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186B1 -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186B1
KR101592186B1 KR1020140009923A KR20140009923A KR101592186B1 KR 101592186 B1 KR101592186 B1 KR 101592186B1 KR 1020140009923 A KR1020140009923 A KR 1020140009923A KR 20140009923 A KR20140009923 A KR 20140009923A KR 101592186 B1 KR101592186 B1 KR 10159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sw
color
current
conduct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384A (ko
Inventor
임정관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1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소켓(C0 내지 Cn: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각각 형성된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가 형성된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내부에는 전류량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H)의 색 변화에 따라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인가시 전류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도체(I)에 해당하는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 를 포함하며, 각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의 시온안료(H)는 과부하시 색이 과부하로 설정된 정해진 온도에 따른 색에 맞게 변하는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기존의 멀티 콘센트의 연결소켓 별 스위치의 발광소자를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표면에 도색한 도체로 대체함으로써 빛의 발산 내지 발광을 피하면서, 전류의 인가 내지 흐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그 색이 구분되어 보다 직관적으로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그 색이 구분되어 전류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연결소켓의 온도 또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화로 인한 발열 정도를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Multi-concent with power control status check function by color change}
본 발명은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멀티콘센트 장치의 전원제어 스위치의 발광소자를 대체하여 현재의 연결소켓의 전류 인가 상태를 전원의 소비가 없는 시온안료를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멀티 콘센트는 다양한 장소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멀티 콘센트에는 다수의 연결소켓(콘센트)이 있으며 각 연결소켓에 많은 전자제품들이 연결되어 있어 과부하의 위험이 있다.
한편, 멀티 콘센트는 사용 중이지 않은 전자제품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불필요한 소모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결소켓에 개별로 차단 스위치를 구성하여 이를 방지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각 연결소켓 별 또는 멀티 콘센트의 전체 전원을 제어하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는 인가(ON)시에 전류가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전구 또는 LED 등의 발광소자 등을 이용하여 불빛을 발산해 전류가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결소켓별로 스위치가 구성시, 많은 스위치들에서 발산되는 빛의 밝기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주간의 경우 밝기에 대한 거부감이 없지만 야간이나 취침 시에는 이 빛의 밝기로 인해 주변이 밝아질 정도이며 이는 취침에 방해 요소로 작용 되며, 발광소자의 전류인가에 따른 전류의 불필요한 소모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스위치부가 콘센트 본체로부터 분리 설치된 절전형 멀티 콘센트(POWER SAVING MUTI OUTLET IN WHICH SWITCH PARTS IS SEPARATELY INSTALLED FROM THE OULET BODY)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15669호)
2. 연동스위치를 내장한 멀티콘센트(MULTICONCENT WITHIN INTERLOCKING SWITCH)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21708호)
3. 멀티콘센트형 스위치 시스템(MULTI-SOCKET TYPE SWITCH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934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 콘센트의 연결소켓의 전원제어를 하는 각각의 스위치에서 발광소자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전류의 인가 여부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발광소자 등을 이용한 전류의 인가 여부를 나타내는 경우의 불필요한 전류 소모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는, 연결소켓(C0 내지 Cn: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각각 형성된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가 형성된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내부에는 전류량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H)의 색 변화에 따라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인가시 전류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도체(I)에 해당하는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 를 포함하며, 각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의 시온안료(H)는 과부하시 색이 과부하로 설정된 정해진 온도에 따른 색에 맞게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온안료(H)는 도체(I) 표면에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14℃ 내지 400℃의 색상 변화 온도대에 따라 그레이드(grade) 별로 변화된 색상으로 시각화시키는 가역 시온안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내부의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는, 각 연결소켓(C0 내지 Cn)과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스위치 소자의 한단과 다른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는 온(ON) 상태에서 투명한 재질의 후면으로 시온안료를 도색한 도체(HI) 표면의 시온안료(H)에 의한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전원 인가로 설정된 색상으로의 변화에 따라 각 연결소켓(C0 내지 Cn)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는, 기존의 멀티 콘센트의 연결소켓 별 스위치의 발광소자를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표면에 도색한 도체로 대체함으로써 빛의 발산 내지 발광을 피하면서, 전류의 인가 내지 흐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는,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그 색이 구분되어 보다 직관적으로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는,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을 사용함으로 인해 온도 내지는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그 색이 구분되어 전류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연결소켓의 온도 또한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부화로 인한 발열 정도를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의 내부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에서의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내부에 형성되는 종래의 발광소자를 대체할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의 내부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에서의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내부에 형성되는 종래의 발광소자를 대체할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는 연결소켓(C0 내지 Cn, 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연결소켓(C0 내지 Cn)에는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가 형성됨으로써, 전원 제어 및 전원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는 전원 제어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투명 재질의 박스 내측으로,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는 종래의 기존 연결소켓별 스위치의 발광소자를 대체할 소자에 해당한다.
즉,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IRON)과 같은 도체(I) 상의 상부면에 온도에 따라 반응하는 시온안료(H)를 도색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시온안료(H)는 온도 또는 도체(I)를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도체(I)의 표면에 도색하여 발광소자를 대신해서 전류의 인가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물질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도체(I) 표면에 하나의 층을 형성하는 시온안료(H)는 선택적으로 14℃ 내지 400℃의 색상 변화 온도대에 따라 변화된 색상으로 시각화시키는 가역 시온안료로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다른 첨가물 또는 일반 색상을 내는 안료와 함께 1 내지 5% 정도 등 적정 비율의 시온안료가 포함된 혼합액을 분사, 분무 또는 담금질하는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이러한 혼합액을 원료로 미리 제작된 스티커를 붙이거나 이러한 혼합액을 원료로 미리 제작된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연결소켓(C0 내지 Cn)을 6개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많이 사용되는 개수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개수에 대한 확장과 축소는 가능하다.
한편, 연결소켓(C0 내지 Cn) 각각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각각이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타입으로 전류차단을 제어하기 위해 온/오프(ON/OFF)로 작동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내부의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는 각 연결소켓(C0 내지 Cn)와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스위치 소자의 한단과 다른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과의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10)는 교류 전류(AC)를 제공받아, 교류(DC)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결소켓(C0 내지 Cn)별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기존의 발광소자를 대체할 물질로 시온안료(H)를 사용함으로써, 시온안료(H)를 도체(I)의 표면에 도색하여 발광소자를 대신할 수 있다.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는 온(ON) 상태에서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후면으로 시온안료를 도색한 도체(HI) 표면의 시온안료(H)에 의한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전원 인가로 설정된 색상으로의 변화에 따라 현재 해당 연결소켓(C0 내지 Cn)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시온안료를 도색한 도체(HI)에 형성된 도체(I)는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5)의 스위치 소자와 연결소켓(C0 내지 Cn)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외부 전원을 공급받은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를 통해 연결소켓(C0 내지 Cn)에 삽입된 전자제품에 전류가 인가될 경우 시온안료를 도색한 도체(HI)에 전류가 통과하면서, 전류량에 비례하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색이 변하여 식별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도체(I)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기저항값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되고 시온안료(H)의 색이 변하게 되어 시온안료를 도색한 도체(HI)의 색이 변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또한, 시온안료(H)는 온도의 그레이드(grade) 별로 색이 변하므로 과도한 전기 사용 등을 통해 과부하시 시온안료(H)의 색이 과부하로 설정된 정해진 온도에 따른 색에 맞게 변하게 되며, 발열량 또한 색상을 통하여 쉽게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시온(감온)안료(H)는 색상이 변화하는 각 설정 온도 그레이드가 있으며, 다양한 색상 그레이드가 있고, 응용 제조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산업 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이때, 시온안료(H)는 미리 설정된 온도(예컨대, 35℃) 초과에서는 색상이 나타나며,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색상이 나타나도록 하거나 반대로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색상이 나타나며 미리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색상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C0 내지 Cn: 연결소켓
TSW 0 내지 TSW n: 전류차단 스위치
HI: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
H: 시온안료
I: 도체

Claims (4)

  1. 연결소켓(C0 내지 Cn: n은 2 이상의 자연수)에 각각 형성된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가 형성된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내부에는 전류량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H)의 색 변화에 따라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 인가시 전류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도체(I)에 해당하는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 를 포함하며,
    각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의 시온안료(H)는 과부하시 색이 과부하로 설정된 정해진 온도에 따른 색에 맞게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온안료(H)는
    도체(I) 표면에 하나의 층을 형성하며 선택적으로 14℃ 내지 400℃의 색상 변화 온도대에 따라 그레이드(grade) 별로 변화된 색상으로 시각화시키는 가역 시온안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내부의 시온안료 도색 타입형 도체(HI)는,
    각 연결소켓(C0 내지 Cn)과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전류차단 스위치(TSW 0 내지 TSW n)의 스위치 소자의 한단과 다른 하나의 도선(L1)을 통해 도체(I)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4. 삭제
KR1020140009923A 2014-01-27 2014-01-27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KR10159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23A KR101592186B1 (ko) 2014-01-27 2014-01-27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23A KR101592186B1 (ko) 2014-01-27 2014-01-27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84A KR20150089384A (ko) 2015-08-05
KR101592186B1 true KR101592186B1 (ko) 2016-02-05

Family

ID=5388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23A KR101592186B1 (ko) 2014-01-27 2014-01-27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0419A1 (en) 2013-12-24 2015-07-02 View, Inc. Obscuring bus bars in electrochromic glass structures
US11906868B2 (en) 2013-12-24 2024-02-20 View, Inc. Obscuring bus bars in electrochromic glass structures
CN115951532A (zh) * 2015-12-21 2023-04-11 唯景公司 遮蔽电致变色玻璃结构中的汇流条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455B2 (ja) 1991-11-30 2001-01-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200278988Y1 (ko) 2002-04-01 2002-06-20 강두연 과부하 및 누전 차단부가 내재된 멀티코드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6455B2 (ja) 1991-11-30 2001-01-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200278988Y1 (ko) 2002-04-01 2002-06-20 강두연 과부하 및 누전 차단부가 내재된 멀티코드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384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582B2 (en) Luminaire dimming module uses 3 contact NEMA photocontrol socket
EP2212879B1 (en) Led light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KR101592186B1 (ko) 색변화 기반의 전원 제어상태 확인 기능을 구비한 멀티 콘센트
CA2508128A1 (en) Parallel power supply system for low voltage devices
CN105584407B (zh) 出租车载客空车交班三色指示灯
CN203421552U (zh) Led软性灯饰条
CN105873301A (zh) 一种半波分流式单火线led灯双控电子开关
CN105889779A (zh) 一种双色led球泡灯
CN207884936U (zh) 一种单键开关切换多模式led灯
CN205408232U (zh) 车标灯
CN203839253U (zh) 带指示灯的防水按钮
CN102646903A (zh) 一种高温警示插座面板
US8632241B2 (en) Night light electrical end plate
CN103698027B (zh) 一种温度指示电路及电子产品
CN207279316U (zh) 一种微波感应球泡灯
CN205807034U (zh) 一种单色led的圣诞灯串
CN205303370U (zh) 一种具有彩灯显示状态功能的智能断路器
CN104703319A (zh) 一种检测电路及照明设备
CN203038620U (zh) 一种应用在冰箱logo上的发光装置
CN202091879U (zh) 一种节日彩灯
KR20180047233A (ko) 콘센트 장치 및 그의 소비전력 표시방법
TWI611137B (zh) 基於樞合調控之可變色發光二極體裝置
CN203643030U (zh) 一种温度指示电路及电子产品
KR20140002215U (ko) 색변화로 전원제어 상태 확인이 가능한 멀티 콘센트
CN203464602U (zh) 一种冰箱工作状态变色指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