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695B1 -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1695B1 KR101591695B1 KR1020150169821A KR20150169821A KR101591695B1 KR 101591695 B1 KR101591695 B1 KR 101591695B1 KR 1020150169821 A KR1020150169821 A KR 1020150169821A KR 20150169821 A KR20150169821 A KR 20150169821A KR 101591695 B1 KR101591695 B1 KR 101591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safety
- frame
- curved
- curved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의 벽체 공간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 중심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 우측 중심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가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손잡이를 갖는 안전스토퍼가 형성되며 좌우측면 외부측에는 중심부가 최대 내측으로 만곡지게 요부형성된 좌우측 레일요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레일요부에 풀림방지수단으로 고정되면서 좌우측 레일요부 내측의 만곡진 곡면인 선단면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좌우측 승강레일요부를 각각 형성시킨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좌우측 레일마감판이 각각 형성되는 창틀프레임; 및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양단이 상기 좌우측 승강레일요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는 곡면판체로 선단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의 선단프레임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스토퍼 연장선상의 선단프레임에는 안전스토퍼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삽입요부가 내측면에 일정간격 상하부로 다수 개 형성되며 곡면판체 내측면 중심 하부에는 곡면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손잡이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선단프레임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양단이 고정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인의 통행을 차단하는 다수 개의 안전바가 형성되는 곡면승강안전창문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우천시 안전스톱퍼의 작동으로 인해 열려진 창문을 통한 우수의 계단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미끄러운 계단에서의 미끄러짐과 벽면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스톱퍼에 의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으므로 우범지대나 저층에서는 방범창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 밖으로 머리나 신체 일부를 드러내도 외부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하부를 감싸는 창문 상부가 차양기능을 수행하여 상측에서 하부로 추락하는 물품으로부터의 신체 상해나 타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우천시 안전스톱퍼의 작동으로 인해 열려진 창문을 통한 우수의 계단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미끄러운 계단에서의 미끄러짐과 벽면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스톱퍼에 의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으므로 우범지대나 저층에서는 방범창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 밖으로 머리나 신체 일부를 드러내도 외부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하부를 감싸는 창문 상부가 차양기능을 수행하여 상측에서 하부로 추락하는 물품으로부터의 신체 상해나 타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천시 안전스톱퍼의 작동으로 인해 열려진 창문을 통한 우수의 계단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미끄러운 계단에서의 미끄러짐과 벽면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스톱퍼에 의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으므로 우범지대나 저층에서는 방범창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 밖으로 머리나 신체 일부를 드러내도 외부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하부를 감싸는 창문 상부가 차양기능을 수행하여 상측에서 하부로 추락하는 물품으로부터의 신체 상해나 타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階段, stair)은 높이가 다른 두 바닥면을 연결하는 단형(段形)의 통로로, 층계(層階)라고도 한다. 현대와 같이 도시의 입체화·고층화가 진전됨에 따라 건축물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되었으며, 통로로서의 기능 외에 건축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계단이라 하지만, 이에는 공공용(公共用)의 큰 것에서부터 일반주택 내부의 작은 것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구조·형식이 있는데, 공공성이 강한 것은 누구나 안전하고 편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라야 하고 주택 내부의 것은 면적이나 경비상의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겠으나, 역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안전하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계단의 너비 및 단높이(챌판의 높이), 디딤판면의 너비 등의 치수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규모 등에 따라 건축법 시행령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과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에 설치하는 복도는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해야 한다(건축법 시행령 48). 계단의 종류로는 형태에 따라 곧은계단·굴절계단·중공(中空)계단·원형계단·나선계단(원형계단의 극단적인 형태) 등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곧은 계단이며, 이것은 최소의 면적으로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형식이다. 사용되는 재료에는 목재·섬유판·합성수지·철·돌·철근 콘크리트 등 다양하다. 또 계단의 높이가 3m 이상이 될 때에는 높이 3m 이내마다, 또는 높이 4m 이내마다 계단참(階段站)을 설치하도록 법에 규정되어 있다. 이것은 휴식 부분이 되는 동시에 사용상의 안전을 위해서도 필요한 부분이며, 그 위치와 너비 등에 관하여 역시 건축법에서 정한 규정이 있다.
이 밖에 난간의 설치나 디딤판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마감공사도 모두 안전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는 일들이다. 계단 양쪽에 벽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없을 경우에는 반드시 난간을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청소의 편리나 그 밖의 이유로 미끄러지기 쉬운 재료를 디딤판 재료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목재 디딤판에 홈을 파야 하고, 금속이나 합성수지 제품을 사용하였을 때는 논슬립이나 양탄자·고무깔개 등을 깔아야 한다. 이렇게 층과 층의 사이에 계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계단골격을 형성한 뒤에, 상기한 계단골격에 맞추어서 계단 테라조를 주문 제작하고, 이와 같이 주문제작된 계단 테라조를 공사현장으로 가지고 와서 계단골격에 갖다가 붙이는 형태로 계단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계단의 벽면에는 채광이나 환기를 위한 창문이 설치되어 있는바, 집중호우시나 장마시에는 무더위로 인해 열려진 다수 개 계단의 창문을 통해서 우수가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유입된 물기로 인해 계단의 미끄러짐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고, 계단으로 유입된 우수에 의해 계단 철제품의 부식을 진행시키며, 유입된 우수로 인해 계단의 벽체가 오염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된 계단의 창문을 통해서 외부인이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는 방범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된 계단의 창문을 통해서 머리 등을 외부로 돌출시켰을 때 윗층의 계단 창문을 통해서 아래로 낙하되는 물품에 의해 충격이나 상해를 입을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천시 안전스톱퍼의 작동으로 인해 열려진 창문을 통한 우수의 계단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미끄러운 계단에서의 미끄러짐과 벽면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스톱퍼에 의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으므로 우범지대나 저층에서는 방범창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 밖으로 머리나 신체 일부를 드러내도 외부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하부를 감싸는 창문 상부가 차양기능을 수행하여 상측에서 하부로 추락하는 물품으로부터의 신체 상해나 타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단의 벽체 공간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 중심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 우측 중심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가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손잡이를 갖는 안전스토퍼가 형성되며 좌우측면 외부측에는 중심부가 최대 내측으로 만곡지게 요부형성된 좌우측 레일요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레일요부에 풀림방지수단으로 고정되면서 좌우측 레일요부 내측의 만곡진 곡면인 선단면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좌우측 승강레일요부를 각각 형성시킨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좌우측 레일마감판이 각각 형성되는 창틀프레임; 및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양단이 상기 좌우측 승강레일요부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는 곡면판체로 선단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의 선단프레임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스토퍼 연장선상의 선단프레임에는 안전스토퍼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삽입요부가 내측면에 일정간격 상하부로 다수 개 형성되며 곡면판체 내측면 중심 하부에는 곡면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손잡이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선단프레임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양단이 고정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인의 통행을 차단하는 다수 개의 안전바가 형성되는 곡면승강안전창문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창틀프레임의 상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의 내측면과 밀착됨에 따라 우기시 빗물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의 내측면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부재가 더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안전스토퍼는 상기 스토퍼삽입요부에 삽입되는 선단부를 경사면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이 하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에 의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을 상부 방향으로는 임의대로 올릴 수 있으나 하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내릴 수는 없게 되어 내부에서 사용자가 창틀프레임의 개방부를 더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내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안전스토퍼를 180도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이 상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에 의해 곡면승강안전창문을 하부 방향으로는 임의 대로 내릴 수 있으나 상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올릴 수 없게 되어 외부에서는 창틀프레임의 개방부를 더 이상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천시 안전스톱퍼의 작동으로 인해 열려진 창문을 통한 우수의 계단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미끄러운 계단에서의 미끄러짐과 벽면 내부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전스톱퍼에 의해 외부에서는 창문을 열 수 없으므로 우범지대나 저층에서는 방범창의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의 출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도난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창문 밖으로 머리나 신체 일부를 드러내도 외부측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하부를 감싸는 창문 상부가 차양기능을 수행하여 상측에서 하부로 추락하는 물품으로부터의 신체 상해나 타격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상승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닫혀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닫혀진 모습을 외부에서 보는 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서 안전스토퍼 선단부 경사면의 상부 또는 하부 위치에 따른 곡면승강안전창문의 작동가능여부를 보인 측단면도 및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서 창틀프레임의 좌우측레일요부에 좌우측 레일마감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상승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닫혀진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의 곡면승강안전창문이 창틀프레임에서 닫혀진 모습을 외부에서 보는 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서 안전스토퍼 선단부 경사면의 상부 또는 하부 위치에 따른 곡면승강안전창문의 작동가능여부를 보인 측단면도 및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에서 창틀프레임의 좌우측레일요부에 좌우측 레일마감판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는, 창틀프레임(10)과, 곡면승강안전창문(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프레임(10)은, 계단의 벽체(40) 공간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 중심에는 개방부(11)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 우측 중심에는 스프링(12c)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가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손잡이(12a)를 갖는 안전스토퍼(12)가 형성되며 좌우측면 외부측에는 중심부가 최대 내측으로 만곡지게 요부형성된 좌우측 레일요부(13,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레일요부(13,14)에 풀림방지볼트나 용접고정과 같은 풀림방지수단(15)으로 고정되면서 좌우측 레일요부(13,14) 내측의 만곡진 곡면인 선단면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좌우측 승강레일요부(13a,14a)를 각각 형성시킨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좌우측 레일마감판(16,1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상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내측면과 밀착됨에 따라 우기시 빗물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내측면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스토퍼(12)는 상기 스토퍼삽입요부(23)에 삽입되는 선단부를 경사면(12b)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a)를 잡고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12b)이 하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24)에 의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상부 방향으로는 임의대로 올릴 수 있으나 하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내릴 수는 없게 되어 내부에서 사용자가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를 더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내부 사용자가 손잡이(12a)를 잡고 안전스토퍼(12)를 180도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12b)이 상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24)에 의해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하부 방향으로는 임의 대로 내릴 수 있으나 상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올릴 수 없게 되어 외부에서는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를 더 이상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은,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양단이 상기 좌우측 승강레일요부(13a,14a)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는 곡면판체로 선단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의 선단프레임(2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스토퍼(12) 연장선상의 선단프레임(22)에는 안전스토퍼(12)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삽입요부(23)가 내측면에 일정간격 상하부로 다수 개 형성되며 곡면판체 내측면 중심 하부에는 곡면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손잡이(24)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선단프레임(22)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양단이 고정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인의 통행을 차단하는 다수 개의 안전바(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위치된 사용자가 창틀프레임(10) 우측중심부의 안전스토퍼(12)의 손잡이(12a)를 잡고서 180도 회동시켜 선단의 경사면(12b)이 하부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승강손잡이(24)를 잡고서 상부로 올리면 선단프레임(22)의 스토퍼삽입요부(23)는 경사면(12b)을 타고 상부로 일정높이 올려진 상태에서 스토퍼삽입요부(23)에 위치된 경사면(12b)에 의해 하강이 억제되면서 올려진 공간만큼 개방부(11)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열려진 개방부(11)를 통해서 사용자의 머리나 신체 일부를 밖으로 드러내도 창틀프레임(10)의 만곡진 곡면인 좌우측 승강레일요부(13a.14a)를 따라 상측에 위치된 곡면승강안전창문(20)에 의해 차양되면서 빗물이나 상부에서 낙하되는 물품으로부터 인체의 타격이나 상해의 염려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장마나 우기시 빗물은 창틀프레임(10) 상부에서 탄성스프링(31)의 탄성으로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밀폐부재(30)에 의해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야간에는 안전스토퍼(12)의 손잡이(12a)를 잡고서 180도 회전시켜서 선단의 경사면(12b)이 스토퍼삽입요부(23) 내에서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면, 내부에서든 외부에서든 곡면승강안전창문(20)은 하부측 방향으로는 하강하여 내려가지만 상부측 방향으로는 경사면(12b)이 스토퍼삽입요부(23) 내에서 걸림고정되어 더 이상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를 확장시킬 수 없게 되고, 사용자는 승강손잡이(24)를 잡고 하강시켜 닫아도 된다.
이런 본 발명의 곡면승강안전창문(20)은 선단프레임(22)에 일체로 고정된 안전바(21)에 의해 보호되므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곡면승강안전창문(20)이 파손되어도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는 개방되지 않게 되어 방범창의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0 : 창틀프레임 11 : 개방부
12 : 안전스토퍼 12a : 손잡이
12b : 경사면 12c : 스프링
13,14 : 좌우측레일요부 13a,14a : 좌우측 승강레일요부
15 : 풀림방지수단 16,17 : 좌우측 레일마감판
20 : 곡면승강안전창문 21 : 안전바
22 : 선단프레임 23 : 스토퍼삽입요부
24 : 승강손잡이
30 : 밀패부재 31 : 탄성스프링
40 : 벽체
12 : 안전스토퍼 12a : 손잡이
12b : 경사면 12c : 스프링
13,14 : 좌우측레일요부 13a,14a : 좌우측 승강레일요부
15 : 풀림방지수단 16,17 : 좌우측 레일마감판
20 : 곡면승강안전창문 21 : 안전바
22 : 선단프레임 23 : 스토퍼삽입요부
24 : 승강손잡이
30 : 밀패부재 31 : 탄성스프링
40 : 벽체
Claims (3)
- 계단의 벽체(40) 공간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프레임 중심에는 개방부(11)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측 우측 중심에는 스프링(12c)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가 외측 공간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손잡이(12a)를 갖는 안전스토퍼(12)가 형성되며 좌우측면 외부측에는 중심부가 최대 내측으로 만곡지게 요부형성된 좌우측 레일요부(13,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레일요부(13,14)에 풀림방지수단(15)으로 고정되면서 좌우측 레일요부(13,14) 내측의 만곡진 곡면인 선단면과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좌우측 승강레일요부(13a,14a)를 각각 형성시킨 상태에서 고정결합되는 좌우측 레일마감판(16,17)이 각각 형성되는 창틀프레임(10); 및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양단이 상기 좌우측 승강레일요부(13a,14a)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승강되는 곡면판체로 선단부에는 합성수지 또는 녹슬지 않는 금속재질의 선단프레임(2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스토퍼(12) 연장선상의 선단프레임(22)에는 안전스토퍼(12) 선단부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삽입요부(23)가 내측면에 일정간격 상하부로 다수 개 형성되며 곡면판체 내측면 중심 하부에는 곡면판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손잡이(24)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선단프레임(22) 외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양단이 고정결합되면서 상하부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외부인의 통행을 차단하는 다수 개의 안전바(21)가 형성되는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의 상부 내측에는 탄성스프링(31)의 탄성에 의해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내측면과 밀착됨에 따라 우기시 빗물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의 내측면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부재(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토퍼(12)는 상기 스토퍼삽입요부(23)에 삽입되는 선단부를 경사면(12b)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내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2a)를 잡고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12b)이 하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24)에 의해 상기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상부 방향으로는 임의대로 올릴 수 있으나 하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내릴 수는 없게 되어 내부에서 사용자가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를 더 개방시킬 수 있게 되고, 내부 사용자가 손잡이(12a)를 잡고 안전스토퍼(12)를 180도 회동시켜 상기 경사면(12b)이 상부측에 위치되면 승강손잡이(24)에 의해 곡면승강안전창문(20)을 하부 방향으로는 임의 대로 내릴 수 있으나 상부 방향으로는 걸림되어 올릴 수 없게 되어 외부에서는 창틀프레임(10)의 개방부(11)를 더 이상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821A KR101591695B1 (ko) | 2015-12-01 | 2015-12-01 |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9821A KR101591695B1 (ko) | 2015-12-01 | 2015-12-01 |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1695B1 true KR101591695B1 (ko) | 2016-02-04 |
Family
ID=5535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9821A KR101591695B1 (ko) | 2015-12-01 | 2015-12-01 |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169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6700B1 (ko) | 2018-11-02 | 2019-03-13 |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물용 창문 구조 |
KR102236387B1 (ko) * | 2020-11-04 | 2021-04-05 |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82665A (ja) | 2010-10-14 | 2012-04-26 | Inoac Corp | シャッタ |
US20120180959A1 (en) | 2011-01-13 | 2012-07-19 | Bruce Stanley Gunton | Aperture Closure Arrangements |
-
2015
- 2015-12-01 KR KR1020150169821A patent/KR101591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82665A (ja) | 2010-10-14 | 2012-04-26 | Inoac Corp | シャッタ |
US20120180959A1 (en) | 2011-01-13 | 2012-07-19 | Bruce Stanley Gunton | Aperture Closure Arrangement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6700B1 (ko) | 2018-11-02 | 2019-03-13 |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건축물용 창문 구조 |
KR102236387B1 (ko) * | 2020-11-04 | 2021-04-05 | (주)한미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42913B2 (en) | Balustrade apparatus | |
CN207526020U (zh) | 一种新式楼梯 | |
KR101655305B1 (ko) | 공동주택용 복도 안전창문구조 | |
KR101591695B1 (ko) | 공동주택용 계단부에 설치되는 창문구조 | |
CN109505386A (zh) | 一种新式楼梯及其实现方法 | |
KR101303311B1 (ko) | 방범기능이 우수한 공동주택 계단 창문 | |
KR100550295B1 (ko) | 배수가 원활한 계단블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계단 | |
KR200485648Y1 (ko) | 난간일체형 창호 | |
KR200417783Y1 (ko) |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 | |
Saxena et al. | The impact of built environment on crime prevention and safety in schools: An environmental-behavior design guidelines approach | |
Barrier Free Environments, inc | The accessible housing design file | |
KR102629900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피난기능을 갖춘 난간대 장치 | |
KR100547443B1 (ko) | 건축물의 미끄럼 방지 구조용 계단 | |
JP3223765U (ja) | 段差部の手摺り受けブラケット | |
Beckman et al. | Document control | |
EP1387032A1 (en) | Set of devices for covering and protecting door and window frames until said windows and doors are installed | |
Vasilakopoulou et al. | Summary Bulletin: Ramps | |
US20020152713A1 (en) | Baluster | |
KR101504524B1 (ko) |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난간 | |
KR200455664Y1 (ko) | 가리개가 설치된 이동식 화장실 | |
KR200296953Y1 (ko) | 주택 난간용 창문틀 설치구조 | |
Sofka | Ramps, part II. | |
JP3483251B2 (ja) | ツーバイフォー住宅の窓用サッシの下枠取付構造 | |
ES2474315B1 (es) | Estructura perfeccionada de sistema de acceso para rescate y/o mantenimiento en instalaciones de aparatos elevadores sin acceso a elementos comunes | |
Barrios-Padura et al. | Begoña Blandón-González, Pedro Gómez de Terreros-Guardiol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