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787B1 -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 Google Patents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787B1
KR101591787B1 KR1020150080408A KR20150080408A KR101591787B1 KR 101591787 B1 KR101591787 B1 KR 101591787B1 KR 1020150080408 A KR1020150080408 A KR 1020150080408A KR 20150080408 A KR20150080408 A KR 20150080408A KR 101591787 B1 KR101591787 B1 KR 10159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pipe
supply pipe
fixing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경천
Original Assignee
동양워터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워터테크(주) filed Critical 동양워터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08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7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rtical pipe, which makes the vertical pipe for a swimming facility,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such as an umbrella fountain, water tunnel, and water gun, to not be overturned and to be kept saf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pipe which comprises: a supply pipe buried in the bottom of the floor surface; and, a smoke discharge pipe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protrudes to the top of the floor surface; and, an overturning prevention means placed on the vertical pipe to comprise multiple load dispersion unit bodies. The load dispersion unit bodies comprise: a fixing bracket fixated on the supply pipe; and, a reinforcing plate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is combined with the fixing bracket with a bolt to be able to rotate to the sides.

Description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본 발명은 우산분수, 워터터널, 워터건 등 지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물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유희를 즐길 수 있게 하는 물놀이 시설의 설치와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이 전도되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수직관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stallation of a watering facility that allows users to enjoy drinking water by spraying an umbrella water fountain, a water tunnel, a water gun, or the like, and more specifical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pipe so that a water pipe for water facilities can be safely maintained without being conducted.

최근에는 여름철의 대표적인 유희시설로서 공원이나 휴양지 등을 중심으로 워터파크 등의 건설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양, 테마, 체험형 등의 다양한 형태의 물놀이 시설물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설치되고 있다.In recent years, construction of water parks and the like has been greatly increased in parks and resort areas as a typical amusement facility in the summer, and various types of water facilities such as recreation, theme, and experience type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installed.

예컨대, 과거에는 단순히 이용자가 수영을 하거나 튜브를 이용할 수 있는 단순한 수영장의 형식의 물놀이 시설을 구축하던 것에서, 근래에는 슬라이드와 같은 입체구조물을 비롯하여 이용자가 시설물로부터 분사되는 물을 맞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유희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워터캐넌, 워터터널, 워터샤워, 우산분수 등의 물놀이 시설물이 갖추어지고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in the past, a simple pool type water facility was constructed in which a user could simply swim or use a tub.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games Water cannons, water tunnels, water showers, umbrella water fountains, and other water facilities are provided.

그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10-0009543로 제안된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라는 명칭의 물놀이 시설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For example, a watering facility with a name of a watering apparatus installed in a playground proposed by the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9543 is shown in Fig.

상기의 물놀이 시설은, 파이프를 롤 성형하여 구형 파이프(11)로 형성시키되, 상기 구형 파이프(11) 내측에는 분사노즐(12)을 형성시켜 외부로 물을 분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구형 파이프(11)는 기둥지주(10)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고정되면서 전체적으로 터널의 형상을 가지게 하여, 공급펌프(14)의 작동을 통하여 공급관(15)으로 유입되는 물은 소정의 압력으로 기둥지주(10)의 내부와, 구형 파이프(11)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구형 파이프(1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분사노즐(12)과 기둥지주(10)의 분수홈(17)으로 계속하여 분출되도록 한다.In the above watering facility, the pipe is roll formed into a spherical pipe (11), and an injection nozzle (12) is formed inside the spherical pipe (11) 11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lumn support 10 and are fixed to form a tunnel as a whole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supply pipe 15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upply pump 14 is supplied to the column support The injection nozzles 12 formed in the rectangular pipe 1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untain grooves 17 of the column support 10 ar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pipe 11 and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pipe 11, .

이러한 물놀이 시설은 많은 인원이 함께 어우러져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이 즐기기에 매우 적격이다.These facilitie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s many people come together and are especially suitable for children to enjoy.

그런데 상기 물놀이 시설의 기둥지주(10)와 같이 지상으로 돌출되는 배관으로서 기둥의 형상을 가지는 구조물은 어린이들이 기대거나 매달리는 등으로 인하여 쉽게 전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특별한 설치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지 않은 채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However, although the structure having the shape of a column as a pipe projecting to the ground like the pillar support 10 of the watering facility can be easily transferred due to leaning or hanging of children, there is no specific installation standard It is generally applied without ensuring sufficient stability.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해 상기 기둥지주(10)와 같이 지상으로 돌출된 수직관(100)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vertical pipe 100 protruding in the ground like the pillar column 10 is provid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상기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시공되어 기둥의 형식으로 설치되는 연출관(220)은 공급관(110)과 플랜지의 볼트결합으로 일체화되나, 기초부위에 위치한 상기의 공급관(110)은 전도에 대한 아무런 보강수단 없이 단순히 바닥 콘크리트(400)에 매립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discharge pipe 220 installed up to now in the form of a column is integrated by the bolt connection of the supply pipe 110 and the flange, but the supply pipe 110 located at the base portion is integrated And is embedded in the floor concrete 400 without any reinforcing means for the conduction so that its position is fixed.

따라서 사람이 수직관(100)에 매달리거나 기대는 등의 행태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관(100)에 대한 수평하중은, 공급관(110) 부위에 대한 휨모멘트와 집중하중을 유발시켜 공급관(110)에 접하는 부위의 콘크리트를 점진적으로 파괴시키고, 이러한 콘크리트 파괴의 확대는 결국 연출관(120)을 전도시켜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게 한다.Therefore, the horizontal load on the vertical tube 100 caused by the behavior of the person hanging or expecting the vertical tube 100 causes a bending moment and a concentrated load on the portion of the supply tube 110, And the expansion of the concrete destruction eventually leads to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conducting the discharge pipe 120. In addition,

KRKR 20-2010-000954320-2010-0009543 UU KRKR 20-045503320-0455033 Y1Y1 KRKR 20-046779520-0467795 Y1Y1 KRKR 10-2005-004486910-2005-0044869 A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형으로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에 불측의 수평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도 방지 등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이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경제적인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ing facility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nd which can distribute the load even when a horizontal load is applied unintentionall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water pipe for an economical water facility, which is improved in durability due to easy maintenance and easy maintenanc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은 바닥면의 하부에 매립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면서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출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관에는 다수 개의 하중분산 단위체를 포함한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하중분산 단위체는, 공급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볼트결합되는 보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rtical pipe for a watering facility installed vertically on a bottom surface, the vertical pipe including a supply pipe embedded in a low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reventing units including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ng unit members. The load distributing unit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supply pipe,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 reinforcing plate bolted to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racke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브라켓은 공급관의 외면에서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외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의 하단에서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연장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은 고정편에 볼트결합되는 상부보강판과, 연장편에 볼트결합되는 하부보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fixing piece welded horizontally a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a connecting piece bent downward at the outer end of the fixing piece, ≪ / RTI >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composed of an upper reinforcing plate bolted to the fixing piece and a lower reinforcing plate bolted to the extending pie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편의 하부에는 공급관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water tub in which a detachment mean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pe, the support pipe being further spaced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에는 고정편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suppo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pipe for a water-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지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djusting means comprises a thread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a pair of fixing nuts fastened to the thread.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관을 기준으로 하부보강판의 외측단은 상부보강판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end of the lower stiffen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end of the upper stiffen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ip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판(220)의 외측단에는 앵커재가 구비되어 T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vertical pipe for a water facility is provided, which is provided with an anchor material at an outer end of a reinforcing plate 220 so as to have a T sha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급관의 상단과 연출관의 하단에는 연결플랜지가 각각 구비되어 이들 각 연결플랜지를 볼트 결합함으로써 공급관과 연출관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 결합된 연결플랜지의 외면에는 이를 감싸는 보호캡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flang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respectively, and the supply pipe and the discharge pipe are connected by bolt-joining the connection flanges. And a protective cap is further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aterproofing structure to surround the waterproofing structure.

본 발명은 수직관의 기초부분이 되는 공급관에 발생되는 응력이 하중분산 단위체를 통해 바닥 콘크리트에 넓게 분산되므로, 불측의 큰 충격에도 공급관이 접하는 부위의 바닥 콘크리트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수직관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supply pipe, which is the base part of the vertical pipe, is widely dispersed in the floor concrete through the load distribution unit, the floor concrete at the portion where the supply pipe is in contact is not easily broken, The stat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하중분산 단위체를 1회의 용접만으로 공급관에 대한 부착 설치가 가능한 바, 현장용접 및 현장의 공정수 감소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공기가 단축되어 물놀이 시설을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and install the pre-manufactured load distribution unit on the supply pipe only by welding onc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es in the field welding and field, do.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 등의 각 부재에 대한 연결을 볼트 방식으로 다양한 형상의 보강구조를 가지게 하여 다양한 현장여건 및 설계여건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게 할 뿐 아니라, 시공중 지지대의 높이조절을 통해 공급관의 수직도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의 향상과 더불어 버림 콘크리트의 바닥표면 평활도 등에 대한 시공오차를 흡수하여 정밀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kinds of reinforcing structures in the form of bolts to connect the members such as the reinforcing plate, etc., to have general versatility applicable to various field conditions and design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verticality of the supply pipe,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absorbing the construction error of the bottom surface smoothness of the abandoned concrete, thereby enabling precise construction.

도 1은 기둥형상의 수직배관을 이용한 물놀이 시설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한 수직배관을 종래기술에 의해 시공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관의 설치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의 수직관 설치구조를 적용한 예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의 수직관에 설치되는 하중분산 단위체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얇은 두께의 바닥 콘크리트에 적용한 예의 시공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중분산 단위체의 보강판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하중분산 단위체의 고정브라켓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하중분산 단위체를 2개만 설치한 예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0은 보강판에 앵커재 및 관통홀을 구비시킨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지지대의 길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공급관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ing facility using a columnar vertical pip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vertical pipe is construct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vertica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n example to which the above-mentioned straight tube installation structure is appli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provided in the vertical tube. FIG.
6 is a construction sectional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hin-walled bottom concrete.
7 is a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plate structure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bracket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9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an example in which only two load distribution unit members are install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anchor member and a through hole.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rocess of correcting the verticality of the supply pipe us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suppo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order to obscure or obscu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struc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above known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관(100)의 설치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의 수직관(100) 설치구조를 적용하여 시공한 예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tub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vertical tube 100 installation structure is applied.

본 발명은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100)에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관(100)은 바닥면의 하부에 위치한 공급관(110)과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출관(120)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방지수단은 다수 개의 하중분산 단위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vertical pipe 100 is provided with a conduction preventing means. The vertical pipe 100 includes a supply pipe 110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the discharge preventing pipe 1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120. The discharge preven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unit 200. [

공급관(110)의 상단과 연출관(120)의 하단에는 연결플랜지(111,121)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이들 각 연결플랜지(111,121)를 볼트 결합함으로써 이들 공급관(110)과 연출관(120)은 연통되면서 기둥형상의 수직관(100)을 구성하게 된다.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20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By bolt connecting the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So that the columnar shaped vertical tube 100 is formed.

이와 같이 연결플랜지(111,121) 및 볼트로 이루어지는 공급관(110)과 연출관(120)의 연결수단은 연결부위에 집중한 응력을 연결플랜지(111,121)로 분산시킴으로써 안정된 연결구조를 가지게 할 뿐 아니라, 유지관리 또는 물놀이 시설의 형태 변경에 따른 연출관(12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The connection means of the connection pipe 110 and the discharge pipe 120 formed of the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and the bolts disperses the stress concentrated at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to have a stable connection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discharge pipe 120 due to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management or water facility.

공급관(110)은 펌프(P)를 통해 연출관(120)으로 물을 공급하여 연출관(120)의 상부에 위치한 분사노즐 등의 연출수단을 통해 물이 분사될 수 있게 하는 것이나, 다른 한편으로는 수직관(100)에 대한 기초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supply pipe 110 supplies water to the discharge pipe 120 through the pump P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such as the injection nozzle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120, Serves as a basis for the vertical tube 100.

즉 공급관(110)은 바닥 콘크리트(400)에 매립되면서 수직관(1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바닥 콘크리트(400) 등의 지반구조에 전달하여 상기 수직관(100)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초부분을 구성하게 된다.That is, the supply pipe 110 is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400, and the load acting on the vertical pipe 100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structure such as the floor concrete 400 to maintain the stable installation state of the vertical pipe 100 As shown in FIG.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급관(110)을 통해 전달된 하중이 바닥 콘크리트(400)에 대하여 집중하중으로 작용하게 되면, 공급관(110)이 접한 부분의 바닥 콘크리트(400)가 쉽게 파손될 여지가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전도방지수단을 통해 상기의 하중이 공급관(110)과 접하지 아니한 부분의 바닥 콘크리트(400)에까지 널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공급관(110)과 바닥 콘크리트(400) 사이의 밀착성을 유지시켜 수직관(100)이 전도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안정된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supply pipe 110 acts as a concentrated load on the floor concrete 400, the floor concrete 400 at the portion where the supply pipe 110 is in contact is easily broke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is distributed widely to the bottom concrete 400 not in contact with the supply pipe 110 through the conduction preventing means, thereby maintain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ly pipe 110 and the bottom concrete 400 Thereby allowing the vertical tube 100 to maintain a steady, steady vertical state without conduction.

도 5는 상기한 전도방지수단을 구성하는 하중분산 단위체(200)의 일 실시예를 분해한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200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onduction preventing means.

상기의 하중분산 단위체(200)는 고정브라켓(210)과 보강판(220)으로 이루어진다.The load distribution unit 200 includes a fixing bracket 210 and a reinforcing plate 220.

고정브라켓(210)은 공급관(110)에 고정되면서 앵커링 작용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는 보강판(220)과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1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공급관(110)의 외면에서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편(211)과, 상기 고정편(211)의 외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연결편(212) 및, 상기 연결편(212)의 하단에서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연장편(213)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The fixing bracket 210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plate 220 which is fixed to the supply pipe 110 and disperses the load by an anchoring operation. The fixing bracket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most preferably includes a fixing piece 211 horizontally welded and fix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110, A connecting piece 212 and an elongated piece 213 bent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ece 212,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1
Shaped cross section.

이와 같이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2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의 고정브라켓(210)은 1회의 용접만으로 공급관(110)에 대한 부착이 이루어지게 하여 현장의 용접공수를 줄이는 한편, 상하부의 위치에 복수 개의 보강판(220)을 설치할 수 있게 하거나, 상하부의 어느 한쪽에 대하여만 보강판(220)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물놀이 시설의 규격 또는 지반이나 바닥 콘크리트(400)의 설계조건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다.like this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2
The fixing bracket 210 having the cross section of the shape can be attached to the supply pipe 110 only by welding onc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elders in the field, and instal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220 a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The reinforcing plate 220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only on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it can flexibly respon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watering facility or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ground or the floor concrete 400.

예컨대 규모가 작은 물놀이 시설이거나 또는 바닥 콘크리트(400)의 두께가 200mm 미만일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의 하부, 즉 연결편(212)에만 보강판(220)을 설치하여 과다한 보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220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210, that is, the connecting piece 212, as shown in FIG. 6, if the floor concrete 400 has a thickness of less than 200 mm So that the economic loss due to the reinforcement can be prevented.

고정브라켓(210)의 상하부에 모두 보강판(220)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브라켓(210)의 고정편(211)에는 상부보강판(221)이 볼트결합되고, 고정브라켓(210)의 연결편(212)에는 하부보강판(222)이 볼트결합된다.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is bolted to the fixing piece 211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the upper bracket 210 i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210. [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is bolted to the connecting piece 212.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100)을 기준으로 하부보강판(222)의 외측단이 상부보강판(221)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각 보강판(2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보강판(220)들에 의해 일체화된 기초구조의 하부가 상부보다 넓은 삼각형 형상의 안정된 구조를 가지게 한다.7, the reinforcing plate 220 is installed so that the out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is located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end of 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This allows the lower part of the base structure integrated by the reinforcing plates 220 to have a stable structure having a wider triangle than the upper part.

다른 한편으로 물놀이 시설의 설치규모에 따라 상기 보강판(22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특히 상부보강판(221)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하부보강판(222)은 운반이나 시공 과정중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흔들림으로 인하여 바닥 콘크리트(400)에 대한 정밀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관의 설치구조에서는 상기 보강판(220)의 변형이나 흔들림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킴으로써 정밀시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방지수단(223)을 더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plate 220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cale of the watering facility, in particular,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which is formed longer than 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ormation or shaking of the reinforcing plate 220 is prevented or minimized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223 for enabling precision construction.

상기 변형방지수단(223)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된 고정대(223a)와 상기 각 단부에서 보강판(220)을 사이에 두고 나사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223b)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223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most preferably, 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223 includes a fixing base 223a having male threa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a pair of fixing nuts 223b that are screwed together.

이렇게 구성된 변형방지수단(223)은 상부보강판(221)의 외측단부와 하부보강판(22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도록 설치되는 바, 이는 고정브라켓(210)의 연결편과 함께 사각관의 형상을 가지는 코어를 형성하면서 보강판(220)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The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223 is configured to vertically connect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and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pipe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iece of the fixing bracket 210 Thereby preventing the reinforcing plate 220 from being deformed such as moving up or down or crushing while forming the core.

고정브라켓(210)의 고정편(211)과 연결편(212) 및, 연결편(212)과 연장편(213)의 각 사이, 또는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새형상의 보강리브(2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14)는 고정브라켓(210)으로 하여금 공급관(110)으로부터 전달된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면서 상기 하중을 상부보강판(221)과 하부보강판(222)에 고루 나누어 줄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 8, between the angles of the fixing piece 211 and the connecting piece 212 of the fixing bracket 210 an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212 and the extending piece 213, A rib 214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einforcing ribs 214 may allow the fixing brackets 210 to divide the load evenl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plates 221 and 222 without being deformed by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supply pipe 110 do.

한편 상기의 보강판(220)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210)에 볼트결합되는 바, 이러한 볼트결합은 보강판(220)이 고정브라켓(210)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보강구조를 가지게 하면서, 하중분산 단위체(200)의 설치 갯수를 줄일 수 있게 한다.The reinforcing plates 220 are bolted to the fixing bracket 21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 220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from the fixing bracket 2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load distribution unit units 200 installed while having various reinforcing structures.

도 9는 하중분산 단위체(200)를 2개만 설치하면서 공급관(110) 주변의 바닥 콘크리트(400)에 대하여 보강판(220)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9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220 can be evenly arranged over the floor concrete 400 around the supply pipe 110 while only two load distribution unit 200 are installed.

보강판(220)은 바닥 콘크리트(400)에 매립되어 바닥 콘크리트(400)에 대한 앵커링 역할을 함과 더불어 그 주변의 바닥 콘크리트(400)와 일체가 되는 매스매트의 기초구조를 가지게 하는 바, 상기 보강판(220)의 앵커링 작용 및 바닥 콘크리트(400)와의 일체성을 보다 명확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220 is embedded in the bottom concrete 400 to serve as an anchor for the bottom concrete 400 and to have the base structure of the mass mat integrally with the surrounding floor concrete 400, It is possible to further provide means for more clearly securing the anchoring ac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integrity with the floor concrete 400.

도 10은 상기의 수단들이 구비된 보강판(220)을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inforcing plate 220 having the above means.

즉 보강판(220)에는 앵커링 및 콘크리트와의 합성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앵커헤드(220a)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앵커헤드(220a)는 보강판(220)의 단부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든 모두 가능한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보강판(220)의 외측단이 T형상을 가지도록 한다.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220 may further include an anchor head 220a for increasing the anchorage and the compounding force with concrete. The anchor head 220a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enlarges the end surface area of the reinforcing plate 220. Preferably, however, the reinforcing plate 220 has a T-shaped outer end.

또 상기 보강판(220)에는 관통홀(220b)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0b)은 바닥 콘크리트(400)가 유동됨으로써 보강판(220)과 바닥 콘크리트(400) 사이의 전단연결재 기능을 하여 이들 사이의 합성력을 한층 더 증대시킨다.The reinforcing plate 220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220b. The through hole 220b functions as a shear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220 and the bottom concrete 400 by flowing the bottom concrete 40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mpounding force therebetween.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3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정브라켓(210)의 고정편(211) 하부에는 공급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대(2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Figure 112015054816150-pat00003
A support bar 230 separa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110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fixing piece 211 of the fixing bracket 210 having the shape of a cross section.

하중분산 단위체(200)는 다수 개가 공급관(1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230) 역시 공급관(110)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대(230)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직관(100)이 전도되는 것에 대한 또 다른 저항력을 발휘함과 더불어 시공중에 공급관(11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 시공을 간편하게 하고 시공의 정밀성을 높게 한다.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units 20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supply pipe 110 so that the support units 23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bout the supply pipe 110. [ This support stand 230 exhibits another resistance against the conduction of the vertical pipe 100 as described below, and maintains the verticality of the supply pipe 110 during the construction,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and improving the precision of the construction .

본 발명에 의한 수직관(100)의 설치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공급관(110)이 배치된 기초지반에 쇄석층(600)이 놓여지고, 그 위에 버림 콘크리트(500)가 타설되어 바닥면이 평활하도록 한 후 상기 공급관(110)에 다수 개의 하중분산 단위체(200)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하중분산 단위체(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바닥 콘크리트(400)를 타설하고, 상기 바닥 콘크리트(400)의 상면에 바닥마감재를 시공함으로써 공급관(110)에 대한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A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pi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he crushed stone layer 600 is placed on the foundation ground where the supply pipe 110 is disposed, the poured concrete 500 is placed thereon, A plurality of load distribution unit bodies 200 ar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110. In this case,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200 is completed, the floor concrete 400 is installed, and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floor concrete 400, there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work for the supply pipe 110.

이때 상기 지지대(230)는 버림 콘크리트(500)에 지지되면서 각 방향에서 수직관(10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응하는 역모멘트를 발생시켜 상술한 보강판(220)과 함께 수직관(100)의 전도를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upporter 230 is supported by the abandoned concrete 500 to generate an inverse moment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load acting on the vertical pipe 100 in each direction, and the vertical pipe 100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plate 220 described above, .

또 상기 지지대(230)에는 고정편(2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 바, 지지대(230)는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공급관(110)의 수직도를 유지시켜 정밀시공을 가능하게 한다.The supporting member 230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member 230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11. The supporting member 23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ing member 230, Maintains verticality to enable precise construction.

예컨대 쇄석의 다짐공정 중에 공급관(110)이 어느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더라도 일측에서는 지지대(230)의 길이를 길게 하고 반대쪽에서는 지지대(230)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공급관(110)의 설치에 대한 시공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even if the supply pipe 110 is inclined to one side during compaction of the crushed stone, the length of the support table 230 is increased at one side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table 230 is reduced at the opposite side, Can be corrected.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대(230)의 상단부에 나사산(231)을 구비시키고, 상기 나사산(231)에 한 쌍의 고정너트(232)가 체결되게 함으로써 간단히 구성시킬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means may be varied. Howe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ead 23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30, and a pair of fixing nuts 232 are fastened to the thread 231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도 11은 지지대(230)의 나사산(231)과 한 쌍의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공급관(110)의 수직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rocess of correcting the verticality of the supply pipe 110 by using a screw 231 of the support 230 and a length adjusting means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bolts.

상기 지지대(230)의 하단에는 단면이 확장된 지지판(23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233))은 버림 콘크리트(500)의 상면에 대한 지지대(230)의 안정된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The supporting plate 233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233 having an extended s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230. The support plate 233 may support the support plate 230 in a stable manner do.

지금까지 설명한 하중분산 단위체(200)를 공급관(110)에 설치한 후 바닥 콘크리트(400)의 타설 및 바닥마감재의 설치가 완료되면, 공급관(110) 상단의 연결플랜지(111)와 연출관(120) 하단의 연결플랜지(121)를 맞접시킨 상태에서 볼트체결함으로써 수직관(10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concrete 400 and the bottom finishing material are completed after the load distribution unit 200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110 and the connection flange 111 at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110 and the discharge pipe 120 The lower end connecting flange 12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ipe 100, there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pipe 100.

이때 상기의 연결플랜지(111,121)는 수직관(10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물놀이 이용자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볼트 결합된 연결플랜지(111,121)의 외면에는 이를 감싸는 보호캡(1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protrude from the vertical pipe 100 and act as a risk factor to the user of the water.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coupled connection flanges 111 and 121 has a protective cap 130 Can be installed.

상기의 보호캡(130)은 금속재질의 연결플랜지(111,121)에 의해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공급관(110)과 연출관(12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여 수직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이에 대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The protective cap 130 prevents the human body from being injured by the metal connecting flanges 111 and 121 and protects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upply pipe 110 and the discharge pipe 120, And facilitates maintenance thereof.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thereof.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100; 수직관 110; 공급관
111,121; 연결플랜지 120; 연출관
130; 보호캡 200; 하중분산 단위체
210; 고정브라켓 211; 고정편
212; 연결편 213; 연장편
214; 보강리브 220; 보강판
220a; 앵커헤드 220b; 관통홀
221; 상부보강판 222; 하부보강판
223; 변형방지수단 223a; 고정대
223b, 232; 고정너트 230; 지지대
231; 나사산 300; 바닥마감재
400; 바닥 콘크리트 500; 버림 콘크리트
600; 쇄석층 P; 펌프
100; A vertical tube 110; Feeder
111, 121; A connecting flange 120; Director
130; Protective cap 200; Load distribution unit
210; A fixing bracket 211; Fixing piece
212; Connecting piece 213; Extension
214; Reinforcing ribs 220; Reinforced plate
220a; Anchor head 220b; Through hole
221; Upper stiffening plate 222; Lower reinforcement plate
223;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223a; Fixture
223b, 232; A fixing nut 230; support fixture
231; Thread 300; Floor finish
400; Floor concrete 500; Abandoned concrete
600; Crushed layer P; Pump

Claims (8)

바닥면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100)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00)은 바닥면의 하부에 매립되는 공급관(110)과, 상기 공급관(110)과 연통되면서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연출관(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관(100)에는 다수 개의 하중분산 단위체(200)를 포함한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하중분산 단위체(200)는, 공급관(110)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210)과, 고정브라켓(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210)에 볼트결합되는 보강판(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210)은 공급관(110)의 외면에서 수평으로 용접 고정되는 고정편(211)과, 상기 고정편(211)의 외측단에서 하향 절곡된 연결편(212) 및, 상기 연결편(212)의 하단에서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연장편(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판(220)은 고정편(211)에 볼트결합되는 상부보강판(221)과, 연장편(213)에 볼트결합되는 하부보강판(222)으로 이루어지되, 수직관(100)을 기준으로 하부보강판(222)의 외측단은 상부보강판(221)의 외측단보다 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211)의 하부에는 공급관(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대(230)가 설치되며,
상부보강판(221)의 외측단부와 하부보강판(222)을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변형방지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
In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vertical pipe (100) for a water facility installed vertically on the bottom surface,
The vertical tube 100 comprises a supply tube 110 embedded in a lower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a discharge tube 120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tube 110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load distribution unit 200 includes a fixing bracket 210 fixed to the supply pipe 110 and a fixing bracket 210 fixed to the fixing bracket 210. [ And a reinforcing plate 220 that is bolted to the fixing bracket 210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left and right while being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racket 210,
The fixing bracket 210 includes a fixing piece 211 welded horizont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110 and a connecting piece 212 bent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fixing piece 211, And an extending piece 213 bent horizontally again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iece 213; The reinforcing plate 220 is composed of an upper reinforcing plate 221 bolted to the fixing piece 211 and a lower reinforcing plate 222 bolted to the extending piece 213, The outer end of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end of 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A support bar 23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211 to be spac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ly pipe 110,
And a deformation preventing means for vertically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upper reinforcing plate 221 to the lower reinforcing plate 222 is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30)에는 고정편(21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table (2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 length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211) resc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지지대(23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나사산(231)과, 상기 나사산(231)에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너트(2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means comprises a thread (231)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230) and a pair of fixing nuts (232) fastened to the thread (231) Installation structure of water pipes for water facilities equipped with mea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보강판(220)의 외측단에는 앵커헤드(220a)가 구비되어 T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 The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water tub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220) has an anchor head (220a) at an outer end thereof to have a T shape. 제1항에 있어서, 공급관(110)의 상단과 연출관(120)의 하단에는 연결플랜지(111,121)가 각각 구비되어 이들 각 연결플랜지(111,121)를 볼트 결합함으로써 공급관(110)과 연출관(120)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볼트 결합된 연결플랜지(111,121)의 외면에는 이를 감싸는 보호캡(13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방지수단이 구비된 물놀이 시설용 수직관의 설치구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connection flange (111, 12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110) and a low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20) , And a protection cap (13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coupled connection flange (111, 121).
KR1020150080408A 2015-06-08 2015-06-08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KR101591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08A KR101591787B1 (en) 2015-06-08 2015-06-08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08A KR101591787B1 (en) 2015-06-08 2015-06-08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787B1 true KR101591787B1 (en) 2016-02-04

Family

ID=5535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408A KR101591787B1 (en) 2015-06-08 2015-06-08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7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76B1 (en) 2018-09-05 2019-06-13 변민혁 Waterproof piping structure for water dabbling facility and water landscaping fac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08A (en) * 2002-06-21 2004-01-29 Noriatsu Kojima Metal support for drain pipe jo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08A (en) * 2002-06-21 2004-01-29 Noriatsu Kojima Metal support for drain pipe jo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76B1 (en) 2018-09-05 2019-06-13 변민혁 Waterproof piping structure for water dabbling facility and water landscaping fac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787B1 (en) Vertical Piping Structure with Safety against Overturning
CN211572571U (en) Floor formwork supporting structure
CN207513156U (en) A kind of scalable frame body for building
JP2011241560A (en) Temporary stairs
KR101245666B1 (en) Fence provided with connector to control angle and to be mounted easyly
KR101553355B1 (en) A constructed footway
CN207988168U (en) The attachment device of concrete foundation and load-bearing steel column
CN202214968U (en) Overhanging scaffold erection structure
KR101777746B1 (en) A support
CN210857961U (en) Adjustable scaffold
CN207314147U (en) A kind of bridge construction employment row safety climbing ladder
JP2014218884A (en) Prefabricated type stairway
CN207619866U (en) A kind of detachable sound barrier
CN102644383A (en) Assembly type floor protecting rail
CN102383646A (en)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for guardrail of fast assembled multifunctional distribution transformer
CN107604833A (en) A kind of detachable sound barrier
CN103485524A (en) Bracket type overhanging scaffol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t erection time
US3486751A (en) Collapsable swing support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CN203475793U (en) Bracket type overhanging scaffold
KR101249642B1 (en) Pergola Having Water Curtain Type Fountai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s
CN206971727U (en) The bearing platform of post mould diagonal brace
KR101354455B1 (en) In-ground supporting structure of a post
CN207453437U (en) A kind of triangular truss structure builder's jack structure
WO2016120665A1 (en) Falsework support mechanism for structures with increased weight
CN215949012U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ssembling steel structur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