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985B1 - 원료 이동기의 램 슈 - Google Patents

원료 이동기의 램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985B1
KR101590985B1 KR1020140092480A KR20140092480A KR101590985B1 KR 101590985 B1 KR101590985 B1 KR 101590985B1 KR 1020140092480 A KR1020140092480 A KR 1020140092480A KR 20140092480 A KR20140092480 A KR 20140092480A KR 101590985 B1 KR101590985 B1 KR 10159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am
variable head
hing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425A (ko
Inventor
김순석
김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9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9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3/00Discharging devices; Coke guides
    • C10B33/08Pushers, e.g. 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원료 이동을 위해 전,후진되는 램에 결합되는 슈 바디; 상기 슈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램의 전,후진시 램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슈; 및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적어도 슈의 이동 경로에 형성된 원료를 따라 상기 슈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가변 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료 이동기의 램 슈{RAM shoe of push car}
본 발명은 원료 이동기의 램 슈로서, 특히 탄화실의 내부에 있는 코크스를 이동시키는 램의 전,후진을 보조하는 램 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며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가공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제선 공정을 행하기 위해 고로 또는 전기로가 사용되며, 고로는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추출하는 노이고, 전기로는 유도 전류가 일으키는 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선으로 만드는 노이다.
고로에서 제철의 주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는 석탄, 특히 점결탄과 같은 원료탄을 건류하여 덩어리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코크스 오븐에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크스 제조를 위해 코크스 오븐에 장입된 원료탄인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20)에서 건류되어 압출기(10)(pusher car)에 구비된 램(11)(RAM)에 의해 배출되며, 트랜스퍼카(30)(transfere car)를 통해 배출되면서 소화차에 담겨져 다음 공정인 냉각 설비로 이송된다. 압출기(10)에 부착된 램(11)(RAM)은 오븐 도어(21)를 개방하고 탄화실(20)에 형성된 코크스를 직접 접촉하면서 밀어낸다.
압출기(10)에 부착된 램(11)이 탄화실(20)에 형성된 코크스를 직접 접촉하면서 밀어낼 때 15M 정도의 긴 거리를 이동하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이 처지지 않도록 중간에 램 슈(RAM SHOE)를 구비하고, 하부에는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램 슈의 전방 및 후방에 역삼각형의 경사부를 가진다. 또한 램(11)의 헤드부인 램 헤드(RAM HEAD)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서 처짐을 방지하고자 램 헤드의 저면에 역시 램 슈(RAM SHOE)를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램 슈의 전방 및 후방에 역삼각형의 경사부를 가진다.
그런데, 코크스를 밀어내는 압출 작업 중에 탄화실(20)에 존재하는 코크스가 많이 존재하거나 입자가 적은 형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에 부착된 램 슈의 뒤편으로 넘어가거나 하부에 남게 된다. 이렇게 모여진 코크스를 램(11)이 전진할 때 램 슈의 역삼각형 경사 구조에 의해 올라타게 되는데, 이럴 경우 램(11)이 탄화실(20) 상부와 충돌하게 되어 탄화실(20) 및 램(11)이 파손되어 설비가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출 전진 중에 뒤로 떨어지거나 모여진 코크스는 별도로 처리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11)이 후진할 경우 램 슈가 코크스의 상부로 올라타게 되어 탄화실(20)의 상부와 충돌하게 되어 마찬가지로 탄화실(20) 및 램(11)이 파손되어 설비가 정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3-003552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탄화실 내부의 바닥에 코크스가 없는 경우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램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램 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탄화실 내부의 바닥에 코크스가 누적되어 있는 경우 램의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누적된 코크스를 밀어내면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원료 이동을 위해 전,후진되는 램에 결합되는 슈 바디; 상기 슈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램의 전,후진시 램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슈; 및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적어도 슈의 이동 경로에 형성된 원료를 따라 상기 슈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가변 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슈는, 상기 슈 바디의 저면에 접하는 슈 상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대향된 면으로서, 슈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슈 하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램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물질로부터 압력을 받는 슈 가압면;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가변 헤드가 힌지 결합되는 슈 힌지면;을 포함한다.
상기 슈 상부면은, 제1가로변 × 제1세로변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슈 하부면은, 제2가로변 × 제2세로변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가로변은 제1가로변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진다.
상기 슈 가압면은,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램의 이동 시에 상기 원료로부터 압력을 받는 제1측면으로서, 상기 슈 하부면과 예각을 가지는 슈 전방면;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전방면과 반대편에 있는 제2측면으로서, 상기 슈 하부면과 예각을 가지는 슈 후방면;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 헤드는, 바닥면인 가변 헤드 하부면을 구비하여, 상기 램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에 닿을 경우 상기 슈 가압면과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이 상기 원료물질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며, 상기 원료로부터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슈 가압면을 덮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슈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한다.
상기 가변 헤드는, 상기 슈 힌지면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는 가변 헤드 하우징; 상기 가변 헤드 하우징을 상기 슈와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헤드 하우징은, 가변 헤드 상부면;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대향된 가변 헤드 하부면;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가변 헤드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램의 이동 시에 상기 원료와 접하는 측면으로서,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가변 헤드 전방면;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가변 헤드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슈와 인접한 측면인 가변 헤드 후방면;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은,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직각을 이룬다.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은,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는 기울기를 가진다.
상기 슈 힌지면은,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제3측면인 슈 제1힌지면; 상기 슈 제1힌지면과 대향되며,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제4측면인 슈 제2힌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슈 제1힌지면과 슈 제2힌지면을 관통한 슈 힌지홀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결합체는,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에서 돌출된 힌지 플랜지면; 상기 힌지 플랜지면을 관통한 가변 헤드 힌지홀; 상기 슈 힌지홀과 상기 가변 헤드 힌지홀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을 포함한다.
원료와 접하는 슈 바디의 벽체면을 슈 바디 측면이라 할 때, 상기 슈 바디 측면은, 상기 슈 바디의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기울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램을 지지하는 램 슈가 탄화실 내부의 누적된 코크스를 밀어내도록 함으로써, 누적된 코크스를 타고 램이 상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램의 전,후진 시에 탄화실과 램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조업 장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트랜스퍼카, 탄화실, 압출기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램 헤드가 코크스를 트랜스퍼카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전진할 때 램 슈가 코크스를 타고 올라서게 되어 램이 탄화실의 상부에 충돌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램 헤드가 후진할 때 램 슈가 후방에 잔류된 코크스를 타고 올라서게 되어 램이 탄화실의 상부에 충돌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가변 헤드가 회전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가변 헤드가 회전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코크스가 없는 탄화실 내부에서 전 후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탄화실 내의 낙 코스나 누적 코스크가 존재할 때의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탄화실 내의 낙 코스나 누적 코스크가 존재할 때의 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가변 헤드가 회전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의 가변 헤드가 회전한 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원료를 이동하는 설비의 예로서 탄화실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설비라 함은, 탄화실 이외에도 원료가 담기어 이동될 수 있는 다른 설비도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원료를 이동시키는 원료 이동기의 예로서 코크스 오븐의 압출기를 예로 설명하겠으나, 원료를 이동시키는 장치라면 압출기 이외에도 다른 원료 이동기도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 슈는, 램 결합체(100), 슈 바디(200), 슈(300), 가변 헤드(400)를 포함한다.
램 결합체(100)는, 탄화실(20) 내에서 전,후진 하는 램(11)(RAM)과 슈 바디(20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체(420)이다. 램 결합체(100)에는 램 유동축(101)이 마련되는데, 램 유동축(101)은 램(11)(RAM)과 슈 바디(200)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의 축 역할을 한다. 따라서 램 결합체(100)에 연결된 슈 바디(200)는 램 유동축(10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슈 바디(200)(shoe body)는 다각형의 기둥체 하우징으로서, 슈 바디(200)는 탄화실 내에서 램 결합체(100)를 통하여 결합된다. 슈 바디(200)는 슈 바디 상부면(201)과, 슈 바디 상부면(201)과 대향된 슈 바디 하부면(202)을 가진다. 슈 바디 상부면(201)의 면적보다 슈 바디 하부면(202)의 면적을 더 적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슈 바디 상부면(201)의 가로변 × 슈 바디 상부면(201)의 세로변으로 된 슈 바디 상부면(201)의 면적을 가지며, 슈 바디 하부면(202)의 가로변 × 슈 바디 하부면(202)의 세로변으로 된 슈 바디 하부면(202)의 면적을 가진다고 할 때, 슈 바디 하부면(202)의 가로변의 길이를 슈 바디 상부면(201)의 가로변의 길이보다 더 작게 함으로써, 슈 바디 상부면(201)의 면적보다 슈 바디 하부면(202)의 면적을 더 적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슈 바디(200)는, 슈 바디 측면(203,204)을 포함한다. 슈 바디 측면(203,204)은, 슈 바디 상부면(201)과 슈 바디 하부면(202)을 연결하는 측면으로서, 원료와 접하는 슈 바디(200)의 벽체면이다. 슈 바디 측면(203,204)은, 슈 바디(200)의 하부면(202)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한다.
슈 바디 상부면(201)보다 슈 바디 하부면(202)의 면적이 더 적기 때문에, 슈 바디 측면(203)은 슈 바디 하부면(202)과 둔각을 이루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슈 바디 측면(203,204)은 램(11)의 전진 시에 원료를 압출하는 슈 바디 전방면(203)과, 슈 바디 전방면(203)의 반대편 면으로서 램(11)의 후진 시에 원료와 접하는 슈 바디 후방면(204)을 포함한다.
또한 슈 바디(200)는, 슈 바디 연결 측면(205)를 가진다. 슈 바디 연결 측면(2050는 슈 바디 상부면(201)과 슈 바디 하부면(202)을 연결하는 측면으로서, 슈 바디 전방면(203)과 슈 바디 후방면(204) 사이의 연결면이다. 슈 바디 상부면(201)의 면적보다 슈 바디 하부면(202)의 면적이 더 적으므로, 슈 바디 연결 측면(205)은 역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슈(300)(SHOE)는, 슈 바디(200)에 결합되어 램(11)의 전,후진 시에 램(11)을 지지한다. 즉, 슈(300)는, 슈 바디의 저면인 슈 바디 하부면(202)에 결합되어, 탄화실 내부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램(11)이 탄화실 외측의 코크스 압출기 본체(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어 본체의 구동에 따라 램 헤드를 전,후진하게 되면, 램을 지지하는 슈 바디(200)에 결합된 슈(300) 역시 탄화실 내부의 바닥면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슈(300)는, 다각형의 기둥체 하우징으로서 슈 상부면(301), 슈 하부면(302), 슈 측면인 슈 가압면(303,304)과 슈 힌지면(305,306)으로 이루어진다. 슈 상부면(301)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으로서 슈 바디(200)의 저면인 슈 바디 하부면(202)에 결합된다. 슈 하부면(302)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으로서 슈 상부면(301)에 대향되어, 슈 상부면(30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슈 상부면(301) 및 슈 하부면(302)이 사각형으로 구현된 경우, 슈 상부면(301)은, 제1가로변(P1) × 제1세로변(L1)의 면적을 가지며, 슈 하부면(302)은, 제2가로변(P2) × 제2세로변(L2)의 면적을 가진다고 할 때, 제2가로변(P2)은 제1가로변(P1)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슈 하부면(302)이 슈 상부면(30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슈 측면인 슈 가압면(303,304)과 슈 힌지면(305,306)은, 슈 상부면(301)과 슈 하부면(302)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슈 가압면은, 슈 전방면(303), 슈 후방면(304)을 가지며, 슈 힌지면은 슈 제1힌지면(305), 슈 제2힌지면(306)을 가진다.
슈 전방면(303)은, 슈 상부면(301)과 슈 하부면(302)을 연결하며, 램(11)의 이동 시에 원료와 접하여 원료물질로부터 압력을 받는 제1측면으로서, 슈 하부면(302)과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제1기울기를 가진다. 예각이라 함은 0°~ 90°사이의 사잇각을 말한다.
슈 후방면(304)은, 슈 상부면(301)과 슈 하부면(302)을 연결하여 전방면과 반대편에 있는 제2측면으로서, 슈 하부면(302)과 예각을 이루도록 하는 제1기울기를 가진다.
슈 제1힌지면(305)은, 슈 상부면(301)과 슈 하부면(302)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슈 제2힌지면(306)은 슈 제1힌지면(305)과 대향되며, 슈 상부면(301)과 슈 하부면(302)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슈 제1힌지면(305)과 슈 제2힌지면(306)을 관통하는 관통홀인 슈 힌지홀(310)이 형성된다. 슈 힌지홀(310)은 가변 헤드(40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430)이 꽂히는 홀이다.
한편, 가변 헤드(400)는 슈(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적어도 슈(300)의 이동 경로에 형성된 원료를 따라 슈(300)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가변 헤드(400)는, 바닥면인 가변 헤드 하부면(412)을 구비하여, 램(11)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에 닿을 경우 슈 가압면(303,304)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이 원료물질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며, 원료로부터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는 슈 가압면(303,304)을 덮어 노출되지 않도록, 슈(30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한다. 즉, 가변 헤드(400)가, 탄화실 내의 원료와 측벽이 닿을 경우에는 원료물질에 의해 밀려 상승 회전하여, 슈 가압면(303,304)이 원료물질에 노출됨과 동시에 가변 헤드 하부면(412) 역시 원료물질에 노출된다. 따라서 슈 가압면(303,304)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은 '>' 꺽쇠 형태를 가지게 되어 슈(300)가 원료물질을 타고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반대로, 가변 헤드(400)가, 탄화실 내의 원료와 측벽이 닿지 않을 경우에는 가변 헤드(400)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가변 헤드(400)가 슈 가압면(303,304)을 덮게되어, 원료물질에 가변 헤드 전방면(413)이 노출되도록 하여, 가변 헤드 전방면(413)이 탄화실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게 된다..
가변 헤드(400)는, 가변 헤드 하우징(410)과, 힌지 결합체(420)를 구비한다.
가변 헤드 하우징(410)은, 슈 힌지면(305,306)을 관통하는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는 하우징이다. 가변 헤드 하우징(410)은, 다각형의 기둥체로서, 가변 헤드 상부면(411), 가변 헤드 하부면(412), 가변 헤드 전방면(413), 가변 헤드 후방면(414), 가변 헤드 제1연결면(415), 가변 헤드 제2연결면(416)을 포함한다..
가변 헤드 상부면(411)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은 서로 대향되어 있다. 가변 헤드 상부면(411)의 면적이 가변 헤드 하우징(410)의 하부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가변 헤드 전방면(413)은, 가변 헤드 상부면(411)와 가변 헤드 하부면(412)를 연결하여 램(RAM)의 이동 시에 원료와 접하는 측면으로서, 가변 헤드 하부면(412)과 둔각을 이루도록 한다. 둔각은 90°~ 180°사이의 사잇각을 말한다.
가변 헤드 후방면(414)은, 가변 헤드 상부면(411)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을 연결하여 상기 슈(300)와 인접한 측면이다. 가변 헤드 후방면(414)은 직각 또는 기울기를 가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헤드 하부면(412)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가변 헤드 후방면(414)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7(b)와 같이 가변 헤드 하부면(412)과 둔각을 이루는 제2기울기를 가지도록 하는 가변 헤드 후방면(414)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가변 헤드 후방면(414)이 제2기울기를 가지며 가변 헤드 하부면(412)과 둔각을 이룸으로써, 슈 전방면(303) 또는 슈 후방면(304)의 경사진 제1기울기와 일치시켜, 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슈 전방면(303) 또는 슈 후방면(304)의 경사진 제1기울기와 가변 헤드 후방면(414)의 제2기울기는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변 헤드 후방면(414)이 가변 헤드 하부면(412)과 둔각을 이루는 제2기울기를 가지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가변 헤드 제1연결면(415)은 가변 헤드 상부면(411)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을 연결하는 측면으로서, 가변 헤드전방면(413)과 후방면에 접하는 측면이다. 가변 헤드 제2연결면(416)은, 가변 헤드 상부면(411)과 가변 헤드 하부면(412)을 연결하는 측면으로서, 가변 헤드 제1연결면(415)에 대향된 면이다.
힌지 결합체(420)는, 가변 헤드 하우징(410)을 슈(300)와 힌지 결합시킨다. 힌지 결합체(420)는, 가변 헤드 후방면(414)에서 돌출된 힌지 플랜지면과, 힌지 플랜지면을 관통한 가변 헤드 힌지홀(423)과, 슈 힌지홀(310)과 상기 가변 헤드 힌지홀(423)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430)을 포함한다. 힌지 플랜지면은, 가변 헤드 제1연결면(415)에서 확장된 플랜지 면인 힌지 제1플랜지면(421)과, 가면 헤드 제2연결면에서 확장된 플랜지면인 힌지 제2플랜지면(422)을 구비한다. 가변 헤드 하우징(410)을 슈 제1힌지면(305)과 슈 제2힌지면(306)의 슈 힌지홀(310)에 가변 헤드 힌지홀(423)을 정렬시킨 후, 힌지축(430)을 슈 힌지홀(310)과 가변 헤드(400) 힌지 홀에 삽입 체결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헤드 하우징(410)을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하여 힌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코크스가 없는 탄화실 내부에서 전 후진 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탄화실 내의 낙 코스나 누적 코스크가 존재할 때의 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 슈가 결합된 램이 탄화실 내의 낙 코스나 누적 코스크가 존재할 때의 후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 슈를 장착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실(20) 내부에서 코크스가 누적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슈(300)는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하면서 전,후진 하게 된다.
만약, 탄화실(20) 내부에 낙코스나 누적 코크스가 발생할 때 전진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실(20) 바닥의 코크스에 슈(300)의 전단에 설치한 가변 헤드(400)가 접촉하게 되고 램(11)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바닥 코크스가 가변 헤드(400)를 밀게 되어 슈(300)의 전단에 설치된 가변 헤드(400)는 위로 들리게 된다. 이때 돌출되는 슈(300) 본체가 정삼각형 모양을 형성하면서 코크스를 위로 밀면서 파고들어 가는 형상을 하게 되므로 램(11)은 들리지 않게 되고 바닥의 코크스를 밀면서 압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참고로, 탄화실(20) 바닥에 낙코크스나 누적 코크스가 쌓인 상태에서 슈(300)가 접촉하면 램이 전진하는 힘에 의해 가변형 헤드가 들리게 되고, 스톱퍼 역할을 하는 슈 바디 전방면에 의해 더 이상 들리지 않게 된다. 바닥의 코크스가 완전히 제거되거나 전/후진이 완료되면 가변 헤드(400)에 인가되는 힘이 없어지므로 가변 헤드(400)는 자중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압출을 완료하고 후진할 경우에도 탄화실(20) 내부에 낙코스나 누적 코크스가 발생할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화실(20) 바닥의 코크스에 슈(300)의 후단에 설치한 가변 헤드(400)가 접촉하게 되면서 램(11)이 후진하는 힘에 의해 바닥 코크스가 가변 헤드(400)를 밀게 되어, 슈(300)의 후단에 설치된 가변형 헤드는 위로 들리게 된다. 이때 돌출되는 슈(300) 본체가 정삼각형 모양을 형성하면서 코크스를 위로 밀면서 파고들어 가는 형상을 하게 되므로 램(11)은 들리지 않게 되고 바닥의 코크스를 밀면서 후진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1:램 20:탄화실
100:램 결합체 200:슈바디
300:슈 400:가변 헤드
410:가변 헤드 하우징 420:힌지 결합체

Claims (12)

  1. 원료 이동을 위해 전,후진되는 램에 결합되는 슈 바디;
    상기 슈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램의 전,후진시 램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슈; 및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적어도 슈의 이동 경로에 형성된 원료를 따라 상기 슈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가변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슈는,
    상기 슈 바디의 저면에 접하는 슈 상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대향된 면으로서, 슈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슈 하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램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물질로부터 압력을 받는 슈 가압면; 및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가변 헤드가 힌지 결합되는 슈 힌지면;을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2. 원료 이동을 위해 전,후진되는 램에 결합되는 슈 바디;
    상기 슈 바디에 결합되며, 상기 램의 전,후진시 램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슈; 및
    상기 슈에 회전 가능하게 연계되고, 적어도 슈의 이동 경로에 형성된 원료를 따라 상기 슈의 상승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가변 헤드;를 포함하고,
    원료와 접하는 슈 바디의 벽체면을 슈 바디 측면이라 할 때,
    상기 슈 바디 측면은, 상기 슈 바디의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기울기를 가지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슈는,
    상기 슈 바디의 저면에 접하는 슈 상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대향된 면으로서, 슈 상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슈 하부면;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램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물질로부터 압력을 받는 슈 가압면; 및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는 슈 측면으로서, 상기 가변 헤드가 힌지 결합되는 슈 힌지면;
    을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슈 상부면은, 제1가로변 × 제1세로변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슈 하부면은, 제2가로변 × 제2세로변의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제2가로변은 제1가로변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슈 가압면은,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램의 이동 시에 상기 원료로부터 압력을 받는 제1측면으로서, 상기 슈 하부면과 예각을 가지는 슈 전방면; 및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전방면과 반대편에 있는 제2측면으로서, 상기 슈 하부면과 예각을 가지는 슈 후방면;
    을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는,
    바닥면인 가변 헤드 하부면을 구비하여, 상기 램의 전후진에 의해 원료 물질에 닿을 경우 상기 슈 가압면과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이 상기 원료물질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며, 상기 원료 물질로부터 가압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슈 가압면을 덮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슈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는,
    상기 슈 힌지면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는 가변 헤드 하우징; 및
    상기 가변 헤드 하우징을 상기 슈와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결합체;
    를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 하우징은,
    가변 헤드 상부면;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대향된 가변 헤드 하부면;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가변 헤드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램의 이동 시에 상기 원료와 접하는 측면으로서,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도록 하는 가변 헤드 전방면; 및
    상기 가변 헤드 상부면과 가변 헤드 하부면을 연결하여 상기 슈와 인접한 측면인 가변 헤드 후방면;
    을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은,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직각을 이루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은,
    상기 가변 헤드 하부면과 둔각을 이루는 기울기를 가지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슈 힌지면은,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제3측면인 슈 제1힌지면; 및
    상기 슈 제1힌지면과 대향되며, 상기 슈 상부면과 슈 하부면을 연결하여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제4측면인 슈 제2힌지면;
    을 포함하며, 상기 슈 제1힌지면과 슈 제2힌지면을 관통한 슈 힌지홀이 형성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체는,
    상기 가변 헤드 후방면에서 돌출된 힌지 플랜지면;
    상기 힌지 플랜지면을 관통한 가변 헤드 힌지홀; 및
    상기 슈 힌지홀과 상기 가변 헤드 힌지홀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축;
    을 포함하는 원료 이동기의 램 슈.
KR1020140092480A 2014-07-22 2014-07-22 원료 이동기의 램 슈 KR10159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80A KR101590985B1 (ko) 2014-07-22 2014-07-22 원료 이동기의 램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80A KR101590985B1 (ko) 2014-07-22 2014-07-22 원료 이동기의 램 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25A KR20160011425A (ko) 2016-02-01
KR101590985B1 true KR101590985B1 (ko) 2016-02-02

Family

ID=5535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80A KR101590985B1 (ko) 2014-07-22 2014-07-22 원료 이동기의 램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9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258A (ja) * 2000-01-14 2001-07-24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カーボン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7262264A (ja) 2006-03-29 2007-10-11 Jfe Steel Kk コークス炉の押出しラム移動経路の清掃治具
KR101159593B1 (ko) 2009-08-27 2012-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출기 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696B1 (ko) 2001-10-31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탄화실 적열코크스를 감지하는 압출기 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258A (ja) * 2000-01-14 2001-07-24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のカーボン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7262264A (ja) 2006-03-29 2007-10-11 Jfe Steel Kk コークス炉の押出しラム移動経路の清掃治具
KR101159593B1 (ko) 2009-08-27 2012-06-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출기 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25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6473C (en) Charging device, especially charging stock preheater
BR112016015475B1 (pt) método de descarbonização de um forno de coque de depósitos de coque e sistema de coqueificação
KR101167121B1 (ko) 연원료 불출장치
US20160016231A1 (en) Method and facility for transforming a liquid-state metal into a solid-state metal
EP2281166A1 (de) Ofenanlage
KR101590985B1 (ko) 원료 이동기의 램 슈
EP2891860A1 (en) Mobile removable hearth for furnace and transporter
KR100961337B1 (ko) 가열로의 소재 장입장치
DE19612383C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ichtbogenofens und Lichtbogenofen
WO2006103115A8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refractory debris materials and ladle slags as process slags in iron metallurgy production in eafs, and the related metering to the furnace for the formation of the process slag
US3603375A (en) Flexible starter bar for continuous castings
KR101257465B1 (ko) 롤러테이블의 슬립방지장치
CN216402312U (zh) 一种用于移除盾构隧道内轨道的设备
CN105112579A (zh) 一种鱼雷罐车倒渣作业的轨道避渣装置及使用方法
KR20100118019A (ko) 고로의 장입장치용 슈트
KR101159593B1 (ko) 압출기 램
US1373581A (en) Tapping and raveling apparatus for steel-furnaces and the like
US663946A (en) Power apparatus for removing skull from ladles.
CN204981916U (zh) 一种鱼雷罐车倒渣作业的轨道避渣装置
DE19509285A1 (de) Schmelzgefäßanlage
KR101184931B1 (ko) 코크스로용 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Sarvinis et al. Improvements to BHP Hartley Platinum's smelting furnace
Du et al. Practice of high productivity at no. 3 blast furnace of china steel corporation
KR101698674B1 (ko) 코크스 가이드
KR101626442B1 (ko) 적열 코크스 반출 가이드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