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985B1 -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 Google Patents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1985B1 KR101591985B1 KR1020130099363A KR20130099363A KR101591985B1 KR 101591985 B1 KR101591985 B1 KR 101591985B1 KR 1020130099363 A KR1020130099363 A KR 1020130099363A KR 20130099363 A KR20130099363 A KR 20130099363A KR 101591985 B1 KR101591985 B1 KR 101591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intake
- pipe
- buoyancy
- intak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3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표층수가 유입되는 취수홀을 포함하는 취수부; 상기 취수부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에 부력을 가하는 제1부력부; 일측이 상기 취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취수부에서 유입되는 표층수를 제어부 이동시키는 유입관; 일측이 상기 취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취수홀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이동시키고,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취수부에서 흡입되는 표층수의 취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유출관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취수부는,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가 연장되어 돌출된 유입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취수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취수하는 취수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ing: a water intake portion including a water intake hole into which surface water flows; A first buoyant portion attached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applying buoyancy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art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at the other side and for moving the surface layer water flowing in the water intake part from the control part; A control part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hole to move the surface layer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hole and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and to control the water intake amount of the surface layer water sucked in the water intake part to move to the out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for discharging the surface layer water flowing in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water intake portion includes an inlet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or one or more orifice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ing water intake device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capable of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water intake part for taking water by using a floating device and taking water of a desired depth.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취수하는 취수부(웨어, 삼각웨어 및 오리피스웨어공 등)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water intake unit (such as a weir, a triangular ware and an orifice ware bal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depth by regulating a water depth through a buoyancy device capable of taking water of a desired depth.
본 발명은 부유식 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물은 깊이에 따라 그 수질 및 온도가 다르다.Water has different water quality and temperature depending on depth.
또한, 기상상황 또는 주변 여건에 따라 수질은 수시로 변화된다.In addition, the quality of water varies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or surrounding conditions.
하지만, 기존의 부유식 취수장치는, 문비(수문)을 작동하여 취수를 한다.However, the existing floating water intake system operates the gate (water gate) to take in water.
따라서, 사용용도에 따라 특정 깊이의 물을 선택적으로 취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수위변화에 따라 문비(수문) 개도를 계속 변경해주어야 했다.Therefore, it was impossible to selectively take water of a specific depth depending on the use purpose, and it was necessary to continuously change the gate (gate) opening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42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The technique to be a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7420.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420호 역시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77420 does not provide any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상술한 바와 같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취수하는 취수부(웨어, 삼각웨어 및 오리피스 웨어 등)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regulate the position of a water intake part (water, triangular ware, or orifice ware, etc.) This is to provide a floating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the water depth by means of a buoyancy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출구 쪽에 유속에 따라 유출량을 자동조절하는 유출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유속이 빠를 경우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유속이 느릴 경우 유출량을 증가시켜서 유출량의 변동을 자동으로 최소화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rate adjust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adjusts a flow rate according to a flow rate on the side of an outlet port to reduce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is high and to automatically increase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is low, This is to provide a floating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through the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이 유입되는 취수홀을 포함하는 취수부; 상기 취수부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에 부력을 가하는 제1부력부; 일측이 상기 취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취수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제어부 이동시키는 유입관; 일측이 상기 취수홀과 연결되어 상기 취수홀에 유입되는 물을 이동시키고,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취수부에서 흡입되는 물의 취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유출관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유출하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취수부는,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가 연장되어 돌출된 유입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취수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공이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의 일면 또는 사면에 동일한 각도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홀에 물을 유입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오리피스공이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관 내부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232); 및 판형으로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방향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유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36)으로 결합되는 유출조절판(234);을 포함하는 유출량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와 유출조절판 사이에 코일 스프링 형태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와 유출조절판의 후측에 판스프링 형태로 결합되어, 유출관 내부 물의 유속에 따라 유출조절판의 열리는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유출량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의 내부에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제1조절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밸브를 열어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의 내부로 유입시켜 사이폰현상을 정지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조절밸브를 닫고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이폰현상을 작동시키며, 일측이 수면 아래에 잠겨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유출관과 결합되어 상기 일측에서 유입되는 물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사이폰 현상을 유발시키는 바이패스관; 상기 바이패스관에 물이 유입되도록 수문을 개방하거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문을 차단하는 제2조절밸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supply system including: a water intake unit including a water intake hole into which water is introduced; A first buoyant portion attached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applying buoyancy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art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at the other side and for moving water flowing in the water intake part from the control part; A control part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hole to mov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hole and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and to adjust the water intake amount of the water sucked in the water intake part to the outflow pipe; And an outflow pipe for discharging the surface layer water flowing in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water intake portion includes an inlet portion formed by protrud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or one or more orifice hole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at an equal angle on one surface or slop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intake hole, The extension par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rifice hole, and the outflow tube includes a fixing member (232) fixedly formed inside the tube; And is connected to a
삭제delete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유입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xtend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또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제1부력부, 중량부 및 수류에 의해 상기 취수부가 상하좌우로 이동시 길이 및 위치가 조절되도록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은,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low pipe may be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inflow pipe can be adjusted when the inflow pipe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the first buoyant portion, the weight portion, and the water flow. And a position fixing part formed on the part to fix the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유입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취수부의 사면에 형성된 유입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을 분리시켜 상기 취수부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flo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portions formed on the slopes of at least one of the water intake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inflow pipe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ipe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ortion.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어부에 부력을 가하여 수면위로 상승시키는 제2부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oyancy unit which is formed below the control unit and applies buoyancy to the control unit to raise the buoyancy to the surface of the water.
또한, 상기 제1부력부 및 제2부력부는, 튜브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uoyant portion and the second buoyant portion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and the buoyant for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insid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취수하는 취수부(웨어, 삼각웨어 및 오리피스웨어 등)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깊이의 물을 취수할 수 있는 표층수를 취수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water intake unit (water, triangular ware, or orifice ware, etc.) for taking water by using the floating unit, The water depth can be adjusted to provide a floating water intake port for selective intak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출구 쪽에 유속에 따라 유출량을 자동조절하는 유출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유속이 빠를 경우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유속이 느릴 경우 유출량을 증가시켜서 유출량의 변동을 자동으로 최소화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oyancy device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flow rate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n the side of the outlet, thereby decreasing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is high and automatically increasing the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is low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ing water intake device for selecting and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의 4가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유출량조절부를 나타낸 투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가 하나 이상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제어부가 부유되는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의 4가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가 하나 이상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제어부가 부유되는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water intake device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a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four types of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6 are transmission side views showing a flow rate control unit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water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bypass pipe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a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four types of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water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m in which a bypass pipe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floating water intake system in which water depths are selectively controlled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의 4가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유출량조절부를 나타낸 투과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가 하나 이상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제어부가 부유되는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water intake device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4 is a plan view showing four types of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view of the flow rate control unit of the floating water taking-out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side view of a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 type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bypass pipe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는 취수부(110), 제1부력부(130), 유입관(210), 제어부(220), 유출관(230)을 포함한다.1 to 5, the floating water intake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water depth through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선택취수란 표층수, 증층수 및 심층수등 의 물을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취수가능함을 뜻한다.Here, the selective withdrawal means that water such as surface water, augmented water, and deep seawater can be selectively withdrawn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제1 실시예에 따른 취수부(110)는, 취수홀(115), 유입부(120), 중량부, 연장부(150) 및 제1부력부(130)를 포함한다.The
취수부(110)는, 삼각뿔 형상 또는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취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는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취수부는, 일반적으로 물을 취수하는 삼각웨어 및 오리피스웨어를 뜻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intake part means a triangular ware and an orifice ware which generally collect water.
취수홀(115)은, 취수부(11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유입관(210)과 연결되어 표층수가 유입관(210)으로 유입된다.The
유입부(120)는, 상기 취수부(110)는, 상측에 다수개의 돌기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된다.In the
여기서, 유입부(120)는,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에 형성되되,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즉, 유입부(120)는, 취수의 목적에 따라 취수양을 달리할 수 있도록 반원 형태, 다각형 형태 등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중량부(미도시)는, 상기 취수부(110)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110)의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게를 가한다.The weight portion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연장부(150)는, 일면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연장부(150)는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의 일면 또는 사면에 동일한 각도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홀(115)에 물을 유입한다.The
여기서, 연장부(150)는, 취수면적을 증가시켜 취수홀(115)에 취수되는 유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Here, the
또한, 여기서, 연장부(150)는, 유입부(120)가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ding
제1부력부(130)는, 상기 취수부(110)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110)에 부력을 가한다.The first
여기서, 제1부력부(130)는, 튜브형태로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에 결합되거나 대칭되어 상측둘레의 양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유입관(210)은, 일측이 상기 취수홀(115)과 연결되어 상기 취수홀(115)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부력부(130), 중량부 및 수류에 의해 상기 취수부(110)가 이동시 길이 및 위치가 조절된다.One end of the
여기서, 유입관(210)은, 위치고정부(212)을 포함한다.Here, the
위치고정부(212)는,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유입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즉, 위치고정부(212)는, 무게추에 의해 유입관(210)의 위치를 고정시키거나, 지면과 유입관(210)과의 결합부재를 이용한 나사결합 등을 통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제어부(220)는, 유입관(210) 및 유출관(230)과 연결되고, 상기 취수부(110)에서 흡입되는 표층수의 취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유출관(230)으로 이동시킨다.The
여기서, 제어부(220)는,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220)의 내부에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제1조절밸브 및 상기 제어부(22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The
즉, 제어부(220)는 펌프의 출력을 제어하고 유출관(230) 및 유입관(210) 내의 공기 연행을 이용하여 진공 상태로 만들어 사이폰 현상을 발생시켜 취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이때, 사이폰 현상은 유입관(210)과 유출관(230)이 물로 채워지고 외부의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양수펌프(미도시) 또는 바이패스관(227)을 통해 유출관(230)부분을 물로 채워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iphon phenomenon occurs when the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부(220)는, 상기 제1조절밸브를 열어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의 내부로 유입시켜 사이폰현상을 정지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조절밸브를 닫고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이폰현상을 작동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즉, 제1조절밸브를 열면 물이 흐르지 않고 제1조절밸브를 닫고 펌프를 가동하면 유입관 내에 있던 물이 제어부(220)를 통과하여 유출관(230)으로 흘러 물을 배출한다.That is, when the first regulating valve is opened, the water does not flow, the first regulating valve is closed and the pump is operated, and the water in the inlet pipe flows through the
또한, 제어부는, 바이패스관(227)과 제2조절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여기서, 바이패스관(227)은, 일측이 수면 아래에 잠겨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유출관(230)과 결합되어 상기 일측에서 유입되는 물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사이폰 현상을 유발시킨다.Here, the
그리고, 제2조절밸브(미도시)는, 상기 바이패스관(227)에 물이 유입되도록 수문을 개방하거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문을 차단한다.The second control valve (not shown) opens the water gate so as to allow the water to flow into the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형태가 아닌 수면위에 부유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는, 상기 제어부(22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어부(220)에 부력을 가하여 수면위로 상승시키는 제2부력부(225);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능해진다.The
유출관(230)은, 상기 제어부(220)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유출한다.The
즉, 유출관(230)은, 제어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표층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히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유출관(230)은, 고정부재(232)와 유출조절판(234)을 포함한다.Here, the
고정부재(232)는, 관 내부에 고정되어 형성된다.The fixing
유출조절판(234)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방향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방향의 타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내측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36)으로 결합된다.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스프링(236)은, 두가지형태로 상기 고정부재(232) 및 상기 유출조절판(234)과 결합이 가능한데, 고정부재(232)와 유출조절판(234) 사이에 코일스프링 형태로 결합되거나, 판스프링 형태로 상기 고정부재(232)와 유출조절판(234)의 후측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따라서, 유출조절판(234)은, 고정부재(232)와 스프링(236)으로 결합된 타측이 유속에 따라서 열리게 되어 유속이 빠를 경우 유출량을 감소시키고 유속이 느릴 경우 유출량을 감소시키지 않게 한다.Accordingly, the
여기서 스프링(236)은, 유출관(230) 내부를 흐르는 물의 유속에 따라 상기 유출조절판(234)의 열리는 정도를 조절해 준다.The
즉, 스프링(236)의 강도 및 꼬임에 따라 물의 유속에 따른 유출조절판(234)의 열림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유출량이 조절되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trength and kink of the
또한, 상기 유입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취수부의 사면에 형성된 유입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을 분리시켜 상기 취수부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nflo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portions formed on the slopes of at least one of the water intake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rein the inflow pipe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ipe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ortion.
그리고, 상기 제1부력부(130) 및 제2부력부(225)는, 튜브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rst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의 4가지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취수부가 하나 이상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제어부가 부유되는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의 바이패스관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front view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intake portion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13 is a plan view showing four types of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adjusting the depth of water through a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intake portions of a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by controlling the water depth through an apparatus are connected. FIG.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floating 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ypass pipe is formed.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취수장치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취수부(110), 제1부력부(130), 유입관(210), 제어부(220), 유출관(230)을 포함하되, 제2실시예에 따른 취수부(110)는 취수홀(115), 오리피스공(140), 중량부, 연장부(150) 및 제1부력부(130)를 포함한다.6 to 9, the floating water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취수부(110)는, 삼각뿔 형상 또는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및 하면이 막혀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오리피스공에서 유입되는 취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는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취수홀(115)은, 취수부(11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유입관(210)과 연결되어 표층수가 유입관(210)으로 유입된다.The
오리피스공(140)은, 하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 형성된다.The orifice holes 14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one or more of them are formed.
여기서, 오리피스공(140)은 그 형태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Here, the
중량부(미도시)는, 상기 취수부(110)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110)의 수심을 조절하기 위하여 무게를 가한다.The weight portion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연장부(150)는,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의 일면 또는 사면에 동일한 각도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홀(115)에 물을 유입한다.The
여기서, 연장부(150)는 오리피스공(140)이 하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제어부(220)는, 유입관(210) 및 유출관(230)과 연결되고, 상기 취수부(110)에서 흡입되는 표층수의 취수량을 조절하여 상기 유출관(230)으로 이동시킨다.The
유출관(230)은, 상기 제어부(220)에 유입되는 표층수를 유출한다.The
여기서, 상기 유출관(230)은, 고정부재(232)와 유출조절판(234)을 포함한다.Here, the
고정부재(232)는, 관 내부에 고정되어 형성된다.The fixing
유출조절판(234)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방향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방향의 타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내측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36)으로 결합된다.One end of the
제1부력부(130)는, 상기 취수부(110)의 상측에 부착되며, 상기 취수부(110)에 부력을 가한다.The first
여기서, 제1부력부(130)는, 튜브형태로 취수부(110)의 상측 둘레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0: 취수부 115: 취수홀
120: 유입부 130: 제1부력부
140: 오리피스공 150: 연장부
210: 유입관 212: 위치고정부
220: 제어부 225: 제2부력부
227: 바이패스관 230: 유출관
232: 고정부재 234: 유출조절판
236: 스프링110: Water intake part 115: Water intake hole
120: inlet part 130: first buoyant part
140: orifice hole 150: extension part
210: inlet pipe 212:
220: control unit 225: second buoyancy unit
227: Bypass tube 230: Outflow tube
232: Fixing member 234: Outflow control plate
236: Spring
Claims (11)
상기 취수부는,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에 다수개의 돌기가 연장되어 돌출된 유입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취수부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공이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의 일면 또는 사면에 동일한 각도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취수부의 상측 둘레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취수홀에 물을 유입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오리피스공이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관 내부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232); 및 판형으로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 방향의 일측이 상기 고정부재와 힌지결합되고, 상기 유출관으로 물이 유입되어 유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236)으로 결합되는 유출조절판(234);을 포함하는 유출량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와 유출조절판 사이에 코일 스프링 형태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와 유출조절판의 후측에 판스프링 형태로 결합되어, 유출관 내부 물의 유속에 따라 유출조절판의 열리는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유출관을 통해 유출되는 물의 유출량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의 내부에 유입하거나 차단하는 제1조절밸브; 및 상기 제어부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밸브를 열어 외부의 공기를 제어부의 내부로 유입시켜 사이폰현상을 정지시켜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상기 제1조절밸브를 닫고 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제어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이폰현상을 작동시키며,
일측이 수면 아래에 잠겨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유출관과 결합되어 상기 일측에서 유입되는 물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사이폰 현상을 유발시키는 바이패스관; 상기 바이패스관에 물이 유입되도록 수문을 개방하거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문을 차단하는 제2조절밸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A water intake portion including a water intake hole into which water flows; A first buoyant portion attached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applying buoyancy to the water intake portion;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part at one sid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part at the other side and for moving water flowing in the water intake part from the control part; A control part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hole to mov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intake hole and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and to adjust the water intake amount of the water sucked in the water intake part to the outflow pipe; And an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surface layer water flowing in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water-
Wherein at least one orific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formed to extend at the same angle on one side or slope of the upper sid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at an equal angle and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water intake portion to introduce water into the water intake hole,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rifice hole,
The outlet pipe
A fixing member 232 fixedly formed inside the tube; And is connected to a spring 236 which is hinged to the fixing member at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out and which is elastically ur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in and out of the outlet pipe, (234), wherein the flow rate regulator
The spring is coupl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outlet control plate or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let control plate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so tha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outlet control pl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water inside the outlet pipe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outflow pipe is controlled,
Wherein,
A first control valve for introducing or blocking external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rol unit; And a pump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The first control valve is opened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ontrol unit to stop the siphon development to shut off the flow of water or to close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o operate the pump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ctivates the siphon phenomenon,
A bypass pipe formed on one side of the water pipe so as to be submerged and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on the other side to move the water flowing from the one side to the other side to cause siphon phenomen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trol valve for opening the water gate so as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bypass pipe or blocking the water gate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bypass pipe. Device.
상기 유입부가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flow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device.
상기 제1부력부, 중량부 및 수류에 의해 상기 취수부가 상하좌우로 이동시 길이 및 위치가 조절되도록 주름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은,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그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buoyant portion, the weight portion, and the water flow are formed in a corrugated shape such that the length and the position thereof are adjusted when the water intake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Wherein the inflow pipe comprises:
And a position fixing unit formed at a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water tank.
하나 이상의 상기 취수부의 사면에 형성된 유입부가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유입관을 분리시켜 상기 취수부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portions formed on the slopes of at least one of the intake portion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Wherein the inflow pipe comprises:
Wherein the inflow pipe is separated from the inflow pipe and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unit.
상기 제어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어부에 부력을 가하여 수면위로 상승시키는 제2부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nd a second buoyant portion formed below the control portion and applying a buoyancy force to the control portion to raise the buoyant portion to a surface of the water.
튜브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장치를 통해 수심을 조절하여 선택 취수하는 부유식 취수장치.
2. The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oyancy portion and the second buoyancy portion comprise:
Wherein the buoyancy adjusting means adjusts the buoyancy by regulat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buoyanc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9363A KR101591985B1 (en) | 2013-08-22 | 2013-08-22 |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
TW103113842A TW201508133A (en) | 2013-08-22 | 2014-04-16 | Water intake device capable of adjusting water depth for selectively taking water |
CN201410154905.4A CN104420499B (en) | 2013-08-22 | 2014-04-17 | Water fetching apparatus for adjusting water depth to selectively fetch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9363A KR101591985B1 (en) | 2013-08-22 | 2013-08-22 |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2071A KR20150022071A (en) | 2015-03-04 |
KR101591985B1 true KR101591985B1 (en) | 2016-02-04 |
Family
ID=5297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9363A KR101591985B1 (en) | 2013-08-22 | 2013-08-22 |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1985B1 (en) |
CN (1) | CN104420499B (en) |
TW (1) | TW20150813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796B1 (en) | 2018-11-16 | 2020-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lgae removal and selective water-intake system with floating siphon connected with water-quality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
KR102585648B1 (en) * | 2022-07-19 | 2023-10-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Bimetal-oxide absorbent for removing sulfur compound gas contamina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8067A (en) | 2015-04-01 | 2016-10-11 | 김준배 | water-intake apparatus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
CN104805807B (en) * | 2015-05-05 | 2016-08-24 | 华北水利水电大学 | Reservoir normal-temperature water crosses dam system |
KR101654472B1 (en) * | 2015-05-29 | 2016-09-09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Water intake appartus of variable height water intake hole and water intake method using the same |
CN111335404B (en) * | 2020-02-24 | 2020-12-22 | 乐清市川嘉电气科技有限公司 | Cascade pump station water delivery device based on dynamic balance |
CN113216322B (en) * | 2021-04-29 | 2022-08-05 | 重庆泓源渗滤取水科技有限公司 | Aquifer water tak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775575B (en) * | 2021-09-24 | 2023-03-10 | 山东水总有限公司 | Siphon type water diversion system and water diversion method |
NO20220592A1 (en) * | 2022-05-19 | 2023-11-20 | Jarala As |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tones from a pond |
KR102593197B1 (en) | 2023-07-26 | 2023-10-24 | 경민수 |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strength concrete block resistant to salt and smart road pavement system us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888Y1 (en) * | 2007-01-24 | 2007-03-02 | 이지혁 | drainage device of surface fluid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11250B1 (en) * | 1994-07-02 | 1997-07-08 | 남귀필 | Obtaining device in a reservoir |
JPH08120650A (en) * | 1994-10-19 | 1996-05-14 | Marushima Sangyo Kk | Surface water-intake apparatus |
CN2268726Y (en) * | 1995-11-18 | 1997-11-26 | 陈鹤聪 | Water drainage with automatically floating soil resistant, water absorbing and bottomless valve |
KR200401284Y1 (en) * | 2005-08-24 | 2005-11-15 | 인정웅 | V-notch type Siphon Spillway |
KR100780743B1 (en) * | 2006-08-09 | 2007-11-30 | 고수부 | Siphon spillways |
TW200928052A (en) * | 2007-12-17 | 2009-07-01 | Yi-Ping Li | Water accessing system utilizing wave level difference |
KR20110009781U (en) * | 2010-04-08 | 2011-10-14 | 코지텍 주식회사 | siphon spillway |
CN102261108B (en) * | 2011-06-29 | 2013-05-22 | 西安建筑科技大学 | Hydraulic floating selective water getting device |
WO2013182731A1 (en) * | 2012-06-04 | 2013-12-12 | Waterbox Oy |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of a mass of water |
-
2013
- 2013-08-22 KR KR1020130099363A patent/KR101591985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4-16 TW TW103113842A patent/TW201508133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04-17 CN CN201410154905.4A patent/CN104420499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5888Y1 (en) * | 2007-01-24 | 2007-03-02 | 이지혁 | drainage device of surface fluid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1796B1 (en) | 2018-11-16 | 2020-05-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Algae removal and selective water-intake system with floating siphon connected with water-quality sensor, and method for the same |
WO2020101114A1 (en) * | 2018-11-16 | 2020-05-2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Water quality sensor-linked system for removing algae and selectively intaking water by using floating siphon, and method therefor |
KR102585648B1 (en) * | 2022-07-19 | 2023-10-1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Bimetal-oxide absorbent for removing sulfur compound gas contaminant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560342B (en) | 2016-12-01 |
CN104420499B (en) | 2017-04-12 |
CN104420499A (en) | 2015-03-18 |
KR20150022071A (en) | 2015-03-04 |
TW201508133A (en) | 2015-03-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1985B1 (en) | Floating type water intake system that selectively controls water depth by buoyancy device | |
US8043026B2 (en) |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with tapered plunger | |
US7985035B2 (en) |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 |
CN105370967A (en) | Floating ball valve device capable of realizing control of any water level | |
KR101405016B1 (en) | Floating Dam | |
KR102007124B1 (en) | Water intake equipment using siphon pipe | |
US8585321B2 (en) |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 |
KR101571606B1 (en) | Sea water discharge structure having breaker for reducing bubble occurrence | |
KR101683464B1 (en) | A Tilting Type Of Water Intake System | |
JP2019042711A (en) | Float removal device | |
KR100836730B1 (en) | Diving fountain | |
US9447593B2 (en) | Skimmer device | |
KR102405914B1 (en) | Siphon spillway capable water level control | |
JPH0247415A (en) | Automatically irrigating method for paddy field irrigation water | |
KR101674417B1 (en) | Drainage system using siphon phenomenon | |
CN102116046B (en) | Water level control floater for water inlet valve | |
CN203880195U (en) | Hydraulic power upper and lower liquid level control valve | |
KR101064748B1 (en) | Floating fountain | |
CN203559471U (en) | Anti-reverse-flow device | |
CN106049380B (en) | The device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of water is divided in a kind of trunk canal to branch canal | |
JP5113690B2 (en) | Air valve device | |
CN86210146U (en) | Automatic hydraulic valve for field irrigation | |
CN205244574U (en) | Can realize arbitrary water level control's superficial ball cock assembly | |
CN205557463U (en) | But automatically regulated's telescopic distribution floodgate | |
CA2757363C (en) | Multi-rate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