KR20200068295A (en) * 2018-12-05 2020-06-15 진영공업 주식회사 Headrest fixing assembly and manufacut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27210B1 (en) * 2018-12-05 2020-06-26 진영공업 주식회사 Headrest fixing assembly and manufacutring method of the same
CN112389295A (en) * 2019-08-15 2021-02-23 凯锐光电股份有限公司 Car seat and quick detach formula strutting arrangement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7369B1 (en) Headrest adjustment mechanism for vehicle seats
US10449881B2 (en) Head rest
US7758096B2 (en) Child seat anchor apparatus and partition trim
KR101592279B1 (en) a guiding appararus for headrest of vehicle
JP2008056229A (en) Seat belt shoulder anchor
KR20160021441A (en) Telescopic cover element of a receiving device of a vehicle seat
CN108778835B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n assist handle assembly to a vehicle component
JP2016147523A (en) Interior member structure
US9877548B2 (en) Buckle for seatbelt device
CN109109702B (en) Vehicle seat
JP2009275371A (en) Automobile door
EP3176028A1 (en) Multi-directional translational head restraint
WO2015001836A1 (en) Seatbelt adjuster structure
JP5848449B2 (en) Through anchor
JP2014218157A (en) Bezel for seat belt
JP2008120128A (en) Clip mounting seat structure
KR20180070155A (en) Pole-guide of head-rest
US10894518B2 (en) Door trim
WO2014132807A1 (en) Seatbelt-holding bezel, seatbelt guide unit, and seatbelt device
JP6248427B2 (en)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JP2011162164A (en) Seat belt guide structure
KR101787700B1 (en) Barrier net apparatus for vehicle
JP6256759B2 (en) Meter cluster mounting structure
JP6602830B2 (en) Pillar trim assembly and vehicle pillar structure
JP6223393B2 (en) Through anch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