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507B1 - 원룸형 온수분배기 - Google Patents

원룸형 온수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507B1
KR101591507B1 KR1020150048390A KR20150048390A KR101591507B1 KR 101591507 B1 KR101591507 B1 KR 101591507B1 KR 1020150048390 A KR1020150048390 A KR 1020150048390A KR 20150048390 A KR20150048390 A KR 20150048390A KR 101591507 B1 KR101591507 B1 KR 10159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supply
support bracket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동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동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동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룸형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공급연결홀과 환수연결홀을 관통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대의 공급연결홀과 환수연결홀에서 각각 직각되게 굽혀져 지지브라켓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산열량계와, 상기 적산열량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의 공급연결홀에 끼워지는 공급배관과, 제1공급연결너트를 구성하여 일측의 공급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스트레이너밸브와, 공급에어핀과 제2공급연결너트를 구성하여 타측의 공급배관에 결합되는 공급어댑터로 이루어진 난방공급분배부; 구동기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유량밸브와, 상기 정유량밸브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의 환수연결홀에 끼워지는 환수배관과, 환수에어핀과 제1환수연결너트를 구성하여 일측의 환수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제1환수어댑터와, 센서포켓과 제2환수연결너트를 구성하여 타측의 환수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제2환수어댑터로 이루어진 난방환수분배부; 상기 체결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난방공급분배부와 난방환수분배부를 체결판에 각각 고정결합하는 각각의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룸형 온수분배기{The studio-type hot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원룸형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산열량계와 제2환수어댑터에 각각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원룸 내의 난방사용요금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부피로 제작된 온수분배기를 체결수단과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원룸의 협소한 공간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비용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체결수단을 지지브라켓의 일부를 타공 및 절개하는 것을 통해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배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C형클램프에 결합되는 고무링에 이탈방지턱을 구성시킴으로써 견고한 고정설치는 물론, 전이부식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분배기는 공급용 온수분배기와 환수용 온수분배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용 온수분배기에는 온수를 각방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구가 구비되며, 환수용 온수분배기에는 각방으로부터 회전한 온수를 회수하기 위한 분배구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용 온수분배기의 분배구에는 난방용 배관의 일단이 결합되고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조인트가 체결되고, 환수용 온수분배기에 구비된 분배구에는 난방용 배관의 타단이 결합된 조인트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에 조인트를 체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분배구의 내면에 암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조인트의 일단부 외면에는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상호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공급용 온수분배기의 분배구와 환수용 온수분배기의 분배구 양쪽 모두에 조인트를 나사체결로 연결하는 작업은 한쪽을 먼저 체결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쪽을 회전시켜 나사체결해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어렵고, 상기 나사부의 마모와 체결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불완전체결되어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분배구의 내면과 조인트의 일단에 나사부를 별도로 가공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 "제10-0754762호"와 같은 온수분배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4762호 (2007.08.28) "온수 분배기" -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공급용 온수분배기와 회수용 온수분배기를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에 각각 나사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급/회수용 온수분배기의 양측 즉, 지지브라켓에 4개의 측면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금형제작 및 결합시공에 의한 비용상승이 상당한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원룸에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 불필요한 구성이 너무 많이 비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제작 및 시공시 불필요하게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간단한 구성으로 소형제작하여 제작비용과 시공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구조를 간단히 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이룰 수 있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공급분배부에 설치되어 센서를 구성하는 적산열량계와 난방환수분배부에 설치되어 센서가 연결되는 센서포켓을 구성한 제2환수어댑터를 통해 난방공급분배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와 난방환수분배부로 유출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룸에서의 난방사용요금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에 분배기가 아닌 배관이 결합되도록 하여 분배구와 같은 불필요한 구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을 통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부피로 제작되는 것에 의해 원룸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체결수단이 지지브라켓의 공급연결홀이나 환수연결홀을 타공 및 절개하는 것을 통해 제작함으로써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난방공급분배부와 난방환수분배부를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급배관 또는 환수배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C형클램프의 내부에 끼워지는 고무링에 의해 절연 및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서로 맞닿는 체결수단과 배관 및 결합수단이 전이부식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으며, 고무링의 외주 양측에 형성되어 C형클램프의 양측을 감싸는 이탈방지턱에 의해 상기 C형클램프에 끼워진 고무링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연결홀과 환수연결홀을 관통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된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대의 공급연결홀과 환수연결홀에서 각각 직각되게 굽혀져 지지브라켓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로 구성된 체결수단;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산열량계와, 상기 적산열량계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의 공급연결홀에 끼워지는 공급배관과, 제1공급연결너트를 구성하여 일측의 공급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스트레이너밸브와, 공급에어핀과 제2공급연결너트를 구성하여 타측의 공급배관에 결합되는 공급어댑터로 이루어진 난방공급분배부; 구동기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유량밸브와, 상기 정유량밸브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의 환수연결홀에 끼워지는 환수배관과, 환수에어핀과 제1환수연결너트를 구성하여 일측의 환수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제1환수어댑터와, 센서포켓과 제2환수연결너트를 구성하여 타측의 환수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제2환수어댑터로 이루어진 난방환수분배부; 상기 체결수단에 각각 결합되어 난방공급분배부와 난방환수분배부를 체결판에 각각 고정결합하는 각각의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이용하면, 난방공급분배부에 설치되어 센서를 구성하는 적산열량계와 난방환수분배부에 설치되어 센서가 연결되는 센서포켓을 구성한 제2환수어댑터를 통해 난방공급분배부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와 난방환수분배부로 유출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어 원룸에서의 난방사용요금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에 분배기가 아닌 배관이 결합되도록 하여 분배구와 같은 불필요한 구성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의 절감을 통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부피로 제작되는 것에 의해 원룸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체결수단이 지지브라켓의 공급연결홀이나 환수연결홀을 타공 및 절개하는 것을 통해 제작되므로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난방공급분배부와 난방환수분배부를 손쉽게 고정설치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급배관 또는 환수배관의 외주에 끼워진 상태로 C형클램프의 내부에 끼워지는 고무링에 의해 절연 및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지므로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서로 맞닿는 체결수단과 배관 및 결합수단이 전이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이룰 수 있으며, 고무링의 외주 양측에 형성되어 C형클램프의 양측을 감싸는 이탈방지턱에 의해 상기 C형클램프에 끼워진 고무링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시공이 용이해지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순분배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배관이 결합수단을 통해 체결수단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난방환수분배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체결수단에 고정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원룸과 같이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되어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0)과, 체결수단(20)과,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와, 결합수단(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지지브라켓(10)은 본 발명의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을 관통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5)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5)의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1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17)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대(15)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설치홈(14a)이 관통형성된 설치판(14)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15)와 연결대(17)에는 지지프레임(15a, 17a)을 각각 구성함으로써 지지대(15)와 연결대(17)가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대(15)의 후방에는 내측방향으로 직각되게 굽혀져 형성되는 제1지지프레임(15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대(17)의 양측에는 전방으로 직각되게 굽혀져 형성되는 제2지지프레임(17a)을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상기 제1지지프레임(15a)의 후면이 연결대(17)의 전면에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제2지지프레임(17a)의 내측면에 지지대(15)의 외측면에 각각 밀착되게 한 다음, 통상의 볼트(19)결합으로 지지대(15)와 연결대(17)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5)와 연결대(17)의 볼트(19)결합은 상기 지지대(15)에 제1관통홀(15b)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대(17)의 제2지지프레임(17a)에는 제1관통홀(15b)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17b)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볼트결합을 이루면, 상기 제1, 2지지프레임(15a, 17a)에 의해 한 쌍의 지지대(15)와 연결대(17)가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결합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둘째, 체결수단(20)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성된 지지대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일체 형성되어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를 지지브라켓(10)에 고정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15)의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에(13)서 각각 직각되게 굽혀져 지지브라켓(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체결판(21)과, 상기 체결판(21)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2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20)의 체결판(21)은 지지대(15)의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 형성에 따른 타공을 이룬 다음, 타공된 부분의 일부를 절개한 후,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굽히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셋째, 난방공급분배부(30)는 결합수단(50)을 통해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수단(20)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난방수의 사용에 따른 요금 계산을 위해 한 쌍의 지지대(15)의 사이 즉, 지지브라켓(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산열량계(31)를 구성하며, 상기 적산열량계(31)에는 난방공급분배부(30)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통상의 제1센서(32)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난방공급분배부(30)는 적산열량계(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0)의 공급연결홀(11)에 각각 끼워지는 공급배관(33)을 구성하는데, 일측 즉, 난방수가 유입되는 방향에 설치된 공급배관(33)에는 난방공급분배부(30)로 유입되는 난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트레이너밸브(35)가 구성되고, 타측 즉, 난방수가 유출되는 방향에 설치된 공급배관(33)에는 공급배관(33) 내부의 공기배출을 위한 공급에어핀(37)이 설치된 공급어댑터(39)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에어핀(37)은 통상의 볼밸브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의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하며, 상기 스트레이너밸브(35)와 공급어댑터(39)에는 난방수코일호스(미도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제1, 2공급연결너트(34, 38)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이너밸브(35)는 공급배관(33)에 연결설치하여 사용하는 공지된 통상의 구성으로, 내부에는 통상의 거름망(35a)이 구성되고, 외부에는 상기 거름망(35a)의 탈착을 통해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개폐덮개(35b)가 구성된다.
넷째, 난방환수분배부(40)는 상기 난방공급분배부(30)와 마찬가지로 결합수단(50)을 통해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수단(20)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동기(41)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유량밸브(42)를 구성하며, 상기 정유량밸브(42)는 밸브몸체(42a)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변형하는 다이아프램의 작동 및 구동기(41)의 ON/OFF에 따라 승강작동하여 통로(42b)의 개폐를 이루는 게이트(42c)를 구성한 공지된 통상의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정유량밸브(42)에는 난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통상의 거름망(42d)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이 정유량밸브(42)에 거름망(42d)이 구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거름망(42d)의 탈착을 통해 걸러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개폐덮개(42e)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난방환수분배부(40)에는 정유량밸브(4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0)의 환수연결홀(13)에 끼워지는 환수배관(43)이 구성되는데, 일측 즉, 난방수가 난방환수분배부(40) 방향으로 유입되는 방향에 설치된 환수배관(43)에는 환수배관(43)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환수에어핀(44)이 설치된 제1환수어댑터(46)가 구성되고, 타측 즉, 난방수가 난방환수분배부(40)에서 유출되는 방향에 설치된 환수배관(43)에는 유출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된 제2환수어댑터(49)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은 제2환수어댑터(49)에 설치되는 센서포켓(47)으로 구성함으로써 유출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센서(47a)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와 같이 센서포켓(47)을 구성하면, 제2센서(47a)의 교체가 용이해지므로, 파손에 따른 교체와 같은 유지보수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환수에어핀(44)은 통상의 볼밸브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내부의 공기 배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2환수어댑터(46, 49)에는 난방수코일호스(미도시)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통상의 제1, 2환수연결너트(45, 48)가 구성된다.
다섯째, 결합수단(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20)에 각각 결합되어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를 체결판(21)에 각각 고정결합하는 구성으로, 고무링(51)과, C형클램프(58)로 구성되는 것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무링(51)은 공급배관(33)과 환수배관(43)의 외주에 각각 끼워지는 구성으로, 탄성이 가미된 절연재질 즉,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아울러, C형클램프(58)는 상기 고무링(51)을 가압고정하는 것을 통해 고무링(51)이 끼워진 공급배관(33)과 환수배관(43)을 체결수단(20)에 각각 고정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체결수단(20)의 체결홀(23)에 대응되는 결합홀(53)을 형성하여 체결판(21)에 밀착되는 밀착판(55)과, 상기 고무링(51)이 삽입되는 개구(56)가 일측에 형성되도록 밀착판(55)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무링(51)의 외주에 끼워지는 가압구(57)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합홀(53)과 체결홀(23)에 볼트(59)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 상기 C형클램프(58)를 체결수단(20)의 체결판(21)에 고정결합하면, 상기 C형클램프(58)가 공급배관(33) 또는 환수배관(43)에 끼워진 고무링(51)을 가압고정하게 되어 난방공급분배부(30) 및 난방환수분배부(40)의 견고한 고정설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고무링(51)에 의해 공급배관(33)과 환수배관(43)이 보호되므로 결합수단(50)의 가압력에 의한 파손이나 전이부식 등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링(51)은 C형클램프(58)에 끼워질 시 보다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고무링(51)의 외주에 C형클램프(58)의 가압구(57)가 안착되는 안착홈(51a)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무링(51)의 외주 양측으로 이탈방지턱(51b)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C형클램프(58)의 양측을 감싸는 이탈방지턱(58)에 의해 C형클램프(58)에 끼워진 고무링(51)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시공의 용이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한 쌍의 지지대(15)를 각각 타공하여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의 일부를 각각 절개하여 외측방향으로 직각되게 굽힘으로써 체결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21)에 체결홀(23)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지지대(15)에 체결수단(20)을 일체로 형성시킨다.
그 후에는, 연결대(17)로 한 쌍의 지지대(15)를 연결설치하여 지지브라켓(10)을 작은 사이즈로 구성한 다음, 상기 지지브라켓(10)에 구성된 설치판(14)을 지면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10)의 고정설치를 완료하고, 적산열량계(31)의 양측에 공급배관(33)을 각각 결합시켜 상기 공급배관(33)을 지지대(15)의 공급연결홀(11)에 각각 끼워 넣는다.
그리고, 상기 공급배관(33)의 외주에 고무링(51)을 각각 끼워 넣은 다음, 상기 공급배관(33)의 일측과 타측에 스트레이너밸브(35)와 공급어댑터(39)를 각각 조립설치하여 난방공급분배부(30)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난방공급분배부(3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정유량밸브(42)의 양측에 환수배관(43)을 각각 결합시켜 상기 환수배관(43)을 지지대(15)의 환수연결홀(13)에 각각 끼워 넣고, 환수배관(43)의 외주에 고무링(51)을 각각 끼워 넣은 다음, 상기 환수배관(43)의 일측과 타측에 제1, 2환수어댑터(46, 49)를 설치하여 난방환수분배부(40)의 조립을 완료한다.
이처럼,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가 공급연결홀(11) 및 환수연결홀(13)에 각각 끼워지도록 조립을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 난방공급분배부(30)의 공급배관(33)과 난방환수분배부(40)의 환수배관(43)을 결합수단(50)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100)의 고정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데, 이하에는 상기 결합수단(50)을 이용하여 공급배관(33)과 환수배관(43)을 고정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결합수단(50)을 이용하여 공급배관(33)을 체결수단(20)에 고정설치하는 방법은, 공급배관(33)의 외주에 끼워진 고무링(51)을 지지브라켓(10)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수단(2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배치시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 후에는, C형클램프(58)의 가압구(57)에 구성된 개구(56)를 통해 고무링(51)에 형성된 안착홈(51a)이 가압구(57)의 내주에 끼워지도록 하여 이탈방지턱(51b)에 의해 고무링(51)과 C형클램프(58)의 분리 및 이동이 방지되도록 한 다음, 상기 C형클램프(58)의 밀착판(55)을 체결수단(20)의 체결판(21)에 밀착배치하고, 이 후, 결합홀(53)과 체결홀(23)에 결합되는 볼트(59)를 이용하여 상기 C형클램프(58)를 체결수단(20)에 고정결합하는 것으로 공급배관(33)의 고정설치를 손쉽게 완료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공급배관(33)을 고정설치하게 되면, 상기 C형클램프(58)가 공급배관(33)에 끼워진 고무링(51)을 가압고정하게 되어 난방공급분배부(30)의 고정설치가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공급배관(33)은 결합수단(50)의 가압력 발생시 고무링(51)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되어 파손이 생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무링(51)의 절연성능에 의해 재질이 다른 각각의 구성들이 전이부식 즉, 철과 동으로 각각 제작되는 지지브라켓(10)과 C형클램프(59) 및 난방공급분배부(30)가 전이되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수단(50)을 이용하여 환수배관(43)을 체결수단(20)에 고정설치하는 방법은 상술한 공급배관(33)의 설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의 고정설치를 완료한 다음에는, 제2환수어댑터(49)에 구성된 센서포켓(47)에 제2센서(47a)를 설치하고, 난방공급분배부(30)의 제1, 2공급연결너트(34, 38)와 난방환수분배부(40)의 제1, 2환수연결너트(45, 48)를 이용하여 난방수코일호스를 상기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의 양측에 각각 연결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시공을 완료한다.
따라서, 시공이 완료된 본 발명의 원룸형 온수분배기(100)를 사용하면, 난방공급분배부(30)로 유입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적산열량계(31)에 설치된 제1센서(32)로 감지함과 동시에, 난방환수분배부(40)로 유출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제2환수어댑터(49)의 센서포켓(47)에 설치된 제2센서(47a)를 감지하여 온도차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원룸에서의 난방사용요금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지지브라켓(10)에 분배기가 아닌 배관(33, 40)이 결합되도록 하여 분배구와 같은 불필요한 구성을 제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관(33, 43)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20)을 지지대(15)를 절개하여 굽힙 제작하는 것을 통해 재료비의 절감을 이루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었으며, 작은 부피로 제작되는 것에 의해 원룸과 같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고무링(51)에 형성된 안착홈(51a)과 이탈방지턱(51b)에 의해 C형클램프(58)의 견고한 고정설치를 손쉽게 이루어 시공을 신속정확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무링(51)의 탄성력과 절연성능에 의해 견고한 설치는 물론, 전이부식의 방지를 이룰 수 있으므로, 유비보수가 용이해지는 작용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10 : 지지브라켓 11 : 공급연결홀 13 : 환수연결홀 14 : 설치판 14a : 설치홈 15 : 지지대 15a : 제1지지프레임 15b : 제1관통홀 17 : 연결대 17a : 제2지지프레임 17b : 제2관통홀 19 : 볼트
20 : 체결수단 21 : 체결판 23 : 체결홀
30 : 난방공급분배부 31 : 적산열량계 32 : 제1센서 33 : 공급배관 34 : 제1공급연결너트 35 : 스트레이너밸브 35a : 거름망 35b : 개폐덮개 37 : 공급에어핀 38 : 제2공급연결너트 39 : 공급어댑터
40 : 난방환수분배부 41 : 구동기 42 : 정유량밸브 42a : 밸브몸체 42b : 통로 42c : 게이트 42d : 거름망 42e : 개폐덮개 43 : 환수배관 44 : 환수에어핀 45 : 제1환수연결너트 46 : 제1환수어댑터 47 : 센서포켓 47a : 제2센서 48 : 제2환수연결너트 49 : 제2환수어댑터
50 : 결합수단 51 : 고무링 53 : 결합홀 55 : 밀착판 56 : 개구 57 : C형클램프 59 : 볼트
100 : 원룸형 온수분배기

Claims (3)

  1.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을 관통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5)와, 상기 지지대(15)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17)로 구성된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대(15)의 공급연결홀(11)과 환수연결홀(13)에서 각각 직각되게 굽혀져 지지브라켓(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체결판(21)과, 상기 체결판(21)에 관통형성되는 체결홀(23)로 구성된 체결수단(20);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산열량계(31)와, 상기 적산열량계(3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0)의 공급연결홀(11)에 끼워지는 공급배관(33)과, 제1공급연결너트(34)를 구성하여 일측의 공급배관(33)에 연결설치되는 스트레이너밸브(35)와, 공급에어핀(37)과 제2공급연결너트(38)를 구성하여 타측의 공급배관(33)에 결합되는 공급어댑터(39)로 이루어진 난방공급분배부(30);
    구동기(41)를 구성하여 상기 지지브라켓(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정유량밸브(42)와, 상기 정유량밸브(4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0)의 환수연결홀(13)에 끼워지는 환수배관(43)과, 환수에어핀(44)과 제1환수연결너트(45)를 구성하여 일측의 환수배관(43)에 연결설치되는 제1환수어댑터(46)와, 센서포켓(47)과 제2환수연결너트(48)를 구성하여 타측의 환수배관(43)에 연결설치되는 제2환수어댑터(49)로 이루어진 난방환수분배부(40);
    상기 체결수단(20)에 각각 결합되어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를 체결판(21)에 각각 고정결합하는 각각의 결합수단(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은,
    공급배관(33)과 환수배관(43)의 외주에 각각 끼워지는 고무링(51);
    상기 체결수단(20)의 체결홀(23)에 대응되는 결합홀(53)을 형성하여 체결판(21)에 밀착되는 밀착판(55)과, 상기 고무링(51)이 삽입되는 개구(56)가 일측에 형성되도록 밀착판(55)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무링(51)의 외주에 끼워지는 가압구(57)로 구성된 C형클램프(58);로 이루어져,
    볼트(59)결합을 통해 체결수단(20)에 고정결합되는 결합수단(50)에 의해 난방공급분배부(30)와 난방환수분배부(40)의 고정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51)의 외주에는 C형클램프(58)의 가압구(57)가 안착되는 안착홈(51a)이 더 포함 구성되어 고무링(51)의 외주 양측으로 이탈방지턱(5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룸형 온수분배기.
KR1020150048390A 2015-04-06 2015-04-06 원룸형 온수분배기 KR10159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90A KR101591507B1 (ko) 2015-04-06 2015-04-06 원룸형 온수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390A KR101591507B1 (ko) 2015-04-06 2015-04-06 원룸형 온수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507B1 true KR101591507B1 (ko) 2016-02-19

Family

ID=5544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390A KR101591507B1 (ko) 2015-04-06 2015-04-06 원룸형 온수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5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526U (ko) * 1992-06-20 1994-01-03 금호전기 주식회사 복합형 온수 분배기
KR100754762B1 (ko) 2006-07-27 2007-09-03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온수 분배기
KR200441056Y1 (ko) * 2007-04-04 2008-07-18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온수 분배기의 체결구조
KR20120076007A (ko) * 2010-12-29 2012-07-09 홍성정 스트레이너와 센서포켓이 일체로 형성된 온수분배기용 헤드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526U (ko) * 1992-06-20 1994-01-03 금호전기 주식회사 복합형 온수 분배기
KR100754762B1 (ko) 2006-07-27 2007-09-03 주식회사 에스엠아이 온수 분배기
KR200441056Y1 (ko) * 2007-04-04 2008-07-18 주식회사 한국피이엠 온수 분배기의 체결구조
KR20120076007A (ko) * 2010-12-29 2012-07-09 홍성정 스트레이너와 센서포켓이 일체로 형성된 온수분배기용 헤드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083B1 (en) Oil, coolant, and exahust gas circulation system, elements and kits
CN102187174A (zh) 板式换热器
EP1831609B1 (en) Heat exchanger for a combined boiler, and combined boiler using said heat exchanger
KR101591507B1 (ko) 원룸형 온수분배기
JP2019027744A (ja) ヒートポンプ温水暖房機
WO2012033740A2 (en) Hydronic system
US20040018009A1 (en) Double heating device for coffee maker
JP4421525B2 (ja) 給湯装置
KR20100089157A (ko) 온돌 시공구조
KR200460206Y1 (ko) 센서포켓이 일체로 형성된 여과수단이 장착된 연결구
KR200404905Y1 (ko) 팬코일 유니트의 배관구조
CN104748590A (zh) 换热模块、以及生活热水机组
CN219474368U (zh) 一种单系统板式换热器的水侧管路组件
PL180860B1 (pl) Urządzenie grzewcze z grzejnikiem rurowym
EP2140185A1 (en) Plastic based radiator valve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DK176316B1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vandvarmer samt en vandvarmer
CN219199514U (zh) 热交换器组件及热水器
CN208567627U (zh) 一种方便实用的采暖散热器
CN218885459U (zh) 用于换热器传热性能测试的装置
CN212538011U (zh) 一种采暖进回水管道可隐藏的散热器
JP5790971B2 (ja) 給湯システム
JP3549170B2 (ja) 電気温水器
CN208784441U (zh) 一种带有双聚能冷热交换器的电开水器
EP1710509B1 (en) Piping union
WO2024027145A1 (zh) 热水供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